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796A -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796A
KR20090081796A KR1020080007861A KR20080007861A KR20090081796A KR 20090081796 A KR20090081796 A KR 20090081796A KR 1020080007861 A KR1020080007861 A KR 1020080007861A KR 20080007861 A KR20080007861 A KR 20080007861A KR 20090081796 A KR20090081796 A KR 2009008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key
key
wheel
rai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796A/ko
Publication of KR2009008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휠키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휠키를 구비한다. 위치 감지부는 레일 상에서의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한다. 회전 감지부는 휠키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위치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휠키의 위치 이동을 통하여 다양한 키이벤트를 수행하거나, 휠키의 위치 이동에 따라 실행할 응용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휠키, 키이벤트, 위치, 위상, 이동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Whee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휠키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중요한 생활 필수품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 게임, 디지털 방송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고 편의를 증대하는 차원에서 터치패드, 조이스틱, 휠키 등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휠키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물리적인 회전에 대해서 화면에 표시된 커서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2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종래의 휠키는 휴대 단말기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휠키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2개의 키이벤트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휠키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는 키이벤트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휠키의 두 개의 한정된 동작을 그 이상의 하드웨어적인 출력값으로 확장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휠키를 통하여 다양한 키이벤트 실행 및 전환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휠키 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휠키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휠키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따른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은, (a) 위치 감지부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휠키의 회전이 입력되는 과정과, (c) 회전 감지부가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은 (a) 위치 감지부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위치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는 각각 상기 휠키의 회전 또는 이동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이동이 발생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된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b)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은, (a)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 (c) 상기 위치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는 각각 상기 휠키의 회전 또는 이동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d) 상기 (c)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이동이 발생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된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이동된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 (f) 상기 (c)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키는 레일을 따라 복수의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고, 각각의 위치에 매핑된 키이벤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휠키의 위치 이동을 통하여 다양한 키이벤트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휠키의 위치 이동에 따라 실행할 응용프로그램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두 개의 한정된 동작을 휠키의 위치 이동을 통하여 그 이상의 하드웨어적인 출력값으로 확장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10, 2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 2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방송 수신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정보처리, 정보제공,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망라한다.
휴대 단말기(10, 20)의 본체(11, 21)는 일반적으로 전면, 후면, 측면을 포함하는 얇은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본체(11, 21)의 전면에는 화면 표시부(12, 22)와 키패드(16, 26)가 배치된다.
화면 표시부(12, 22)는 휴대 단말기(10, 20)의 기능메뉴, 사용자의 입력사항, 정보처리 결과 및 정보제공 내용 등이 표시되는 곳으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개의 경우, 화면 표시부(12, 22)에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에 휠키(15)의 조작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키패드(16, 26)는 휴대 단말기(10, 20)의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며, 숫자/문자의 조합키, 방향이동 키, 기능키 등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진다. 그 밖의 입력 장치로서, 화면 표시부(12, 22)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11, 21)의 전면에 조이스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1, 21)의 전면 또는 측면에 레일(13, 23)과 휠키(15, 25)가 장착된다. 레일(13, 23)은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휠키(15, 25)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14, 24)가 형성되어 있다. 