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722A -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722A
KR20090078722A KR1020080087081A KR20080087081A KR20090078722A KR 20090078722 A KR20090078722 A KR 20090078722A KR 1020080087081 A KR1020080087081 A KR 1020080087081A KR 20080087081 A KR20080087081 A KR 20080087081A KR 20090078722 A KR20090078722 A KR 2009007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link
skateboard
link bar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015B1 (ko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ublication of KR2009007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며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비틀림 회전된 후 외력 제거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발판;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어 제한된 각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의 복원수단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발판에 후단이 힌지로 연결되는 링크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균형 잡기가 쉬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속도 증가 및 다양한 기술 연마가 가능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스케이트 보드, 링크바(Link bar), 방향성, 비방향성, 바퀴(캐스터), 복원수단, 복원력, 힌지, 경사

Description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LINK TYPE SKATEBOARD}
본 발명은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균형 잡기가 쉬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속도 증가 및 다양한 기술 연마가 가능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한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된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등록번호: 10-0573366)에 의하면, 탑승자가 몸을 보드와 나란히 한 상태에서 좌우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바퀴(114)가 바퀴 고정구(112)에 의해 고정 부착되는 제1 발판(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향성 캐스터(124) 또는 비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되는 제2 발판(120) 및 일단은 상기 제1 발판(1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발판(120)과 고정 결합되되, 그 중간에는 좌/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134)가 구비되는 연결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100)는 주행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힌지부(134)와 방향을 결정하는 제1 발판(110) 두 군데가 좌, 우로 회동 됨으로써 탑승자가 균형 잡기가 어려우며, 특히 속력 증가 및 언덕(다운힐: Downhill) 주행시 불균형(언밸런스: Unbalance)으로 인한 탑승자의 사고 유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 보드(100)는 주행 중 고른 평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지면에 요철이 형성될 경우 이 요철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바퀴(114) 및 방향성 캐스터(124)의 높이가 평행하지 않으므로 힌지부(134)에 뒤틀림이 발생되고 응력이 집중되어 결국 상기 힌지부(134)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주행 전 상기 힌지부(134)에 발을 올려놓으면 지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균형 잡기가 쉬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속도 증가 및 다양한 기술 연마가 가능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할 수 있게 한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며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비틀림된 후 외력 제거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발판;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어 제한된 각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의 복원수단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발판에 후단이 힌지로 연결되는 링크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는 주행시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균형 잡기가 쉬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속도 증가 및 다양한 기술 연마가 가능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100), 제2 발판(200) 및 링크바(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발판(100)은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링크바(300)를 중심으로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비틀림 회전되며, 발판부재(110), 제1 발판 커버(120) 및 복원수단(130)으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부재(110)는 그 상면에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플레이트로 상부에서 봤을 때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발판 커버(120)는 상기 발판부재(110)의 면적보다 축소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가장자리는 상기 발판부재(110)에 고정되도록 연장되고 이 연장 부위로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되 그 형상이 두께를 가지면서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상면 중심부에 지지블럭(122)이 형성된다. (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발판 커버(120)는 "ㅏ"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바판(100)의 형상에 따라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선단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을 갖는 캐스터인 바퀴(W1)가 종대로 구비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1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럭(122)은 후술할 링크바(300)의 선단 외면을 면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홀이 관통 형성되며, 접촉 면에 그리스(Grease) 와 같은 윤활유가 도포되어 상기 링크바(300)의 회전시 접촉 부위에서의 마찰력 상승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블럭(122) 대신에 상기 링크바(300)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베어링은 발판부재(110)의 저면과 그와 수직선상 위치인 제1 발판 커버(120)의 상면에서 반원 홈이 각각 마주보도록 안착 형성되는 지지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상기 지지 베어링의 상/하단이 지지된다.
