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215A -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215A
KR20090079215A KR1020097008691A KR20097008691A KR20090079215A KR 20090079215 A KR20090079215 A KR 20090079215A KR 1020097008691 A KR1020097008691 A KR 1020097008691A KR 20097008691 A KR20097008691 A KR 20097008691A KR 20090079215 A KR20090079215 A KR 20090079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or body
fixing member
connect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156B1 (ko
Inventor
티모시 리 코쳐
크리스토퍼 조오지 데일리
존 마이클 랜디스
존 스티븐 윌슨
데이비드 제임스 파비안
케네쓰 아론 쥬니어 레이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555,947 external-priority patent/US8386022B2/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7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3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forced in a tortuous or curved path, e.g. knots i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1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cab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전선 고정 커넥터, 커넥터 시스템 및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하여 전선이 전선 커넥터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감소 및 방지하는 방법은, 꽂기 커넥터의 해제를 포함한다.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은 전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도체 및 절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전선이 결합할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이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전선을 충분히 고정한다.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하는 방법 또한 제공된다.
Figure P1020097008691
전선, 커넥터, 꽂기, 개방공, 도체, 절연부

Description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 커넥터, 전선 커넥터 시스템 및 전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선들에 대한 당김 및/또는 비틀림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거의 억제하는, 커넥터에 꽂기 연결(poke-in connection)을 제공하는 전선 커넥터, 전선 커넥터 시스템 및 전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 단자들은 커넥터 산업에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단자는, 도체 연결부뿐만 아니라, 핀 및 정합 소켓을 포함한다. 단자들이 전선들에 연결되는 경우, 단자들은 전선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전선 연결 섹션은 전선 크림프(wire crimp)로서, 전선은 벗겨져서 단자 단부에 위치되고, 금속이 도체 주위를 변형시켜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자리에서 주름이 잡히게 된다.
특정 적용예의 경우에는, 주름 연결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이는 전선이 현장에서 벗겨지고 크림핑 공구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없는 상황인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의 예는 천장 조명이 설치되는 조명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작업자 입장에서는 주름 연결부가 없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현재, 전선은 그의 단부를 커넥터의 개방공에 삽입함으로써 플러그-인 커넥 터에 부착되는바, 전선은 그를 제자리에 유지 또는 체결하는 힘에 의해 결합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꽂기 커넥터로서, 절연 전선, 특히, 절연 제거부를 갖는 전선이 커넥터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는 전선을 그 안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전선의 결합은 상기 커넥터 내의 랜스(lance) 탭(tab), 스프링 또는 기타 압축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커넥터와 결합한 상태에서 전선이 당겨지고 및/또는 비틀어지는 경우, 전선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 상태의 해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전선은, 특히, 설치 또는 유지보수 중에, 전기가 통할(electrically hot)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는 커넥터 내에 전선을 고정하는 힘을 초과하는 전선의 당김 및/또는 비틀림으로 인한 힘에 기인함으로써, 전선이 커넥터로부터 변형 및 미끄러지도록 한다. 특히, 전선의 비틀림 또는 회전은 전선을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접촉 결합은 회전 중에 도체 내에 나선을 효과적으로 절삭하여, 상기 도체가 커넥터로부터 나사 풀림되도록 한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변형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전선이 당김 및 비틀림 또는 회전되는 경우 전선이 플러그-인 커넥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가능성을 감소 또는 없애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전선의 당김 및/또는 비틀림 또는 회전으로 인해 커넥터에 삽입된 전선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거의 방지하는 전선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절연 전선의 꽂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전선이 커넥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감소 및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당김 및/또는 비틀림 억제력을 제공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도체 및 절연부를 포함한다. 커넥터 바디는 또한 전선이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을 충분히 고정하여 상기 전선이 커넥터 바디로부터 회전 및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당김 및/또는 비틀림 억제력을 제공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각각 독립적으로 갖는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를 구비한다.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도체 및 절연부를 포함한다. 커넥터 바디는 전선이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을 충분히 고정하여 상기 전선이 커넥터 바디로부터 회전 및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당김 및/또는 비틀림 억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선 고정 커넥터를 제공하는바, 이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도체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의 절연부를 축선을 따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전선 단자는 상기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전선의 표면으로부터 내향하여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연장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단자 내로 상기 전선을 삽입하는 중에 상기 절연체 내에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은 상기 블레이드와 충분히 결합하여 상기 전선 및 상기 전선 단자 사이의 회전을 충분히 억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커넥터에 전선 분리에 대한 억제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도체 및 절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전선이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충분히 고정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전선은 축선을 거의 따라가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바디 내로 삽입된다. 상기 전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바, 상기 배향은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커넥터에 전선 분리에 대한 억제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 및 상기 전선의 도체 부분을 축선을 따라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의 절연부를 갖는 커넥터 바디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 단자는 상기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갖는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상기 전선 단자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연장한다. 상기 전선은 상기 전선 단자와 결합하기에 충분한 깊이까지 거의 축선을 따라가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바디 내로 축선을 따라 삽입된다. 채널은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 내로 삽입하는 중에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절연부 내에 형성된다. 상기 채널은 상기 블레이드와 충분히 결합하여 상기 전선 및 전선 단자 사이의 축방향 회전 이동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점은 특수 공구 및/또는 크림핑이 필요하지 않은 꽂기-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이점은 전선이 커넥터와 충분히 결합하여 전선이 커넥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커넥터가 용이하게 제조된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커넥터가 전선의 상기 커넥터로부터의 비틀림 및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억제한다는 데 있는바, 전선의 회전은 최소화 또는 방지되어, 전선을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커넥터가 향상된 전선 외관 및/또는 전선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 및 전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 및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및 전선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설치된 전선 및 케이블 타이(cable tie)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설치된 전선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사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설치된 전선을 구비하는, 도 20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커넥터의 선택적 사시도이다.
