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122A -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 Google Patents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122A
KR20090078122A KR1020080003923A KR20080003923A KR20090078122A KR 20090078122 A KR20090078122 A KR 20090078122A KR 1020080003923 A KR1020080003923 A KR 1020080003923A KR 20080003923 A KR20080003923 A KR 20080003923A KR 20090078122 A KR20090078122 A KR 20090078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enter
fabric
wef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비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비노
Priority to KR102008000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122A/ko
Publication of KR2009007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구조체는,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하부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공급되어 상부중앙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탄한 직물체가 갖는 부피내에 기공층이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직물구조체, 경사, 위사, 볼록형 패턴, 기공층

Description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Structure of fabric having conbex pattern}
본 발명은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볼록형 패턴을 형성하여 기공층이 형성되도록 용이하게 직조할 수 있는 직물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평탄형 커버의 경우 액상 물질 상부를 덮거나 띄움으로써, 액상물질의 증발방지나 보온 목적 또는 기타 커버가 갖는 여러 보호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단층이나 복층으로 형성된 커버의 경우로서 그 제조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서 액상 물질보다 비중이 작은 커버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부유성 및 보온성의 향상 목적으로 커버의 상부나 하부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포함하는 셀 형태의 기공층을 제작하는 방식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버 제품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평탄형 커버(1) 제품은 액상물질 상부에서의 부유성 확보, 방수나 보온성 강화를 위해 하부층(2)의 상부에 다수의 기공층(5)을 갖는 층을 긴밀하게 접합하여 순차적으로 하부층(2) 및 기공층(5)이 형성된 상 부층(3)이 적층된 제품으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 상부층(3)에 형성된 기공층(5)은 상부층(3)을 하부층(2)에 라미네이션시키기 전에 압출과정을 진행하면서 바람 등을 불어주거나 별도의 엠보싱 성형과정을 거쳐 요철 형상의 반복적인 패턴이 구비되도록 한 후, 그 결과물을 하부층(2) 상에 라미네이션시킴으로써, 하부층(2)과 상부층(3) 간의 이격부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 제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나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고, 그 보관이나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 두루마리 형태로 적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기공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제조 공정의 번거로움은 물론, 그 보관이나 운반 및 사용시에 커버 자체의 부피는 물론 공기를 포함하는 셀층이 갖는 부피로 인하여 상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작업과정에서 외부의 돌출된 물건이나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예기치 않은 압력 등에 의해 돌출된 기공층이 터짐으로써 당초 예정하였던 기공층의 기능이 상실될 위험성도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층이나 하부층을 필름재로 제조하게 되는 경우 그 강도가 약하여 장기적인 사용에도 위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직물체를 형성함으로써 제품 강도를 개선하고, 부피의 증가 없이 기공층이 형성된 직물구조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직물구조체는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하부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공급되어 상부중앙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한 직물구조체는,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 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중앙좌측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둘 이상의 홑위사로 이루어진 통위사가 공급되어 중앙우측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한 직물구조체는,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하부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상부중앙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공급되고, 상기 중앙좌측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중앙우측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둘 이상의 홑위사로 이루어진 통위사가 공급되어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와 위사가 직조된 직물체의 상면과 하면에 상·하부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코팅층에 의하여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기공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은, 폴리에틸레계 물질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의 접합은, 열풍, 초음파 또는 고주파 가열에 의해 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는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직조됨으로써 제품의 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며, 내부에 포함된 기공층이 직물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된 상태가 아니므로 보관 및 운반사용시에 큰 부피로 인한 상용화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압력 내성의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보온성 및 부유성을 가지므로 액상물질 및 기타 보호가 필요한 물질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직물구조체의 직물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직물구조체(100)는 경사(120)와 위사(130)로 직조된 직물체(110)와 상·하부코팅층(140a),(140b)을 구비하고, 경사(120)와 위사(130)가 직조된 직물체(110)에 기공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12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물질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홑경사는(121)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홑경사(121)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홑경사(121)는 한 개의 테이프사 또는 원형사 또는 스플릿사로 이루어 진 것을 의미하며, 후술할 통경사(122)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홑경사(121)를 포함하는 경사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위사(130)는 폴리에틸렌계 물질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홑위사(131)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홑위사(131)는 단사 또는 겹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홑위사(121)는 한 개의 테이프사 또는 원형사 또는 스플릿사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며, 후술할 통위사(122)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홑위사(121)를 포함하는 위사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위사(130)는 경사(120) 즉, 복수의 홑경사(121)와 각각 상호 교차되도록 직조된다. 이때, 홑위사(131)가 복수의 홑경사(121)가 배열된 경사(120)와 엇갈리도록 직조되는 것을 이하 '평직조'라 한다.
