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121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121A
KR20090078121A KR1020080003922A KR20080003922A KR20090078121A KR 20090078121 A KR20090078121 A KR 20090078121A KR 1020080003922 A KR1020080003922 A KR 1020080003922A KR 20080003922 A KR20080003922 A KR 20080003922A KR 20090078121 A KR20090078121 A KR 2009007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composition
signal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121A/ko
Publication of KR2009007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8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 G03B17/40Releasing-devices separate from shutter with delayed or timed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도를 설정하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리거나,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움직이는 피사체에 있어서도 원하는 구도 내에 배치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배치되도록 피사체의 움직임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 구도, 안정한 이미지, 움직인 감지부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프-타이머 모드에서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용자는 피사체가 촬영 범위에 속하도록 디지털 촬영 장치를 배치 및 조절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피사체가 상기 촬영 범위에 위치한 후 촬영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셀프-타이머 모드에서 피사체는 사용자 자신이므로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촬영 범위에 포함되는지 나아가 안정된 구도로 피사체 이미지가 배치되는지 판단할 수 없었다.
한편, 움직이는 피사체의 경우 종래 디지털 촬영 장치는 연사 모드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들을 얻고, 이들 중 잘 나온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사 모드는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빠르게 사진 촬영을 행하는 것으로, 원하는 위치에 피사체가 배치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확률은 다소 떨어졌었다. 만약 원하는 위치에 피사체가 배치된 안정한 구도의 이미지를 얻더라도 이를 위해 불필요하게 생성된 이미지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구도 내에 피사체가 배치되는 경우 이를 알리거나 또는 자동으로 사진 촬영을 행하도록 하여 안정된 구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도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움직인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셀프-타이머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와, 적어도 하나의 구도 정보를 저장하는 구도 기억부와,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기억부로부터 제공된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지 않으면 알림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의해 피사체가 움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면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구도 내에 피사체가 배치된 안정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자신이 피사체인 셀프-타이머 모드에서 사용자는 피사체가 원하는 구도 내에 배치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도 내에 피사체가 배치된 안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상부(110)의 광학계인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를 투과하고,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정된 후,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결상되는 상은 광전 변환 처리에 의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소자(117)로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리개(115)는 통상 상태 또는 릴리스 버튼을 반쯤 눌러 형성된 첫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고 행해지는 오토포커싱 알고리즘 실행시에는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을 지그시 눌러 형성된 두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아 노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광각(wide angle)-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 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줌 렌즈(11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 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CPU(20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형성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촬상 소자(11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촬상 소자(1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에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억부(130)는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와 그 밖에 데이터들 을 임시 저장하는 주기억부(131)와,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기억부(13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를 기억하는 구도 기억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주기억부(131)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기억부(14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주기억부(131)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것과 별개로, 전원부(16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부팅을 빨리 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코드를 주기억부에 복사 및 실행가능한 코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재부팅하는 경우 상기 주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빨리 읽어 올 수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133)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작동하는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133)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CPU(17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구도 기억부(13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구도 기억부(135)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내장된 기억부(130)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착탈 가능한 보조 기억부(1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도 정보로는 도 2a 에서와 같이 3분할 황금비율의 구도를 예시한다. 도 2b와 2c는 상기 3분할 황금비율의 구도에서 피사체의 바람직한 위치를 나타낸 구도 정보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b에는 도 2a에 도시된 3분할 구도에서 피 사체의 위치가 가운데 사각형의 네 면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구도 정보를 예시한다. 상기 네 면을 1 내지 4로 표기하고, 상기 구도 정보를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한 위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c에는 도 2a에 도시된 3분할 구도에서 가운데 사각형의 꼭지점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구도 정보를 예시한다. 도 2c에서도 상기 사각형의 꼭지점 영역을 1 내지 4로 표시하고, 피사체의 위치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주기억부(131)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구동부(155)로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과 동시에 표시 출력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영상 신호는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되어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촬영 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 촬상 소자(117)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뷰 파인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5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영상 신호는 주기억부(131)에 임시 저장되고, 이때 보조 기억부(140)에는 상기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 신호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영상 신호와 정보는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된다. 압축/신장부(145)에서는 압축 회로에 의해 저장을 위한 최적의 형태로 압축 처리 즉, JPEG과 같은 부호화 처리가 행해져 이미지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보조 기억부(140)에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14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조 기억부(140)에 압축되어 기록된 이미지 파일은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되고 신장 회로에 의해 신장 처리, 즉 복호화 처리가 행해져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 후, 표시 구동부(155)를 통해 표시부(150)에서 소정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등의 외부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70)로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7)를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플래시(201) 및 상기 플래시(201)를 구동하는 플래시 구동부(202)를 포함한다. 플래시(201)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피사체를 밝게 해주는 발광 장치이다.