도 25는 설치된 전선을 구비하는, 도 23 및 도 24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된 전선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된 하나의 전선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된 전선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가능한 한,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전선 고정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시하는바, 상기 전선 고정 시스템은 그 안에 삽입되는 전선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에 대한 억제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선이 크림핑 또는 특수 공구의 사용 없이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는 꽂기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커넥터 하우징(400, 도 4 참조) 내에 체결되고 전선(105)을 체결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100)를 갖는 전선 고정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선(105)은 도체(107) 및 절연부(109)를 포함한다. 전선(105)의 구조는 절연된 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전선의 어떤 구조든 될 수 있다. 적절한 전선(105)은 18-게이지 단심 동선(18-gauge solid-core copper wire)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선 단자(100)는 단자 바디(103) 및 잠금부 또는 부재(111)를 포함하는바, 상기 잠금부는 잠금 숄더(113)를 규정하여 커넥터 하우징(400, 도 4 참조)의 표면과 결합하여 단자(100)를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바디(103)는 상기 단자 바디(103) 내의 구멍(205) 내로 연장 배열되는 접점 파지 요소(201)를 더 포함한다. 단자 바디(103)는 상기 단자 바디(103)와 전기적으로 통하는 정지부(207)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정지부(207)는 상기 단자 바디(103) 내측에서 전선(105, 도 3 참조)의 최대 삽입을 달성하도록 도체(107)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정지부(207)는 단자 바디(103)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단자 바디(103)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점 파지 요소(201)는 단자 바디(103)로부터 절단 또는 압인(stamp)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그가 형성될 반제품으로부터 압인된다. 선택적으로, 접점 파지 요소(201)는 별도로 제공되어 단자 바디(103)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선 단자(100)는 단일 구조체로 형성된다. 접점 파지 요소(201)는,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또는 빔 구조물 내로 탄성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접점 파지 요소(201)는 절연 전선의 노출된 도체 또는 비-절연 전선의 도체 또는 유사 단면을 갖는 전기 전도성 접점과 접촉하기 위한 와이어 트랩(wire trap)을 규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선 단자(100)는 단자 바디(103)로부터 단자 중심 축선(203)을 향해 구멍(205) 내로 내향 연장하는 블레이드(117)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의 도체(107)는 상기 도체(107)가 정지부(207)와 접촉할 때까지 단부(303)를 향해 블레이드(117)를 위치시켜 단자 중심 축선(203)을 따라 도체(107)를 향하게 함으로써 전선 단자(100) 내에 설치된다. 정지부(207)는 구멍(205) 내로 내향 가압되는 탭(tab)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정지부(207)는 또한 감소하는 단면적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멍(205)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도체(107)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7)는 단자 중심 축선(203)에 직각으로 단자 중심 축선(203)을 향해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중심 축선(203)을 향하는 상기 블레이드(117)의 연장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단자(100) 내에 삽입되는 전선(105)의 절연부(109)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점은 상기 블레이드(117)가 상기 절연체(109) 내의 홈 또는 채널(301, 도 3 및 도 4 참조)을 상기 단자 내로의 상기 전선(105)의 삽입 중에 분할 및 전단(剪斷)하며 상기 채널(301)은 상기 전선(105)과 결합하여 단자 중심 축선(203)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전선(105) 및 상기 전선 단자 사이의 축방향 회전을 거의 방지한다. 상기 블레이드(117)는 또한 단자 중심 축선(203)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테이퍼진 에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전선(105)을 삽입하고 채널(301)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17)의 위치는 전선(105)을 향한 블레이드(117)의 연장을 허용하는 단자 바디(103) 상의 어떤 원주 위치이든 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17)는 구멍(205) 내로 연장할 수 있지만, 단자 중심 축선(203)과 반드시 정렬해야 할 필요는 없다. 블레이드(117)의 연장부는 절연 부(109) 내의 채널(302), 도체(107) 또는 그들의 모든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7)는 접점 파지 요소(201)와 접촉 설치되되, 상기 채널(301)은 도체(107)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117)가 전선 회전을 더 억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100)를 도시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로서, 커넥터 하우징(400)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이다. 잠금 숄더(113)에 있는 잠금 부재(111)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표면과 결합하여 전선 단자(100)가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제 2 커넥터 하우징(도 13 참조)과 정합하는 어떤 방식으로든 구성될 수 있는바, 커넥터 하우징(400) 및 전선 단자(100) 각각은 제 2 커넥터에 대한 전선(105)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105)의 도체를 수용 및 그와 결합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예를 들면 통상의 엔지니어링 등급 열가소성 물질과 같은 비-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400) 및 전선 단자(100)는 수놈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단부(303)에서 구멍(205)을 통하는 암놈 연결부로서 구성된다. 전선 단자(100)가 단부(303)에서 암놈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선 단자(100)는 단부에 있는 수놈 플러그 또는 결합된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통전을 허용하는 어떤 다른 구조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은 래치 암(403)을 내리누름으로써 해제 가능한 해제 가능 래치(401)를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모든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정합 커넥터 하우징(도 4에 는 도시하지 않음)은 래치(401)와 결합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의 분리를 거의 방지하는 래치 구조(1301, 도 1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400)은 원하는 구조에서만 정합 플러그의 배향을 허용하는 정합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개방공(405)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들(400) 및 그들의 대응 전선 단자들(100)의 결합은 크림핑, 특수 공구 또는 장비의 필요성 없이 전선(105)의 안전하며 용이한 전기적 연결/분리를 허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선(105)은 커넥터 하우징(400) 내로 삽입될 수 있는바, 대응 전선 단자(100)의 배열은 도 4에 도시된 배열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회전 저항을 갖는 블레이드(117)에 대한 결합은 채널(301)의 형성에 의해 달성되며, 채널(301)은 절연체(109) 및/또는 도체(107) 내로의 충분한 깊이를 가짐으로써 단자 중심 축선(20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한다. 상기 절연체(109) 내에만 채널(301)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더라도, 상기 채널(301)은 도체(107) 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저항은 접점 파지 요소(201)에 의해 결합 또는 트랩(trap)되는 전선(105)이 단자 중심 축선(203)을 중심으로 전선(105)의 회전 및 당김으로 인해 결합 상태로 남아 있어 전선(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거의 방지하도록 한다. 추가의 블레이드(117)는 추가의 회전 저항을 제공하지만, 전선(105)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도 증가시킨다.