상기 경사(120)와 위사(130)를 이용하여 일정구간 평직조되면, 일정부분의 경사(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를 공급하여 일정간격 반복적으로 직조된다. 예컨대, 하나의 홑위사(131)와 적어도 둘 이상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가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볼록형 패턴(P1)을 갖도록 직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20)와 위사(130)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110)는 상부영역(a), 하부영역(c) 및 상부영역(a)과 하부영역(c) 사이의 중앙영역(b)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영역(a)은 상부좌측영역(a1), 상부중앙영역(a2) 및 상부우측영역(a3)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중앙영역(b)은 중앙좌측영역(b1), 중앙부(b2) 및 중앙우측영역(b3)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영역(c)은 하부좌측영역(c1), 하부중앙영역(c2) 및 하부우측영역(c3)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각 영역별로 구분된 직물체(110)의 중앙부(b2)에는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다. 즉, 하부영역(c) 전체(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는 홑위사(131)가 하부영역(c)에 배치된 복수의 홑경사(121)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된다. 이와 같은 평직조는 하부영역(c) 뿐만 아니라, 상부영역(a) 전체(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에서 행하여 지며, 중앙영역(b)의 중앙좌측영역(b1) 및 중앙우측영역(b3)에서 행하여 진다.
한편, 중앙부(b2)에는 둘 이상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가 공급되어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중앙부(b2)로 공급되는 각 홑위사(131)와 하부중앙영역(c2)이 끝나는 부분부터 세 개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가 직조되는 것이 상측중앙영역(a2)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다. 즉, 홑위사(131)가 세 개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와 반복적으로 직조되며, 이러한 통경사(122)는 하부중앙영역(c2)이 끝나는 부분부터 상부중앙영역(a2)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및 중앙좌측영역(b1)이 끝나는 부분부터 중앙우측영역(b3)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된다. 따라서, 직물체(110)의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록형 패턴(P1)은 세 개의 홑경사(121)가 좌우대접되어 직조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으로 밀착되도 록 직조됨으로써 평직조에 비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홑경사(121)의 두께를 대략 0.65mm라 하면, 상기와 같이 통경사(122)가 볼록형 패턴(P1)을 갖도록 밀착되면 볼록형 패턴(P1)의 두께는 대략 홑경사(121)의 두께보다 1.2배 내지 2배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착된 통경사(122)와 교차된 홑위사(132) 사이에 기공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홑위사(131)와 세가닥의 홑경사(121)인 통경사(122)가 직조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경사(122)가 두가닥의 홑경사(121), 네가닥의 홑경사(121) 또는 다섯가닥 이상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져 직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물체(110)는 크게 세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각 영역을 세개의 구간으로 구별하여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직물체(110)가 복수개 연결되거나, 직물체의 어느 구간에라도 볼록형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부가적으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앙좌측영역(b1)에 두개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를 공급하고, 중앙우측영역(b3)에 네개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를 공급하여 직물체(11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볼록형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직물체(110)에 다양한 크기의 볼록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들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술된 각 실시예들 및 이를 조합한 실시예들을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직조된 직물체(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코팅층(140a) 및 하부코팅층(140b)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코팅층(140a) 및 하부코팅층(140b)은 직물체(110)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물체(110)를 중간에 두고 서로 접합된다. 즉, 직물체(110)의 상면과 하면에 상부코팅층(140a)과 하부코팅층(140b)이 접합됨으로써 직물구조체(10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부코팅층(140a)과 하부코팅층(140b)이 접합되면, 상기 볼록형 패턴(P1)이 형성된 부분에 기공층(150)이 형성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공층(150)은 다수의 경사(120)가 밀착되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경사(120)와 위사(130)사이에 기공이 마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코팅층(140a) 및 하부코팅층(140b)의 접합은, 열풍, 초음파 또는 고주파 가열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와 같은 상부코팅층(140a) 및 하부코팅층(140b)은 폴리에틸렌계 물질군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물질의 이용은, 직물구조체(100)의 오염을 방지하고 단열성 및 방수성 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하부코팅층(140a),(140b)의 재질, 즉 폴리에틸렌계 물질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경사(120) 및 위사(130) 중 어느 하나는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폴리올레핀계 물질과 폴리프로필렌계 물질의 연화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하부코팅층(140a),(140b)이 상기 직물체(110)에 접합되기 위해서 는 경사(120) 및 위사(130) 중 어느 하나가 폴리에틸렌계 물질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즉,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홑경사(121)가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홑위사(131)보다 