상기 복원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에서 상기 링크바(300)와 직교 방향으로 구비되어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링크바(300)를 중심을 기점으로 제1 발판(100)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 발판(100)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복원수단(130)은 제1 판 스프링(132) 및 제1 지지부재(134)로 세분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판 스프링(132)은 "ㅡ" 형상으로,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 중심부를 부분 절개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절개한 부위인 홈에 중심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링크바(300)의 비틀림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판 스프링(1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 중심부를 부분 절개하지 않고 상기 제1 판 스프링(132)을 양단으로 분할한 후 상기 링크바(300)의 중심과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보조 블록(136)의 양측면과 양단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지지부재(134)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이 보조 블록(136)을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블럭(136)의 홀과 이에 삽입되는 링크바(300)의 접촉면 상단에 키(138)를 삽입 고정시켜 회전력을 전달하게 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과 그와 수직선상 위치인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 상면에 각각에 일체 또는 결합식으로 형성되어 이 제1 판 스프링(132)의 4지점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 상하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수단(140)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 스프링(142) 및 제1 정지부재(144)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은 상기 제1 정지부재(144)의 양단 상/하부에 각각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발판(100)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은 대향된 일측의 단면 형상이 "二" 자 또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양 내벽에 외팔보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정지부재(144)는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 상하를 부분 절개하여 면취시킨 후 중심부가 상기 면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직사각기둥 형상의 블럭으로,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의 각 끝단에 상하면 양단이 걸쳐지도록 위치된다.
결국, 상기 제1 정지부재(144)의 양단 상하면이 그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의 선단에 각각 부분적으로 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발판(100)의 회전시 제1 정지부재(144)의 상호 대각 위치에 눌리면서 제2 판 스프 링(142)이 변형되며,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판(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이 간섭하지 않는 이 제1 정지부재(144)의 양단 상/하부에는 상기 제1 발판(1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돌기(146)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제한돌기(146)는 상기 제1 발판(100)이 상기 링크바(300)를 기점으로 어느 한 방향(다른 방향)을 향해 회전될 경우 이 각도제한돌기(146)가 발판부재(110)의 저면과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 상면에 어느 한(다른) 상호 대각 위치로 접하게 되고, 이때 이 제1 발판(10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 판 스프링(142)이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복원수단(150)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블럭(152) 및 제2 지지부재(154)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무 블럭(152)은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에 고정되는 직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제2 지지부재(154)는 상기 고무 블럭(152)의 양단 상/하부 각각에 구비되어 이 고무 블럭(152)의 4지점을 지지하도록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과 그와 수직선상 위치인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 상면에 일체 또는 결합식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판(100)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의 바퀴(W1)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바(300)가 복원수단 없이 면 접촉 또는 베어링(도면에 미도시)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구(160)에 의해 고정되어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발판(100) 내부에 상기 복원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1 발판(100)의 회전은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에 상기 고정구(160)가 고정된 후 이 고정구(160)의 지지부재(162)의 내주면 또는 내주면에 베어링을 고정 삽입하고 링크바(300)의 선단을 삽입시키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제1 발판(100) 내부에 상기 복원수단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1 발판(100)의 설정 각도 회전은 상기 지지부재(162)의 양단에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각도 제한 홈(164)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 제한 홈(164)과 대응되는 상기 링크바(300)의 외주면 양단에 스토퍼인 돌기(310)가 각도 제한 홈(164)을 통해 나선 체결 또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 제한 홈(164)의 길이만큼 그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돌기(310)에 의해 상기 제1 발판(100)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각도 제한 홈(164)의 길이는 특히 하측 부분이 상기 제1 발판(100)이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발판부재(1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감안하여 형성되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도 제한 홈(164)과 상기 돌기(310)가 상기 지지부재(162) 및 상기 링크바(300)의 양단에 전후로 2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개수의 증감 