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637A -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637A
KR20090080637A KR1020080006509A KR20080006509A KR20090080637A KR 20090080637 A KR20090080637 A KR 20090080637A KR 1020080006509 A KR1020080006509 A KR 1020080006509A KR 20080006509 A KR20080006509 A KR 20080006509A KR 20090080637 A KR20090080637 A KR 2009008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rebound
working fluid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0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637A/ko
Publication of KR2009008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제어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쇽업소버가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작동유체의 온도가 증가할 경우, 피스톤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여 감쇠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되며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 챔버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챔버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 사이를 유동하기 위해 형성된 리바운드 유로와 컴프레션 유로를 갖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바운드 유로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 디스크들과, 상기 피스톤 밸브의 저면과 밀착되고 리테이너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 디스크들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리바운드 유로의 차폐면적을 가변하는 세미디스크를 포함한다.
쇽업소버, 밸브, 감쇠력, 형상기억합금, 디스크, 오일, 점성, 온도

Description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VALVE DEVICE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제어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에 따라 피스톤의 유로 면적이 가변되도록 하여 온도의 상승에 의한 오일 점성의 저하로 인한 감쇠력 저하를 방지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체측과 차륜측 사이에 마련되어 주행중 노면과 접촉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쇽업소버(10)는 차축에 연결되는 실린더(12)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차체측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14)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2)에는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14)의 단부에는 상기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밸브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장치(20)는 상기 피스톤 로드(14)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 더(12)의 내부를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2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밸브(22)에는 상기 컴프레션 챔버(CC)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RC)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을 허용하는 컴프레션 유로(22a)와 리바운드 유로(22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밸브(22)의 상부에는 와셔(21)가 결합되고, 그 하부로 컴프레션 행정시에 컴프레션 유로(22a)를 개방하기 위한 인테이크 스프링(23), 리테이너(24), 인테이크 밸브 디스크(2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22)의 하부에는 저속과 고속 구간에서 리바운드 유로(22b)의 개방도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다수의 밸브 디스크들(26)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 디스크들(26)은 상기 피스톤 밸브(22)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리테이너(27), 와셔(28), 너트(29)에 의해 고정 유지된다.
전술된 다수의 밸브 디스크들(26) 중 최상부에 위치되는 밸브 디스크는 주변부에 슬릿이 형성된 슬릿 디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릿 디스크는 '디스크-S'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슬릿 디스크는 상기 쇽업소버(10)의 저속 리바운드 구간에서 유체가 상기 슬릿을 통해 배출되며 저속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슬릿 디스크의 저면에는 복수의 메인 디스크들(26b)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디스크들(26b)은 상기 피스톤 밸브(22)의 고속 리바운드 구간에서 전술한 슬릿을 통과한 유체들에 의해 휨 변형을 일으키면서 고속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는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발생 시키는 과정에서 작동유체의 온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작동유체의 점성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유체의 점성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작동유체가 밸브 디스크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쇽업소버가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작동유체의 온도가 증가할 경우, 피스톤 밸브의 유로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여 감쇠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되며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 챔버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챔버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 사이를 유동하기 위해 형성된 리바운드 유로와 컴프레션 유로를 갖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 디스크들과, 상기 피스톤 밸브의 저면과 밀착되고 리테이너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 디스크들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리바운드 유로의 차폐면적을 가변하는 세미디스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미디스크는 소정 온도에 도달시 상기 리바운드 유로를 차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미 디스크는 특정 온도 조건에서 형태가 복원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는 실린더 내의 작동유체가 감쇠력을 발생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증가될 경우, 세미디스크의 형상이 변형되며 리바운드 유로의 일부를 차폐하여 감쇠력을 증가시킴으로서, 작동유체의 점성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감쇠력의 저하를 상쇄할 수 있으며, 작동유체의 온도 변화에 대처하여 항상 일정한 감쇠력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가 정상온도 범위에서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50)의 밸브장치(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과 차륜측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50)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가변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쇽업소버(5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체축에 연결되는 실린더(52)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5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차체측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5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밸브장치(60)는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52)의 내부를 리바운드 챔버(RC)와 컴프레션 챔버(CC)로 구획하며, 상기 컴프레션 챔버(CC)와 상기 리바운드 챔버(RC) 사이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제 어하며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밸브장치(60)는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컴프레션 유로(62a)가 형성되고, 가까운 쪽에 리바운드 유로(62b)가 형성된 피스톤 밸브(62)를 포함한다.