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507A -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507A
KR20090079507A KR1020080005533A KR20080005533A KR20090079507A KR 20090079507 A KR20090079507 A KR 20090079507A KR 1020080005533 A KR1020080005533 A KR 1020080005533A KR 20080005533 A KR20080005533 A KR 20080005533A KR 20090079507 A KR20090079507 A KR 2009007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세혁
이상우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폴리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다임 filed Critical (주)폴리다임
Priority to KR102008000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507A/ko
Publication of KR2009007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이동통신 사용자들간에 단문 메시지를 요청하고 송수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며 가상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정보가 필요하거나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 자신이 모르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요청하거나 단문 메시지 보내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로 상대방에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지 웹상의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은 장소가 고정된 컴퓨터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수시로 체크해야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에 의하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일단 요청한 후에 외출하여 이동하면서 휴대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훈문, 가상 번호, 문자 메시지, 단문 메시지, SMS

Description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obile warm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virtual cod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이동통신 사용자들간에 단문 메시지를 요청하고 송수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며 가상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10대들 사이에서 임의의 상대방과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훈문 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즉,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자신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글을 게시판에 올리면, 임의의 타인이 해당 글을 읽고 글을 올린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는, 누군가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싶어하는 사람이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싶다는 글을 게시판에 올리면, 해당 글을 읽은 타인이 게시판에 자신의 휴대 폰 번호를 남겨 문자 메시지를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훈문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인터넷 게시판 상에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노출시켜야하며 익명의 상대방 간에 이루어지는 훈문의 본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휴대폰 번호 노출로 인해 익명이 보장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노출되는 불특정 다수의 휴대폰 정보는 최근 갈수록 문제가 심각해지는 스팸 문자의 타겟으로 악용될 소지가 크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상대방에게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임의의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 발신을 요청하거나 자신이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으로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재전송하고,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SMS 센터;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하고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아 게시판 영역에 등록하며, 상기 SMS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설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한 후 상기 SMS 센터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동일 이동통신망 내의 SMS 센터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SMS 센터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간에 단문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1) 서비스 제공 서버가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2)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고,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SMS 센터가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설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하는 단계; (5)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재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6) 상기 SMS 센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상대방에게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임의의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 발신을 요청하거나 자신이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정보가 필요하거나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 자신이 모르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요청하거나 단문 메시지 보내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로 상대방에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지 웹상의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은 장소가 고정된 컴퓨터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수시로 체크해야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에 의하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일단 요청한 후에 외출하여 이동하면서 휴대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훈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20), 인터넷(30), 서비스 제공 서버(40),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 컴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훈문 서비스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과 단문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 타 이동통신망(60) 및 타 이동통신망(60)에 무선 접속 가능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가 추가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으로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휴대폰을 의미하며, 훈문 서비스 사용자는 훈문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20)은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으로서 인터넷(3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와 연결되며, 훈문 서비스에 해당되는 단문 메시지를 서비 스 제공 서버(40)로 우선 보내어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를 변환한 후에 본래의 착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의 착신자가 타 이동통신망(60)의 휴대폰인 경우에는 타 이동통신망과 연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동통신망(20)은 크게 SMS 센터(21), 게이트웨이(22),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MS 센터(21)는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발신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수신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므로, 단문 메시지의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여러차례 재시도한다.
이때, SMS 센터(21)에서는 훈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를 체크하여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인지를 체크한다. 예컨대, 번호 앞에 별표('*')를 붙이거나 훈문 서비스임을 알 수 있는 3 ~ 5 자리의 숫자를 붙이는 등의 방식으로 훈문 서비스 번호임을 사전에 약속해서 등록해둘 수 있다.
