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49Y1 -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49Y1
KR200461749Y1 KR2020120000755U KR20120000755U KR200461749Y1 KR 200461749 Y1 KR200461749 Y1 KR 200461749Y1 KR 2020120000755 U KR2020120000755 U KR 2020120000755U KR 20120000755 U KR20120000755 U KR 20120000755U KR 200461749 Y1 KR200461749 Y1 KR 200461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lid
air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김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2020120000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45Internal membrane, floating cover or the like isolating the contents from the ambient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패 진행속도 감소를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상부에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된 부유체를 띄워서 액체와 공기의 접촉을 적게 함으로서 용기에 보관된 액체물질의 산패 및 기타 공기노출로 인한 변질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vessel for decreasing expose to the air}
본 고안은 용기 내에 보관된 액체 물질의 공기노출로 인한 산패 및 기타 변질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유 등 각종 액체저장용기에 있어서,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된 부유체를 액체의 상부에 띄워서 공기의 접촉을 저감시키게 한 것이다.
식용유 등을 장기보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과도히 열을 가하여 볶은 후에 기름을 추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인체에 유익하지 않거나, 또는 자연상태로가 아닌 것에 대한 거부감이 상존하고 있다.
첨가되는 항산화제는 미량으로 유지의 산화속도를 억제하여 주는 물질을 말하며, 유리 라디칼에 용이하게 수소원자를 주어 연쇄반응을 중절시켜 항산화작용을 한다. 주로 페놀계 화합물인 항산화제는 과산화물의 생성속도는 억제하나 분해속도에는 무관하여 이미 산화가 진행된 유지에는 별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따라서, 첨가제를 넣지 않거나, 최소량만 넣거나, 기타 산패 진행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최근 웰빙 소비자의 욕구를 더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태에 있다.
용기의 형상과 관련한 산패저감 기술은 용기의 윗부분을 좁게 형성하고 있고, 또한 에어리스 포장기술이 상존하나, 생산단가와 주방에서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식용유 등의 포장을 위하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통상 불포화도가 심한 기름일수록 인체에는 좋은 기름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기름일수록 산패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며, 이러한 좋은 기름일수록 더욱 첨가제 없이 산패를 저감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한 상태에 있다.
한편 생들기름을 대상으로 한 시험평가 결과에서도 부유체의 산패방지 효과가 입증되었는데, 1시료는 비이거에 들기름을 2/3채우고 부유체로 98~99%가량 차단 후 덮개로 비이커 상부를 막았고, 2시료는 부유체로 95%를 차단하였으며, 3시료는 부유체로 50%를 차단하였다. 50℃에서 21일간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부유체로 50%와 95%를 차단한 생들기름은 7일 경과 후부터 거의 대등하게 과산화물가수치가 상승(21일 후 80mg/kg 내외 수준)하였으며, 98~99% 차단된 들기름은 과산화물가 수치가 상대적으로 상승되지 않았다.(21일 후 15mg/kg) 그리고 시판 대두유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도 과산화물가 증가율이 절반 이하로 확인되었다.
시험을 실시해본 결과에 의하며, 지금까지는 식용유 등의 용기를 위쪽이 좁게 함으로서 용기 내부의 공기량을 적게 하는 것으로 공기접촉의 양을 줄이고자 하였으나, 이보다는 용기내부 공기에 접촉되는 액체의 표면적을 줄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험결과가 증명 해 주고 있다.
또한 액체상부에서 일부면적을 공기와 차단시키면 차단된 면적에 비례한 것 쯤 만큼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즉 용기제작의 비용과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부유체의 크기를 대략 결정하여 운용한다면 부유체를 운용하는 의미가 대단히 크게 감소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액체 상부에 부유체를 띄우는 것에 대한 인식은, 공기와의 접촉면을 최대한 감소시켜도 노출된 좁은 면적의 그곳을 통하여 액체의 산화에 필요한 산소를 흡수 소모하기 때문에 좁은 면적이라도 공기와 노출이 된다면 산패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것인데, 시험결과는 이러한 지금까지의 이론이나 상식과 상치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 내부의 공기량이 적다는 점과, 용기 몸체의 산소투과성 등을 고려하여 부유체를 운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더더욱 느끼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며, 큰 부유체를 용기의 작은 입구에 사용하기 위한 기술 등도 역시 필요성이 없다고 느끼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용기 내부에 부유체를 운용한다는 기술이 오래전에 제기되어 단순한 아이디어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생각과 달리 매우 의미가 적은 것으로서, 잘못된 이론이나 상식으로 인하여 기존의 몇 가지 기술은 당연히 본원에서 제기하는 공기접촉의 가능성을 저감시키고 용기제작과 사용의 편의성과 제작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원은 용기내부에서 액체가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측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볼록판상부유체용기의 상하부가 대등한 크기로 된 용기의 입구로 넣는 등의 구성적 측면에서 선행기술특허문헌들과 차별된다.
