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811A - 병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811A
KR20090081811A KR1020080007889A KR20080007889A KR20090081811A KR 20090081811 A KR20090081811 A KR 20090081811A KR 1020080007889 A KR1020080007889 A KR 1020080007889A KR 20080007889 A KR20080007889 A KR 20080007889A KR 20090081811 A KR20090081811 A KR 2009008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ight
bottle
center lin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806B1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2008000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8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은,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고 내용물이 주출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 본체, 수용공간, 주출구, 뚜껑, 곡면부, 제 1 중량부, 제 2 중량부, 안전지지돌기

Description

병{BOTTLE}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술이나 음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은 술이나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로서, 주로 유리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병은 비교적 길쭉한 몸체에 주출구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주출구에 개폐를 위한 마개가 결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종래의 병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지는 바, 안정성을 위해 그 바닥면은 대부분 편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주출구를 통해 외부로 주출되더라도 병은 최초에 놓여진 형상은 그대로 유지될 수 밖에 없다.
보통 술이나 음료를 마시면서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는 자리에서는 다양한 놀이나 재미를 선호하게 되는데, 종래의 병의 경우에는 이를 이용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찾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병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에 의하면,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구면부와, 본체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1 중량체와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중량체의 조합에 의해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본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체가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내용물(3)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뚜껑(13)이 결합되는 주출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주출구(11)를 통해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5)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20)와, 본체(10)의 상부 중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측에는 뚜껑(13)이 결합되는 주출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주출구(11)를 통해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도록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주출구(11)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3)을 컵 등과 같은 용기 내로 주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로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뚜껑(13)은 주출구(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주출구(11)에 나사결합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주출구(11)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15)은 주출구(11)를 통해 충전되는 내용물(3)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내 용물(3)의 주출에 따라 본체(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5)이 비대칭적으로, 다시 말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타측의 수용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수용공간(15)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야 내용물(3)의 주출시 양측에서 경감되는 내용물(3)의 체적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체적 차이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경감되는 중량의 차이를 야기시켜 본체(10)가 일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도면 상에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5)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수용공간(15)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여러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바닥면에는 곡면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곡면부(20)는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발생되는 양측 체적감소의 차이로 인해 본체(10)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은 수용체적을 가지는 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제 1 중량체(30)가 형성되는데, 이 제 1 중량체(30)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경우에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의 차이에 따른 측의 중량을 증가시켜 본체(10)로 하여금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3)의 주출에 의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이 감소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본체(10)가 본체(10)의 중심선을 기 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량은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전체 중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중량체(30)는 본체(10)의 제조시 금속재를 본체(10) 상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가 유리로 제조될 경우 제 1 중량체(30)는 해당부분을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중량체(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제 2 중량체(40)는 본체(10)의 하부 중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로 하여금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중량을 증가시켜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중량체(3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의 제조시 금속재를 본체(10) 상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가 유리로 제조될 경우 해당부분을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중량체(40)는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양측에 감소되는 중량의 차이로 인해 본체(10)가 직립상 태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또한 전술한 곡면부(20)에 형성되는 안전지지돌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안전지지돌기(50)는 곡면부(20)의 일지점 외에 또 다른 지지점을 형성함에 따라 본체(10)의 회동시 본체(10)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제조시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바닥면인 곡면부(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중량체(3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작동을 설명한다: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의 수용체적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3)이 수용공간(15) 내에 충전될 경우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 1 중량체(30)가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의 중량차를 제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는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용물(3)을 음용을 위해 주출하게 되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음료가 주출되고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음료가 주출됨에 따라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 다시 말해서 제 1 중량체(30)가 설치된 측의 중량이 더 커짐에 따라,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 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이 또 주출되면 전술한 작동을 반복하면서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점점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한 본체(10)의 회동(기울어짐)은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곡면부(20)로 인해 가능해지며, 다량의 내용물(3)이 주출됨에 따라 본체(10)가 과도하게 회동될 경우에는 안전지지돌기(5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본체(1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중량체(30) 및 제 2 중량체(4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작동을 설명한다: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의 수용체적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3)이 수용공간(15) 내에 충전될 경우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 1 중량체(30)에 의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량차가 제거되기는 하지만, 제 2 중량체(40)로 인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중량이 부가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는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용물(3)을 음용을 위해 주출하게 되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음료가 주출되고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음료가 주출됨에 따라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의 중량감소가 더 커짐에 따라,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회동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이 또 주출되면 전술한 작동을 반복하면서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점점 회동되어 직립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에 따른 병
3 : 내용물
10 : 본체
11 : 주출구
13 : 뚜껑
15 : 수용공간
20 : 곡면부
30 : 제 1 중량체
40 : 제 2 중량체
50 : 안전지지돌기

Claims (5)

  1.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KR1020080007889A 2008-01-25 2008-01-25 KR10091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ko) 2008-01-25 2008-01-2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ko) 2008-01-25 200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11A true KR20090081811A (ko) 2009-07-29
KR100916806B1 KR100916806B1 (ko) 2009-09-14

Family

ID=4129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ko) 2008-01-25 2008-01-25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8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6457U (ko) 1974-02-08 1975-09-01
KR950009630Y1 (ko) * 1993-02-02 1995-11-09 이영희 오똑이 우유병
KR19980024790U (ko) * 1998-03-28 1998-07-25 양현중 오뚝이 분유병
JP3002828B1 (ja) 1998-07-10 2000-01-24 株式会社関西ポリマー研究所 瞬間接着剤用容器及び瞬間接着剤用容器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806B1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284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напитка (варианты)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ES2641523T3 (es) Tapón de botella
CN102906005A (zh) 用于装有碳酸饮料的瓶子的按钮式分配器
US20070029325A1 (en) Covered containers and related dispensing systems
JP5118478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0916806B1 (ko)
US11370580B2 (en)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US20040256401A1 (en)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JP3955420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KR200461749Y1 (ko)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KR101136131B1 (ko) 영역 분할형 페트병
AU2017200845B2 (en)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KR200401492Y1 (ko) 내용물 잔량 확인이 용이한 용기
RU69496U1 (ru) Бутылка с двояковогнутым дном
KR20240028860A (ko) 막걸리 용기
RU24674U1 (ru) Бутылка
KR20170000498U (ko) 절약용 병
JP2006096358A (ja) 容器用ベース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