SMS 센터(21)에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를 체크한 결과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로 판별되면 가상 착신번호의 실제 착신번호를 알지 못하므로 단문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40)로부터 실제 착신번호가 실려있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실제 착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착신번호가 복원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때, SMS 센터(21)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가 타 이동통신망(60)의 번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23)를 통해 타 이동통신사의 SMS 센터(61)로 전송한다. 타 이동통신망간 단문 메시지 전송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2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22)(62)는 이동통신망(20)(60)과 인터넷(30)을 연결하여 통합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준다. 따라서, 게이트웨이(22)는 동일 이동통신망 내의 SMS 센터(21)와 연결되는 동시에 인터넷(3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40)와 연결되므로 SMS 센터(21)와 서비스 제공 서버(40) 간에 단문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23)는 서로 다른 이동통신사에 속한 이동통신망 간에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해주는 장치로서, SMS 센터(21)가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타 이동통신망(60)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70)로 보내지는 경우에는 SMS 센터(21)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제공받아 타 이동통신망(60)의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63)로 전송한다. 그리고, 타 이동통신망(60)의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63)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SMS 센터(61)로 전송한 후 최종 착신자인 이동통신 단말기(70)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의 타 이동통신망간 전송이 이루어진다.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훈문 서비스를 인터넷(30)을 통해 제공하는 서버로서, 개인 컴퓨터(50)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접속하여 아이디, 패스워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등을 입력하여 사용자 등록을 하면 등록된 사용자의 이 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한다. 가상 번호의 부여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번호를 직접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번호와 가상 번호의 테이블을 따로 구비할 필요없이 실제 번호를 가상 번호로 변환하는 수학공식을 구비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개인 컴퓨터(50) 사용자가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면 웹사이트 화면을 통해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며, 등록 사용자의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아 게시판 영역에 등록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훈문 서비스란 서로 알지 못하는 이동통신 사용자들 간에 단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며 사용자들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는 상대방에게 은폐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임의의 누군가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받기를 원하는 등록 사용자가 훈문 받기 요청 메뉴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게시판에 올리면 다른 사용자가 게시판의 메시지를 보고 훈문 받기 서비스 요청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누군가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내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게시판에 올리면 다른 사용자가 서브 메뉴를 통해 자신이 단문 메시지를 받겠다는 의사 표시로서 훈문 받기 요청을 올릴 수 있다. 그러면, 처음에 훈문 보내기 요청 메시지를 올린 사용자가 게시판을 본 후에 훈문 받기 요청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할 수 있다.
이상의 훈문 받기 요청 메뉴 화면과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 화면 및 각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게시판 상에서 각 사용자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는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사전에 부여된 가상 번호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훈문 서비스 사용자는 상대방의 가상 번호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면 된다.
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전달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SMS 센터(21)로부터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예컨대, "*"+"7자리 번호"와 같이 사전에 약속된 훈문 서비스 가상 번호 형식을 SMS 센터(21)가 체크하여 해당 단문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40)로 보낸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설정하고,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한 후 SMS 센터(21)로 전송한다.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가상 번호의 조합은 서비스 제공 서버(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는 미리 설정된 가상 번호 산출 수학공식을 역으로 적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번호를 산출해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가 훈문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한다(ST10). 즉 ,훈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개인 컴퓨터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을 하며,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등록시에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가상 번호는 사용자가 훈문 서비스 등록시에 기존의 가상 번호와 중복되지 않도록 원하는 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임의로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훈문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상 번호를 저장하는 대신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번호를 가상 번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학 공식만 갖추어둠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만 가상 번호를 산출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등록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미리 부여된 가상 번호를 훈문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T20). 따라서, 훈문 서비스 화면을 통해서는 사용자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노출되지 않고 가상 번호만을 표시한다. 등록 사용자가 훈문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훈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는 훈문 서비스 게시판을 통해 서비스 요청자의 가상 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가상 번호를 착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의 전송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인터넷 상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임의의 훈문 서비스 사용자가 훈문을 받기 를 원하는 사용자의 가상 번호를 착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다(ST30).
그 다음으로, SMS 센터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훈문 서비스 제공 업체와 미리 약속된 기준을 통해 단문 메시지에 실린 착신번호가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인지를 판별한다. 예컨대, "*4200104"와 같이 "*"+"7자리 번호"의 형식으로 구성된 착신번호의 호를 입력받으면 훈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가상 착신번호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SMS 센터가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로 판정되면(ST40),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 변환 과정을 거치기 위해 SMS 센터가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T50). 그러나, 가상 착신번호가 아니라면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예전대로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가 SMS 센터로부터 가상 착신번호가 실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단문 메시지의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설정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에 실린 발신번호를 실제 발신번호이므로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한다(ST60). 이상의 실제 번호와 가상 번호의 대체 과정은 앞서 가상 번호 부여 단계(ST10)에서 미리 설정된 가상 번호를 참조하거나 가상 번호 수학 공식을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단문 메시지가 재생성되어 착신번호가 복원되고 발신번호가 은폐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재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SMS 센터로 전송한다(ST70).
