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307A - 열병합 발전기 - Google Patents

열병합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307A
KR20090080307A KR1020080006194A KR20080006194A KR20090080307A KR 20090080307 A KR20090080307 A KR 20090080307A KR 1020080006194 A KR1020080006194 A KR 1020080006194A KR 20080006194 A KR20080006194 A KR 20080006194A KR 20090080307 A KR20090080307 A KR 2009008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heat
fluid
exhaust gas
heat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준
이재원
장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0307A/ko
Publication of KR2009008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7/00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01K17/02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for heating purposes, e.g. industrial, dome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유체가 상기 엔진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와;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여, 엔진 냉각 열교환기가 필요없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열전달부로 전달되는 열의 회수량이 높은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80006194
열병합 발전기, 발전기, 엔진, 열회수부, 열전달부, 펌프

Description

열병합 발전기{Co-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가 엔진을 직접 통과하면서 엔진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열 전달부로 전달하는 열병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화석 연료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 후 생산된 전력을 조명 등의 전력 소비처로 공급하고, 전력 생산시 발생된 열을 열 소비처에 이용하는 기기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16387호에는 엔진과;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엔진 냉각용 열교환기와;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 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엔진 냉각 열교환기와 배기가스 열교환기의 열을 열수요처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엔진에는 엔진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가 엔진 냉각용 열교환기로 열을 전달한 후 다시 상기 엔진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엔진 냉각용 열교환기와 냉각수 순환 유로로 연결되고, 엔진과 엔진 냉각용 열교환기와 냉각수 순환 유로 중 일측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펌프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냉각수가 엔진과 엔진 냉가용 열교환기를 순환하면서 엔진의 열을 엔진 냉각 열교환기로 전달하고, 열매체가 엔진 냉각 열교환기와 열수요처로 순환하면서 엔진 냉각 열교환기로 전달된 열을 다시 열수요처로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엔진을 방열시키면서 엔진의 열을 열수요처로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엔진 냉각 열교환기와 냉각수 순환 유로와 냉각수 순환 펌프가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에서 회수된 열 중 일부가 엔진 냉각 열교화기에서 일부 방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므로, 열의 회수율이 낮고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냉각 열교환기가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컴팩트화가 가능한 열병합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달부로 전달되는 열의 회수량이 높은 열병합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의 전체 양정이 높고 비상 운전이 가능한 열 병합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유체가 상기 엔진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와;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한다.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도록 상기 엔진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보조 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펌프는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엔진의 축과 풀리 연결된다.
상기 열병합 발전기는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열전달부를 연결하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회수부에서 회수된 방열시키는 방열부와;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로 물을 가열하는 급탕부와; 상기 방열부와 급탕부로 흐르는 유체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는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조절밸브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유체가 상기 엔진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와;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도록 상기 엔진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열전달부를 연결하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보조 펌프와; 상기 보조펌프의 입구와 상기 엔진-열전달부 연결유로를 잇는 엔진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열회수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엔진을 직접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므로, 별도의 엔진 냉각 열교환기 등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열회수부가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와, 엔진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와,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와 엔진 열회수 유로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를 포함하여, 배기가스 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체가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를 통해 엔진으로 직접 유입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보조 펌프를 더 포함하여, 펌프와 보조 펌프의 전체 양정이 증대되므로, 충분한 양정으로 유체를 펌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보조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엔진의 축과 풀리 연결되어, 펌프의 고장시에도 보조 펌프가 열병합 발전기를 비상 운전시킬 수 있고, 보조 펌프에 별도의 모터를 설치할 경우 보다 구조 및 제어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열전달부 특히 조절밸브를 연결하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하여, 엔진을 통과한 유체가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를 통해 열전달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2)와; 발전기(2)를 구동시키는 엔진(4)과; 열전달 유체(이하, 유체라 칭함)가 엔진(4)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20)와; 열회수부(20)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30)와;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50)와, 유체가 열회수부(20)와 열전달부(30)와 펌프(50)를 순환되도록 열회수부(20)와 열전달부(30)와 펌프(50)를 연결하는 유체 순환 연결 유로(60)를 포함한다.