도 5는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단자(100)를 포함하는, 분리된 커넥터 하우징(400)의 일부를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 및 설명된 것과 거의 동 일한 커넥터 하우징(400) 및 전선 단자(1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전선 단자(100)는 블레이드(117)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400)은 단자 중심 축선(203)과는 다른 축선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축선에서 전선과 순응하도록 구성되는 (즉, 구부러지는) 앵글 채널(501)을 더 포함한다. 도체(107)를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하는 중에, 전선은 단자 중심 축선(203)에 대해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앵글 채널(501)을 따라간다. 도체(107)가 단부(303)를 향해 더 삽입되고 앵글 채널(501)을 지나감에 따라, 도체(107)는 단자 중심 축선(203)을 따라가게 된다. 도체(107)의 완전 삽입시, 전선(105) 및 도체(107)는 단자 중심 축선(203)을 중심으로 거의 평행 및/또는 일치하게 배향되는 적어도 제 1 전선 배향 섹션(503), 앵글 채널 축선(506)을 중심으로 거의 평행 및/또는 일치하게 배향되는 제 2 전선 배향 섹션(505), 및 전방 개방공 축선(508)을 중심으로 거의 평행 및/또는 일치하게 배향되는 제 3 전선 배향 섹션(507) 내에 배열된다. 위에서는 3 개의 축선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삽입된 전선(105)의 배향은 세 개의 축선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앵글 채널(501)을 따라 또는 커넥터 하우징(400) 외부에 만곡, 굽힘 또는 비틀림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될 수 있는바, 대응하는 전선 단자(100)의 배열 및 앵글 채널(501)의 존재 및 배열은 도 5에 도시된 배열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앵글 채널(501)은 복수의 방향으로 전선(105)을 향하게 하는 다중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앵글 채널(501)은 어떤 각도로 또는 단자 중심 축선(203)에 대해 각을 이 루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선 단자(100)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전선(105)의 해제를 감소 또는 방지하는 반면 전선(105)의 용이한 결합을 혀용한다.
도 6은 전선(105,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600)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개방공(600)의 표면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 601)가 전선(105)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리브(601)는 전선(105)의 절연부(109)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601)는 커넥터 하우징(400)에 형성되는 특정 구조일 수도 있고 개방공(6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리브(601)는 충분한 강성의 비-전도성 물질이며 전선(105)이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중심으로 회전 삽입되는 경우 절연부(109)를 파지하고 전선(105)의 회전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과 같은 전도성 물질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사용되거나, 전선(105)을 파지하기 위한 리브(601)를 형성하는 삽입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리브(601)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대해 각을 이루거나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대해 직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브(601)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과 정렬하여 방사상 연장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또한, 리브(601)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평행한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해제에 대한 억제력이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절연부(109)와 충분히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601)는 개방공(600)의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거의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7은 전선(105,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600)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개방공(600)은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리브(6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전선 단자(100)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커넥터 하우징(400)은 양측 개방공(600) 및 커넥터 하우징(400)을 통해 연장하는 구획 슬롯(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슬롯(700)은 전선(105)의 중심 축선과 동일 평면인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형성되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피벗 부분 내에 구획함으로써 전선(105)의 절연부 상에 약간의 힘을 제공한다. 구획 슬롯(700)은 피벗 가능한 상부 부재(701) 및 피벗 가능한 하부 부재(703)를 형성한다. 상부 부재(701) 및 하부 부재(703)의 피벗은 커넥터 하우징(400)을 형성하는 물질의 탄성 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지만, 부착된 기계식 부재 또는, 힌지 또는 힌지-형 구조물의 형성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 부재(701) 및/또는 하부 부재(703)의 피벗은 상부 부재(701) 및 하부 부재(703) 및 개방공(600)을 따라 내향 연장하는 리브(601)와 같은 구조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선(105) 상의 힘이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전선(105,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의 억제력(즉, 삽입을 위해 필요한 힘)을 감소시킨다. 삽입에 대한 감소된 억제력은 커넥터 하우징(400) 내로 전선(105)을 삽입하는데 있어서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블레이드(117), 접점 파지 요소(201), 리브(601) 및 기타 구조물과 같은 추가의 전선 고정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 는 전선 단자(100)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와이어(105)를 원하지 않게/의도하지 않게 분리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전선 고정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전선(105)의 단순하며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전선(105)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600)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전선 단자(100) 구조물(도 8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리브(601)를 포함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선(105)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개방공(600)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8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개방공(600)의 외주는 개방공(600)의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해 내향 연장하는 복수의 핑거(801)를 포함한다. 이들 핑거(801)는 전선(105)의 절연부(109)를 파지하고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및/또는 비틀림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억제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플레이트(800)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및/또는 비틀림 힘에 응답하여 억제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강한 중합 물질과 같은 비-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800)는 마일라(mylar)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레이트(800)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800)는 접착 또는 열 본딩을 포함하는, 그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모든 통상적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4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800) 또한 커넥터 하우징(400)에 단일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800)는 제 1 플 레이트 세그먼트(803) 및 제 2 플레이트 세그먼트(805) 내에 위치될 수 있는바, 각각의 플레이트 세그먼트는 전선(105)의 적절한 설치 및/또는 구조를 표시하도록 색, 표식 또는 기타 증표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400)에 플레이트(800)를 추가함으로써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의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억제력이 제공된다.