휠키(15, 25)는 일부가 레일(13, 23)의 이동로(14, 24)를 통하여 본체(11, 21)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레일(13, 23) 위로 돌출된 원판 형태이다. 휠키(15, 25)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레일(13, 23)의 이동로(14, 2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레일(13, 23) 상에서의 휠키(15, 25)의 위치와, 휠키(15, 25)의 회전방향에 따라 특정 키이벤트가 수행된다. 이때 휠키(15, 25)는 레일(13, 23)의 이동로(14, 24)의 중심과, 이동로(14, 24)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로(14, 24)의 끝단들에 위치할 수 있다. 키이 벤트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또는 볼륨 조절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레일(13, 23)은 휠키(15, 25)가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로(14, 24)를 구비하며, 휠키(15, 25)는 이동로(14, 24)의 복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레일(13)의 이동로(14)가 "王"자 형태를 갖는 경우, 휠키(15)는 레일(13)의 이동로(14)의 중심 한 곳과, 이동로(14)의 끝단인 여섯 곳에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휠키(15)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 휠키(15)의 조작을 통하여 최대 12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레일(23)의 이동로(24)가 일자 형태를 갖는 경우, 휠키(25)는 레일(23)의 이동로(24)의 중심 한 곳과, 이동로(24)의 끝단인 두 곳에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휠키(25)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 휠키(25)의 조작을 통하여 최대 6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휠키(15, 25)가 레일(13, 23)의 이동로(14, 24)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로(14, 24)의 중심과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휠키(15, 25)는 레일(13, 23)의 이동로(14, 24)의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레일(13)의 이동로(14)가 "王"자 형태로 구현되고, 도 2에서는 레일(23)의 이동로(24)가 일자 형태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1, 34, 37, 41)의 이동로(32, 35, 38, 4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1)의 이동로(32)는 영문자 "H"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4)의 이동로(35)는 영문자 "Y"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7)의 이동로(38)는 십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1)의 이동로(42)는 영문자 "X"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A), (C) 및 (D)의 경우, 휠키(33, 39, 43)의 조작을 통하여 10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B)의 경우, 휠키(36)의 조작을 통하여 8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5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50)는 레일(51)에 설치된 휠키(53), 위치 감지부(54), 회전 감지부(56) 및 제어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휠키 입력 장치(50)의 조작에 따른 수행되는 키이벤트가 화면 표시부(58)에 표시된다.
레일(51)에 설치된 휠키(53)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위치 감지부(54), 회전 감지부(56) 및 제어부(57)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위치 감지부(54)는 레일(51) 상에서의 휠키(53)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 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위치 감지부(54) 및 회전 감지부(56)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57)로 전송된다.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 또는 회전 감지부(56)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레일(51)은 휠키(53)가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로(52)를 구비한다. 위치 감지부(54)는 이동로(52)의 복수의 특정 지점에 휠키(53)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즉 위치 감지부(54)는 레일(51)의 복수의 특정 지점, 예컨대 레일(51)의 이동로(52)의 중심 한 곳과, 이동로(52)의 끝단인 곳에 휠키(53)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특히 위치 감지부(54)는 특정 지점에 위치한 휠키(53)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한다. 위상 출력핀(55)은 레일(51)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접촉식, 근접식 또는 마그네틱 방식의 스위치를 매개로 휠키(53)가 특정 지점에 위치한 것을 감지한다. 즉 레일(51)의 특정 지점에 휠키(53)가 위치하여 스위치가 켜지면, 위치 감지부(54)는 스위치에 연결된 위상 출력핀(55)으로 출력되는 위상값으로부터 휠키(53)의 위치를 감지한다.
예컨대 도 5의 경우, 위치 감지부(54)는 레일(51) 상에서의 휠키(53)의 7곳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3개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한다. 위치 감지부(54)가 3개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하는 경우, 최대 8곳의 휠키(53)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상 출력핀(55)로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핀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위상 출력핀(5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레일(51)의 이동로(52)가 도 1과 같은 "王"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휠키(53)는 이동로(52)의 중심 한 곳과, 이동로(52)의 끝단인 여섯 곳에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동로(52)의 중심을 "중립"이라 하고, 이동로(52)의 끝단인 여섯 곳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단 내지 6단이라 한다. 그리고 3개의 위상 출력핀(55)은 1번 위상 출력핀(55a), 2번 위상 출력핀(55b) 및 3번 위상 출력핀(55c)이라 한다.
이동로(52)의 7곳에 1번 내지 3번 위상 출력핀(55a,55b,55c)은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표1에서 "1"은 해당 위치에 위상 출력핀(55)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0"은 해당 위치에 위상 출력핀(55)이 설치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해당 위치에서의 "1" 및 "0"의 조합은 해당 위치에 휠키(53)가 위치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위상값도 나타낸다.