연화온도가 현저하게 높기 때문에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상·하부코팅층(140a),(140b)이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홑경사(121)와 용이하게 접합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코팅층(140a),(140b)은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홑위사(131)와 용이하게 접합되고,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이루어진 홑경사(121)와 거의 접합되지 않으므로써 기공층(150)이 용이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직물구조체(100)는 보온성, 단열성, 부유성을 가지며 압력 내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직물구조체의 직물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직물구조체(200)는 경사(220)와 위사(230)로 직조된 직물체(210)와 상·하부코팅층(240a),(240b)을 구비하고, 경사(220)와 위사(230)가 직조된 직물체(210)에 기공층(250)이 형성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의 직물구조체(200)는 앞선 실시예의 직물구조체(100)의 직물체(110) 및 상·하부코팅층(140a),(140b)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다만, 직물체(210)의 경사(220) 및 위사(230)의 직조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이때, 직물체(210)는 전술된 직물체(110)와 마찬가지로 상부영역(a), 하부영역(c) 및 중간영역(c)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경사(220)와 위사(230)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210)의 중앙부(b2)에는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된다. 즉, 직물체(210)는 하부영역(c), 상부영역(a) 및 중앙영역(b)의 중앙좌측영역(b1) 및 중앙우측영역(b3)에 배치된 복수의 홑경사(221)와 홑위사(231)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된다.
한편, 중앙부(b2)에는 둘 이상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가 공급되어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중앙좌측영역(b1)으로 공급되는 각 홑위사(231)는 중앙좌측영역(b1)이 끝나는 부분부터 세 개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가 중앙부(b2)로 공급되어 중앙우측영역(b3)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되게 된다. 즉, 하나의 홑경사(221)가 세 개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와 반복적으로 직조되며, 이러한 통위사(232)는 중앙좌측영역(b1)이 끝나는 부분부터 중앙우측영역(b3)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된다. 따라서, 직물체(210)의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록형 패턴(P2)은 세 개의 홑위사(231)가 좌우대접되어 직조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으로 밀착되도록 직조됨으로써 평직조에 비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밀착된 통위사(232)와 교차된 홑경사(221) 사이에 기공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러한 볼록형 패턴(P2)에 기공이 존재하는 것에 대해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홑경사(221)와 세가닥의 홑위사(231)인 통위사(232)가 직조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위사(232)가 두가닥의 홑위사(231), 네가닥의 홑위사(231) 또는 다섯가닥 이상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져 직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물체(210)는 크게 세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각 영역을 세개의 구간으로 구별하여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직물체(210)가 복수개 연결되거나, 직물체(210)의 어느 구간에라도 볼록형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부가적으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앙좌측영역(b1)에 두개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를 공급하고, 중앙우측영역(b3)에 4개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를 공급하여 직물체(21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볼록형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직물체(210)에 다양한 크기의 볼록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직물구조체(2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코팅층(240a) 및 하부코팅층(240b)이 접합되면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된 부분에 기공층(250)이 형성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경사(220)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위사(230)가 직조된 직물체(210)에 미리 정해진 구간, 즉 중앙영역(b)의 중앙부(b2)에 복수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가 공급됨으로써 볼록형 패턴(P2)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것이다.
부가적으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의 중앙부에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와 둘 이상의 홑위사로 이루어진 통위사가 공급되어 직조 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구조체(300)는 복수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경사(320)와 복수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위사(330)가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310)에 상·하부코팅층(340a),(340b)이 형성된 구조로서, 앞선 실시예들의 직물구조체(100),(2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다만 직물체(310)의 경사(320)와 위사(330)의 직조된 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이때, 직물체(310)는 전술된 직물체(110),(210)와 마찬가지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중간영역으로 구분되어 진다.
경사(320)와 위사(330)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310)의 중앙부(b)에는 볼록형 패턴(P3)이 형성된다. 즉, 직물체(310)는 하부영역(c), 상부영역(a) 및 중앙영역(b)의 중앙좌측영역(b1) 및 중앙우측영역(b3)에 배치된 복수의 홑경사(321)와 홑위사(331)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된다.