도 9는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거의 동일한 커넥터 하우징(400) 및 전선 단자(1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선 단자(100)는 블레이드(117)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개방공(600)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형성되며, 개방공은 파지 구조물 또는 그로밋(grommet, 9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그로밋(900)은 전선(105)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에 마찰 미끄럼 저항을 파지 및/적용하는 중합 또는 고무 물질과 같은 비-전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그로밋(900)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선(105) 상에 부착 또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로밋(900)은 또한 전선(105)을 더 파지하도록 압력 감지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당김 및/또는 비틀림에 응답하여 추가의 억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로밋(900)은 충분한 마찰 미끄럼 저항을 제공하여 전선 단자(100)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전선(105)의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거의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전선(105, 도 10에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1000)는 "T" 형상을 가지며, 암(arm, 1003)은 그와 커넥터 하우징(400) 사이에 슬롯(1005)을 형성하도록 연장한다. 슬롯(1005)은 전선 또는 케이블 타이(1201, 도 12 참조), 또는 전선(105)이 거의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기타 장치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케이블 타이(1201)는 슬롯(1005) 내에 삽입될 수 있는바, 전선 고정 구조물은 상기 케이블 타이(1201)가 미끄러지거나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면들을 제공한다. 케이블 타이(1201)는 고정 부재(1000) 안쪽을 향하는 충분한 원주방향 힘을 제공함으로써 전선을 고정하여, 전선(105)을 고정 부재(100)에 인접하게 유지시키고 전선 단자(100)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전선(105)이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거의 방지한다. 또한, 전선(105)은 복수의 축선으로 전선(105)을 배향하고 당김 및/또는 비틀림에 대한 추가의 저항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선 고정 부재(1000) 둘레에 배향될(즉, 둘레에 감싸질) 수 있다.
도 11은 전선(105,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단자 단자(100,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1000)는 T 형상을 갖는바, 암(1003)은 그와 커넥터 하우징(400) 사이에 슬롯(1005)을 형성 하도록 연장한다. 암(1003)은 전선 가이드(1101)를 더 포함하는바, 전선(105)은 상기 전선 가이드(1101)를 통해 개방공(600) 내로 삽입된다. 전선 가이드(1101)는 전선이 개방공(600) 내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는 개방공 또는 채널을 형성한다. 고정 부재(1000)는 단일 부재로서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커넥터 하우징(4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는 슬롯(1005) 내에 배열되는 전선(105) 및 케이블 타이(1201)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타이(12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향하는 원주 힘을 제공하여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한다. 케이블 타이(1201)는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슬롯 또는 슬롯들(1005) 내의 전선(105) 상에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 케이블 타이에 추가하여, 테이프, 라벨, 또는 기타 전선 고정 장치와 같은 접착 구조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타이(1201)에 의해 제공되는 내향 고정 힘은 전선(105)의 당김 및/또는 전선(105)의 회전으로 인한 전선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제 2 커넥터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의 단면도로서, 전선(105) 및 전선 단자(100, 100')는 단면도로 도시된다. 커넥터 하우징(400, 400')의 연결은 접합부(1300)에서 전선 단자(100, 100') 사이의 통전에 의해 전선(105)을 전선(105')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접합부(1300)는 수놈 플러그를 암놈 연결부에 결합하는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넥 터 하우징(400) 또는 커넥터 하우징(400') 중 하나와 각각 대응한다. 커넥터 하우징(400)과 커넥터 하우징(400')의 결합은 커넥터 하우징(400')의 분리 가능한 래치(401)를 커넥터 하우징(400)의 커넥터 부분(1301)과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분리 가능한 래치(401) 및 커넥터 부분(1301)의 결합은 커넥터 하우징(400, 400') 사이의 고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래치 위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선(105)의 고정은 전선(105) 상의 힘이 상기 래치(401) 및 상기 부분(1301)의 해제를 위해 충분히 제공되되 전선(105)을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요구하는 힘보다 작은 힘이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1201)는 전선(105)에 인접한 슬롯(100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 타이(1201)는 전선(105) 및 고정 부재(1000)에 대해 힘을 제공한다. 케이블 타이(1201)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억제 또는 분리한다.