발전기(2)는 엔진(4)에 의해 구동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기기로서, 엔진(4)의 출력축에 회전자가 연결되어 출력축의 회전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전력선을 통해 열병합 발전기가 설치된 건물 내의 조명이나 가전기기 등의 전력 소비기기로 공급한다.
발전기(2)에서 발전된 전력은 전력선을 통해 전력 소비기기로 직접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고, 배터리(3)에 축전된 후 배터리(3)에서 전력 소비기기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엔진(4)은 가스 또는 석유 등 화석 연료로 구동되어 발전기(2)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 주입구(6)와, 엔진(4)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7)와, 엔진(4)에서 배기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구(8)가 설치된다.
열회수부(20)는 유체가 엔진(4)을 직접 통과하면서 엔진의 열 특히 엔진 동체의 열을 회수한다.
열회수부(20)는 유체가 엔진(4)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22)와, 유체가 엔진(4)을 직접 통과하도록 엔진(4)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23)와,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와 엔진 열회수 유로(23)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24)를 포함한다.
즉, 열회수부(20)는 유체가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24)를 지나 엔진 열회수 유로(23)를 통과하면서 엔진 동체의 열을 재차 회수한다.
한편, 배기가스 열교환기(22)는 엔진(4)의 배기구(8)에 복수개 설치될 경우, 배기가스 열교환기(22) 각각에 형성된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는 배기가스 열교환기 연결 유로(25)로 연결된다.
열전달부(30)는 열회수부(20)에서 회수된 열이 전달되어 외부로 방열되거나 급탕 등에 이용되거나 공기조화기의 냉매를 응축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유체의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부(31)와, 유체의 열로 물을 가열하는 급탕부(35)와, 방열부와 급탕부로 흐르는 유체를 조절하는 조절밸브(4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방열부(31)는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 열교환기(32)를 포함한다.
방열 열교환기(32)는 유체가 통과하는 방열 열전달 유로(33)가 형성되다.
방열 열교환기(32)는 유체에서 전달되는 열을 물 등의 냉각수에 의해 수냉식으로 냉각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에 의해 공랭식으로 냉각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공랭식으로 냉각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방열부(31)는 방열 열교환기(32) 주변에 설치되어 방열 열교환기(32)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방열 팬(34)를 더 포함한다.
급탕부(35)는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물로 전달하는 급탕 열교환기(36)를 포함한다.
급탕 열교환기(36)는 유체에서 전달된 열로 급탕 등에 이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통과하는 급탕 열전달 유로(37)와 물이 통과하는 물 가열 유로(38)가 형성되고, 물 가열 유로(38)에는 급탕 기구(40)가 연결된다.
급탕 기구(40)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급탕조(41)와, 급탕조(41)의 물이 급탕 열교환기(35)의 물 가열 유로(38)와 급탕조(41)를 순환하도록 급탕 열교환기(36)의 물 가열 유로(38)와 급탕조(41)를 연결하는 급탕 순환 유로(42)와, 급탕 순환 유로(42)에 설치되어 급탕조(41)의 물을 급탕 열교환기(36)의 물 가열 유로(38)로 펌핑 순환시키는 급탕 펌프(43)를 포함한다.
조절밸브(44)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유체가 선택적으로 방열 열교환기(32)의 방열 열전달 유로(33)와 급탕 열교환기(36)의 급탕 열전달 유로(37)로 흐르게 하거나, 유체가 동시에 방열 열교환기(32)의 방열 열전달 유로(33)와 급탕 열교환기(36)의 급탕 열전달 유로(37)로 흐르도록 조절하고, 삼방변으로 이루어진다.
조절밸브(44)는 방열 열교환기(32)의 방열 열전달 유로(33)와 조절배르-방열 열교환기 연결 유로(45)로 연결되고, 급탕 열교환기(36)의 급탕 열전달 유로(37)와 조절밸브-급탕 열교환기 연결 유로(46)로 연결된다.
열전달부(30)는 방열 열교환기(32)의 방열 열전달 유로(33) 출구에 연결된 방열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7)와, 급탕 열교환기(36)의 급탕 열전달 유로(37) 출구에 연결된 급탕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8)를 더 포함하고, 방열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7)와 급탕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8)는 합지되게 연결된다.
펌프(50)는 열전달부(30)를 통과한 유체가 펌프(50)와 열회수부(20)와 열전달부(30)를 순환하도록 유체를 작동시킨다.
유체 순환 연결 유로(60)는 방열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7)와 급탕 열교환기 출구 연결 유로(48)의 연결부(49)와, 펌프(50)의 입구를 연결하는 펌프 입구 유로(61)와, 펌프(50)의 출구와 열회수부(20) 특히 배기가스 열교환기(22)의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 사이의 펌프 출구 유로(62)를 포함한다.
유체 순환 연결 유로(60)는 열회수부(20)의 출구 특히, 엔진 열회수 유로(23) 출구와 열전달부(30) 특히 조절밸브(44) 사이의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63)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열회수부(20) 출구의 온도를 감지하는 회수출구 온도센서(90)와; 급탕 열교환기(36)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급탕입구 온도센서(92)와; 회수출구 온도센서(90)와 급탕입구 온도센서(92)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방열팬(34)과 조절밸브(44)를 제어하는 제어부(94)를 더 포함한다.
