KR20090081940A - 천일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일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940A
KR20090081940A KR1020080008126A KR20080008126A KR20090081940A KR 20090081940 A KR20090081940 A KR 20090081940A KR 1020080008126 A KR1020080008126 A KR 1020080008126A KR 20080008126 A KR20080008126 A KR 20080008126A KR 20090081940 A KR20090081940 A KR 2009008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magnetic field
field generating
magnet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316B1 (ko
Inventor
안종섭
Original Assignee
팜메이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팜메이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팜메이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를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화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밀봉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되고,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해수 공급관; 상기 해수 공급관의 상부에 설치된 자장 발생관; 상기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된 자석; 및 상기 자석을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한다.
천일염, 중금속, 자화장치, 자석, 해수

Description

천일염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SALT}
본 발명은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를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에 통과시킴으로써,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해수(바닷물)를 끌어 올린 후, 염전에서 증발, 결정화시켜 제조하고 있다. 해수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요오드 등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각종 원소들이 미량 함유되어 있다. 반면에, 해수에는 각종 폐수나 하수 등이 정화되지 않고 바다로 흘러들어가 납, 비소 등의 중금속과 이물질 등의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되고 있다. 이로 인해, 천일염에는 위와 같은 각종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섭취 후, 특히 중금속이 인체에 누적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고 있다.
종래,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천일염을 굽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또한, 여러 선행 특허문헌에서도 천일염의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9633호(특허문헌 1)에는 해수(바닷물)를 음이온 오존 살균기나 초음파 세척기로 제독시킨 다음, 숯(또는 활성탄) 등으로 여과시키는 공정 등을 포함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4522호(특허문헌 2)에는 맥반석이나 게르마늄 등을 이용하여 염판 여과지를 만든 후, 바닷물을 상기 염판 여과지에 통과시키는 공정 등을 포함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제조된 천일염을 정제하는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9474호(특허문헌 3)에는 세리사이트(sericite), 크로라이트(chlorite) 및 일라이트(illite) 등의 광물질 분말로 정제함으로써, 상기 광물질의 강한 흡착력, 음이온 치환능력 및 음이온 방출효과를 통하여 천일염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천일염의 정제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9633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4522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9474호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먼저 천일염을 굽는 방법의 경우에는 굽는 과정이 복잡하고, 설비의 구축에 따른 제조 원가가 높아지며, 특히 천일염을 굽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천연 미네랄 등의 성분까지도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의 경우에는 유해물질 제거과정이 여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정이 복잡하고, 이 또한 설비의 구축에 따른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에 제시된 방법은 여러 재료(맥반석, 숯, 세리사이트 등의 광물)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사용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한 방법으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를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화장치(磁化裝置)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자장 발생관; 및 상기 자장 발생관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자석은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자장 발생관의 외부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자화장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밀봉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되고,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해수 공급관; 상기 해수 공급관의 상부에 설치된 자장 발생관; 상기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된 자석; 및 상기 자석을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를 통과시킴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 및 감소되어, 인체에 유익한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유해물질을 제거 및 감소시킴에 있어서,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를 통과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되어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바다로부터 해수를 유입시키는 단계(유입단계); 유입된 해수를 증발시키는 단계(증발단계); 및 증발에 의해 수분이 일정량 제거된 해수를 결정화시키는 단계(결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는 통상과 같은 염전 등의 천일염 제조설비에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단계는 염전의 저수지에서, 상기 증발단계는 염전의 증발지에서, 그리고 상기 결정단계는 염전의 결정지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단계에 있어서, 해수는 