도 14는 전선(105, 도 14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14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개방공(600)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공은 전선 단자(100, 도 4 참조)까지 단일 축선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같은 앵글 채널(50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1000)는 중앙 고정 부재(1400) 및 두 개의 측면 고정 부 재(1403) 내에 형성되며, 각각은 전선 고정 가이드(1401)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1401)는 전선(105)을 수용하며 전선(105) 내에 조글(joggle) 또는 굽힘부를 제공하며, 상기 전선(105)은 그가 일단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에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하되, 전선(105)은 각각의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에 설치된다.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전선(105)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전선(105)은 그가 전선 단자(100, 도 15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된다. 전선(105)이 완전히 삽입된 후, 개방공(600)으로부터 돌출하는 전선(105)은 중앙 고정 부재(1400)와 두 개의 측면 고정 부재(1403) 중 하나 사이의 전선 고정 부재(1000)의 표면과 접촉한다. 그 후, 전선(105)은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로 안내된다. 전선(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에 스냅(snap) 방식으로 물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스냅은 더 큰 반력의 적용에 의해 극복되는 힘에 의해 전선(105) 또는 다른 구조물의 유입 및/또는 고정을 허용하는 유순한(compliant) 힘 또는 탄성 저항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측면 고정 부재(1403) 및 중앙 고정 부재(1400) 사이의 간격은 전선(105)의 직경보다 작으며, 측면 고정 부재(1403) 및 고정 부재(1400) 사이의 탄성 저항은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로의 전선(105)의 접근을 초기에 제공한다. 그러나, 전선(105)에 충분한 힘을 가할 때, 전선(105)은 측면 고정 부재(1403) 및 고정 부재(1400) 사이의 고정력을 극복하여 전선 고정 가이드(1401)를 축소시킨다. 전선 고정 가이드(1401)에 접근시, 전선(105)은 전선 설치의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 또는 구부러진다.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하되 복수의 굽힘부는 복수의 축선에 정렬된다. 이러한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당기는 것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고,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게/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고정 부재(1000)는 전선 고정 가이드(1401)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전선을 수용하고 상기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좁은 굽힘 부분을 제공하며, 상기 전선(105)이 전선 고정 가이드(1401) 내에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도 16은 제 2 커넥터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하우징(400')은 도 13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 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 1000')의 고정 가이드(1401, 1401') 내에 위치된다. 전선(105, 105') 내의 다중 굽힘부 및 고정 부재(1000, 1000')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 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억제 및 방지한다.
도 17은 전선(105,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1000)는 "T" 모양으로 형성되며, 암(1003)은 그와 커넥터 하우징(400) 사이에 슬롯(1005)을 형성하도록 연장한다. 고정 부재(1000)는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커넥터 하우징(4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암(1003)은 전선 가이드(1101) 및 암 슬롯(1701)을 더 포함하는바, 이들은 전선(105)이 전선 가이드(1101)를 통해 개방공(600)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선(105)은 암 슬롯(1701)과 더 접촉할 수 있고,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암 슬롯(1701)에 인접한 암(1003)의 탄성 변형 또는 기타 메커니즘에 의해 전선 가이드(1101)가 스냅 식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전선(105)을 전선 가이드(1101) 밖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선(105)이 복수의 축선을 따라 배향되도록(즉, 복수의 굽힘부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른 당김에 대한 추가의 저항력을 제공하고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 도 21 및 도 22 참조)으로부터 원하지 않게/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따라서, 암 슬롯(1701)을 통해 전선 가이드(1101)로부터 전선(105)을 분리함으로써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굽힘부가 제공되는바, 이는 전선이 일단 고정 부재(1000)에 인접하게 결합하고 나면 당김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도 18은 전선(105, 도 18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18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거의 동일한 배열의 커넥터 하우징(400), 개방공(600), 전선 고정 부재(1000), 암(1003), 전선 가이드(1101), 및 암 슬롯(1701)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8의 실시예는 전선(105)이 전선 가이 드(1101)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측면 가이드(1801)를 더 포함하지만, 전선(105)이 전선 가이드(1101)에 재삽입되는 것은 거의 방지한다. 또한, 도 18의 구조는 커넥터 시스템 및 커넥터 시스템의 보관/운송에 있어서 추가의 전선 외관 및/또는 전선 관리를 제공한다.
도 19는 전선(105, 도 19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19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거의 동일한 배열의 커넥터 하우징(400), 개방공(600), 전선 고정 부재(1000), 암(1003), 전선 가이드(1101), 및 암 슬롯(1701)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9의 실시예는 전선(105)이 전선 가이드(1101)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특징부(1901)를 더 포함하지만, 전선(105)이 전선 가이드(1101)에 재삽입되는 것은 거의 방지한다. 또한, 가드 특징부(1901)는 상기 슬롯(1005) 내에 배치되는 전선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가드 특징부는 암 슬롯(1701)으로부터 먼 위치까지 전선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드 특징부(1901)의 어느 하나의 측면까지 전선의 이동을 충분히 제한한다.