그러면 마지막으로, SMS 센터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재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에 실린 실제 착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T80). 이때, 타 이동통신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훈문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ST2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ST21), 훈문 서비스를 요청하고 게시판에 글을 올릴 수 있는 훈문 서비스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ST22). 훈문 서비스 메뉴 화면에는 훈문 받기 요청 메뉴 및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 등이 모두 포함된다.
만약, 사용자가 훈문 받기 요청 메뉴를 선택했다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훈문 서비스 화면을 통해 훈문 받기 요청 메뉴를 제공한다(ST23).
그리고,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를 게시판에 등록하고(ST24),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게시판에 등록된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T25).
앞서 메뉴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가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를 선택했다면, 서 비스 제공 서버가 훈문 서비스 화면을 통해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를 제공한다(ST26).
그리고,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훈문 보내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를 게시판에 등록하고(ST27), 타등록 사용자가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브 메뉴를 제공한다(ST28).
그러면, 훈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등록 사용자가 게시판에 등록된 훈문 보내기 요청 메시지를 본 후 서브 메뉴를 통해 자신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게시판에 이를 등록하고, 타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ST29).
도 4는 도 2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 및 발송하는 경우(ST3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등록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문 메시지에 들어갈 메시지 내용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그리고 단문 메시지를 받을 상대방의 가상 착신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ST31).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는 일련의 단문 메시지 재생성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문 메시지에 실린 발신번호는 발신자의 실제 발신번호이므로 이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가상 발신번호로 대체한다(ST32).
그리고, 단문 메시지에 실린 착신번호는 착신자의 실제 착신번호가 아닌 가상 착신번호이므로, 미리 설정된 정보를 통해 가상 착신번호를 실제 착신번호로 대체한다(ST33).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가 은폐되고 착신번호가 복원되면 재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SMS 센터로 전송한다(ST34). 이후 과정은 SMS 센터에서 단문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전송 과정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2에서 SMS 센터에서 타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ST8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SMS 센터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T81).
이때, SMS 센터가 단문 메시지에 실린 착신번호를 통해 타 이동통신망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인지를 판별한다(ST82). 예컨대,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 앞자리 숫자를 인식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가 타 이동통신망의 번호인 경우에는(ST83),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로 전송한다(ST84).
그러면,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는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타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로 전송하며, 타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자신이 속한 이동통신망의 SMS 센터로 전송한다(ST85).
마지막으로, 타 이동통신사의 SMS 센터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단문 메시지에 실린 착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 지의 전달이 완성된다(ST8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훈문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의 메인화면 예시도이다.
훈문 서비스 제공 메인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주요 메뉴는 화면 상단에 표시된 '문자 받고싶어요', '문자 보내줄께요', '문자 카테고리', '나의 정보설정', '스팸 신고게시판', '이벤트/공지사항'의 6개의 메뉴로 크게 구성된다.
'문자 받고싶어요' 메뉴는 단문 메시지 수신 신청, 수신 희망 메시지의 종류 및 카테고리 설정, 수신 희망 메시지 건수 및 결제, 지인에게 조르기 등의 서브 메뉴가 포함된다.
그리고, '문자 보내줄께요' 메뉴는 단문 메시지 발신 희망 등록 메뉴, 발신 희망 메시지 종류 및 카테고리 설정, 발신 희망 메시지 건수 등록, 지인에게 메시지 보내기 등의 서브 메뉴가 포함된다.
그 밖에, '문자 카테고리' 메뉴를 통해서는 카테고리별로 문자 템플릿을 고를 수 있으며, '나의 정보 설정' 메뉴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가상 번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인 네트워크 관리를 통해 지인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도 6의 메인화면을 살펴보면, ①에는 사용자들이 글 등록시에 입력한 카테고리를 표시하며, 클릭시 문자 카테고리 검색 결과 화면을 보여준다.
②와 ③에는 수신 및 발신 상위 랭킹 5명을 보여주며, ④를 통해서는 실시간으로 등록되는 글 및 댓글 상황을 보여주며, ⑤를 통해서는 실시간으로 수신 및 발 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상황을 보여준다.
⑥은 공지사항, 이벤트를 알려주며, ⑦은 서비스 설명 화면 제공, ⑧과 ⑨는 각각 '문자 받고싶어요' 메뉴 및 '문자 보내줄께요' 메뉴에 등록된 내용의 간략한 표시 및 해당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7은 도 6의 웹사이트에서 훈문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가입 화면 예시도이다.