및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160)는 그 상면이 상기 발판부재(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판상으로 판상인 저면에 상기 링크바(3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파이프 등의 형상으로 그 양측 둘레면에 각도 제한 홀(164)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재(16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발판(100)의 회전 각도 제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한 고정구(160)에 각도 제한 홀(164)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링크바(300)에 돌기(310)를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가능하며, 이 밖에 상기 고정구(160) 대신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상기 발판부재(110)의 후단을 설정 두께로 제작한 후 상기 링크바(300)에 삽입 고정시켜 각도 제한 홀(164) 및 돌기(310)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밖에 또 다른 복원수단으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일 스프링 또는 극이 동일하여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을 발판부재(110)와 링크바(300) 사이에 구비함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판(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위치되어 제한된 각도 내에서 상기 링크바(300)의 후단에 구비되는 힌지(Hinge: 300a)에 의해 수평 방향인 좌우로 이동되며, 발판부재(210) 및 제2 발판 커버(22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부재(210)는 그 상면에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플레이트로, 상부에서 봤을 때 상기 발판부재(110)의 형상과 대칭되는 "ㅓ" 형상으로 형성되며, 형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발판 커버(220)는 상기 발판부재(210)의 면적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는 이 발판부재(210)에 고정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발판부재(210)의 저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되 그 형상이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 선단에 상기 링크바(300)의 힌지(300a)가 연결된다. (도 11 참조)
더욱이,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에는 그 내부에서 상기 링크바(300)의 양측에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힌지(300a)의 선단 또는 상기 힌지(300a)의 후단을 연장하는 연장부(도면에 미도시)의 양측에 회전각도 제한부재(222)가 각각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각도 제한부재(222)는 직립된 한 쌍의 원기둥 형상으로 그 사이 간격은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의 바닥에서 볼트 등으로 길이 방향의 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발판(200)의 발판부재(210)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을 갖는 캐스터인 바퀴(W2)가 횡대로 구비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2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상기 제2 발판(200)에는 상기 링크바(3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링크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상기 힌지(300a)와 근접한 상기 링크바(300)의 양측에 이 링크바(30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캠부재(230)이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2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된 일단에 각각 힌지부로 상기 발판부재(210)와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힌지부의 상단은 이 발판부재(210)의 외부까지 돌출되어 탑승자가 잡고 돌릴 수 있다.
즉, 상기 캠부재(230)는 이 캠부재(230)를 상기 링크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그 사이 간격만큼 이 링크바(300)가 회전되고 상기 캠부재(230)를 내측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이 캠부재(230)의 편심된 최선단이 상기 링크바(300)의 양측 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2 발판(100, 200)이 일체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 예로 상기 힌지(300a)의 후단에 홈(30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발판 상단(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이동하며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300b)에 이 링크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걸릴 경우 이 힌지(300a)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부재(240)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240)는 이 슬라이딩부재(240)를 상기 제2 발판(200)의 발판부재(210)에 상기 링크바(3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길이방향 홀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300a) 후단에 형성된 홈(300b)에 선단이 삽입되면 상기 제1 발판(100) 선단에 고정되는 이 링크바(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잠그게 된다.
결국, 상기 슬라이딩부재(24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홈(300b)에 삽입되면 상기 힌지(300a)가 위치 고정되므로 상기 제1, 2 발판(100, 200)이 일체로 고정 된다.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힌지(300a)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홈과 대응되면서 상기 발판부재(210)에 연결되어 통하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며 이 발판부재(210)의 연결홈을 통해 상기 홈에 삽입시켜 위치 고정되게 하는 핀 형태이다.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언덕(다운힐: Downhill)을 내려갈 때나 이동 운반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발판(100) 또는 제2 발판(200)에는 어느 하나의 발판(100, 200)에서 다른 하나의 발판(100, 200)을 연결하여 이 제1 발판(100)과 제2 발판(2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는 잠금 기능과 손잡이 기능을 겸비하는 핸드 캐리어(Hand carrier: 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 캐리어(250)는 상기 제1 발판(100)의 제1 발판 커버(120) 일 측벽 또는 제2 발판(200)의 제2 발판 커버(220) 일 측벽, 다르게는 상기 제1 발판(100)의 제1 발판 커버(120) 양 측벽 또는 제2 발판(200)의 제2 발판 커버(220) 양 측벽에 구비된다.