특히 측면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유체는 약간의 비중차이에도 공기접촉의 면적이 급격히 증대되는 제한사항이 있고, 또한 평평한 형상의 부유체는 상부면에 액체가 묻어 산패가 더욱 신속히 진행 될 개연성이 많아질 수 있는 결점이 있고, 또한 큰 부유체를 집어넣은 후에 용기를 결합해야 하는 점 등으로 인하여 제작공정이 복잡해지고 용기의 가격이 과도히 상승되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용화되기에는 제한된 기술로서, 이와 같이 공기와 액체의 접촉을 차단코자 하는 단순한 발상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결과 분석을 근거로 한 본원의 새로운 기술사상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2006-219148(공개일2006.08.24)는 상하로 양분된 용기몸체를 나사식으로 결합케 하여 부유체를 넣게 한 것이며, 부유체의 측면부도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평 11-130110 측면부가 형성되었으나 상하부가 평평한 부유체를 좁은 용기의 입구로 넣도록 한 것이다. 일본공개실용신안 1994-018257호(공개일 1994.03.08)는 캔 및 병의 내부에 부유체를 띄워서 뚜껑을 개봉한 상태에서도 탄산음료와 맥주의 김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이건의 문단식별번호 [0006]에서는 극히 얇은 평평한 형상의 부유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개진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3-012043호(공개일 2003.01.15)는 캔 내부에 평평한 부유체를 띄워서 뚜껑을 개봉한 상태에서도 탄산가스가 덜 빠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측면부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볼록한 판상의 부유체를 용기의 입구로 넣어서 장기적 반복활용도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함.
용기몸체 상단부의 뚜껑결합부에 뚜껑이 구비되거나 또는 따르개결합부에 따르개가 구비된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몸체에 넣어진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상하면의 중앙부 또는 상부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 보다 두껍게 되고, 또한 상기 부유체는 측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은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과 소정의 세로길이 이상 대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노출 감소용기이다.
또한 상기 내용의 용기몸체가 아래와 같이 대체된 것으로서, 상기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최대 수평길이가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보다 작지 않게 되고, 상기 용기몸체의 수평단면 형상은 소정의 세로길이 이상 대등하게 형성 된 것이다.
이는 도2와 도3을 대표적으로 상정한 것이다.
그리고 용기몸체 상단부의 뚜껑결합부에 뚜껑이 구비되거나 또는 따르개결합부에 따르개가 구비된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몸체에 넣어진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상하면의 중앙부 또는 상부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 보다 두껍게 되고, 또한 상기 부유체는 측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 보다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 수평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내부에 2개 이상의 부유체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는 2개 이상의 부유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에 용기형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판 형상으로서 접혀지지 않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 따르개결합부 및 따르개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에 따르개결합부 및 따르개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는 측면경사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이나 따르개의 아래쪽 형상 또는 용기 상부에 테이퍼 진 곳의 내부면 중 하나 이상은 부유체의 윗면과 맞닿아 밀착케 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부유체가 구형으로 대체된 것이다.
그리고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입구에 넣어지는 용기입구부유체와,
상기 용기입구부유체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에 구비된 세로방향의 공기유통홈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통홈은 하부가 상부보다 넓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통홈에 의하여 용기입구부유체와 액체의 상부표면 사이에 공기층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노출 감소용기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노출 감소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용기몸체가 원형 형상으로 된 측면도이다.
도면은 원기둥형 용기몸체(100)내의 액체저장부(101) 상부에 판 형상의 부유체(200)가 띄워지도록 뚜껑결합부 안쪽의 용기 입구로 집어넣고, 용기몸체 외부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뚜껑결합부에 뚜껑(102)을 돌려서 닫히도록 하고, 뚜껑의 윗쪽 일측에 형성된 따르개결합부에 통상의 기술과 같이 액체를 덜어내기 위한 따르개(103)와 따르개의 일부인 따르개덮개(104)를 형성시킨 것이다.
도면의 부유체(200)는 액체를 흘러내리도록 하기위한 경사부(201)와 측면경사부(202) 및 측면부(203)로 구성된 것이다.
도1에서 액체의 충만 상태는 도식하지 않았으나, 액체의 상부표면 위치는 부유체 측면부의 아래쪽에 형성토록 부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도 측면부의 약간 윗쪽으로 액체의 표면이 모세관현상과 표면장력에 의하여 올라올 수 있는데, 액체의 표면이 약간 더 올라올 경우에는 측면부의 위쪽까지 올라올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측면경사부 까지 올라온 것처럼 볼록하게 될 수도 있고 부력의 방향이 기울어져서 어느 한쪽의 측면경사부나 경사부가 액체에 잠기는 등의 상황이 될 수 있지만 이것은 본원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와 유사한 형상들은 액체의 상부표면이 부유체의 측면부의 어느 위치 쯤이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만일 측면부가 아닌 곳에 액체의 상부표면이 위치하게 되면 공기의 접촉이 증가되는 것으로서 가급적 공기와의 접촉이 최소화가 되도록 부력을 정밀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도1은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은 뚜껑결합부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되고 상하가 일직선으로 된 원통형 형상이며, 용기몸체의 외부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뚜껑결합부가 형성되고 여기에 뚜껑이 결합되도록 하여 부유체가 용기 내부의 최대크기로 제작되어 넣어지는 것이 가능토록 된 것이다.