훈문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등록하고,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마치게 된다. 이때, 'Happy SMS 고유특번'으로 표시된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가상 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의 웹사이트에서 '문자 받고 싶어요' 메뉴 클릭시 나타나는 훈문 받기 요청 메뉴화면 예시도이다.
특정 정보를 원하거나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이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해 타인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받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문 메시지 희망 사유를 게시판에 등록함으로써 훈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가 게시판을 읽고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때, 게시판 상에 글을 올린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실제 번호는 게시판 상에 노출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가상 번호가 표시된다. 도 8을 살펴보면, '살신셩인'이라는 아이디의 사용자가 종로 근처의 곰탕집에 대한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받기를 원한다는 글을 게시판에 등록하였으며, 게시판 상에는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대신에 '*12234564'라는 가상 번호가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다른 사용자들이 게시판에 표시된 '*12234564'라는 가상 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물론, 도 8의 화면 하단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간단한 댓글을 웹상에서 올릴 수도 있다.
도 9는 도 6의 웹사이트에서 '문자 보내줄께요' 메뉴 클릭시 나타나는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화면 예시도이다.
단문 메시지를 보내는 연습을 하고 싶다거나 기타 개인적인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임의의 타인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내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게시판에 글을 올리면, 글을 올린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받기를 희망하는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게시판에 답글로서 올릴 수 있다. 이때, 답글을 올리는 사용자의 가상 번호가 게시판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9의 하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비회원이 자신의 단말기 번호를 직접 답글에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살신셩인'이라는 아이디의 사용자가 '애인한테 고백연습 문자 받으실 분'이라는 제목으로 게시판에 글을 올리면, '반갑지용'이라는 아이디의 사용자가 '그런 거는 제가 도사지요..'라는 내용의 답글을 올릴 수 있다. 답글 우측의 휴대폰 아이콘을 클릭하면 착신 희망자의 단말기 가상 번호를 알 수 있으며, 최초 글 을 올린 사람은 착신 희망자의 가상 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보내면 된다.
도 10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 내에서의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부터 도 16에 도시된 흐름도는 훈문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단문 메시지의 흐름이 발신자 및 착신자가 소속된 이동통신망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지는 경우를 7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0부터 도 16에 나타난 구성 요소들을 도 1의 전체 시스템 구성 요소와 대응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즉, SMSC는 SMS 센터(21)(61)에 해당되며 VSMSS는 게이트웨이(22)(62)에 해당된다. 그리고 HSMSS는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23)(63)에 해당되며, HappySMS Server는 서비스 제공 서버(40)에 해당된다.
A사 이동통신망은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이며, 타 이동통신망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별도의 상호정산비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가상 착신번호가 '*4200104'이고 발신번호가 '0110000000'인 단문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되어 SMSC에 도착하면 가상 착신번호 형식임을 감지하여 단문 메시지를 서버로 보낸다. 즉, VSMSS를 거쳐 HappySMS Server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HappySMS Server에서는 가상 착신번호의 본래 착신번호인 '0110000001'과 발신번호의 가상 발신번호인 '*4200100'로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하여 VSMSS와 SMSC를 거쳐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의 호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도 11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에서 타 이동통신망으로 호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2는 타 이동통신망에서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으로 호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A사 이동통신망은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이지만, B사이동통신망은 훈문 서비스와 연계되지 않은 이동통신망에 해당된다. 도 11의 경우에는 상호정산 비용이 발생하지만, 도 12의 경우에는 상호 정산비용이 따로 발생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도 13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 간에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4는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 내에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B사 이동통신망과 C사 이동통신망은 모두 훈문 서비스와 연계되지 않은 이동통신망으로서, 각 이동통신사간에 상호정산 비용은 경우에 따라 발생하지만 훈문 서비스로 인한 별도의 매출금액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5는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호가 발생하여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내의 휴대폰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호가 발생하여 훈문 서비스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15와 도 16은 단문 메시지의 발신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인터넷 서버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호처리 과정에 해당되며, 앞서 설명한 P2P 호처리 과정과 비교해볼 때 웹결제로 인한 선불구매를 통해 매출금액이 발생하며 기타 웹결제 대행 수수료가 발생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훈문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ST2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2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 및 발송하는 경우(ST3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2에서 SMS 센터에서 타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ST80)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훈문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의 메인화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웹사이트에서 훈문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가입 화면 예시도,
도 8은 도 6의 웹사이트에서 '문자 받고 싶어요' 메뉴 클릭시 나타나는 훈문 받기 요청 메뉴화면 예시도,
도 9는 도 6의 웹사이트에서 '문자 보내줄께요' 메뉴 클릭시 나타나는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화면 예시도,
도 10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 내에서의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에서 타 이동통신망으로 호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타 이동통신망에서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된 이동통신망으로 호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 간에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 내에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호가 발생하여 훈문 서비스와 연계된 이동통신망내의 휴대폰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훈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호가 발생하여 훈문 서비스와 연계되지 않은 타 이동통신망의 휴대폰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8)