상기 핸드 캐리어(250)의 일 실시 예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08062894551-PAT00001
"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판(100)의 제1 발판 커버(120) 일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발판(200)의 발판부재(210) 상면에 이 핸드 캐리어(250)의 회전 부위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ㄱ" 자 형상의 홈부(252)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되, 평 상시에는 상기 핸드 캐리어(250)를 상기 제1 발판(100)으로 회전시켜 놓았다가 언덕을 내려가거나 이동이 요구될 때 상기 제2 발판(200)으로 회전시켜 이 핸드 캐리어(250)의 선단이 발판부재(210)의 홈부(252)로 삽입되게 하면 제1 발판(100)과 제2 발판(200)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드 캐리어(250)는 그 회전되는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홈부(252)와의 결합시 결합력을 상승시키며 고정되는 타단은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부에 면적이 확대되도록 머리부가 구비되면서 이 머리부와 이 제1 발판 커버(120)의 내벽 사이에 스프링(S)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이 핸드 캐리어(250)를 항시 이 제1 발판 커버(120)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이때, 상기 핸드 캐리어(250)의 선단인 절곡된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홈부(252)의 전면에는 부분적으로 이 홈부(252) 선단의 이탈을 막는 턱(252a)이 형성되어 이 핸드 캐리어(250)를 이 홈부(252)에서 분리시킬 경우 상기 턱(252a)에 걸린 절곡 부위를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핸드 캐리어(250)를 상기 스프링(S)의 복원력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잡아당긴 후 회전시키면 상기 홈부(252)에서 이탈된다.
더욱이, 상기 홈부(252)의 내부에서 마주보는 양 측벽 상단에 돌기(254)가 다수 형성되어 삽입된 어느 정도 힘을 주지 않는 이상 상기 핸드 캐리어(2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1 발판(100)의 발판부재(110)에도 상기 홈부(252)와 대칭되는 홈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 캐리어(250')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08062894551-PAT00002
"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판(100)의 제1 발판 커버(120) 양 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발판(200)의 발판부재(210) 상면에 이 핸드 캐리어(250')의 회전 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1" 자 형상의 홈부(252')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핸드 캐리어(250')를 상기 제1 발판(100)으로 회전시켜 놓았다가 언덕을 내려가거나 이동이 요구될 때 상기 제2 발판(200)으로 회전시켜 이 핸드 캐리어(250)의 회전부를 발판부재(210)의 홈부(252')로 삽입되게 하면 제1 발판(100)과 제2 발판(200)이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홈부(252')의 내부에서 마주보는 양 측벽 상단에 돌기(254')가 다수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핸드 캐리어(25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1 발판(100)의 발판부재(110)에도 상기 홈부(252')와 대칭되는 홈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300)는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판(100) 및 제2 발판(200)의 사이에 선단과 후단이 각각 연결되어 선단에 구비된 제1 발판(100)이 상하로 비틀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복원수단(130)과 연결되고 후단에 구비된 이 제2 발판(200)이 좌우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기점인 힌지(300a)에 의해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은 상기 지지블럭(122) 또는 지지 베어링을 통과하여 상기 복원수단(130)에 결합되며 이 복원수단(130)의 최전방에 너트(N)로 체결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링크바(300)는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원통 형상인 선단은 그 전 면에 상기 너트(N)를 체결하는 나선이 형성되고 그 후단은 내부에 상기 제2 발판(200)의 제2 발판 커버(220) 상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축과 결합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 힌지(300a)가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링크바(300)의 힌지(300a)는 상기 발판부재(210)와 상기 제2 발판 커버(220)와의 수직선상 위치에 각각 단차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차홈을 통해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키며, 상기 발판부재(210)의 단차홈 상단은 로고 등이 형성된 스티커를 상응한 크기로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바(300)는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 등이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에 선단이 볼트 등으로 고정되고 후단은 제1 발판 커버(120)와 대향되는 상기 힌지(300a)에 결합되며, 이때, 판 스프링은 직립 상태 이외에 수평 상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의 보딩 과정은 도 2 내지 도 1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이트 보드를 주행함에 있어 상기 제1 발판(100)은 상기 링크바(300)를 기점으로 상하 비틀림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발판(200)은 상기 힌지(300a)를 기점으로 좌우 회전 운동을 하게 하면서 스케이트 보드의 방향 전환시 수행하는 이 제1 발판(100)의 비틀림 회전 운동과 상기 스케이트 보드의 추진시 수행하는 이 제2 발판(200)의 좌우 회전 운동을 병행한다.