도 20은 전선(105,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거의 동일한 배열의 커넥터 하우 징(400), 개방공(600), 전선 가이드(1101), 및 암 슬롯(1701)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암(1003)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400)까지 연장하는 측벽(2000)을 포함한다. 측벽(2000) 및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 도 21 참조)을 수용 및 고정하는 측면 개방공(2003)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20의 구조는 파손을 억제하는 측벽(2000)을 형성함으로써 전선 고정 부재(100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측벽(2000)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보관 및/또는 운송 중에 걸림을 유발할 수 있는 표면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바, 복수의 전선 커넥터 시스템 및 관련 전선(105)이 도시된다. 또한, 슬롯(1701) 내로의 전선의 재진입은 어려운바, 이는 측벽(2000)의 형성으로 인해 편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표면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전선(105)이 전선 가이드로 다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암(1003)은, 도 17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반대쪽 암(1003)의 편향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전선(10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거리를 편향시켜야만 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로 설명된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하되, 전선(105)이 설치되어 있다.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전선(105)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전선(105)은 그가 단자(100, 도 21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된다. 전선(105)이 완전히 삽입된 후, 커넥터 하우징(400)의 단부를 지나 연장하는 전선(105)은 슬롯(1701)과 접촉하게 된다. 전선(105)은 그 후 측면 개방공(2003) 내로 안내된다. 전선(105)은 도 15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선 고정 부재(100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측변 개방공(2003) 내로 전선 가이드(1101)의 외측을 스냅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105)은 원하는 전선 설치 방향으로 더 배향되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다.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하며 복수의 굽힘부는 복수의 축선을 따라 배향된다. 이러한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가는 당김에 대한 추가 저항력을 제공하며,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고정 부재(1000)는 측면 개방공(2003)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바, 이는 전선(105)을 수용하고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굽힘부를 제공하며, 전선(105)이 측면 개방공(2003)에 일단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도 22는 제 2 커넥터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하우징(400')은 도 13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 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 1000')의 측면 개방공(2003, 2003') 내에 위치된다. 고정 부재(1000, 1000')에 인접한 전선(105, 105')의 다중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향하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 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억제 또는 방지한다.
도 23 및 도 24는 전선(105, 도 23 및 도 24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23 및 도 24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부재(1000) 내에 통로 및/또는 개방공으로서 배열되는 복수의 전선 가이드(1101)를 포함하는바, 전선(105)을 통로를 나선형으로 통과함으로써 다중 루프, 굽힘부 및/또는 조글을 형성하도록 하되, 전선(105)은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는 방식으로 수용된다.
도 25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하되, 전선(105)이 설치되어 있다.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전선(105)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전선(105)은 그가 전선 단자(100, 도 25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된다. 전선(105)이 완전히 삽입된 후,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거의 직각인 각도로 구부러져서 전선 가이드(1101) 내에 위치된다. 전선(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의 거의 중심에 위치되는 전선 가이드(1101)를 통해 꿰어지며, 전선(105)은 고정 부재(1000)를 통과하고 원하는 사용 방향으로 다시 구부러진다.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하며 복수의 굽힘부는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정렬된다. 이러한 굽힘부는 개방공 중앙 축선(603)을 따른 당김에 대한 추가의 저항력을 제공하고,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고정 부재(1000)는 복수의 전선 가이드(1101)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바, 이는 전선(105)을 수용하고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굽힘부를 제공하며, 전선(105)이 일단 전선 가이드(1101) 내에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도 26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105, 105')의 위치를 도시하며, 제 2 커넥터 하우징(401')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하우징(400')은 도 13에 도시되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 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 1000')의 전선 가이드(1101, 1101') 내에 위치된다. 전선(105, 105') 내의 다중 굽힙부 및 고정 부재(1000, 1000')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른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 105')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억제 또는 방지한다.
도 27은 전선(105, 도 27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27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은 전선 고정 부재(100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설치되는 전선 가이드(1101)를 포함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은 개방공(600) 내에 삽입되고 전선 고정 부재(1000) 및 전선 가이드(1101)를 통해 꿰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고정 부재(1000) 및 전선 가이드(1101)는 래치 암(403) 내에 결속된다. 전선(105)이 꿰어짐에 따라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전선(105) 내에 굽힘부 또는 조글이 형성되며, 전선(105)이 전선 고정 부재(1000) 및 전선 가이드(1101)를 통해 결합 및 꿰어지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억제력을 제공한다.
도 28은 전선(105, 도 28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28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17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거의 같은 배열의 커넥터 하우징(400) 및 개방공(60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는 삽입 슬롯(2800) 및 삽입 개방공(2803)을 갖는 두 개의 삽입 암(2801)을 구비하는 전선 고정 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가 두 개의 삽입 암(2801)을 도시하고 있지만, 어떤 숫자의 삽입 암(2801)이든 사용될 수 있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하되, 전선(105)이 설치되어 있다.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전선(105)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전선(105)은 그가 전선 단자(100, 도 29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된다. 전선(105)이 완전히 삽입된 후, 개방공(600)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선(105)은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대해 거의 직각인 각도로 구부러진다. 그 후, 전선(105)은 그가 삽입 개방공(2803) 내에 위치될 때까지 삽입 암(2801)의 삽입 슬롯(2800)을 따라 상기 삽입 슬롯(2800) 내로 안내된다. 전선(105)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 암(280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삽입 개방공(2803) 내에 스냅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105)은 상기 전선(105)의 원하는 설치 방향으로 더 구부러지거나 배향될 수 있다.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하고 복수의 굽힘부는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정렬된다. 이들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른 당김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고,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고정 부재(1000)는 삽입 개 방공(2803)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전선(105)을 수용하며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굽힘부를 제공하며, 전선(105)이 삽입 개방공(2803) 내에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도 30은 제 2 커넥터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한다. 커넥터 하우징(400) 및 커넥터 하우징(400')은 도 13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5)은 전선 고정 부재(1000, 1000')의 삽입 개방공(2803, 2803') 내에 위치된다. 전선(105, 105') 및 고정 부재(1000, 1000') 내의 다중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른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선(105, 105')의 원하지 않은/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억제 또는 방지한다.