  1. 무선으로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재전송하고,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발신하는 SMS 센터;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하고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아 게시판 영역에 등록하며, 상기 SMS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설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한 후 상기 SMS 센터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동일 이동통신망 내의 SMS 센터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SMS 센터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간에 단문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상기 메시지와 함께 상기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훈문 받기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터넷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보내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타등록 사용자로부터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서브 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서브 메뉴를 통해 타등록 사용자로부터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으면 상기 타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훈문 보내기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SMS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제공받아 타 이동통신사의 SMS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SMS 센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가 타 이동통신망의 번호에 해당되는 경우에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를 통해 타 이동 통신사의 SMS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1) 서비스 제공 서버가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가상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2)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고,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SMS 센터가 훈문 서비스에 대응되는 가상 착신번호를 갖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가상 착신번호에 대응되는 실제 착신번호를 획득하여 설정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실제 발신번호에 대한 가상 발신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 설정하여 단문 메시지를 재생성하는 단계;
    (5)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재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SMS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6) 상기 SMS 센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서비스 화면을 통해 훈문 받기 요청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상기 메시지와 함께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서비스 화면을 통해 훈문 보내기 요청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등록 사용자의 훈문 보내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타등록 사용자로부터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브 메뉴를 통해 타등록 사용자의 훈문 받기 요청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타등록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부여된 가상 번호를 서비스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8) 단계는,
    상기 SMS 센터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SMS 센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 앞자리 숫자를 인식하여 타 이동통신망의 번호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가 타 이동통신망의 번호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가 타 이동통신사의 이동통신망간 연결장치를 통해 타 이동통신사의 SMS 센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이동통신사의 SMS 센터가 상기 착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005533A 2008-01-18 2008-01-18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090079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33A KR20090079507A (ko) 2008-01-18 2008-01-18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33A KR20090079507A (ko) 2008-01-18 2008-01-18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07A true KR20090079507A (ko) 2009-07-22

Family

ID=4129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33A KR20090079507A (ko) 2008-01-18 2008-01-18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5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857A3 (en) * 2011-06-21 2013-04-18 Rockville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Double number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857A3 (en) * 2011-06-21 2013-04-18 Rockville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Double number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8601B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AU2004313874B2 (en) Directory assistance with multi-modal messaging
CN101034984B (zh) 利用用户提交的个人信息建立用户真实身份数据库
CN108881214A (zh) 多功能集成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EA017014B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портал данных в коммутируемой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общ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и онлайн-дом с виртуальными комнатами и объектами
CN102111510A (zh) 按键服务器、计算装置、媒体路由器、呼叫的方法及系统
JP5679401B2 (ja) Atmを用いた緊急時連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90000597A (ko) 다이렉트 팬레터 운영시스템 및 방법
US8892080B2 (en) Methods and systems of communication interexchange allowing for heterogenous types of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ous devices
CN102571619B (zh) 基于通信的sns业务平台、sns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953895B1 (ko) 콜백 url을 통한 여론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9507A (ko) 가상 번호 부여를 통한 이동통신 훈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Odero et al. Tangaza: frugal group messaging through speech and text
KR100461034B1 (ko) 가상전화를 이용한 부가통신서비스 시스템
KR100651723B1 (ko) 그룹대표번호를 이용한 그룹통신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N114650148B (zh) 一种基于社交应用的数据通讯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30089815A (ko) 주소록 연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28523A (ko) 인터넷을 이용한 동시 메시지 전달 방법
RU22050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овых развлечений
KR20070044267A (ko) 무선 통신 망을 통한 인스턴트 채팅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05152A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732838B1 (ko) 개인 미니 홈페이지에 연계된 개인 휴대통신 기기간의 문자 메시지 제공 방법.
JP2012186778A (ja) 音声メッセージ伝達システム
KR2004010665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한 지인검색 서비스 방법
JP2022170439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