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515A -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515A
KR20090080515A KR1020097009425A KR20097009425A KR20090080515A KR 20090080515 A KR20090080515 A KR 20090080515A KR 1020097009425 A KR1020097009425 A KR 1020097009425A KR 20097009425 A KR20097009425 A KR 20097009425A KR 20090080515 A KR20090080515 A KR 2009008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bonding pad
channel
tooth bond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퍼슨 사빌라
Original Assignee
오름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름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름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Abstract

치아 본딩 패드(22)는 치열교정용 적용을 위해 구성되고, 본체(26) 및 본체에 인접한 결찰 구조물(24; ligating structure)을 포함한다. 결찰 구조물은 내부에 교정 장치(16)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48)을 포함한다. 결찰 구조물은 예를 들어, 크림핑(crimping)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자가-결찰 구조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채널(48)은 실질적으로 폐쇄될 수 있고, 결찰 구조물(53)의 다른 부분과 커플링됨으로써 채널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48)은 세로 축을 한정하여서 결찰 구조물(24)이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교정 장치(16)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결찰 구조물(53)은 축의 횡방향으로 교정 장치(16)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치아 본딩 패드, 채널, 교정 장치, 치열교정용

Description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Tooth bonding pad with wire retaining portions and related methods}
우선권 청구
본 출원은 "치열교정용 기구(orthodontic device), 임플란트 및 관련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6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원 제60/850,624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의 기재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히 치아에 커플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교합(occlusion)을 개선하는데 노력해온 교정 치열교정용 치료법(orthodontic treatment)을 제공하는 치열교정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인 치열교정용 치료법에서, 치열교정전문의 또는 치과보조원은 브래킷(bracket) 등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고, 교정용 장치, 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스프링을 각각의 브래킷의 슬롯(slot) 안으로 맞물리게 한다. 이러한 와이어(wire)는 치아를 교정 위치 안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교정력(corrective force)을 적용한다.
교정력을 치아에 적용하는 공지된 과정은 치아에 대하여 브래킷 등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교정 장치에 대한 브래킷 등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공지된 브래킷 등은, 치아에 교정 장치 및, 브래킷 등을 커플링 시키는데 상당한 시간과 기술이 요구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요약
하나의 양태에 따라, 치아 본딩 패드는 치열교정용으로 구성되고, 본체 및 이러한 본체에 인접한 결찰 구조물(ligating structure)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찰 구조물은 이 안에 교정 장치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채널(channel)을 포함한다. 결찰 구조물은 예를 들어, 크림핑(crimping) 가능하거나 또는 자가-결찰 구조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채널은 실질적으로 폐쇄될 수 있고, 결찰 구조물의 다른 부분에 커플링시킴으로써, 채널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세로 축을 한정시켜 결찰 구조물이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결찰 구조물은 축의 횡방향으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치열교정용 조립체는 연장부 및 치아 본딩 패드를 가지는 교정 장치를 포함한다. 치아 본딩 패드는 치아에 커플링하기 위해 구성되고, 여기에 연장부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채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교정 장치는 와이어 및 스프링(spring)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하나일 수 있다.
결찰 구조물은 주요부와, 이러한 주요부와 커플링시키기 위해 구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커버가 주요부에 커플링되어 채널을 한정하도록 한다. 채널은 세로 축을 한정하여 커버와 주요부와의 커플링이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치열교정용 조립체는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및 연장부를 가지고 치열교정용 임플란트에 커플링되는 교정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체는 치아에 커플링하기 위해 구성된 치아 본딩 패드를 포함하고, 이것은 여기에 연장부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채널을 포함한다. 치열교정용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스크류(screw)일 수 있다. 고려되는 치열교정용 임플란트의 예는 "치열교정용 임플란트"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7년 10월 10일자로 출원된 공-계류중인 PCT 국제 출원 제_______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교정 장치는 와이어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아 본딩 패드는 치열교정용 적용(application) 또는 제품을 위해 구성되고, 본체 및 당해 본체에 인접한 결찰 구조물을 포함한다. 