저수지로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대용량의 탱크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수지(또는 탱크)의 선단, 또는 증발지의 선단(즉, 저수지(또는 탱크)와 증발지의 사이)에는 이물질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연의 제조방법은 유입된 해수에 포함된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는 스크린 막, 필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제조방법은, 해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유입된 해수를 자화장치(100)에 통과시키는 단계(자화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화단계는 유입단계, 증발단계, 및 결정단계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진행되어, 1회 또는 2회 이상 수회 반복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화장치(100)는 저수지(또는 탱크)의 선단, 증발지의 선단(즉, 저수지와 증발지의 사이), 결정지의 선단(즉, 증발지와 결정지의 사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1은 이들 모두에 1개씩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는 자화장치(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금속(납, 비소 등), 불용분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 및 감소되어, 결정지를 통해 제조된 천일염은 유해물질의 함유량이 적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자화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화장치(100)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화장치(100)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12)를 가지는 자장 발생관(40); 및 상기 자장 발생관(40)에 설치된 자석(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석(50)은 자장 발생관(4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자장 발생관(40)의 외부 둘레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자석(50)이 자장 발생관(40)의 외부 둘레에 부착되어지되, 결속밴드(B)에 의해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자장 발생관(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파이프)이나, 또는 다각통형(삼각통형, 사각통형 등)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해수는, 별도로 설치된 흡입펌프(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위와 같은 자화장치(100)의 자장 발생관(40) 내부로 유입,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화장치(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자화장치(100)는, 유입되는 해수와 자석(50)이 효율적으로 접촉되어 유해물질의 제거 및 감소 효율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화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보인 자화장치(100)를 구성하는 자석 지지구(60)(610)의 제1구현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 보인 자화장치(100)를 구성하는 자석 지지구(60)(610)의 제2구현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화장치(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커버(10); 상기 커버(10)에 결합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된 해수 공급관(30); 상기 해수 공급관(30)의 상부에 설치된 자장 발생관(40); 상기 자장 발생관(40)에 내장된 자석(50); 및 상기 자석(50)을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구(60)(6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0)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12)를 갖는다. 또한, 상기 커버(10)는 유입구(11)로 유입된 해수가 곧바로 유출구(12)를 통하여 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유입된 해수가 하우징(20)을 경유하여 자화된 다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하향 돌출된 차단부(13)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0)은 커버(10)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O-링(O-ring)이나 실리콘 등의 실링수단에 의해 밀봉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의 하부에는 해수 공급관(30)이 내장되는 데, 이때 하우징(20)과 해수 공급관(30)의 사이에 유로(F2)가 마련되도록 내장된다. 즉, 하우징(20)의 내경보다 해수 공급관(30)의 외경이 더 작다. 또한, 하우징(20)의 바닥에는 끼움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1)에 해수 공급관(30)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 징(20)의 바닥에 이격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격돌기(22)에 의해 해수 공급관(30)이 하우징(3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징(20)의 바닥과 해수 공급관(30)의 사이에는 해수가 통과하는 유로(F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해수 공급관(30)의 벽체(31)에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수 공급관(30)의 상부에는 자장 발생관(40)이 설치되는 데, 이때 해수 공급관(30)과 자장 발생관(40)은 단턱(S)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장 발생관(40)은 위와 같이 해수 공급관(3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하우징(20)의 내부에 내장되는데, 이때 하우징(20)과의 사이에 유로(F1)가 마련되도록 내장된다. 즉, 하우징(20)의 내경보다 자장 발생관(40)의 외경이 더 작다. 아울러, 상기 자장 발생관(40)에는 봉 형태의 자석(50)이 내장되어, 여기서는 상기 봉 형태의 자석(50)에 의해 자장이 발생된다. 이때, 봉 형태의 자석(50; 이하, '자석봉'이라 한다)은 해수가 통과되는 유로(F4)가 마련되도록 자장 발생관(40)에 내장된다. 즉, 자석봉(50)의 외경이 자장 발생관(40)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자석봉(50)은 자장 발생관(40)의 내부에 상/하부 지지구(60)(610)를 통해 고정,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 지지구(610) 및 하부 지지구(60)는 자석봉(50)이 끼움, 고정되는 지지대(61)(6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하부 지지구(60)(610)는 자장 발생관(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결국 자석봉(50)을 자장 발생관(40) 내부에 고정시 킨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70은 유입구(11) 및 유출구(12)에 해수 유입/유출관(도시하지 않음)을 밀봉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coupling)이다.