회수출구 온도센서(90)는 엔진 열회수 유로(23) 출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엔진(4)과 조절밸브(63) 사이인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63)에 설치되고, 제어부(94)와 신호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급탕입구 온도센서(92)는 저탕조(41) 내부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저탕조(41)에서 급탕 열교환기(36)의 물 가열 유로(38)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 는 것으로서, 저탕조(41)에 설치되거나 급탕 순환 유로(42) 중 급탕 열교환기(36)의 물 가열 유로(38)와 급탕 펌프(43) 사이 부분에 설치되며, 이하 급탕 순환 유로(42) 중 급탕 열교환기(36)와 급탕 펌프(43) 사이 부분에 설치되되 특히 후술하는 섀시(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제어부(92)와 신호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발전기(2)와, 엔진(4)과, 열회수부(20)와, 열전달부(40)와, 유체 순환 연결유로(60)와, 회수출구 온도 센서(90)와, 급탕입구 온도센서(92)와, 제어부(94)가 하나의 샤시(100)에 설치되어 하나의 열병합 발전 유닛을 구성하고, 급탕조(41)는 샤시(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열병합 발전 유닛 특히, 급탕 열교환기(36)와 급탕 순환 유로(42)로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94)가 엔진(4)을 구동시키면, 발전기(2)는 엔진(4)에 의해 구동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3)에 축전되거나 전력 소비기기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엔진(4)의 구동시, 엔진(4)의 동체는 가열되고, 배기가스 열교환기(22)는 배기구(8)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이 전달되어 가열된다.
제어부(94)는 엔진(4)의 구동시 펌프(66)를 구동시키고, 유체는 펌프 출구 유로(62)를 통과하여, 열회수부(20)로 유입된다. 유체는 배기가스 열교환기(22)의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21)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 열교환기(22)의 열을 회수하고, 이후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24)를 통과하여 엔진(4) 동체로 이동되며, 엔진 열회수 유로(23)를 통과하면서 엔진(4) 동체의 열을 직접 회수한다.
상기와 같이 열회수부(20)의 열을 회수한 유체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63)를 통해 열전달부(30)로 이동되고, 이후 열전달부(30)로 열을 전달한 후 펌프 입구 유로(61)를 통해 펌프(50)로 순환된다.
한편, 제어부(94)는 회수출구 온도센서(90)에서 감지된 온도와 급탕입구 온도센서(92)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조절밸브(44)와 방열 팬(34)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회수출구 온도센서(90)에서 감지된 온도가 방열 설정온도(T1) 이상이면, 조절밸브(66)를 방열 열교환기 공급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방열팬(34)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열 모드시, 유체는 조절밸브(66)와 조절밸브-방열 열교환기 연결 유로(45)를 차례로 통과한 후 방열 열교환기(32)의 방열 열전달 유로(33)를 통과하면서 회수된 열을 방열 열교환기(32)로 전달하고, 이때 방열 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방열 열교환기(32)를 방열시킨다. 한편, 방열 열전달 유로(33)를 통과한 유체는 방열 열교환기 출구 유로(47)를 통과하여 펌프 입구 유로(61)로 이동된다.
즉, 상기와 같은 유체의 순환시 유체는 배기가스 열교환기(22)와 엔진(4) 동체를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열은 방열 열교환기(32)에서 방열되며, 엔진(4) 등은 과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계속 구동되게 된다.
반면에, 회수출구 온도센서(90)에서 감지된 온도가 방열 설정온도(T1) 미만 이고, 회수출구 온도센서(9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급탕입구 온도센서(92)에서 감지된 온도 보다 설정치 이상 높으면, 조절밸브(66)를 급탕 열교환기 공급 모드로 제어함과 아울러 방열팬(34)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급탕 모드시, 유체는 조절밸브(66)와 조절밸브-급탕 열교환기 연결 유로(46)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탕 열교환기(36)의 급탕 열전달 유로(37)를 통과하면서 회수된 열을 급탕 열교환기(36)로 전달하고, 이때 급탕 열교환기(36)의 물 가열 유로(38)를 통과하는 물은 급탕 열교환기(36)에 의해 가열된다. 한편, 급탕 열전달 유로(37)를 통과한 유체는 방열 열교환기 출구 유로(48)를 통과하여 펌프 입구 유로(61)로 이동된다.
즉, 상기와 같은 유체의 순환시 유체는 배기가스 열교환기(22)와 엔진(4) 동체를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열은 급탕 열교환기(36)에서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며, 엔진(4) 등은 과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계속 구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체의 순환시, 유체는 별도의 엔진 냉각 열교환기를 통해 엔진(4)을 전달받지 않고, 엔진(4)의 열을 직접 회수하므로, 엔진 냉각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전달받는 경우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급탕조(41)의 물 온도는 보다 상승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회수부(20)와 열전달부(30)와 펌프(50)를 순환하는 유체의 양정을 증가시키는 보조 펌프(102) 를 포함한다.
보조 펌프(102)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24)에 설치된다.
보조 펌프(102)는 펌프(50)와 용량이 동일한 것도 가능하고, 펌프(50)보다 용량이 작은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조 펌프(102)는 펌프(50)와 같이 제어부(94)에 의해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고, 엔진(4)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펌프(102)는 엔진(4)과 연동될 경우, 펌프(50)의 고장시에도 열병합 발전기가 비상 운전되게 할 수 있고, 엔진(4)에 의해 구동되도록 엔진(4)의 축과 풀리 및 벨트의 동력전달기구(104)로 연결된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펌프(102)의 입구와 엔진-열전달부 연결유로(63)를 잇는 엔진 바이패스 유로(110)를 포함하고,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펌프(102)와 엔진 바이패스 유로(110)를 포함하고 보조펌프(102)가 펌프(50)와 동일 용량인 경우 열병합 발전기를 순환하는 유체의 유량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기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발전기 3: 배터리
4: 엔진 8: 배기구
20: 열회수부 21: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
22: 배기가스 열교환기 23: 엔진 열회수 유로
24: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
30: 열전달부 31: 방열부
32: 방열 열교환기 33: 방열 열전달 유로
34: 방열 팬 35: 급탕부
36: 급탕 열교환기 37: 급탕 열전달 유로
38: 물 가열 유로 40: 급탕기구
44: 조절밸브
45: 조절밸브-방열 열교환기 연결 유로
46: 조절밸브-급탕 열교환기 연결 유로
47: 방열 열교환기 출구 유로 48: 급탕 열교환기 출구 유로
50: 펌프 60: 유체 순환 연결 유로
61: 펌프 입구 유로 62: 펌프 출구 유로
63: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 90: 회수출구 온도센서
92: 급탕입구 온도센서 94: 제어부
100: 보조펌프 104: 동력전달기구
110: 엔진 바이패스 유로