한편, 중앙부(b2)에는 둘 이상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통경사(322)가 공급되고, 둘 이상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통위사(332)가 공급되어 볼록형 패턴(P3)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부중앙영역(c2)이 끝나는 부분부터 세 개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통경사(322)가 상부중앙영역(a2)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공급되고, 중앙좌측영역(b1)으로 공급되는 각 홑위사(331)가 중앙좌측영역(b1)이 끝나는 부분부터 세개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통위사(332)가 중앙우측영역(b3)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공급되어 직조됨으로써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3)이 형성되게 된다. 즉, 세개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통경사(322)와 세개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통위사(332)가 중앙부(b2)에서 상호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됨으로써 볼 록형 패턴(P3)이 형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세가닥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통경사(322)와 세가닥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통위사(332)가 직조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경사(322)가 두가닥의 홑경사(321), 네가닥의 홑경사(321) 또는 다섯가닥 이상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지거나, 통위사(332)가 두가닥의 홑위사(331), 네가닥의 홑위사(331) 또는 다섯가닥 이상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져 직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물체(310)는 크게 세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각 영역을 세개의 구간으로 구별하여 중앙부(b2)에 볼록형 패턴(P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직물체(310)가 복수개 연결되거나, 직물체(310)의 어느 구간에라도 볼록형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직물구조체(300)는 직물체(3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코팅층(340a)과 하부코팅층(340b)이 형성됨으로써 제조된다. 이때, 직물체(310)의 볼록형 패턴(P3)에 의하여 기공층(350)이 형성된다. 상기 볼록형 패턴(P3)은 통경사(320) 및 통위사(330)가 밀착되어 볼록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볼록형 패턴(P3)의 형성 이유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직물구조체(100),(200),(300)들은 통경사(122) 또는 통위사(232) 또는 통경사(322)와 통위사(332)가 소정 개수로 이루어져 밀착되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직조됨으로써 기공층(150),(250),(350)이 직물체(110),(210),(3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어 종래의 커버 제품과 다른 기공층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직물구조체(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200),(300)의 제조방법은 상기 직물구조체(100)의 제조방법으로부터 당업자가 자명하게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직물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직물체(110)를 직조하는 직기(1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도 10 참조). 상기 직물구조체(100)를 직조하는 직기(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워터제트나 에어제트 도비(dobby) 직기를 사용한다. 상기 직기(10)에는 종광(20)이 설치된 홀드 프레임(H)이 설치되어 홀드 프레임(H)의 상,하 이동과 북침운동에 의하여 직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물체(110)의 폭에 해당하는 올수(복수의 홑경사의 수)만큼 경사(120)가 감긴 빔(22)으로부터 나란히 송출되는 경사(120)는 홀드 프레임(H)에 설치된 종광(20)에 끼워진다. 이러한 홀드 프레임(H)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각각 위와 아래로 이동되어 개구(開口)를 만들면 북(30)이 상기 개구속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북(30)에는 위사(130) 즉, 홑위사(131)가 걸려 북(30)에 의해 끌려 다닌다. 즉, 홑위사(131)는 워터제트나 에어제트 방식에 의해 개구 속을 가로질러가면 모든 경사(120)가 위, 아래로 교차하여 위입(緯入)이 일어난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를 통과한 홑위사(131)를 바디(32)(reed)로 쳐서 이미 짜여진 직물의 끝에 바싹 밀어 붙임으로써 직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직기(10)를 이용하여 직조시 경사(120)를 홀수 및 짝수로 구분하여 홀수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짝수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구를 형성한뒤 홑위사(131)를 개구로 통과시켜 홀수의 경사(120)와 짝수의 경사(120)를 교차시킴으로써 홑위사(131)가 복수의 홑경사(121)인 경사(120)와 각각 상하로 엇갈리게 평직조되게 된다. 이와 같은 직기(10)를 사용하여 볼록형 패턴(P)을 갖는 직물체(110)를 직조하는 것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총 8개의 홀드 프레임(H1 ~ H8)이 설치되고, 각 홀드 프레임(H1 ~ H8)에 설치된 종광(20)에 경사(120)가 삽입하여 배열된다. 이에 각 홀드 프레임(H1 ~ H8)의 홀수(H1,H3,H5,H7)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짝수(H2,H4,H6,H8)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개구를 형성하면, 상기 위사(130)를 워터제트 방식으로 홑위사(131)가 걸린 북(30)을 개구로 통과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구간, 예컨대 하부영역에 걸쳐 시행한 뒤, 상기 각 홑경사(121)가 걸린 홀드 프레임(H1 ~ H8)의 상,하 동작을 변화시킨다. 