결찰 구조물은 세로 축을 한정하는 채널을 포함하고, 이것은 여기에 교정 장치를 수용하고,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 및 세로 축의 횡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아에 치열교정용 교정 장치를 커플링하는 방법은 치아 본딩 패드를 치아에 커플링시키고, 치아 본딩 패드 내의 채널을 통하여 교정 장치의 연장부를 삽입함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은 교정 장치 주위에서 폐쇄됨으로써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채널은 치아 본딩 패드의 커버를 이의 다른 부분과 커플링시킴으로써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채널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의 축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치열 본딩 패드의 한 부분을 크림핑(crimping)함으로써 치아 본딩 패드 및 교정 장치를 서로 잠기게 맞물려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추가의 특징들 및 국면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 양태의 다음의 기술 및 도면으로부터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즉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치열교정용 시스템의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와이어의 한 부분 및 치아 본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치열교정용 시스템의 다른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와이어의 한 부분 및 치아 본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의 다른 부분과 커플링되지 않은 본딩 패드의 커버를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 양태들과 연관지어 아래에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시스템 또는 장치의 어떠한 하나의 특정 유형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양태의 기술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동등한 배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특히,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양태들의 성분들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이제 도면, 보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치열교정용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치아(12)에 교정력을 적용시키도록 구성된다. 시스템(10)은 스크류(14)의 형태인 치열교정용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이것은 환자의 입의 지지 구조물(13) 속으로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16) 형태의 교정 장치는 아이릿(20; eyelet)을 통해 스크류(14)에 커플링되지만 다른 유형의 커플링 장치도 고려된다. 와이어(16)는 치아 본딩 패드(22)를 통해 치아(12) 위에 와이어(16)가 커플링되는 곳에 힘을 가한다. 치아 본딩 패드(22)는 다음 순서로 치아(12)에 커플링된다. 와이어(16)의 형태로 교정 장치가 도시되지만, 다른 교정 장치, 예를 들어, 스프링 및 다른 보조 장치가 이들이 아래 기술된 방식으로 치아 본딩 패드(22)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연장부를 갖는 한, 유사하게 고려된다. 와이어(16)는 크림핑 가능한 튜브(24)의 형태로 결찰 구조물을 통해 치아 본딩 패드(22)에 커플링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치아 본딩 패드(22)는 서로 통합적인, 인접한 제1 부분(28) 및 제2 부분(30)으로 한정된 본체(26)를 포함한다. 제1 부분(28)은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를 지지하지만, 제2 부분(30)은 치아(12)에 부착을 허용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제2 부분(30)은 편평한 표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외면(34)을 포함하지만, 이는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따라서, 외면(34)은 치아와 적합하게 접촉하여 부착함을 허용하는 어떠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아 본딩 패드(22)는 예를 들어, 외면(34)을 가진 치아(12)의 경계면에서 적용된 접착제를 통해 치아(12)에 부착된다. 당업자들은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부착 장치들 또는 특징들을 대체할 수 있음을 즉시 인식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본체(26)의 제1 부분(28)은 크림핑 가능한 튜브(24)에 대해 접촉 및 부착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36)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지지 표면(36)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것은 대안적으로 다른 기타 평면 또는 아치형 형상 또는 이의 어떠한 조합이라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는 제1 부분(28)의 지지 표면(36) 상에 놓여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는 제1 부분(28)과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지 제1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다.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는 튜브를 통해 와이어(16)를 수용하고, 와이어(16)에 대한 치아 본딩 패드(22)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잠기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크림핑 가능한 튜브(24)가 변형가능한 구조체이어서 크림핑된 경우, 치아 본딩 패드(22) 및 와이어(16)를 서로 마찰시켜 잠기도록(즉, 잠기게 맞물리도록)한다.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는 상반된 측방향 부재(38, 39) 및 상반된 말단 부재(40, 42)로 한정된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측방향 부재 및 말단 부재(38, 39, 40, 및 42)는 세로 축(48a)을 따라 연장하고 이에 따른 와이어(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48)을 공동으로 한정한다. 와이어(16)가 채널(48) 내로 수용되는 경우, 측방향 부재 및 말단 부재(38, 39, 40, 및 42)는 치아 본딩 패드(22)에 대한 도 3(즉, 세로 축(48a)에 대하여 횡방향으로)에 도시된 단면의 평면상의 와이어(16)의 이동을 제한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방해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고하면, 채널(48)의 크기 및 형상은 이를 통해 와이어(16)의 수용이 허용되도록 적합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는 않지만, 채널(48)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규격화될 수 있어서 각각의 측방향 부재들(38a, 39a)의 측벽들(38a, 39a) 사이의 거리는 와이어(16)의 두께 및 지름과 근접하게 대등해진다. 채널(48)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평면 및/또는 아치형 벽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들이 유사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어, 힘이 측방향 부재(38, 39)의 외벽(38b, 39b)에 대해 안쪽으로(와이어(16)를 향하고, 화살표(37)의 일반적인 방향으로)가해지는 경우,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를 변형시킴으로써 치아 본딩 패드(22)에 대해 와이어(16)를 마찰시켜 고정시킨다. 보다 특히, 이러한 변형은 와이어(16) 주위의 측벽(38a, 39a)이 세로 축(48a)에 따른 방향 및 이의 횡방향으로 크림핑 가능한 튜브(24)(및 치아 본딩 패드(22))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와이어(16)를 잠기게 맞물리도록 형성하기 위해서 측벽(38a, 39a)을 안으로 이동시킨다.