휠키 위치 1번 위상 출력핀 2번 위상 출력핀 3번 위상 출력핀
중립 1 1 1
1단 1 0 0
2단 0 1 0
3단 0 0 1
4단 1 1 0
5단 1 0 1
6단 0 1 1
그리고 이동로(52)의 7곳의 위치에 각각 전원핀(60)이 배치되고, 7곳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 전원핀(60)과 위상 출력핀(55)은 휠키(53)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스위치(59)를 매개로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된다. 즉 7곳의 위치 중에 한 곳에 휠키(53)가 위치하면, 휠키(53)에 밀린 스위치(59)는 전원핀(60)과 휠키(53)가 위한 곳에 배치된 위상 출력핀(55)을 연결한다. 그리고 위치 감지부(54)는 1번 내지 3번 위상 출력핀(55a,55b,55c)의 연결 상태에 따른 위상값을 제어부(57)로 출력한다. 예컨대 휠키(53)가 이동로(52)를 따라 이동하여 1단에 위치하면, 스위치(59)는 전원핀(60)과 1번 위상 출력핀(55a)을 연결한다. 이때 2번 위상 출력핀(55b)과 3번 위상 출력핀(55b)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 감지부(54)는 "100"의 위상값을 제어부(57)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출력핀(55)으로 GPIO핀을 이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또는 I2C('Inter-IC'라고도 함) 버스(bus)를 이용하는 경우, 위상 출력핀으로 제어부의 Rx핀과 Tx핀을 사용할 수 있다. Rx핀과 Tx핀으로 휠키의 위치에 따른 모든 위상값을 표현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위치 감지부(54)는 휠키(53)의 3곳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2개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한다. 위치 감지부(54)가 2개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하는 경우, 최대 4곳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감지부(54)가 N개(N은 자연수)의 위상 출력핀(55)을 구비하는 경우,
Figure 112008006265797-PAT00001
곳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2개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조합하여 최대
Figure 112008006265797-PAT00002
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로부터 출력을 받아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모두 수신한 후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 또는 회전 감지부(56) 중 한 곳으로부터 출력을 받아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1)는 위치 감지부(54)의 출력을 받아 제 1 키이벤트를 수행하고, 제어부(11)는 다시 회전 감지부(56)의 출력을 받아 제 2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키이벤트와 제 2 키이벤트는 서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위치 감지부(54)의 출력을 받아 현재 휠키(53)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어서 휠키(53)의 회전이 발생된 경우, 제어부(57)는 회전 감지부(56)의 출력을 받아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이때 휠키(53)의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57)는 휠키(53)의 이동에 따른 위치 감지부(54)의 출력을 받아 이전 휠키(53)의 위치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은 종료하고, 현재 휠키(53)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는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볼륨 조절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7)와는 별도로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가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어부(57)에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가 함께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50)를 이용한 휠키 입력 방법의 한 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61과정에서 휠키(53)가 활성화되면, S63과정에서 위치 감지부(54)는 휠키(53)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이때 휠키(53)의 활성화는 키패드의 조작이나 휠키(53)의 이동이나 회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S65과정에서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이동 또는 회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5과정의 판단 결과 휠키(53)의 이동이 발생된 경우, 위치 감지부(54)는 이동된 휠키(53)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S65과정의 판단 결과 휠키(53)의 회전이 발생된 경우,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그리고 S71과정에서 제어부(57)는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예컨대, 휠키 입력 장치(5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 경우, 레일(51) 상에서의 휠키(53) 위치에 따라 수행되는 키이벤트는 도 6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물론 도 6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레일(51) 상에서의 휠키(53) 위치에 따라 수행되는 키이벤트는 다양하게 매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50)를 이용한 휠키 입력 방법의 다른 예를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81과정에서 휠키(53)가 활성화되면, S83과정에서 위치 감지부(54)는 휠키(53)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S85과정에서 제어부(57)는 휠키(53)의 현재 위치에 매핑된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S87과정에서 위치 감지부(54)와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이동 또는 회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87과정의 판단 결과 휠키(53)의 이동이 발생된 경우, S89과정에서 위치 감지부(54)는 이동된 휠키(53)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S91과정에서 제어부(57)는 이전 휠키(53)의 위치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은 종료한다. 그리고 S85과정에서 제어부(57)는 현재 휠키(53)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S87과정의 판단 결과 휠키(53)의 회전이 발생된 경우, S93과정에서 회전 감지부(56)는 휠키(53)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7)로 출력한다. 그리고 S95과정에서 제어부(57)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의 다른 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키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휠키 입력 장치가 도 1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의 위상 출력핀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휠키 입력 장치를 이용한 휠키 입력 방법에 따른 제 1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휠키 입력 방법에 따른 휠키의 위치에 따라 매핑된 키이벤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8은 도 4의 휠키 입력 장치를 이용한 휠키 입력 방법에 따른 제 2 흐름도이다.