이때, 상기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지면에 요철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할 경우 전방의 바퀴(W1)는 후방의 바퀴(W2)와 그 높이가 다르게 되어 상기 제1 발 판(100)에 비틀림 운동이 가해지게 되지만 이 링크바(300)의 선단에 구비되는 복원수단(130, 140, 150)에 의해 대응되도록 비틀림되고 지면이 고른 부분을 주행하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상기 제1 발판(100)에 뒤틀림이 발생하여도 이 링크바(3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언덕을 내려갈 때 상기 링크바(300)를 상기 제2 발판(200)에 고정시켜 회전되지 못하게 상기 캠부재(230) 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40) 또는 상기 핀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되는 링크바 고정부재에 의해 실현이 가능하므로 안정감 있게 언덕 주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이트 보드의 주행시 언덕을 내려가거나 이 스케이트 보드를 가지고 이동할 때 상기 제1 발판(100)과 상기 제2 발판(200)을 연결시키는 상기 핸드 캐리어(250, 250')가 더 구비되어 이 제1 발판(100)에 구비된 이 핸드 캐리어(250, 250')를 이 제2 발판(200)의 상기 발판부재(210)에 형성된 홈부(252, 252')에 삽입시킨 후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100), 제2 발판(200) 및 링크바(300')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발판(200)은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발판(100)은 전방에 위치되어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 등인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발판부재(110) 및 제1 발판 커 버(12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판부재(110)는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발판 커버(120')는 그 후벽 중심부에 상기 링크바(30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응하면서 직립된 슬롯(Slot) 형태의 홈(121)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서 상기 홈(121)을 통해 삽입되는 링크바(300')를 볼트(B) 등으로 체결하여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벽에 나선홈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링크바(300')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면서 직립된 판 스프링 등이 이에 접목되며 후단은 상기 힌지(300a')의 선단 중심부에 용접 등으로 연결시키고 선단은 상기 제1 발판 커버(120')에 상기 홈(121)을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특히,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의 제1 발판(100)과 제2 발판(200)을 판 스프링 등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2 발판(100, 200) 중 어느 하나에 비틀림이 발생하여도 외력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만, 상기 제2 발판(200)은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힌지(300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좌우 회동한다. 이때, 판 스프링은 직립 상태 이외에 수평 상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의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제1 발판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복원수단을 실시 예 별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제1 발판에 복원수단이 없는 상태로 링크바가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제2 발판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링크바 고정부재를 실시 예 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핸드 캐리어를 실시 예 별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에서 링크바로 탄성체가 접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 발판 110: 발판부재
120: 제1 발판 커버 130, 140, 150: 복원수단
132: 제1 판 스프링 134: 제1 지지부재
136: 보조블럭 142: 제2 판 스프링
144: 제1 정지부재 146: 각도제한돌기
152: 고무블럭 154: 제2 지지부재
160: 고정구 164: 각도 제한 홈
200: 제2 발판 210: 발판부재
220: 제2 발판 커버 222: 회전각도 제한부재
230: 캠부재 240: 슬라이딩부재
250, 250': 핸드 캐리어 300: 링크바
300a: 힌지 300b: 홈
W1, W2: 바퀴

Claims (22)

  1.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며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비틀림 회전된 후 외력 제거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제1 발판;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어 제한된 각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의 복원수단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발판에 후단이 힌지로 연결되는 링크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의 저면에는 제1 발판 커버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발판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바의 외면을 면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블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의 저면에는 제1 발판 커버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발판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링크바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면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링크바와 직교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링크바의 선단 중심부를 부분 절개하고 그 절개한 부위에 중심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발판의 비틀림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ㅡ" 형상의 제1 판 스프링; 및
    상기 제1 판 스프링의 양단 상하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판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링크바의 선단에 고정되는 직사각기둥 형상의 제1 정지부재; 및
    상기 제1 정지부재의 양단 상/하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발판의 회 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판 스프링;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스프링은 대향된 일측의 단면 형상이 "二" 자 또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 스프링이 접하지 않는 상기 제1 정지부재의 양단 상/하부에 상기 제1 발판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 돌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링크바의 선단에 고정되는 직사각기둥 형상의 고무 블럭; 및