크림핑 가능한 튜브(24)가 둥근 단면을 갖는 와이어(16)를 고정함을 도시하였지만, 당업자들은 크림핑 가능한 튜브(24) 및 일반적으로 치아 본딩 패드(22)가 와이어 또는 기타 교정 장치, 예를 들어, 기타 단면 형상을 갖는 스프링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즉시 인지할 것이다. 유사하게는, 도시되지 않더라도 크림핑 가능한 튜브(24)의 크림핑은 추가로 와이어(16) 및 치아 본딩 패드(22)가 서로 잠기게 맞물리도록 와이어(16)를 추가로 변형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치열교정용 시스템(50)은 스크류(14)의 형태의 치열교정용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이것은 환자의 입의 지지 구조(13) 안으로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16) 형태의 교정 장치는 아이릿(20)을 통해 스크류(14)에 커플링되지만 다른 유형의 커플링 장치도 고려된다. 와이어(16)는 치아 본딩 패드(52)를 통해 치아(12) 상의 와이어가 커플링되는 곳으로 힘을 가한다. 치아 본딩 패드(52)는 다음 순서로 치아(12)에 커플링된다. 와이어(16)의 형태로 교정 장치가 도시되지만, 다른 교정 장치, 예를 들어, 스프링 및 다른 보조 장치가 이들이 아래 기술된 방식으로 치아 본딩 패드(22)에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연장부를 갖는 한, 유사하게 고려된다. 와이어(16)는 세로 축(54a)을 따라 연장한 불연속 채널(54)을 갖는 결찰 구조물(53)을 통해 치아 본딩 패드(52)에 커플링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치아 본딩 패드(52)는 일반적으로 아치형 플레이트의 형태인 본체(56)를 포함한다. 본체(56)는 포스트(60)를 통해 결찰 구조물(53)을 지지하고, 치아(12)에 부착을 허용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본체(56)의 외면(64)은 오목한 표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이다. 따라서, 외면(64)은 치아(12)에 적절하게 접촉하고 부착하는 것을 허용하는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치아 본딩 패드(22)는 예를 들어, 외면(34)을 가진 치아(12)의 경계면에서 적용된 접착제를 통해 치아(12)에 부착된다. 당업자들은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부착 장치들 또는 특징들을 대체할 수 있음을 즉시 인식할 것이다.
치아 본딩 패드(52)의 본체(56)는 결찰 구조물(53)을 위한 접촉 및 부착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 표면(66)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지지 표면(66)은 외면(64)의 형상을 적어도 근접하게 매칭(matching)하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제한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결찰 구조물(53)은 본체(56)의 지지 표면(66) 위에 놓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결찰 구조물(53)은 본체(56)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지 본체에 커플링될 수 있다. 결찰 구조물(53)은 이를 통해 와이어(16)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52)에 대한 와이어(16)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잠그도록 구성된 불연속 또는 개방된 채널(54)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채널(54)이 기저(70) 및 측방향 부재(72, 74)로 형성되고, 이것은 각각 채널(54)의 벽들(70a, 72a, 및 74a)을 한정한다. 벽들(70a, 72a, 및 74a) 사이의 공간은 세로 축(54a)의 횡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52)에 대한 와이어(16)의 이동을 제한시키거나 또는 방해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채널(54)은 기저(70) 및 측방향 부재(72, 74)(결찰 구조물(53)의 주요부를 공동으로 한정함)에 커플링되는 커버(80)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됨으로써 와이어(16) 주위의 채널(54)을 폐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54)의 폐쇄는 세로 축(54a)을 따르는 방향 및 세로 축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치아 본딩 패드(52)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결찰 구조물(53)은 와이어(16)를 고정시키고, 와이어의 상대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자가 결찰 구조물의 형태, 즉, 추가의 변형 또는 성분이 요구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커버(80)는 채널(54)의 주요부에 예를 들어, 화살표(86)로 나타낸 방향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화살표(86)의 횡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느슨하게 커플링시킬 수 있다. 커버(80) 또는 주요부 상의 하나 이상의 잠금 특징(도시되지 않음)들로 주요부에 대한 커버(80) 위치의 커플링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잠금 특징들은 접착제 또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양태에서, 각각의 측방향 부재(72, 74)는 결찰 구조물(53)의 주요부와 커버(80)와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놋치(notch; 72a, 74a)를 포함한다. 커버(80) 및 채널(54)의 주요 부가 커플링되면, 이들은 와이어(16)에 대한 치아 본딩 패드(52)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둘러싸는 폐쇄된 채널을 공동으로 한정한다(반대도 같음). 수용한 폐쇄된 채널의 크기 및 형상은 채널 내 와이어(16)의 이동을 세로 축(54a)의 횡방향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적어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폐쇄된 채널의 크기 및 형상은 유사하게 치아 본딩 패드(52)에 대한 와이어(16)의 이동을 세로 축(54a)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적어도 방해할 수 있다.