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와 상기 컴프레션 유로(62a)는 상기 피스톤의 하강 또는 상승시 상기 리바운드 챔버(RC)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CC) 사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60)는 상기 피스톤 밸브(62)의 상부 및 하부에 컴프레션시 감쇠력을 발생하는 밸브 구조 및 리바운드시 감쇠력을 발생하는 밸브구조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장치(60)는 상기 피스톤 밸브(62)의 상부에 와셔(61), 인테이크 스프링(63), 리테이너(64), 그리고 인테이크 밸브 디스크(65)가 순서대로 적층된다. 상기 인테이크 밸브 디스크(65)는 피스톤 밸브(62)의 컴프레션 행정시 빠른 응답성을 갖고서 휨 변형되어 컴프레션 유로(62a)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밸브(62)의 하부에는 리바운드 행정시 감쇠력을 발생하는 리바운드용 밸브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60)는 상기 피스톤 밸브(62)의 하부에 세미디스크(70), 제1리테이너(72), 밸브 디스크들(66), 제2리테이너(67), 그리고 와셔(68)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54)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69)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상기 피스톤 밸브(62)의 저면과 밀착되며, 외둘레부가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의 일부를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 미디스크(70)의 하부에 설치된 제1리테이너(72)는 상기 세미디스크(70)가 상기 밸브 디스크들(66)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그 형태가 가변되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의 차폐면적을 가변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상기 작동유체가 정상온도 범위일 경우 주변부가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의 상부면에 접촉되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상기 작동유체가 고온에 도달하면, 주변부가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차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상기 작동유체가 정상온도를 넘는 온도일 경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의 일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의 면적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유체가 정상온도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낮아지는 점성으로 인한 감쇠력의 저하를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미디스크(70)는 특정 온도 조건에서 형태가 복원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미디스크(70)는 원래의 형태가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리바운드 유로(52b)의 일부를 막는 형태이다. 이러한 세미디스크(70)는 작동유체의 온도가 정상범위일 경우(즉 특정 온도 조건 이하일 경우) 주변부가 휘어진 상태이고, 상기 작동유체의 온도가 특정 온도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세미디스크(70)의 휘어진 주변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리바운드 유로(52b)를 막는다.
한편, 상기 피스톤 밸브(62)는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와 상기 컴프레션 유 로(62a) 사이에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이 접촉되는 밸브시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은 리바운드 행정시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저항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감쇠력이 발생된다.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감쇠력 특성의 가변을 위해 슬릿이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디스크들(66)은 컴프레션 행정시 주변부가 상기 피스톤 밸브(52)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인 밸브 시트에 접촉되며 작동유체의 유동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은 리바운드 행정시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세미디스크(70)의 주변부가 휨 변형되며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이 과정에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디스크들(66)은, 주변부에 슬릿이 형성된 슬릿 디스크(66a)(또는 디스크 S)와, 상기 슬릿 디스크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메인 디스크들(6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 디스크(66a)는 피스톤 밸브(62) 하부의 밸브 시트에 안착된 상태로 리바운드 유로(62b)와 직접 대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릿 디스크(66a)의 가장자리에는 리바운드 유로(62b)에 일부가 걸쳐진 채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로부터 나온 유체를 우회시키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디스크들(66b)은 상기 슬릿 디스크(66a)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증가될 경우 주변부가 휨 변형되며 작동유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밸브 디스크들(66)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디스크의 형상, 매수, 재질 또는 두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가 정상온도 이상의 범위에서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전술된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쇽업소버(50)의 밸브장치(6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52)에 저장된 작동유체가 정상온도 범위일 경우, 리바운드 챔버(RC)내의 작동유체가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해 컴프레션 챔버(CC)로 이동한다.
이때, 세미디스크(70)는 하부의 밸브 디스크들(66)과 근접된 상태로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완전히 개방한다. 따라서, 쇽업소버(50)의 밸브장치(60)는 저속 감쇠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과한 작동유체가 슬릿 디스크의 슬릿을 통해 컴프레션 챔버(CC)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쇽업소버(50)의 밸브장치(60)는 고속 감쇠력이 발생할 경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통과한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슬릿 디스크(66a) 및 그 하부의 메인 디스크들(66b)의 주변부가 휨 변형되며 이동한다.
한편, 상기 쇽업소버(50)의 밸브장치(60)는 감쇠력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유체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작동유체의 온도가 정상온도 이상으로 증가될 경우 오일의 점성이 낮아진다. 이때, 상기 세미디스크(70)는 휨 변형된 주변부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상기 리바운드 유로(62b)를 일부 차폐하게 되며, 이에 따라 리바운드 유로(62b)의 저항이 증가되어 작동유체의 점성 저하로 인한 감쇠력의 저하를 상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쇽업소버의 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가 정상온도 범위에서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밸브장치가 정상온도 이상의 범위에서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