도 31은 전선(105, 도 31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그 안에 설치되는 전선 단자(100, 도 31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4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1은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거의 동일한 배열의 커넥터 하우징(400), 개방공(600), 전선 고정 부재(1000), 삽입 암(2801)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삽입 암(2801)을 구비하는 전선 고정 부재(1000)를 포함한다. 삽입 암(2801)은 복수의 전선(105) 중 각각의 전선(105)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삽입 슬롯(2800) 및 삽입 개방공(2803)을 포함한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된 커넥터 하우징(400)을 도시하되, 두 개의 전선(105)이 삽입 암(280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전선(105)은 개방 공 중심 축선(603)을 따라 전선(105)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전선(105)은 그가 전선 단자(100, 도 32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400) 내에 삽입된다. 전선(105)이 완전히 삽입된 후,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선(105)은 그가 삽입 개방공(2803) 내에 위치될 때까지 삽입 암(2801)의 삽입 슬롯(2800) 내로 전선(105)을 삽입하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에 거의 직각인 각도로 삽입 슬롯(2800)을 따라 구부러진다. 전선(105)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 암(280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삽입 개방공(2803) 내에 스냅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105)은 그의 원하는 설치 방향으로 더 구부러지거나 배향된다. 전선 고정 부재(1000)는 전선(105)을 제자리에 고정하며 복수의 굽힘부는 복수의 축선을 따라 정렬된다. 이들 굽힘부는 개방공 중심 축선(603)을 따른 당김에 대한 추가 저항력을 제공하여 전선(105)이 커넥터 하우징(400)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고정 부재(1000)는 삽입 개방공(2803)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전선(105)을 수용하고 전선(105) 내에 조글 또는 굽힘부를 제공하며, 전선(105)이 일단 개방공(2803) 내에 결합하고 나면, 당김 및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전선 고정 구조물, 구성요소 및 방법의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단일 전선 고정 부재(1000), 구성요소 또는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구조물, 구성요소 및 방법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블레이드(117)를 갖는 전선 단자(10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앵글 채널(501), 리 브(601), 구획 슬롯(700), 핑거(801), 전선 고정 부재(1000) 및 그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이들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구조들이 사용 가능하며, 추가의 채널, 슬롯, 홈 또는 그에 인접하여 전선(105)을 고정하는 기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타이(1201)와 같은 장치들이 전선 고정 부재(1000)와 조합하여 사용되어 당김 및/또는 회전으로 인한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대한 저항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한 변화가 실시 가능하며 균등물이 그의 구성요소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사상을 이탈하지 않고도 많은 변형예가 특별한 상황이나 물질을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내에 해당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46)

  1.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갖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도체 및 절연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전선이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을 충분히 고정하여 상기 전선이 커넥터 바디로부터 회전 및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전선을 축선을 따라 수용하고 상기 전선의 전도성 부분을 둘러싸는 절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단자는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 내에 삽입하는 중에 상기 절연부 내에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전선 및 상기 전선 단자 사이의 회전 이동을 거의 억제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충분히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테이퍼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을 삽입하고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전선 고정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은 제 1 축선을 따라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한 각도로 배열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T-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부재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개방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과 상기 T-형 부재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은 케이블 타이의 추가 설치를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축선을 따른 회전을 거의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선과 결합하는 상기 개방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표면을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은 상기 전선이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는 전선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이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해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전선 가이드 내에 또는 그로부터 스냅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특징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전선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제 1 축선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전선과 접촉하여 그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은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 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전선의 중심 축선과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전선이 상기 개방공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전선의 절연부 상에 유순한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유순한 힘은 상기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전선의 회전을 거의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복수의 고정 통로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고정 통로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고정 통로는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 및 상기 전선과 접촉하여 그들 사이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파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구조물은 그로밋(gromm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22.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을 각각 독립적으로 갖는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도체 및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바디는 전선이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전선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전선을 충분히 고정하여 상기 전선이 커넥터 바디로부터 회전 및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를 상기 제 2 커넥터 바디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도체 부분을 둘러싸는 적어도 일부의 절연부를 축선을 따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 단자는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갖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단자 내로 상기 전선을 삽입하는 중에 상기 절연체 내에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블레이드와 충분히 결합하여 상기 전선 및 상기 전선 단자 사이의 회전 이동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테이퍼를 포함하여 상기 전 선을 삽입하고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바디 및 제 2 커넥터 바디 사이의 결합은 상기 커넥터 바디로부터 상기 전선의 분리를 초래하는 당김 힘보다 적은 상기 전선에 가해지는 당김 힘에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공은 제 1 축선을 따라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루어 배열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T-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부재는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표면 및 상기 T-형 부재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은 케이블 타이의 추가 설치를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제 1 축선을 따른 회전을 거의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선과 결합하는 상기 개방공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표면을 갖 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은 상기 전선이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는 전선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이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전선을 전선 가이드 안으로 또는 밖으로 스냅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특징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전선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제 1 축선을 따라 배향되며 상기 전선과 접촉하여 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39. 제 22 항에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공은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전선의 중심 축선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상기 전선이 상기 개방공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전선의 절연부 상에 유순한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40. 제 22 항에 있어서,
    유순한 힘은 상기 중심 축선을 따른 상기 전선의 회전을 거의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4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 부재는 복수의 고정 통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고정 통로는 상기 제 1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고정 통로는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4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 및 상기 전선과 접촉하여 그 사이에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파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구조물은 그로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44.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도체 부분을 둘러싸는 절연체의 적어도 일부를 축선을 따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전선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단자는 상기 축선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절연부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상기 전선 단자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연장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 내에 삽입하는 중에 상기 절연부 내에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전선 및 상기 전선 단자 사이의 회전을 거의 억제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충분히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전선을 삽입하고 상기 채널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테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단자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고정 커넥터.