수용한 채널을 완전히 폐쇄된 채널로서 나타내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은 대안적으로 채널이 완전히 폐쇄된 것보다 다른 것일 수 있음을 즉시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는 않지만, 수용한 채널은 단지 실질적으로 폐쇄되어서, 즉, 와이어(16)가 도 5의 양태의 완전히 폐쇄된 채널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으로부터 제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 중의 하나의 양태를 참조하면, 본원에 나타낸 상기 양태가 예시적 채널(48, 54)을 통해 완전히 연장한 와이어(16)를 도시하지만, 와이어(16)는 대안적으로 단지 이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는 상응하는 치아 본딩 패드(각각 22 및 52)가 안의 와이어(16)와 잠기게 맞물리는 한, 채널(48, 64) 내에 수용된 교정 장치의 말단을 단지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채널(48, 54)은 어떠한 형태에서라도 나타낸 기하학적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평면 및/또는 아치형 표면의 어떠한 조합으로라도 한정된 어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바람직한 양태들을 기재하여 설명하였고, 이러한 양태들이 매우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본 출원인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 축소시키거나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추가의 이점 및 변형들이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즉시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사용자의 필요 및 선호에 따라 단독 또는 어떠한 조합으로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은 본원에서 공지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을 기재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가 단지 첨부된 청구의 범위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5)

  1. 본체; 및
    본체에 인접하고; 내부에 교정 장치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결찰 구조물(ligating structure)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적용(orthodontic application)을 위한 치아 본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결찰 구조물이 크림핑(crimping) 가능한 치아 본딩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채널이 실질적으로 폐쇄된 채널인 치아 본딩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결찰 구조물의 부분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커버가 채널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치아 본딩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결찰 구조물이 자가-결찰 구조물인 치아 본딩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채널이 세로 축을 한정하고, 결찰 구조물이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치아 본딩 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채널이 세로 축을 한정하고, 결찰 구조물이 세로 축의 횡방향으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치아 본딩 패드.
  8. 연장부를 갖는 교정 장치; 및
    치아에 커플링되고; 내부에 연장부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치아 본딩 패드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교정 장치가 와이어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하나인 치열교정용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결찰 구조물이 크림핑 가능한 치열교정용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결찰 구조물이 주요부; 및 채널을 한정하는 주요부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채널이 세로 축을 한정하고,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는 주요부와 커버가 커플링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13.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연장부를 가지고, 치열교정용 임플란트에 커플링되는 교정 장치; 및
    치아에 커플링되고; 내부에 연장부를 수용하고,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치아 본딩 패드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치열교정용 임플란트가 스크류(screw)인 치열교정용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교정 장치가 와이어 및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의 하나인 치열교정용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채널이 세로 축을 한정하고,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채널이 세로 축을 한정하고, 세로 축의 횡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교정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치열교정용 조립체.
  18. 본체; 및
    본체에 인접하고; 세로 축을 한정하고, 내부에 교정 장치를 수용하고, 세로 축을 따르는 방향 및 세로 축의 횡방향으로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결찰 구조물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적용을 위한 치아 본딩 패드.