도 5는 상기 자화장치(100)를 구성하는 지지구(60)(610)의 제2구현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구(60)(610) 중에서 하부 지지구(60)가 해수 공급관(30)에 일체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즉,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60)(610)는 해수 공급관(30)이나 자장 발생관(40)에 일체 성형 또는 용접 결합 등을 통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로 유입된 해수는 유로(F1)(F2)를 따라 흐르면서 유입공(32)을 통해 해수 공급관(3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해수 공급관(30)으로 유입된 해수는 상승하여 자장 발생관(40)으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해수는 자장 발생관(40)의 자석봉(50)과 넓은 면적으로 직접 접촉되어, 유해물질의 제거 및 감소 효율이 향상된다. 즉, 해수는 유로(F4)를 따라 계속 상승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봉 형태의 자석봉(50)과 직접 접촉함과 동시에 우수한 효율로 접촉되어, 자석봉(50)의 강한 자기장을 인가받는다. 또한, 유입공(32)을 통해 해수 공급관(30)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와류(eddy flow)가 되면서 자장 발생관(40)으로 상승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승된 해수는 자석봉(50)의 밑면과 부딪힌 다음, 지지대(61)와 지지대(61)의 공간을 통해 빠져 나와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자석봉(50)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자화능이 우수해져 유해물질의 제거 및 감소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자화된 해수는 유출구(12)를 통하여 토출된다.
한편, 상기 자화장치(100)는 하우징(20)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자장 발생수단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자장 발생관(40)과 여기에 내장된 자석봉(50)을 포함하는 자장 발생수단이 하우징(20)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 내장될 수 있다. 아울러, 자장 발생관(40) 내부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자석봉(50)이 내장,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화장치(100)는 천일염의 제조량이나 천일염 제조설비(염전 등)의 규모에 따라 천일염 제조설비(염전 등)에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염전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자화장치(100)는 저수지의 선단, 증발지의 선단(즉, 저수지와 증발지의 사이), 결정지의 선단(즉, 증발지와 결정지의 사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개수 또한 1개 이상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에 포함된 중금속(납, 비소 등), 불용분 등의 유해물질은 위와 같은 자화장치(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거되거나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화장치(100)의 자장 발생관(40)에서는 여기에 설치된 자석(50)에 의해 자장이 발생되며, 발생된 자장에 의해 해수를 구성하는 물과 유해물질 등은 분리(이온화)와 재결합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라, 물 분자는 작아지고 유해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전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츠, 플레밍 법칙에 의하여 자석(50)과 직교하여 코일을 움직여주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해수도 전해질로서 도체와 같으므로 자석(50)에 의해 전기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전기력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중금속 등)은 이온화되어 제거되거나, 그 함유량이 감소된다. 아울러, 전기력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불용분 등의 스케일은 분해 제거나, 세밀화된다. 이에 따라, 결정지를 통해 얻어진 천일염에는 중금속이나 불용분 등의 유해물질의 함유량이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물질을 제거, 감소시킴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대단위 설비의 구축이 필요 없고, 여러 재료(맥반석, 숯, 세리사이트 등의 광물 등)의 사용 없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조의 자화장치(100)를 통과시킴에 의해 유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 감소된다. 이에 따라, 공정의 간편함 및 설비의 간소함 등으로 인하여 천일염을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일염은, 천일염 특유의 쓰고 아린 맛이 없으며 단백하고 부드러운 맛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천일염에 비해 입자가 고우며 수정처럼 반짝거린다. 또한, 종래의 천일염에 비해 20 ~ 30% 정도 적은 양을 사용해도 충분한 맛을 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일염을 이용하여 염장한 김치류는 종래의 천일염으로 염장한 김치류보다 이삭거리는 맛이 강하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신맛이 덜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실시예]
국내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에 소재한 염전에서 채취한 해수(증발지의 해수)를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자화장치(100)에 3회 통과시킨 다음, 결정화시 켜 천일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천일염(시료)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국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8가 88-2 소재)에 의뢰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1]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 위해물질사업단에서 규정한 천일염 규격과 재제염(재제소금) 규격을 함께 나타내었다.
