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431A -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431A
KR20090079431A KR1020080005386A KR20080005386A KR20090079431A KR 20090079431 A KR20090079431 A KR 20090079431A KR 1020080005386 A KR1020080005386 A KR 1020080005386A KR 20080005386 A KR20080005386 A KR 20080005386A KR 20090079431 A KR20090079431 A KR 2009007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pipe
lighting system
suppor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431A/ko
Publication of KR2009007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광 파이프, 천정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볼트, 및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도록 전선볼트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볼트와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홀에 마진을 형성함으로써, 전선볼트와 연결되어 광 파이프가 배치되는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광 파이프, 결합 부재, 지지부재, 전선 볼트

Description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Illuminating system utilizing an optical pipe}
본 발명은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볼트와 광 파이프를 결합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홀에 마진을 형성하여 광 파이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설치시 광 파이프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빛을 원거리까지 비교적 적은 전송 손실로 전송시킬 수 있는 광 가이드를 이요한 조명 장치는 건물 내부 및 건물 외부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광 가이드는 광 도관(light conduit), 광 가이드(light pipe) 또는 광 튜브(light tube)라고도 불리며, 장식용이나 기능성 광을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효과적으로 분배하는 데에 이용된다.
광 가이드는 특정 지점을 조명하기 위한 포인트 조명의 용도뿐만 아니라, 어떤 한 영역을 조명할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광 가이드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빛은 외부로 분배되어 특정 영역을 조명하거나,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광 가이드는 건물의 내부 및 외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천정에 연결되어 가로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를 천정과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광 가이드가 배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광 가이드를 천정과 연결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광 파이프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천정에 연결되는 전선볼트와 결합되는 체결 홀에 마진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전선볼트와 광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재와 전선볼트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고, 광 파이프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빛을 전송 및 분배하는 중공의 광 파이프, 천정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볼트, 및 상기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선볼트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선볼트와 체결되는 체결 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홀에 마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에 연결되는 전선볼트와 광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체결 홀에 마진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 홀을 통해 전선볼트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상기 마진이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파이프를 천정에 평행하게 설치하는 조명 시스템에서, 광 파이프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보다 용이하게 전선볼트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파이프가 포함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이다. 도 1a는 광 파이프에서 빛을 전송 및 반사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b는 광 가이드에서 빛을 전송 및 반사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이해의 편의상, 구조화되지 않은 내면을 상측으로 하고, 구조화된 외면을 하측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광원이 발생하는 빛은 화살표와 같이 광학 라이팅 필름의 구조화되지 않는 내면에 입사하여 굴절되고(1 지점), 구조화된 외면의 프리즘의 양 측면에서 전반사 되고(2 및 3 지점), 이에 의해 외부로 향하던 빛은 상기 내면에서 굴절되어(4 지점) 다시 내부로 입력된다.
이러한 전반사 과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빛은 실질적으로 광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행하게 되는데, 광 가이드 내측의 공기에서는 빛의 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은 광 가이드를 통해 근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까지도 손실 없이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0)는 지지부(210, 220), 및 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지지부(210, 220)는 상호 탈착이 가능한 제 1 지지부(210) 및 제 2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 220)는 체결 홀(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 홀(240)은 천정에 결합될 수 있는 전선볼트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 홀(240)은 전선볼트와 연결되어 마진(margin)을 확보할 수 있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타원 이외에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직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210, 220)는 체결 홀(240)을 통해 전선볼트와 연결되는 제 1 지지부(210), 및 결합부(230)를 통해 광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210)는 일단이 천정에 결합되는 전선볼트와 체결 홀(240)을 통해 체결되며, 제 2 지지부(220)는 결합부(230)를 통해 광 파이프와 결합된다.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은 결합부(230)를 통해 제 2 지지부(220) 및 제 1 지지부(210)로 전달되며, 제 1 지지부(210)는 체결 홀(240)을 통해 연결된 전선볼트를 통해 상기 광 파이프가 받는 힘을 지지한다.
결합부(2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광 파이프를 지지한다. 결합부(230)는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230)의 일단(230a)은 지지부(210, 22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결합부(230)의 일단(230a)을 지지부(210, 2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광 파이프와 연결부재(200)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광 파이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300)는 광원부(310), 광 가이드부(320), 및 반사캡(35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10)는 빛을 발생하여 광 가이드부(320)에 입력하는 모듈로서, 빛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10)에서 발생하는 빛은 광 가이드부(320)로 입력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광 가이드부(320)는 광원부(310)가 발생하는 빛을 입력받아 전송 및 분배함으로써 외부로 빛을 출력한다. 광 가이드부(320)는 빛을 반사 또는 굴절시켜 광원부(310)가 발생하는 빛을 고르게 분배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라이팅 필름은 프리즘 형상 등으로 구조화되는 면을 포함하여, 광원부(310)가 발생하는 빛을 반사 또는 굴절시킴으로써, 광원부(310)와 이격되는 영역까지 빛을 전송할 수 있다.
반사 캡(350)은 광 가이드부(320)의 일단에 부착되어 광 가이드부(320)가 전송 및 분배하는 빛을 반사한다. 반사 캡(350)은 광원부(310)와 연결되지 않는 광 가이드부(320)의 일단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 가이드부(320)와 연결되는 내부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 경을 구비하여 광 가이드부(320)가 전송한 빛을 광 가이드부(320) 내부로 반사한다. 반사 캡(350)을 이용하여 광 가이드부(320) 내에 빛을 가둠으로써, 광 파이프(300)가 출력하는 빛의 밝기를 높일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광 파이프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300)는 구조화되는 면(340a)을 포함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330) 및 광학 라이팅 필름(33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광학 라이팅 필름(330)은 구조화되는 제 1 면(330a), 및 제 1 면(330a)에 대향하는 제 2 면(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330a)은 소정의 패턴으로 구조화되며, 일실시예로 프리즘 패턴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리즘 패턴은 광 파이프(3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등변 삼각형, 정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광학 라이팅 필름(330)의 제 1 면(330a)은 지지부재(34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40)는 광학 라이팅 필름(330)의 외부에 배치되어 광학 라이팅 필름(330)을 지지하며,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먼지 또는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충격 등으로부터 광학 라이팅 필름(330)을 보보한다. 또한, 광학 라이팅 필름(330)이 도광하는 빛을 지지부재(340)가 한 번 더 도광함에 따라, 광 가이드부(320)의 빛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광학 라이팅 필름(330)은, 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내충격성과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광학 라이팅 필름(3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는 강도가 높아 잘 깨지지 않고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아서 광학 라이팅 필름(330)의 재료로 적합하다. 