  19. 치아 본딩 패드를 치아에 커플링시키고;
    치아 본딩 패드 내의 채널을 통해 교정 장치의 연장부를 삽입하며;
    교정 장치 주위의 채널을 패쇄시킴으로써 치아 본딩 패드에 대하여 교정 장치를 제한함을 포함하여, 치아에 치열교정용 교정 장치를 커플링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채널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채널의 축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으로부터 교정 장치를 제한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치아 본딩 패드의 한 부분을 크림핑함으로써 치아 본딩 패드 및 교정 장치가 서로에 대해 잠기게 맞물려짐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교정 장치의 연장부를 삽입하는 것이 채널을 통한 와이어 의 삽입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채널을 폐쇄하는 것이 치아 본딩 패드의 커버와 이의 다른 부분을 커플링시킴으로써 채널을 한정함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커버를 커플링하는 것이 치아 본딩 패드의 다른 부분과 커버를 미끄러질 수 있게 커플링함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09425A 2006-10-10 2007-10-10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 KR20090080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062406P 2006-10-10 2006-10-10
US60/850,624 2006-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15A true KR20090080515A (ko) 2009-07-24

Family

ID=39008036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422A KR20090085619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치료 조립체
KR1020097009335A KR20090080513A (ko) 2006-10-10 2007-10-10 임플란트에 적합한 스위블을 갖는 치열교정용 보조 장치
KR1020097009425A KR20090080515A (ko) 2006-10-10 2007-10-10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
KR1020097007386A KR20090059154A (ko) 2006-10-10 2007-10-10 임플란트를 배치하고 조이기 위한 이중 옵션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KR1020097009410A KR20090077945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리트랙션 아치 및 스프링
KR1020097009328A KR20090077067A (ko) 2006-10-10 2007-10-10 텔레스코핑 가능한 부분, 크림핑 가능한 부분 및 맞물리는 부분을 가진 교정기 조립체 및 관련 방법
KR1020097009332A KR20090084857A (ko) 2006-10-10 2007-10-10 크림핑 가능한 부분을 갖는 치열교정용 아이릿 및 관련 방법
KR1020097009412A KR20090085618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전치 개방-교합 스플린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422A KR20090085619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치료 조립체
KR1020097009335A KR20090080513A (ko) 2006-10-10 2007-10-10 임플란트에 적합한 스위블을 갖는 치열교정용 보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386A KR20090059154A (ko) 2006-10-10 2007-10-10 임플란트를 배치하고 조이기 위한 이중 옵션 치열교정용 임플란트 드라이버
KR1020097009410A KR20090077945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리트랙션 아치 및 스프링
KR1020097009328A KR20090077067A (ko) 2006-10-10 2007-10-10 텔레스코핑 가능한 부분, 크림핑 가능한 부분 및 맞물리는 부분을 가진 교정기 조립체 및 관련 방법
KR1020097009332A KR20090084857A (ko) 2006-10-10 2007-10-10 크림핑 가능한 부분을 갖는 치열교정용 아이릿 및 관련 방법
KR1020097009412A KR20090085618A (ko) 2006-10-10 2007-10-10 치열교정용 전치 개방-교합 스플린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29766A1 (ko)
EP (1) EP2073747A1 (ko)
KR (8) KR20090085619A (ko)
CN (7) CN101636123A (ko)
RU (1) RU2009117651A (ko)
WO (1) WO2008045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2028A1 (en) * 2007-01-25 2008-07-31 Tini Alloy Company Frangible shape memory alloy fire sprinkler valve actuator
US8584767B2 (en) * 2007-01-25 2013-11-19 Tini Alloy Company Sprinkler valve with active actuation
US8007674B2 (en) 2007-07-30 2011-08-30 Tini Alloy Company Method and devices for preventing restenosis in cardiovascular stents
WO2009073609A1 (en) * 2007-11-30 2009-06-11 Tini Alloy Company Biocompatible copper-based single-crystal shape memory alloys
KR101129111B1 (ko) * 2010-04-01 2012-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기구
WO2011129504A1 (ko) * 2010-04-16 2011-10-20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치과용 리트랙터
KR101094139B1 (ko) * 2010-04-16 2011-1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교정기구
JP6032874B2 (ja) 2010-08-24 2016-11-30 オームコ コーポレーション 形状記憶合金歯科用アーチの形状設定
KR101212556B1 (ko) 2012-01-31 2012-12-14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치아 교정용 고정체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124197B2 (en) 2012-08-31 2018-11-13 TiNi Allot Company Fire sprinkler valve actuator
US11040230B2 (en) 2012-08-31 2021-06-22 Tini Alloy Company Fire sprinkler valve actuator
EP2914200B1 (en) 2012-10-30 2019-05-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AU2013205285B2 (en) * 2013-02-25 2015-10-22 Ultradent Products, Inc. Force module for class II and class III correction and releasable distal connector for force module