즉, 3,4번의 홀드 프레임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5,6번의 홀드 프레임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개구를 형성한뒤 홑위사(131)를 개구로 통과시켜 직조하게 된다. 이때, 1,2번의 홀드 프레임에 걸린 홑경사는 각각 상하로 이동되어 홑위사와 평직조되고, 7,8번의 홀드 프레임에 걸리 홑경사는 각각 상하로 이동되어 홑위사와 평직조된다. 즉,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은 평직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좌측영역과 중앙우측영역이 평직조될 때, 중앙부에는 홑위사와 두가닥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교차되어 직조된다. 즉, 3,4번의 홀드 프레임에 걸린 홑경사를 하나의 통경사로, 5,6번의 홀드 프레임에 걸린 홑경사를 하나의 통경사로 하여 상기 통경사를 각각 상하로 이동시켜 직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횟수 반복하면, 홑위사(131)와 두가닥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가 교차되어 직조되게 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것이다. 상기 볼록형 패턴이 형성되도록 일정회수, 즉 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까지 직조한 뒤, 다시 홀드 프레임(H1 ~ H8)을 홀수와 짝수로 구분하여 상부영역을 평직물로 평직조하여 직물체(110)가 형성되면, 상기 직물체(110)에는 볼록형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1 ~ #8은 각 홀드 프레임(H1 ~ H8)에 설치된 종광(20)에 각각 홑경사(121)가 끼워진 것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종광(20)에 연결된 각 홑경사(121)는 홀드 프레임(H1 ~ H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패턴에 의하여 다양한 볼록형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두가닥의 홑경사(121)와 홑위사(131)가 직조되어 볼록형 패턴(P1)을 형성하는 것은 일 예로서, 세가닥 또는 네가닥, 다섯가닥 이상의 홑경사(120)로 이루어진 통경사(122)와 직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직물체(110)에 세가닥의 홑경사(121)로 이우러진 통경사와 홑위사(131)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볼록형 패턴과, 두가닥의 홑경사(121)로 이루어진 통경사(122)와 홑위사(131)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볼록형 패턴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홀드 프레임(H1 ~ H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직물체(110)에 다양한 볼록형 패턴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홀드 프레임(H)을 8개로 도시하여 표현하였으 나, 이는 볼록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십 내지 수백의 경사가 직기(10)설비에 의한 도비 패턴 카드(미도시)에 의하여 홀드 프레임의 매수에 따른 상,하 운동이 제어되어 볼록형 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직물체(110)의 상면과 하면에 상·하부코팅층(140a),(140b)을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코팅층(140a),(140b)의 접합은 열풍, 초음파 또는 고주파 가열하여 접합한다. 상기 상·하부코팅층(140a),(140b)은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상기 경사(120) 및 위사 (130)중 어는 하나는 폴리에틸렌계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폴리에틸렌 물질과 폴리프로필렌 물질의 연화온도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이와 같은 재질의 차이는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하부코팅층(140a),(140b)이 형성되면, 상기 직물체(110)에 형성된 볼록형 패턴 부분에 기공층(150)이 형성된다. 즉, 볼록형 패턴은 복수의 홑위사(121)가 밀착되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경사(120)와 홑위사(131)가 직조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경사(120)와 위사(130)사이에 기공이 존재하게 되어 상부코팅층(140a) 및 하부코팅층(140b)이 밀봉되도록 접합되면 기공층(150)이 형성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홑경사(221)와 적어도 둘 이상의 홑위사(231)로 이루어진 통위사(232)가 직조되어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체(210)가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둘 이상의 홑경사(321)로 이루어진 통경사와 둘 이상의 홑위사(331)로 이루어진 통 위사(332)가 공급되어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체(310)가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직물체(210),(3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코팅층(240a),(340a) 및 하부코팅층(240b),(340b)을 접합하여 기공층(250),(350)이 형성된 직물구조체(200),(300)로 제조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직물구조체(100),(200),(300)들은 경사(120),(220),(320) 및 위사(130),(230),(330)에 의해 직조되므로써 찢김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보온성, 부유성 및 단열성을 가지며 압력 내성이 향상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커버 제품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직물구조체의 직물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직물구조체의 직물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직물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직물구조체의 직물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체를 직조하기 위한 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체에 볼록형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직물 구조체 110, 210, 310 : 직물체
120, 220, 320 : 경사 130, 230, 330 : 위사
121, 221, 321 : 홑경사 131, 231, 331 : 홑위사
122, 322 : 통경사 232. 332 : 통위사
140a, 240a, 340a : 상부코팅층 140b, 240b, 340b : 하부코팅층
150, 250, 350 : 기공층 P1, P2, P3 : 볼록형 패턴
a : 상부영역 b : 중앙영역 c : 하부영역