Claims (8)

  1.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유체가 상기 엔진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와;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면서 열을 회수하는 열병합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도록 상기 엔진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보조 펌프를 더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펌프는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엔진의 축과 풀리 연결된 열병합 발전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병합 발전기는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열전달부를 연결하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회수부에서 회수된 방열시키는 방열부와;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회수부에서 회수된 열로 물을 가열하는 급탕부와,
    상기 방열부와 급탕부로 흐르는 유체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는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조절밸 브를 연결하는 열병합 발전기.
  8.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엔진과;
    유체가 상기 엔진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와;
    상기 열회수부의 열을 회수한 유체가 통과하면서 회수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유체를 작동시키는 펌프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를 갖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유체가 상기 엔진을 직접 통과하도록 상기 엔진에 형성된 엔진 열회수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회수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와;
    상기 엔진 열회수 유로 출구와 상기 열전달부를 연결하는 엔진-열전달부 연결 유로와;
    상기 배기가스 열교환기-엔진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보조 펌프와;
    상기 보조펌프의 입구와 상기 엔진-열전달부 연결유로를 잇는 엔진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열병합 발전기.
KR1020080006194A 2008-01-21 2008-01-21 열병합 발전기 KR20090080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94A KR20090080307A (ko) 2008-01-21 2008-01-21 열병합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94A KR20090080307A (ko) 2008-01-21 2008-01-21 열병합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307A true KR20090080307A (ko) 2009-07-24

Family

ID=4129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94A KR20090080307A (ko) 2008-01-21 2008-01-21 열병합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0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382B2 (en) Cogeneration system
KR101294737B1 (ko) 열병합 발전시스템
US7240504B2 (en) Cogeneration system
KR20080009952A (ko) 코제너레이션
KR101173746B1 (ko)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57471B1 (ko)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KR100644828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591320B1 (ko)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냉난방 장치
KR101518381B1 (ko) 열병합 발전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64482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5231932B2 (ja) 燃料電池の冷却システム
KR20090080307A (ko) 열병합 발전기
KR10062935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638225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76086A (ko) 열병합 발전기
KR20080008776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090075528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4257B1 (ko) 열병합 발전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6400A (ko) 열병합 발전기
KR101507440B1 (ko) 열병합 발전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470546B1 (ko) 열병합 발전기
KR20090076085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100029550A (ko) 열병합 발전기
KR100701960B1 (ko) 열병합 발전시스템
KR10150210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