< 식약청 위해물질사업단 규격과의 성분 및 함량 비교, 단위 : 중량% >
성분 천일염 규격 재제염 규격 실시예 시험방법
염화나트륨 70.0 이상 88.0 이상 87.1 식품공정 : 2006
총염소 40.0 이상 54.0 이상 53.0 식품공정 : 2006
수분 15.0 이하 9.0 이하 7.9 식품공정 : 2006
불용분 0.15 이하 0.02 이하 0.0 식품공정 : 2006
황산이온 5.0 이하 0.8 이하 0.2 식품공정 : 2006
사분 0.2 이하 - 0.0 식품공정 : 2006
비소(Bs) 0.5 이하 0.5 이하 0.0 식품공정 : 2006
납(Pb) 2.0 이하 2.0 이하 0.0 식품공정 : 2006
주1) 위에서, 총염소의 함량은 염화나트륨을 구성하는 염소를 포함하는 함량으로서,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Cl)의 전체 함량임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자화장치(100)를 통과시켜 제조한 천일염은 제제염 수준으로서, 식약청 천일염 규격보다 월등한 성적으로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중금속(납, 비소)과 불용분은 불검출됨(0.0%)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화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보인 자화장치를 구성하는 자석 지지구의 제1구현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보인 자화장치를 구성하는 자석 지지구의 제2구현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버 11 : 유입구
12 : 유출구 20 : 하우징
30 : 해수 공급관 32 : 유입공
40 : 자장 발생관 50 : 자석
60, 610 : 지지구

Claims (3)

  1. 해수를 자석이 설치된 자화장치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장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자장 발생관; 및 상기 자장 발생관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장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해수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가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밀봉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되고,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해수 공급관; 상기 해수 공급관의 상부에 설치된 자장 발생관; 상기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내장되어지되, 유로가 마련되도록 내장된 자석; 및 상기 자석을 자장 발생관의 내부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20080008126A 2008-01-25 2008-01-25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101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26A KR101012316B1 (ko) 2008-01-25 2008-01-25 천일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26A KR101012316B1 (ko) 2008-01-25 2008-01-25 천일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40A true KR20090081940A (ko) 2009-07-29
KR101012316B1 KR101012316B1 (ko) 2011-03-08

Family

ID=4129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26A KR101012316B1 (ko) 2008-01-25 2008-01-25 천일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76B1 (ko) * 2015-09-09 2016-07-28 김종기 무독성 해수의 제조장치
KR102577292B1 (ko) * 2022-10-07 2023-09-08 유성운 구조 개선형 해수 증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076B1 (ko) * 1997-10-21 2000-03-15 이찬우 액류 자화장치
KR100665892B1 (ko) * 2005-08-25 2007-01-11 서희동 해양 심층수 또는 해저 심층암반수로부터 청정소금을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76B1 (ko) * 2015-09-09 2016-07-28 김종기 무독성 해수의 제조장치
KR102577292B1 (ko) * 2022-10-07 2023-09-08 유성운 구조 개선형 해수 증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316B1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CN106542683A (zh) 一种利用磁场和电场制备小水分子团水的工艺
CN101848866B (zh) 产生阴离子的净水装置及处理方法
EP1359126B1 (en) Free 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apparatus and free-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method
KR101012316B1 (ko)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0791223B1 (ko) 수도직결식 정수기
CN203976546U (zh) 超纯水废水处理装置
JPH0651190B2 (ja) 水の浄化法
KR101862325B1 (ko) 농축산 지하수 및 해수 정화 처리용 친환경 정수장치
CN102923881B (zh) 用于海水游泳池的海水循环过滤、消毒系统及其方法
CN101857333B (zh) 六化养生活性水
CN100590079C (zh) 无菌血液透析用水处理设备
JP3215349U (ja) フリーラジカル(活性酸素)の中和及び抗酸化作用により、ガンの症状、糖尿病、高コレステロール症状、高血圧、腎臓病を改善する水素分子養身活性化水装置
CN2905768Y (zh) 脉冲放电六化水设备
JPH06206066A (ja) 浄水剤およびこれを用いる水処理具
DE3840364A1 (de) Geraet zur wasseraufbereitung im gesundheitswesen in gesundheit + umweltschutz - zur verbesserung der lebensqualitaet zum anschluss an uebliche druckwasserleitungen mit wasser aus leitungen, quellwasser oder feststoffreien abwaessern oder bei trennung von feststoffen in der lebensmittel-produktion oder dergleichen und ein verfahren im gesundheitswesen beinhaltet
CN100549237C (zh) 脉冲放电六化水设备
KR102659824B1 (ko)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CN107840523A (zh) 一种便携式饮用水净化过滤装置
Pedersen et al. Synergistic removal of dye and pesticides us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particulate electrodes in 3D electrochemistry
RU2701002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с применением озона
KR101926753B1 (ko) 용존산소 함량을 높이는 농축산용 기능수기
JP3215474U (ja) 癌、糖尿病、高血圧、高コレステロール、高トリグリセリド血症、パーキンソン病、アルツハイマーを治療するマイナス水素水の製造設備
KR19990024073A (ko) 에너지원을 이용한 물의 정화처리 및 진수화 방법 및 그 장치
CN204752432U (zh) 一种自动化弱碱π化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