또한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과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소정의 세로길이 이상이라는 의미는 용기몸체의 부유체의 크기가 용기몸체의 내부에 잘 맞도록 유격이 형성되어야 공기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용기몸체의 위쪽으로부터 절반쯤 높이까지만 대등한 크기로 형성하고 아래를 넓게 형성한다면 절반까지는 공기접촉이 최소화 될 수 있으나 그 아래쪽은 공기접촉의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며, 이와 같이 아래쪽 부분을 일부 넓혀서 용기의 용량을 많게 하거나 잘 세워지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와 유사한 다소간의 형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용기의 전체 길이가 대등한 크기로 되지 않더라도 일부의 세로길이가 대등한 크기라면 본원의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이는 본원의 모든 공기접촉 감소용기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2]는 용기몸체가 사각 형상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면은 사각의 용기몸체(100-1) 상단에 원형의 뚜껑결합부가 구비된 것으로서,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수평직경과 용기몸체 내부의 마주보는 변까지의 최소 수평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원형의 뚜껑(102-1)보다 큰 사각판 형상의 부유체(200-1)를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가능케 되어 부유체가 용기몸체의 안에서 최대 가로면적을 차지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완만한 곡면으로 측면경사부가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만일 측면부가 길게 형성되는 등의 형상이라면 용기의 입구로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제한 될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용기의 입구보다 면적이 넓은 부유체를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용기몸체와 소정의 유격을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정도로 측면부의 길이와 부유체의 형상을 결정해야 하며, 이는 다른 형상의 용기에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사각 형상의 용기몸체는 도면에서처럼 상하로 반듯한 형상이 아니고 사각의 형상이 비틀려 꼬여진 형상이라도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에도 용기몸체의 상하부 중 어느 위치에서도 내부 가로단면은 대등한 형상으로서 사각의 부유체는 액체가 감소됨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내려가게 될 것이며, 만일 용기몸체가 타원형상이라면 타원 중 최소내경과 뚜껑결합부의 내경이 대등하게 하여 타원의 부유체를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가능하고, 직사각형이나 다각형일 경우에도 동일하며, 이와같이 다양한 형상에서 큰 부유체를 작은 용기입구로 넣어서 용기몸체 내부로부터 소정의 유격을 유지토록 하는 부유체의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가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 수평직경과 대등하다는 것은 용기입구로 넣어진 부유체의 최대 가로단면 크기는 용기몸체의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토록 된 최대의 크기로서, 용기몸체로부터 유격을 가지게 되는 점과, 본원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뚜껑 및 용기몸체의 굴곡 등 디자인을 고려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고, 도1로 예를 들면 용기뚜껑이 그릇몸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공기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나 돌출되지 않도록 할 때에도 대등하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다각형의 용기몸체에 원형의 입구를 가진 용기에서 측면부가 용기의 입구와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용이할 수도 있으나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면 집어넣는 것이 용이치 않을 수 있는데 용기몸체 내부에서 소정의 유격을 가지므로 즉, 부유체가 작으므로 길지 않은 직선형상은 집어넣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부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집어넣기 위하여 용기입구를 약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같이 약간 넓어진 형상과 또한 사출물을 뽑아내기 위한 빼기구베를 준 형상 정도는 대등하다고 표현하며, 이는 다른 공기접촉 감소용기에서도 동일하다.
만일 측면부가 길게 형성되는 등의 형상이라면 용기의 입구로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제한 될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용기의 입구보다 면적이 넓은 부유체를 세워서 집어넣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용기몸체와 소정의 유격을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정도로 측면부의 길이와 부유체의 형상을 결정해야 하며, 이는 다른 형상의 용기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2에서 부유체를 2개 이상 넣을 수 있는데, 이때 2개를 넣는 바람직한 형상은 정사각형 부유체 2개를 넣고 용기몸체의 한쪽을 2배쯤으로 늘려서 직육면체로 하는 것이지만, 직사각형 부유체를 2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뚜껑은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체가 다양한 움직임을 하는 상황에서도 상하로 중첩되게 엉켜서 액체의 표면을 차단하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모서리의 라운딩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라운딩을 만일 고려한다면 부유체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약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용기의 중앙부를 라운딩 된 부분만큼 함몰시킬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이 함몰된 부분을 깊게 형성하여 평면도가 8자와 유사하게 형성된 상태에서는 크기와 형상이 다른 2개의 부유체를 용기입구로 넣어서 최대한의 공기접촉을 차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만 2개 이상의 부유체를 넣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입구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기의 형상을 결정하는 융통성이 증가하나, 액체가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많아지고, 모세관 현상과 표면장력에 의하여 공기의 접촉가능성이 더욱 많아지게 되는 점을 고려할 때 너무 많은 수량의 부유체를 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을 소정길이 이상 대등하게 형성하고 이곳에 최소의 유격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과 수량의 부유체를 정하여 넣음으로서 액체가 공기에 접촉하는 면적을 더욱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것들은 본원 출원의 부유체를 여러 개 넣는 다른 공기접촉 감소용기에서도 동일하다.
[도3]은 용기몸체가 타원 형상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면은 타원형상 용기몸체의 위쪽에 원형의 따르개(103-3)가 결합된 상태에서, 타원형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가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수평직경과 동일하다면 타원형의 부유체를 집어넣어서 용기몸체와 부유체가 최소의 유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케 된 것이다.
만일 사각형상의 따르개를 끼워서 결합시켰을 때에는,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마주보는 변까지의 최대길이가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 보다 작지 않다면 역시 부유체를 넣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본원에서는 뚜껑, 따르개, 용기몸체의 형상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에 공히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최대 수평길이가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보다 작지 않게 되었다고 표현하며, 이와 유사한 형상들에서도 동일하나, 다만 뚜껑결합부나 따르개 결합부의 내경은 용기몸체와 부유체가 최소의 유격을 형성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자명하다.
[도4]는 좁은 용기입구에 용기입구부유체(200-2)가 넣어진 것이다.