Claims (3)

  1.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되며 리바운드 챔버와 컴프레션 챔버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리바운드 챔버와 상기 컴프레션 챔버 사이를 유동하기 위해 형성된 리바운드 유로와 컴프레션 유로를 갖는 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 밸브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 디스크들과,
    상기 피스톤 밸브의 저면과 밀착되고 리테이너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 디스크들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작동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리바운드 유로의 차폐면적을 가변하는 세미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미디스크는 소정 온도에 도달시 상기 리바운드 유로를 차폐하도록 형태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미 디스크는 특정 온도 조건에서 형태가 복원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1020080006509A 2008-01-22 2008-01-22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20090080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09A KR20090080637A (ko) 2008-01-22 2008-01-22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09A KR20090080637A (ko) 2008-01-22 2008-01-22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37A true KR20090080637A (ko) 2009-07-27

Family

ID=4129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09A KR20090080637A (ko) 2008-01-22 2008-01-22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6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371A (zh) * 2011-03-31 2012-10-17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衰减力调整式缓冲器
KR20180081218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371A (zh) * 2011-03-31 2012-10-17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衰减力调整式缓冲器
CN102734371B (zh) * 2011-03-31 2016-08-03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衰减力调整式缓冲器
KR20180081218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130A (en) Suspension damper with rebound cut-off
JP6325074B2 (ja) 開放ブリードを備えるピストンアセンブリ
US7789208B2 (en) Shock absorber for achieving linear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KR101254233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54287B1 (ko)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78535B1 (ko) 비대칭 흡입 댐퍼 밸브
KR101227384B1 (ko)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JP4055843B2 (ja) 車両用の油圧緩衝器
JP5518079B2 (ja) 高速圧縮減衰バルブ
WO2011062899A2 (en) Velocity progressive valving
KR20150052099A (ko) 다중-조정가능한 체감 밸브
US8701846B2 (en) Inverted strut comprising an air damper combined with a hydraulic stop
KR20090080637A (ko)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20170087761A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76867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KR101276868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KR20200134529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662223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30549B1 (ko) 쇽업소버
KR20090100545A (ko) 쇽업소버
US20240019012A1 (en) Piston valve assembly and frequency sensitive shock absorber with the same
KR101316123B1 (ko) 쇽업소버
KR20070092347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밸브
KR100880821B1 (ko) 쇽업소버
KR101426800B1 (ko) 쇽업소버의 경사 피스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