KR1020097008691A 2006-11-02 2007-10-25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KR101098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55,947 2006-11-02
US11/555,947 US8386022B2 (en) 2005-11-03 2006-11-02 Multifaceted tracker device for computer-assisted surg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215A true KR20090079215A (ko) 2009-07-21
KR101098156B1 KR101098156B1 (ko) 2011-12-26

Family

ID=3927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691A KR101098156B1 (ko) 2006-11-02 2007-10-25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2080249A2 (ko)
JP (1) JP5197619B2 (ko)
KR (1) KR101098156B1 (ko)
CN (1) CN101548439B (ko)
CA (1) CA2668110C (ko)
MX (1) MX2009004709A (ko)
WO (1) WO200805724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548A (ko) 2010-03-08 2013-02-07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단리식 케이블 커넥터
DE102014117804B4 (de) * 2014-12-03 2019-05-2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Feldkonfektionierbarer gestanzter Schneidklemmkontak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neidklemmkontaktverbindung
JP6610955B2 (ja) * 2016-06-07 2019-11-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64419A (en) * 1943-01-13 1944-09-27 Emil Samuel Conrad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oupling devices, particularly of the plug-and-socket type, and anchoring means therefor
US3836938A (en) * 1972-09-13 1974-09-17 J Barrett Safety electrical plug release mechanism
US3909099A (en) * 1974-06-14 1975-09-30 Anderson Power Products Electrical connector with movably mounted cable clamp
DE8000604U1 (de) * 1980-01-11 1980-04-24 Tony Adels, Elektro- Und Waermetechnik Gmbh & Co Kg, 5060 Bergisch Gladbach Zugentlastungsvorrichtung für einen Klemmenkörper oder -stecker für elektrische Leiter u.dgl
DE3408115C2 (de) * 1984-03-06 1986-12-18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Verriegelbare und abdrückbare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in Rechteckform
JPH0317413Y2 (ko) * 1986-01-21 1991-04-12
DE3683486D1 (de) * 1986-03-03 1992-02-27 Standex Int Corp Cluster-vorrichtung.
US4868905A (en) * 1988-03-28 1989-09-19 Viscusi David A Motor and other apparatus with novel power lead attachment structure
US5183420A (en) * 1990-05-24 1993-02-02 Omega Engineering, Inc. Molded connector with spool
US5681179A (en) * 1995-12-18 1997-10-28 Lane; Alain Gerard Modular extension cord system
DE19724774C1 (de) * 1997-06-12 1998-07-30 Amphenol Tuchel Elect Einrichtung zum Kontaktieren eines Kabels
TW431652U (en) * 1998-09-14 2001-04-21 Hoshiden Corp Electrical connector
DE20013282U1 (de) * 2000-08-02 2001-12-13 Bosch Gmbh Robert Kabelbaumstecker mit einer Fixiereinrichtung für den Kabelbaum
JP2003257511A (ja) * 2002-02-27 2003-09-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接続構造
US6815616B1 (en) * 2003-09-03 2004-11-09 King Technology Of Missouri, Inc. Strain relieved wire connector
JP4304502B2 (ja) * 2004-12-09 2009-07-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5569B1 (en) 2019-03-27
CA2668110C (en) 2011-10-18
CN101548439A (zh) 2009-09-30
JP2010509730A (ja) 2010-03-25
EP2685569A1 (en) 2014-01-15
CA2668110A1 (en) 2008-05-15
MX2009004709A (es) 2009-05-21
WO2008057243A2 (en) 2008-05-15
WO2008057243A3 (en) 2008-07-03
EP2080249A2 (en) 2009-07-22
JP5197619B2 (ja) 2013-05-15
KR101098156B1 (ko) 2011-12-26
CN101548439B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196B2 (e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US7722382B2 (e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JP5124650B2 (ja) 電気通信分野におけるコネクタに取り付け可能な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少なくとも1つのシールドの組み合わせ、並びにコネクタを遮蔽する方法
TW201230540A (en) Push-on cable connector with a coupler and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CN107851930B (zh) 电插拔连接器
JP2006190685A (ja) パネル取付け用電気コネクタ
EP3291384B1 (en) Elbow connector
US7431603B1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MXPA06013780A (es) Montaje de enchufe hembra y montaje de clavija de agarradera hermafrodita.
US6126478A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US4730385A (en) Coax connector installation tool
US7140905B2 (en) Quick wire connect angle plug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KR101098156B1 (ko) 전선 고정 커넥터 시스템
CN110651398B (zh) 具有集成电线挡块的线对线连接器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7942693B2 (en) Power outlet with conductive socket contacts coupled to IDC contacts coupled to insulated conductors disposed in channels
US7275952B1 (en) Hinged electrical connector
US20040251682A1 (en) Range taking snap-in connector
US9640966B1 (en) Duplex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
CN111602300B (zh) 用于整体应变消除的具有绝缘移位连接接触件的导线对导线连接件
US4165145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CN114144944A (zh) 多极的插塞连接器装置
US9088103B2 (en) Latch for circular connector
AU2020204459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