액체(300)가 채워진 용기의 뚜껑결합부 근처부분이 따르개(103-2)의 기능을 하게 된 형상으로서, 용기입구부유체(200-2)가 넣어지고, 용기입구부유체는 윗면이 넓어진 형상의 손잡이(205)에 의하여 걸쳐지고,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좁고 긴 공기유통홈(206)이 형성되어서 용기입구부유체가 넣어질 때 용기 내부의 공기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잘 집어넣어질 수 있으며, 공기층(301)이 형성된 도면이다.
[도5]는 용기입구부유체(200-2)이다.
용기입구부유체의 윗면에 손잡이(205)가 형성되고, 측면부(203-1)에 세로방향으로 공기유통홈(206)이 파여진 형상이며, 공기유통홈이 손잡이와 닿는 부분은 완곡면으로 파여진 것이다.
용기입구부유체를 끼워 넣음으로서, 내부의 공기압을 제거하면서 용기의 입구로부터 액체의 상부표면쯤까지의 공기층을 제거토록 한 것이다.
부유체가 있는 액체보관용기를 사용 중에는 부유체 윗면에 액체가 묻을 수 밖에 없으나, 부유체의 중앙부를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돌출시킴으로서 부유체의 윗면에 식용유 등이 묻더라도 잘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부유체의 윗면에서 장기간 공기에 노출되어 상대적으로 산패가 많이 진행된 액체가 다른 액체와 섞여서 산패진행이 빨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측면부를 형성 함으로서 비중이 약간 차이가 있거나 또한 부유체의 무게가 사방이 균일하도록 정교하게 제작되지 못하였을 때에도 부유체가 액체에 잠기는 높이를 측면부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액체가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의 입구가 작은 경우에도 부유체를 용이하게 집어넣는 것을 가능케 하여 용기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비용이 절감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부가 볼록한 단일체로 된 판 형상으로 부유체를 집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첫째, 큰 부유체를 용기의 입구로 편리하게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둘째, 부유체의 제작공정이 단순화되고,
셋째, 측면부 높이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넷째, 이로서 부유체를 구부려서 좁은 용기의 입구에 집어넣어야 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다섯째, 정밀하고 균일한 부유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섯째, 최대한의 공기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곱째, 또한 액체를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부유체에 측면경사부를 형성함으로서 부유체가 액체의 공기접촉을 최대로 감소시키면서도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하고, 그리고 액체가 부유체 윗면의 가장자리 끝부분에서 표면장력에 의하여 맺히는 현상을 줄이고 잘 흘러내리도록 하며, 또한 측면부의 높이를 길지 않게 하면서도 공기접촉을 최대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부유체를 용기에 쉽게 집어넣거나 빼낼수도 있고, 공기접촉의 면적을 최소화토록 하고, 장기보관하면서 반복활용도 가능하며, 항산화제와 상승제 등을 첨가하지 않거나 첨가량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노출 감소용기는 장기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액체의 공기접촉 방지와 산패방지 등의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본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공기접촉을 최대한 잘 차단해야만 산패방지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점과 이와 동시에 편의성을 구비함으로서 통상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공기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의 용기로서 사용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용기입구부유체는 용기 입구로부터 액체표면까지의 공기층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유통홈의 손잡이와 닿는 부분이 도면에서와 같이 완곡면으로 파여지면 공기유통홈에 액체가 차여지고 혹시 손잡이 아래쪽에서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액체가 공기에 노출되는 양이 최소화 될 수 있고, 또한 손잡이가 용기입구에 닿도록 될 때 잔여 내부공기압력을 서서히 완전히 배출하고, 들어 올려서 제거할 때에도 급격히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용기몸체가 원형 형상으로 된 측면도이다.
[도2]는 용기몸체가 사각 형상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3]은 용기몸체가 타원 형상으로 된 사시도이다.
[도4]는 좁은 용기입구에 용기입구부유체가 넣어진 것이다.
[도5]는 용기입구부유체이다.
용기와 부유체의 재질은 유리, 합성수지, 도자기, 세라믹, 금속 등 통상의 물병이나 식용유 용기 재질 등으로 할 수 있고 부유체는 이 외에도 코르크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투명, 반투명, 불투명하게 할 수 있고, 동일한 재질로 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유리 용기는 산소투과도와 건강을 고려한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재질로 될 수 있다.
액체 내부에 일부의 고체를 포함하더라도 순수 액체와 동일하게 부유체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액체저장을 위한 용기라고 통칭하고, 본원 실용신안의 부유체를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뚜껑은 용기몸체의 외부 상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통상의 밀폐용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걸림고리를 오므리고 젖혔을 때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걸림고리를 형성하고 뚜껑에 걸림턱을 형성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바와 같이 눌러 끼웠을 때 원터치로 잠겨질 수 있는 돌출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접착물질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걸림턱과 걸림고리를 병행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등에는 두껑결합부와 따르개결합부가 원형 형상이 아닌 사각이나 타원 등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유사한 통상의 다양한 뚜껑결합수단을 적용할 수 있고, 따르개를 뚜껑이나 용기몸체에 형성하는 것도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큰 용기입구에 뚜껑을 운용할 때 그 위쪽면부에 따르개를 구비하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될 수 있는데 위쪽면부의 바깥쪽으로 따르개를 위치토록 하는 것이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뚜껑을 크게 형성하고 뚜껑의 측면에 따르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쪽 위치에 따르개결합부와 따르개를 구비케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뚜껑이 결합되는데 지장이 적은 아래쪽과 많은 액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토록 최대한의 윗쪽 높이쯤이 되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용기의 뚜껑을 따르개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용기몸체의 상단부가 따르개결합부가 될 수 있고, 또는 뚜껑의 위쪽에 나사식 등의 따르개결합부를 형성하거나 뚜껑을 함몰천공시켜서 따르개결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이나 뚜껑의 측면 일측에 형성할 수도 있고, 돌려서 열거나 또는 젖혀서 열 수 있고, 따르개 외부의 따르개뚜껑을 대체하여 뚜껑을 형성하여도 이것은 따르개 뚜껑으로서 본원의 기술사상에 포함되며, 기타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르개는 액체를 따를 때 최종의 잔여액체가 용기몸체의 외부로 흘러내림을 저감토록 하거나, 정량을 따르도록 하는 등의 목적으로 통상의 용기에서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을 준용한다.