    상기 고무 블럭의 양단 상/하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무 블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의 선단에 삽입되는 상기 제1 판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는 보조 블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은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바가 복원수단 없이 고정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발판이 설정 각도만큼 상하로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발판부재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바의 선단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발판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각도 제한 홈이 양단에 적어도 하나가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링크바의 양단에서 상기 각도 제한 홈 내부에 각각 상응하게 위치되는 스토퍼인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은 그 내부에 구비되는 제2 발판 커버에 상기 링크바의 양측에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힌지의 선단 또는 상기 힌지의 후단을 연장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 회전각도 제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에는 상기 링크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링크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발판에서 상기 힌지와 근접한 상기 링크바의 양측에 상기 링크바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캠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의 후단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발판 상단에 슬라이딩 동작으로 상기 홈에 걸리게 하는 슬라이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가 대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제2 발판의 상부를 통해 삽입시키는 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에는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연결하여 위치 고정하며 손잡이 기능을 하는 핸드 캐리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캐리어는,
    상기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 중 어느 하나의 발판 측벽에 일단 또는 양단이 고정되면서 회전되어 다른 하나의 발판에 형성된 홈 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을 갖는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21.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저면에 방향성을 갖는 캐스터인 바퀴가 구비되는 제1 발판;
    저면에 적어도 방향성을 갖는 캐스터인 두 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제한된 각도 내에서 좌우로 각각 회전되는 제2 발판; 및
    상기 제1 발판의 저면에 선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발판에 후단이 힌지로 연결되는 링크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바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1020080087081A 2008-01-15 2008-09-04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101010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366 2008-01-15
KR20080004366 2008-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722A true KR20090078722A (ko) 2009-07-20
KR101010015B1 KR101010015B1 (ko) 2011-01-21

Family

ID=4133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081A KR101010015B1 (ko) 2008-01-15 2008-09-04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241A (ko) * 2014-03-20 2015-10-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br 및 mbds 혼성형 수처리 시스템
CN105109595A (zh) * 2015-09-14 2015-12-02 姚宇满 单边无油轴承电动平衡车
US10780928B2 (en) 2017-04-28 2020-09-22 Shenzhen Qianhai Walnut Technology Limited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
US10988032B2 (en) 2016-04-19 2021-04-27 Walnut Technology Limited Self-propell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491B1 (ko) * 1990-09-06 1998-12-15 로져 윌리암 앤더슨 스케이트보드
KR100711650B1 (ko) 2005-05-10 2007-04-27 이승열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0573366B1 (ko) 2005-06-01 2006-04-26 김홍기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241A (ko) * 2014-03-20 2015-10-0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br 및 mbds 혼성형 수처리 시스템
CN105109595A (zh) * 2015-09-14 2015-12-02 姚宇满 单边无油轴承电动平衡车
US10988032B2 (en) 2016-04-19 2021-04-27 Walnut Technology Limited Self-propell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US10780928B2 (en) 2017-04-28 2020-09-22 Shenzhen Qianhai Walnut Technology Limited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015B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756B2 (en) Folding bicycle
KR101010015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KR100573366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US9216754B2 (en) Wheel brake set for luggage case
US20110031709A1 (en) Tricycle kick board
JP2005537820A (ja) 方向性キャスターを具備したスケートボード
KR102003386B1 (ko) 접이식 전동퀵보드
JP2009533133A (ja) 自発的前進が可能なボード
WO2011118590A1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0622126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0576306B1 (ko) 스케이트 보드
WO2019166693A1 (en) Dolly
KR101535793B1 (ko) 다기능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스노우 슬라이딩 장치
WO2011099155A1 (ja) 滑走遊技具
JP2022106907A (ja) スロープ装置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697845B1 (ko) 스케이트보드
JP4502283B1 (ja) 滑走装置
WO2006071008A1 (en) Roller sled
KR100752590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20070114255A (ko) 후레임타입 스케이트보드
KR100835570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100748583B1 (ko) 탄성 스케이트 보드
KR100752570B1 (ko) 절첩식 스케이트 보드
CN2457009Y (zh) 多重使用性的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