a1 : 상부좌측영역 b1 : 중앙상부영역 c1 : 하부좌측영역
a2 : 상부중앙영역 b2 : 중앙부 c2 : 하부중앙영역
a3 : 상부우측영역 b3 : 중앙하부영역 c3 : 하부우측영역

Claims (7)

  1.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하부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공급되어 상부중앙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2.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중앙좌측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둘 이상의 홑위사로 이루어진 통위사가 공급되어 중앙우측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3.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경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경사; 및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물질로 제조된 복수의 홑위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와 위사가 상호 교차되어 직조된 직물체는 상부영역, 하부영역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중앙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영역은 상부좌측영역, 상부중앙영역 및 상부우측영역으로,
    상기 중앙영역은 중앙좌측영역, 중앙부 및 중앙우측영역으로,
    상기 하부영역은 하부좌측영역, 하부중앙영역 및 하부우측영역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및 중앙영역의 중앙좌측영역 및 중앙우측영역에는 홑위사와 홑경사가 상호 교차되어 평직조되고,
    상기 하부중앙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상부중앙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둘 이상의 홑경사로 이루어진 통경사가 공급되고, 상기 중앙좌측영역이 끝나는 부분부터 중앙우측영역이 시작되는 부분까지 둘 이상의 홑위사로 이루어진 통위사가 공급되어 직조됨으로써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위사가 직조된 직물체의 상면과 하면에 상·하부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코팅층에 의하여 볼록형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기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은, 폴리에틸레계 물질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팅층 및 하부코팅층의 접합은, 열풍, 초음파 또는 고주파 가열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구조체.
KR1020080003923A 2008-01-14 2008-01-14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KR20090078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23A KR20090078122A (ko) 2008-01-14 2008-01-14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23A KR20090078122A (ko) 2008-01-14 2008-01-14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22A true KR20090078122A (ko) 2009-07-17

Family

ID=4133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923A KR20090078122A (ko) 2008-01-14 2008-01-14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1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64A1 (ko) * 2012-11-06 2014-05-15 주식회사 파비노 형태안정성 및 인열강도가 개선된 원단
KR101507968B1 (ko) * 2012-11-06 2015-04-07 주식회사 파비노 형태안정성 및 인열강도가 개선된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3864A1 (ko) * 2012-11-06 2014-05-15 주식회사 파비노 형태안정성 및 인열강도가 개선된 원단
KR101507968B1 (ko) * 2012-11-06 2015-04-07 주식회사 파비노 형태안정성 및 인열강도가 개선된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4764C2 (ru) Двухслойная формирующая сетка с высоким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в центральной плоскости
US6418974B1 (en) Woven fabric using three dimensional and flat weave in combination, related methods and filter element
CA2440263A1 (en) Warp boun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MXPA06006552A (es) Tela bicapa industrial.
EP2230340A2 (en) Heat- and corrosion-resistant fabric
CA2593724A1 (en) Press fabric for pulp machine
TR200401293T4 (tr) Bileşik dokuma
RU2507333C2 (ru) Трехслойная ткань для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JP5143709B2 (ja) 工業用二層織物
JPWO2008035443A1 (ja) 嗜好性飲料抽出用フィルターおよび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KR20090078122A (ko) 볼록형 패턴을 갖는 직물구조체
KR101170026B1 (ko)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용 커튼지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5220798B2 (ja) メッシュ織物
JP4630818B2 (ja) 段ボール接着機械用織りベルト
CN201221040Y (zh) 干燥部织物和干燥部织物的接缝区
CN113927977A (zh) 高强度复合拉丝布
JP2013501153A (ja) 繊維質ウェブ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フォーミングファブリック
KR102104157B1 (ko) 공업용 2층 직물
JPH05287635A (ja) 二重織物
EP1495172B1 (en) Clo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oth with at least one permanent fold.
CN107604513B (zh) 结构稳定的织唛及其织造方法
KR101146707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2657B1 (ko)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CN215856593U (zh) 一种玻璃纤维复合纱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