뚜껑에 따르개를 결합하여 운용할 수도 있지만, 둘 중의 하나만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체를 운용하는 용기는 식용유 뿐만 아니라 음료수와 간장, 주류, 그리고 산업용 액체류의 공기접촉 감소와 산패감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유체의 크기는 용기몸체의 안쪽에 용기몸체와 소정 간격의 유격을 두고 형성되어 액체가 적어지면 아래쪽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격은 상황에 따라 약간 커질 수도 있으나 본원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할 때 1mm내외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운동 뿐 아니라 필요시에는 뒤집어 질 수도 있고, 그러면서도 원활하게 따라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운용토록 하면서 액체가 공기에 접촉하는 면적이 최대한 줄이도록 용기의 내부 크기와 형태에 맞게 부유체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액체를 따르기 위하여 용기를 기울일 때 액체의 상부면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유동이 가능한 크기로 될 수 있고, 유격이 매우 작고 측면부가 길게 형성되면 부유체가 뒤집어지지 않아서 액체를 따를 때 액체표면 위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없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때에는 부유체 중앙부의 위쪽면 만을 볼록하게 할 수도 있다.
용기몸체가 PET 등 유연한 재질이라면 용기의 비틀림과 최초의 형상이 사용 중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부유체가 용기몸체와 정교하게 유격을 유지하는 것이 제한 될 수 있으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용기형상지지대를 용기 내외부에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내부에 세로방향의 용기형상지지대를 형성하고 부유체도 이와 맞도록 홈이나 돌출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만밀 형성한다면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를 기울였을 때 부유체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수평을 유지코자 한다면 유격이 불규칙하게 된다. 바람직한 형상은 용기몸체의 외부에 세로방향의 세로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이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로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이나 기타 문양 등으로 지지대를 추가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2에서와 같은 형상이라면 용기의 좌우가 비대칭되도록 하여 한쪽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등으로 용기몸체의 비틀림이 감소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한 다양한 방법으로 용기형상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PET등의 재질로 얇게 된 용기는 산소투과성이 있는 점과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제한되는 점을 고려하여 용기의 외부를 한번 더 감싸는 것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로 가능하다.
본원 실용신안에서 중앙부가 볼록하다는 것은 가장자리보다 안쪽이라는 뜻으로서, 정확히 중앙부가 볼록하지 않아도 부유체의 상부에서 액체가 흘러내리게 하는 것은 가능하며, 따라서 액체에 띄워진 윗부분이 직각삼각형 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으나, 부유체의 유격에 의하여 중심부쪽으로 기울여 질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모든 부유체는 중앙부가 볼록하다고 표현될 수 있다.
부유체의 측면경사부(202)는 부유체가 액체의 공기접촉을 최대로 감소시키면서도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측면부의 높이를 길지 않게 하면서도 공기접촉을 최대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측면경사부(202)의 형성이 필요하고, 또한 측면경사부가 없이 측면부와 경사부가 붙어서 각진 형상이라면 윗면의 액체가 원활하게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맺혀진 상태로 부유체의 윗면에 남아있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측면경사부는 필요하다. 부력이 미치는 방향이 정확치 않고 약간 기울여 져도 공기노출의 가능성은 최대한 저감시키면서 내부 유동이 용이토록 할 뿐만 아니라 측면부의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측면부와 경사부를 잇는 부분에 약간의 라운딩 처리만 된다면 족할 수도 있고 또한 제작의 정밀성이 결여되어 완곡한 형상으로 된 것도 측면경사부에 속하며, 액체의 작은 방울 형상이 표면장력으로 부유체의 가장자리에서 맺혀지지 않고 흘러내릴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가장자리에 맺힌 액체방울이 용기몸체 내부면에 쉽게 닿아서 흘러내릴게 될 수 있게 된 것이라면 측면경사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액체의 종류와 부유체의 재질과 경사부의 각도 등에 따라서 측면경사부의 경사곡면 각은 달라질 수 있다.