한편, 지지부재(340)는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광 파이프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300)는 하우징(312), 광원(314), 및 반 사체(316)를 포함하는 광원부(310), 광학 라이팅 필름(330)과 지지부재(340)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부(320), 및 캡부(352)와 반사경(354)을 포함하는 반사캡(35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10)는 빛을 출력하는 광원(314)과 광원(314)이 출력하는 빛을 반사하여 광 가이드부(320)로 안내하는 반사체(316), 및 광원(314)과 반사체(316)를 수납하는 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4)은 빛을 발생하는 램프로서, 광 파이프(300)가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할로겐 램프, 발광 다이오드, 메탈할라이드 램프, 또는 플라즈마 라이팅 소스 등을 광원(314)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반사체(316)는 광원(314)의 후방에 배치되며,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 물질을 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반사체(316)의 구조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광 파이프(300)의 길이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구면 반사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반사체(316)를 비구경 반사경으로 형성하고, 광원(314)에 대응하는 반사체(316)의 표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율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312)은 광원(314) 및 반사체(316)를 수납하는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또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광원(314)과 반사체(316)를 보호할 수 있다. 광원(314)과 반사체(316)를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312)은 강도, 방열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가이드부(320)는 광원부(31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광원부(310)가 발 생하는 빛을 입력받아 전송 및 분배한다. 광 가이드부(320)는 지지부재(340) 및 지지부재(340)에 의해 지지되며 빛을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구조화된 면을 포함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320)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라이팅 필름(320)은 지지부재(340)와 대응하는 면이 구조화될 수 있으며, 광원부(310)에서 출력하는 빛을 전송 및 분배하여 광 가이드부(320)에서 빛이 고르게 출력되도록 한다.
반사캡(350)은 광 가이드부(320)의 일단에 부착되는 캡부(352)와 캡부(352)내에 배치되어 광 가이드부(320)가 전송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경(354)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354)은 광 가이드부(320)가 전송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경(354)은 평면 또는 구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구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곡률이 0.001 이하인 오목 거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400)은, 광원부(310), 광 가이드부(320), 및 반사캡(350)을 포함하는 광 파이프(300), 광 파이프(300)의 외면에 부착되어 광 파이프(300)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체결 홀(240)에 연결되어 광 파이프(300)를 지지하는 전선볼트(41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200)는 광 파이프(30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결합부(230), 및 전선볼트(410)와 결합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210, 220)를 포함한다. 지지부(210, 220)는 체결 홀(240)이 생성되어 전선볼트와 연결되는 제 1 지지부(210) 및 제 1 지지부(210)와 결합부(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220)는 결합부(230)의 일단(230a)과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가능하다. 제 2 지지부(220)와 결합부(230)의 일단(230a)을 탈착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제 2 지지부(220)와 결합부(230) 사이의 공간에 광 파이프(300)를 배치하고, 결합부(230)의 일단(230a)을 제 2 지지부(220)에 결합함으로써 광 파이프(300)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부재(20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 2 지지부(220)는 제 1 지지부(210)와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220)와 제 1 지지부(210)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 파이프(300)가 연결된 제 2 지지부(220)를, 전선볼트(410)와 연결된 제 1 지지부(210)에 연결하여 조명 시스템(400)을 보다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 1 지지부(210)와 제 2 지지부(220)는 볼트와 너트 쌍 등의 체결 수단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의 개수는 광 파이프(300)의 길이 및 조명 시스템(400)의 외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400)은 천정에 연결되는 전선볼트(410)에 의해 중력 방향의 힘을 지탱하므로, 연결부재(2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선볼트(410)는 천정과 연결부재(200)의 체결 홀(240) 사이에 배치되는 장비로서, 광 파이프(300)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탱한다. 전선볼트(4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타원, 원, 또는 사각 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선볼트(4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연결부재(200)의 체결 홀(240)의 형상을 결정하여 광 파이프(3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400)을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선볼트(410)가 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 체결 홀(240)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선볼트(410)의 단면의 지름과 체결 홀(240)의 단축의 길이가 대응하도록 체결 홀(240)을 형성하고, 체결 홀(240)의 장축의 길이는 전선볼트(410)의 단면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의 영역 1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선볼트(410)는 연결부재(200)의 체결 홀(240)과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며, 돌출부(420)는 체결 홀(240)의 단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420)가 체결 홀(240) 단축의 양단 외측으로 돌출되어 광 파이프(300)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 F1 을 지탱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의 영역 1을 C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선볼트(410)의 지름은 체결 홀(240)의 장축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체결 홀(240)은 X-X' 방향에서 전선볼트(410)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천정에 고정되는 전선볼트(410)에 대해 체결 홀(240)의 장축 방향인 X-X' 방향으로 연결부재(200)가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조명 시스템(400)이 설치되는 경우, 전선볼트(410)와 연결부재(200) 등을 해체함 없이 조명 시스템(400)의 위치를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500)은, 다수의 광 파이프(300a, 300b), 광 파이프(300a, 300b)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a, 200b), 및 연결부재(200a, 200b)와 천정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볼트(510a, 510b)를 포함한다.
전선볼트(510a, 510b)는 일단이 천정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체결 홀(240a, 240b)을 통해 연결부재(200a, 200b)에 연결된다. 전선볼트(510a, 510b)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선볼트(510a, 510b)의 단면에 따라 체결 홀(240a, 240b)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선볼트(510a, 510b)의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체결 홀(240a, 240b)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선볼트(510a, 510b) 단면의 폭을 체결 홀(240a, 240b)의 단축에 대응하고, 장축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전선볼트(510a, 510b)에 대응하여 체결 홀(240a, 240b)의 장축 방향으로 마진이 형성되므로, 조명 시스템(500)에 포함되는 광 파이프(300a, 300b)의 위치를 체결 홀(240a, 240b)의 장축 방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광 파이프(300a, 300b)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부(310)는 광 파이프(300a, 300b)의 일단에 하나가 배치되거나, 광 파이프(300a, 300b)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10)를 하나만 배치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파이프(300a, 300b)의 연결부(360)에는 반사 캡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광원부(310가 발생하는 빛을 복수의 광 가이드부(320a, 320b)를 통해 전송 및 분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광 파이프(300a, 300b)의 개수가 증가하여 조명 시스템(500) 전체의 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 복수 개의 광원부(310)를 광 파이프(300a, 300b)에 배치하여 조명 시스템(500)의 전체 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 파이프가 포함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광 파이프를 나타낸 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 *
200 : 연결부재 240 : 체결 홀
300 : 광 파이프 410 : 전선볼트