Claims (25)

  1.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휠키 입력 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휠키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휠키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벤트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볼륨 조절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휠키는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의 복수의 지점에 상기 휠키 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상 출력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값을 출력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2개의 값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최대 2×n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가 N개의 상기 위치 출력핀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최대
    Figure 112008006265797-PAT00003
    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휠키가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이동로의 복수의 지점 중에서 어느 지점에 상기 휠키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의 이동에 따른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이전 상기 휠키의 위치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고, 현재 상기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는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볼륨 조절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12.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으로,
    (a) 위치 감지부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휠키의 회전이 입력되는 과정과;
    (c) 회전 감지부가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a1) 상기 휠키는 현재의 위치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과;
    (a2)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휠키가 이동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의 상기 키이벤트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볼륨 조절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의 복수의 지점에 상기 휠키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값이 출력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2개의 값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최대 2×n개의 키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휠키가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로를 구비하며,
    상기 (a) 과정에서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이동로의 복수의 지점 중에서 어느 지점에 상기 휠키가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모두 출력을 받은 후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의 이동에 따른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이전 상기 휠키의 위치에서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고, 현재 상기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는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또는 볼륨 조절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23.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으로,
    (a) 위치 감지부가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위치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는 각각 상기 휠키의 회전 또는 이동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이동이 발생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된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b)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받은 출력을 조합하여 특정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24. 레일에 설치된 휠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으로,
    (a)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의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
    (c) 상기 위치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는 각각 상기 휠키의 회전 또는 이동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d) 상기 (c)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이동이 발생되면,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된 상기 휠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이동된 휠키의 위치에 매핑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
    (f) 상기 (c)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휠키의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휠키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의 휠키 입력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키이벤트는 화면의 이동, 커서의 상하 이동, 커서의 좌우 이동 또는 볼륨 조절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방법.
KR1020080007861A 2008-01-25 2008-01-25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081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61A KR20090081796A (ko) 2008-01-25 2008-01-25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61A KR20090081796A (ko) 2008-01-25 2008-01-25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796A true KR20090081796A (ko) 2009-07-29

Family

ID=4129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861A KR20090081796A (ko) 2008-01-25 2008-01-25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1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27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727A1 (ko)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401B1 (ko) 데이터 입력 장치 및 휴대용 전자 장치
US8351992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20100201712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competing input devices
US20120120019A1 (en) External input device for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touch panel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4252965A (ja) 電子装置
JP2006500642A (ja) タッチゾーンを持つ単層タッチパッド
KR20070116065A (ko)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JP2010160564A (ja) 携帯端末
JP5779156B2 (ja) 情報入力装置、そ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12226497A (ja) 携帯電子機器
KR20110138743A (ko) 측면 및 후면 터치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장치
CN101174185B (zh) 一种移动终端的方向键的使用方法以及相应的滚轮式按键
JP201323546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用カバー
CN103135875A (zh) 基于传感器感测的触摸amoled显示屏
US20120154182A1 (en) Key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s
TW201020876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input method thereof
JP2004318362A (ja) 情報端末
US20120270597A1 (en) Mobile phone with mouse and keyboard function
KR20090081796A (ko) 휴대 단말기의 휠키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2141650A (ja) 携帯端末
KR101344463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4422063B2 (ja) 入力装置
JP2008033843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キーボード及びキーボード用キーの構造
US6448919B1 (en) ADC sharing for keypad and tough panel of a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