부유체의 측면부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측면부와 측면경사부 및 경사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함으로서 서로 구분되지 않게 될 수도 있고, 좌우가 최대의 길이가 되는 구형과 유사한 경우에도 용기몸체와 가까운 급경사부는 측면부, 이와 가까운 경사가 덜 한 부분은 측면경사부, 윗면쪽은 경사부로 본원 건에서 인식될 수 있고, 공 모양의 구형인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구형인 경우에도 부유체의 위치별 무게중심과 비중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부유체는 용기몸체 내부에서 수평상태로 상하 유동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고 필요시 구형의 무게중심을 인위적으로 쏠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유체는 필요시 방사상의 홈을 형성하거나 부유체의 가장자리 일부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부유체 측면부의 일부가 용기내부의 가로면적보다 작게 운용하거나 통공을 형성하여 분무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운용하면 상황에 따라서 공기접촉의 면적이 약간 넓어지지만 더 다양한 방법으로 잘 따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를 1개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2개 이상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서 큰 용기에 집어넣는 것이 더욱 용이해 진다. 2개 이상을 삽입하는 많은 형상이 가능한데, 사각형상의 용기몸체와 관련하여서는 도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유체가 직사각형 용기의 긴변이나 짧은변의 절반이 되는 길이로 부유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부유체가 겹쳐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액체의 공기접촉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부유체를 집어넣는 것도 용이토록 될 수 있으나, 공기접촉을 조금 더 줄이고 엉킴을 효과적으로 방지코자 한다면 긴 변이 서로 맞대어지는 부유체의 형상보다는 짧은 변이 서로 맞대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각형상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형상에서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나 다만 공기의 접촉이 증가되는 점을 고려하여 최소의 수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유체는 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2개 또는 수개로 분할되어 접혀지고 내부에서 펴지도록 하여 작은 용기의 입구에 집어넣는 것이 용이토록 할 수도 있다. 도1에서 원형의 부유체가 세로방향으로 절반 쯤 절단된 형상으로 함으로서 집어넣기가 용이케 된 형상인 경우에도 집어넣어진 형상은 동일한 것으로서 본원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부유체는 연성재질로 형성하여 쭈그려서 좁은 용기입구에도 삽입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용기 제작 단계에서 부유체를 삽입 한 후에 용기의 제작을 마무리 할 수도 있다.
부유체의 형체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철사나 형상기억합금 등의 재질로 측면부를 형성하고, 부유체의 상부면이나 하부면이나 또는 양면에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서 유동적으로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액체용기에 고체물질이 떠 있는 상황 등에서도 부유체의 유동면이 액체와 고체를 같이 덮어서 공기와의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유체 내부에 액체나 기체를 소정량 주입할 수 있다.
단일체로 된 판 형상의 부유체로 구성함으로서 큰 부유체를 용기의 입구로 편리하게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접촉의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토록 하였는데, 부유체를 상하나 좌우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합체되어 운용되는 것도 단일체임은 자명하다.
부유체의 윗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부유체의 윗면에 용기내의 액체물질이 묻은 상태로 저장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그 액체 부분이 더욱 신속히 변질된 상태로 다른 액체와 혼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되도록 볼록형으로 형성하여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부유체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가도록 형성하면 윗면은 가급적 윗면으로 가도록 함으로서 액체의 공기 노출을 더욱 적게 하거나 요망하는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부유체 윗면과 아랫면의 경사각을 상이하게 하거나, 아래쪽에는 무게추와 같은 역할 만 하도록 형성하거나, 기타 형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유체는 양쪽의 중앙부가 볼록한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 타원형, 별 형상, 마름모꼴, 또는 구형체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형상이 상이한 용기인 경우에도 부유체를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내부를 타원형이나 사각형이나 한 곳이 함몰되는 등과 같은 형상은 용기의 일정높이에서는 부유체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의 상부쪽에 테이퍼 진 곳의 내부면 또는 뚜껑이나 따르개의 아래쪽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부유체의 상부면과 대응케 하여 서로 맞닿아 최대한 밀착되면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최소화 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용기의 입구가 작아지게 테이퍼 진 곳에 윗면이 볼록한 부유체가 맞닿게 할 수 있으며, 용기를 세웠을 때 이곳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테이퍼 진 것이라고 볼 수 있고, 부유체와 테이퍼 진 곳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서로 맞닿아 공기층이 저감됨으로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용기입구부유체는 넣어진 액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용기입구 또는 뚜껑이나 따르개 까지의 공간 형상을 고려하여 용기입구부유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은 통상의 용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에는 용기입구부유체의 횡단면 형상은 넣어진 액체의 상부 또는 부유체가 띄워져 있을 경우에는 부유체의 상부로부터 뚜껑 또는 따르개의 상부까지 중 최소넓이 부분의 형상으로 되어야 용기입구부유체를 집어넣거나 위쪽 즉 용기의 입구로 부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만일 뚜껑결합부의 아래쪽이 점점 넓어지는 용기의 형상이라면 부유체의 가로단면적은 용기의 가장 위쪽과 대등이하가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이라면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쪽의 둘레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체를 더 높은 위치까지 충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하 양쪽면 중 어느 한면 이상을 볼록하게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다만 공기층이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 시키는 데에는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용기입구부유체는 용기의 상하 즉 세로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토록 하거나, 일부 구간에서만 유동이 가능토록 하거나, 필요시 유격을 작게 하여 원활히 유동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용기입구부유체를 집어낸 후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입구부유체 제거를 위한 끈이나 돌출부, 면적확대부 등의 손잡이를 용기입구부유체의 어느 한곳에 구비케 하여 용기의 위쪽에서 제거를 용이케 할 수 있는데, 윗면이 확대된 형상의 손잡이는 용기의 입구에 용기입구부유체를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도록 걸쳐지게 할 수 있다.