KR102211376B1 (ko) * 2013-09-06 2021-02-02 오름코 코포레이션 치아교정 기구와,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CN103876852B (zh) * 2014-04-21 2016-04-13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可调式口腔正畸开口器
CN110177521A (zh) 2016-12-02 2019-08-27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用于托槽放置的间接正畸粘结系统和方法
DE102017012032A1 (de) * 2016-12-27 2018-08-16 Winfried Schütz Orthodontische Regulierungsvorrichtung
EP4279020A3 (en) 2017-01-31 2024-01-24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CN110740704B (zh) 2017-04-21 2021-10-29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间接粘接托盘、非滑动正畸矫正器和使用其的配准系统
TWI642415B (zh) * 2017-11-21 2018-12-01 羅秋美 Lingual anterior traction device
EP3986324A1 (en) * 2019-07-08 2022-04-27 Hamm, Susan, E. Dental system for symmetry of jaw, palate, and teeth
TWI709391B (zh) * 2020-04-08 2020-11-11 柯百俞 牙齒矯正附件裝置
KR102240035B1 (ko) * 2021-01-21 2021-04-13 김주열 탈장착이 용이한 치과 교정기구용 클래스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547A (en) * 1975-04-03 1976-10-26 Dan Moss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US4268250A (en) * 1977-05-18 1981-05-19 Reeve James J Orthodontic appliance
US4818226A (en) * 1987-09-18 1989-04-04 Lancer Pacific Orthodontic archwire
US5112221A (en) * 1990-07-12 1992-05-12 Terry Sally J Extrusion spring arm
US5174753A (en) * 1990-07-24 1992-12-29 Wool Arthur L Orthodontic arch wire having a non-symmetrical trapezoidal cross-section
US5871350A (en) * 1994-04-29 1999-02-16 Rmo, Inc. Lingual orthodontic assembly for arch development and component parts useful therewith
US5853291A (en) *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US6193509B1 (en) * 1998-04-02 2001-02-27 John Devincenzo Bony anchor extender
FR2778330B1 (fr) * 1998-05-05 2000-11-17 Jean Jacques Aknin Appareil pour le traitement orthodontique
DE10003885A1 (de) * 2000-01-29 2001-08-02 Al Kabbani Ayman Eine Vorrichtung zur 3 dimensionalen Kontrolle der Wirkungen von "KL II Gummizügen" im Oberkiefer in der Kieferorthopädie
BE1013760A6 (nl) *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JP3486814B2 (ja) * 2001-10-12 2004-01-13 三郎 山本 歯列矯正用ワイヤ部材およびワイヤ切断工具
US20070196781A1 (en) * 2006-02-22 2007-08-23 Under Dog Media, Lp Orthodontic closed coil spr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264607A1 (en) * 2006-05-10 2007-11-15 Oscar Olavarria Landa System and process for three dimensional teeth movements using a spring retained device attached to an orthodontic micro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13A (ko) 2009-07-24
WO2008045937A1 (en) 2008-04-17
KR20090084857A (ko) 2009-08-05
KR20090077945A (ko) 2009-07-16
CN101636123A (zh) 2010-01-27
KR20090085618A (ko) 2009-08-07
CN101652110A (zh) 2010-02-17
KR20090077067A (ko) 2009-07-14
CN101631510A (zh) 2010-01-20
RU2009117651A (ru) 2010-11-20
KR20090059154A (ko) 2009-06-10
CN101662996A (zh) 2010-03-03
US20100129766A1 (en) 2010-05-27
CN101657167A (zh) 2010-02-24
CN101646398A (zh) 2010-02-10
KR20090085619A (ko) 2009-08-07
CN101631509A (zh) 2010-01-20
EP2073747A1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0515A (ko) 와이어 유지부를 갖는 치아 본딩 패드 및 관련 방법
CA3018850C (en) Orthodontic bracket
EP2378997B1 (en) A device for fixing orthodontic devices
JP4607020B2 (ja) 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US20100092903A1 (en) Tooth bonding pad with wire retaining portions and related methods
US7857618B2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US20210267725A1 (en) Self-Ligating Bracket
EP2214583B1 (en)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holder
US7845940B2 (en) Orthodontic apparatus with self-ligating bracket and locking device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JPH0371896B2 (ko)
US6168429B1 (en) Orthodontic bracket insert
JP2014512852A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7775793B2 (en) Orthodontic bracket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WO2012113804A1 (en) Modular orthodontic bracket system
JP2019529005A (ja) コプラナー・スプリングを備えた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EP1333769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