Claims (12)

  1. 빛을 전송 및 분배하는 중공의 광 파이프;
    천정에 연결되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볼트; 및
    상기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도록 상기 전선볼트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선볼트와 체결되는 체결 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홀에 마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광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전선볼트와 연결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선볼트와 상기 체결 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홀의 크기는 상기 전선볼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홀은 타원형이고, 상기 체결 홀의 단축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체결 홀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환형의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선볼트와 연결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광 파이프가 중력 방향으로 받는 힘을 상기 제 1 지지부에 전달하는 제 2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너트 및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빛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가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광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구조화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광학 라이팅 필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라이팅 필름은,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라인 형상의 확산 패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프리즘 형상으로 구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0080005386A 2008-01-17 2008-01-17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090079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86A KR20090079431A (ko) 2008-01-17 2008-01-17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86A KR20090079431A (ko) 2008-01-17 2008-01-17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31A true KR20090079431A (ko) 2009-07-22

Family

ID=4129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386A KR20090079431A (ko) 2008-01-17 2008-01-17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49Y1 (ko) * 2012-07-09 2014-05-14 오봉석 조명 설치용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49Y1 (ko) * 2012-07-09 2014-05-14 오봉석 조명 설치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5984A (en) Totally internally reflecting light conduit
CA1268969A (en) Totally internally reflecting light conduit
CN105492821A (zh) 发光设备
US8789992B2 (en) Light pipe and illumina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214151B2 (ja) 照明装置
CN204964862U (zh) 用于更改由光源发射的光的空间分布以提供在第一方向上伸长的伸长光束的光学元件、光学组件、照明设备和照明器
KR100794350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94349B1 (ko)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TWM455137U (zh) 發光裝置
KR20090079431A (ko)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WO2010146664A1 (ja) Led照明器及び薄型面出光装置
US20120148194A1 (en) Light guiding device
KR100988626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20090119561A (ko) 광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0794351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20090122011A (ko) 조명 장치
KR100816015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000061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EP3963253B1 (en) A light emitting device
KR101028088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JP3141247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装置
RU2016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го освещени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от солнечного света объектов
KR100958392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0988624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1000059B1 (ko) 광 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