뚜껑이나 따르개를 열고 용기입구부유체를 제거 후에 사용 할 수도 있지만 그 자체가 두껑이나 따르개가 될 수 있고, 호일 등으로 간단히 용기입구부유체의 외부를 포장하여 뚜껑의 기능을 하게 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에 세로방향으로 공기유통홈을 형성하면 길게 형성된 용기입구부유체를 용기에 집어넣는 것이 용이해 진다. 공기유통홈을 도5에서와 같이 좁고 길게 형성하는 것 외에도 넓게 형성하거나 측면부를 휘둘러 감아서 내려오도록 형성하거나 여러개를 형성하는 것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위에서 아랫방향 즉 용기에 액체를 충전하거나 따르기 위하여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고 칭할 수 있고 가급적 면적과 수량을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어넣고 빼내기가 용이토록 하고 또한 공기접촉 량을 적게 하고, 또한 원한다면 용기입구부유체를 눌러 넣었을 때 잉여액체가 역류하여 공기유통홈으로 분출되어 제거되면 용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윗면이 넓어진 손잡이가 용기입구 상단윗면과 닿아서 공기유통홈 상단부의 액체마저도 공기와 차단될 수 있게 된다.
공기유통홈 하부는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서 넓게 형성된 공기층, 특히 기포상태로 넓게 형성된 공기층도 효과적으로 모여지게 하여 배출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데, 이때 면적을 넓게 하는 방법 외에도 공기유통홈의 하부에 여러개의 공기유통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용기입구부유체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아래쪽에만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도 있고, 깊게 형성하여 면적을 넓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모여진 공기가 배출할 때 공기유통홈 윗부분에서의 공기압이 증가되면서 효과적으로 배출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통홈을 최상단부까지 형성하지 않고 약간 내려진 부분까지 형성함으로서 잘 집어넣어 지도록 하면서 용기 내부에 응축된 약간의 공기압력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용기입구부유체를 빼내는 것이 용이토록 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공기유통홈의 액체마저도 더 잘 외부의 공기와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유통홈이 형성된 용기입구부유체는 유통단계에서 만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나 사용단계에서도 일정부분 공기층의 형성 량이 적게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뚜껑을 대체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내부에 액체를 채우는 높이는 도4에서와 같은 공기층(301)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되도록 용기입구부유체와 용기몸체가 닿는 끝 부분쯤까지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특히 유통단계에서 질소 등을 충만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입구부유체가 더욱 유효하게 공기층을 차단하기위하여 용기입구부유체의 아래쪽이 액체의 상부표면에 최대한 근접하거나 또는 잠기도록 할 수도 있고, 공기층의 형성을 최대한 억제토록 액체를 채우거나 용기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 용기입구부유체가 액체의 상부에 떠있는 부유체를 눌러서 잠기게 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한 용기입구부유체의 한 예는 만일 뚜껑이 원형 형상이라면, 원기둥 형상의 용기입구부유체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또는 비이커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있는 용기입구부유체 상부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고, 비이커와 유사한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다면 내부가 비어있는 곳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제거할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형상에서는 비이커의 상단부가 손잡이가 되고, 만일 좁은 비이커의 형상 등으로 되어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면 비이커 상단의 일측면 만을 상부로 돌출시켜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용기의 내부로 용기입구부유체가 함몰되지 않고 병의 입구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입구부유체 상단부의 뚜껑에 닿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손잡이를 형성 할 수 있다. 비이커와 유사한 형상에서 상단부가 넓어져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면 용기입구부유체 안쪽의 공기가 액체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뚜껑이 닫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입구부유체는 용기의 입구가 넓으면 넓게 형성되고, 따르개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4에서와 같이 형성되는 것 등 통상의 용기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용기입구부유체는 액체의 상부에 띄우는 본원의 다른 부유체와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액체에 약간 잠기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수 있으며 액체의 상부에서 일부 상하운동이 되도록 운용될 수도 있다는 점 등에서 본원 출원에서 부유체라 칭한다.
본원출원의 용기입구부유체와 유사하게 병마개 속에 이중마개로 사용하는 형상들이 통상 있으나, 본원실용신안과는 차이가 있다. 내부 이중마개는 뚜껑의 밀폐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잘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용기의 입구부분만 밀폐될 수 있도록 하면 되며, 따라서 액체의 상부면과 이중마개의 아랫면 사이에 거리가 길어서 공기층이 많이 형성된 특징과, 용기입구에 크기가 잘 맞도록 형성된 특징과, 이중마개의 윗단이 확대된 형상으로 된 손잡이가 있는 특징이 있고, 다른 형태의 이중마개는 샴페인의 마개와 같이 아래쪽이 비어있는 형상으로 되어 내부의 가스압을 많이 받을 수 있게 된 형상이다.
반면 용기입구부유체는 사용목적이 용기 내에서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설령 기포와 같은 형상으로 발생되더라도 그 량을 최소화토록 공기층을 제거 한 것이고, 이를 위하여 용기입구부유체의 아랫면이 액체의 상부표면쯤까지 오도록 한 특징과, 용기입구에 크기가 아주 잘 맞지 않아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가 가능한 특징과 공기유통홈이 있다는 특징 등이 있다.
높지 않게 형성된 기존의 내부 이중마개일지라도 액체의 상부표면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고 유통시키기 위해서 뚜껑을 닫는다면 약간의 액체일지라도 사방으로 분출될 가능성이 많아지며 이러한 상태로 포장과 유통을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공기유통홈이 필요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포장 및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며, 부수적으로 공기와 액체가 이동 간 흔들림 등에 의한 변질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도 발생되고, 이와 같은 방법은 잔여공간에 질소를 충진하는 것보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 즉 공기와의 차단효율을 높이고 또한 공기와의 접촉을 더욱 잘 차단한다는 이미지와 신뢰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여러개가 삽입된 부유체는 제거를 용이케 하기 서로 연결하여 운용할 수 있다.
부유체는 대형 용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대형부유체인 경우에 부유체의 중앙부에 위아래 쪽으로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으로 부유체 하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경우에 공기를 배출토록 하거나 이곳을 통하여 용기 내부의 액체를 덜어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공 쪽에서 액체와 공기의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통공마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공의 위쪽이 넓도록 하여 마개를 덮었을 때 잘 막혀지도록 할 수 있다.
부유체가 용기의 내부에서 부딛쳐 파손의 우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시 부유체의 테두리 부분에 완충체를 씌울 수 있고, 용기의 내경에 부유체의 크기가 잘 맞도록 하여 공기노출의 최소화 할 때 액체가 잘 따라질 수 있도록 부유체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통과 사용초기의 단계에서는 부유체가 액체에 잠기도록 액체를 채움으로서 뚜껑과의 공기층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유통구조상 소비자 도달 시 까지만 부유체를 활용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본원 실용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실용신안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구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통한 본원의 목적달성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몸체 200 부유체 102 뚜껑 103 따르개 200-2 용기입구부유체

Claims (16)

  1. 용기몸체 상단부의 뚜껑결합부에 뚜껑이 구비되거나 또는 용기몸체 상단부의 따르개결합부에 따르개가 구비된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액체의 상부면에 뜨는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에 액체 표면이 위치하고,
    상기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와 그 아래쪽 용기몸체의 내부에서 부유체는 수평상태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하면의 중앙부 또는 상부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 보다 두껍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2. 청구항1항의 용기몸체와 부유체가 아래와 같이 대체된 것으로서,
    상기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내부의 최대 수평길이는 그 아래쪽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 수평길이보다 작지 않게 되면서 부유체를 세워서 용기의 입구로 집어넣는 것이 가능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3. 용기몸체 상단부의 뚜껑결합부에 뚜껑이 구비되거나 또는 따르개결합부에 따르개가 구비된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의 내부 수평길이는 그 아래쪽 용기몸체 내부의 최소수평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액체의 상부면에 뜨는 수개의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의 측면부에 액체 표면이 위치하고,
    용기몸체 내부의 수평단면 형상이 소정의 세로길이에서만 부유체가 수평상태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며 이곳에서 부유체들이 용기몸체와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중첩되어 서로 엉켜지지 않게 되고 부유체들의 각진 면이 서로 닿아 액체의 공기노출 면적이 저감되게 하며,
    상기 부유체는 상하면의 중앙부가 가장자리부 보다 두껍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4.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수개의 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들의 각진 면이 서로 닿아 액체의 공기노출 면적이 저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5.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에 용기형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6. 삭제
  7.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따르개결합부 및 따르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8.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상부 일측에 따르개결합부 및 따르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9.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측면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0.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나 따르개결합부의 아래쪽 용기몸체의 형상이 테이퍼 져서 부유체의 경사진 윗면과 맞닿아 서로 밀착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1. 삭제
  12.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입구에 넣어지는 용기입구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부유체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와,
    상기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에는 세로방향의 공기유통홈이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통홈은 하부가 상부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4. 액체를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용기입구에 넣어지는 용기입구부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부유체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손잡이와,
    상기 용기입구부유체의 측면부에는 세로방향의 공기유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입구부유체와 액체의 상부표면 사이에 공기층이 제거된 상태로 액체가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은 소정의 세로길이에서만 부유체가 수평상태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1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 또는 따르개결합부 아래쪽 용기몸체의 내부 수평단면 형상은 소정의 세로길이에서만 부유체가 수평상태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용기.
KR2020120000755U 2011-12-23 2012-02-01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KR200461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55U KR200461749Y1 (ko) 2011-12-23 2012-02-01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10 2011-12-23
KR2020120000034 2012-01-02
KR2020120000755U KR200461749Y1 (ko) 2011-12-23 2012-02-01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749Y1 true KR200461749Y1 (ko) 2012-08-07

Family

ID=4713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755U KR200461749Y1 (ko) 2011-12-23 2012-02-01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00A (ko) 2013-12-04 2015-06-12 유상현 리필 가능한 용기
WO2024206266A1 (en) * 2023-03-31 2024-10-03 Illumin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xidation of reagents in a reagent cartri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00A (ko) 2013-12-04 2015-06-12 유상현 리필 가능한 용기
WO2024206266A1 (en) * 2023-03-31 2024-10-03 Illumin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xidation of reagents in a reagent cart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520B1 (ko) 병 뚜껑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WO2001007348A1 (en) Straw in a bottle
US9433958B2 (en) Saver bottle
KR200461749Y1 (ko) 액체를 담는 공기노출 감소 용기
JP2024531504A (ja) 飲食料保管装置
CN102325698A (zh) 其中葡萄酒与软木塞持久接触的的葡萄酒瓶
KR200433697Y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101299081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RU39875U1 (ru) Бутылка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NL2015208B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US3451371A (en) Vacuum bottle filling gauge
RU62897U1 (ru) Бутылка
KR200210754Y1 (ko) 식품 포장 용기
JP4746145B1 (ja) 液垂れしない液体容器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219318Y1 (ko) 양면사용이 가능한 용기
RU69498U1 (ru) Бутылка
KR100431470B1 (ko) 식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식품 주입 방법
KR200260398Y1 (ko) 대나무로 제조된 주류포장용기
KR20060109640A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RU3449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озлива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