스피커(203) 및 램프(205) 각각은 음성 신호 및 빛의 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동작 상태 등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사체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지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스피커(203) 및 램프(205)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램프(205)가 빠르게 점등하거나, 또는 스피커(203)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03)는 스피커 구동부(204)에 의해 음성의 종류, 음성 크기 등이 제어되며, 램프(205)는 램프 구동부(206)에 의해 발광 여부, 발광 시간, 발광 종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움직임 감지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90)는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타이머부(180)를 구비한다. 타이머부(180)는 셀프 타이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셔터 릴리즈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을 하도록 명령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시간을 카운트 한 후, 사진 촬영을 위한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셀프 타이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인 피사체가 촬영 범위에 위치하는지 나아가 바람직한 구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셀프 타이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머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CPU(200)는 기억부(130)에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 라 연산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CPU(200)는 위치 판단부(211) 및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판단부(211)는 선택된 구도 내에 상기 피사체가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위치 판단부(211)의 판단에 따라 상기 구도 내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경우 알림 신호 생성부를 통해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작부(170)를 통해 도 2b에 따른 구도 정보 중 1번 위치에 피사체가 위치되는 구도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부(190)를 통해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프리뷰 모드로서,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구도 정보와 피사체의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위치 판단부(211)에서 상기 구도 정보의 1번 위치에 피사체의 영상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구도 정보의 1번 위치에 피사체의 영상이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15)의 알림 신호 생성부에서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알림 신호는 스피커(203)나 램프(20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셀프 타이머 모드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구도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10). 상기 구도 설정은 3분할 구도 등에 피사체의 위치 배치 설정까지 포함한다. 3분할 구도 등에 피사체의 위치가 포함된 구도 정보들을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되어 디지털 촬영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화면에 따르면, 왼쪽에 나무가 배치되는 경우 피사체는 3분할 구도의 가운데 사각형 중 오른쪽 면에 위치하도록 구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또한, 셀프-타이머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11). 셀프-타이머를 구도 설정 이전에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피사체가 움직인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12). 예를 들어, 도 4에 따르면, 피사체가 1번 위치에서, 2번 위치 3 번 위치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13). 이때는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전, 촬영 범위 및 대상을 정하는 프리뷰 단계에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리뷰 단계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표시부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4에 따르면, 1 번 위치의 피사체는 촬영 범위 밖이므로 상기 영상이 생성되지 않을 것이며, 2 번 위치의 피사체는 촬영 범위 내이므로 2 번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 정확하게는 상기 구도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판단한다(S14). 예를 들어, 2번 위치의 피사체 이미지가 상기 구도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위치에 배치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피사체의 이미지가 상기 구도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S15). 상기 알림 신호는 발광 또는 경고음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피사체는 상기 발광 또는 경고음 등을 통해 자신이 상기 구도 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됨 또는 배치되지 않음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번 위치의 피사체 이미지는 상기 구도의 원하는 피사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알림 신호로 인해 피사체가 상기 구도 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음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피사체는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또 감지하며, 상기 구도의 원하는 피사체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가 상기 구도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는 설정 시간을 카운트한다(S16). 예를 들어, 피사체가 이동하여 3번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이때 생성된 영상 신호에 따른 피사체의 이미지는 상기 구도 내에 선택한 피사체의 위치 내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설정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S17), 경과 하지 않았다면 계속하여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고(S17), 경과 하였다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S18). 이때, 생성된 영상 신호는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영상 신호로서, 보조 기억부에 저장된다. 반면, S13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촬영 대상 및 범위를 정하기 위해, 뷰-파인더 역할을 하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도 5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원하는 구도로 촬영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구도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2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화면에 따르면 3분할 구도에서 가운데 사각형 3개에 피사체가 위치하는 구도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지 판단한다(S21).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22).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상기 설정된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S23).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가 구도 내에 위치한다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여 사진 촬영을 행한다(S24). 그렇지 않으면, 다시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21).
도 6을 참조하면, 신부가 던진 부케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부케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신부가 부케를 던지는 경우 부케는 계속 움직이므로, 상기 부케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부케의 이미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부케 이미지가 가운데 줄의 3개 사각형들 내에 위치하면, 사진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부케의 위치가 3번에 위치하면 사진 촬영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케의 위치가 1, 2, 4 번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촬영을 종료한다(S25). 이때, 피사체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 감지되지 않으면 촬영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안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구도의 종류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이미지가 구도 내 또는 외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구도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움직인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셀프-타이머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상기 구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부;
    적어도 하나의 구도 정보를 저장하는 구도 기억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상기 구도 기억부로부터 제공된 구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지 않으면 알림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면 릴리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의해 피사체가 움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구도 내에 상기 이미지가 위치하면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80003922A 2008-01-14 2008-01-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90078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22A KR20090078121A (ko) 2008-01-14 2008-01-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22A KR20090078121A (ko) 2008-01-14 2008-01-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21A true KR20090078121A (ko) 2009-07-17

Family

ID=4133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922A KR20090078121A (ko) 2008-01-14 2008-01-14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229B2 (en) 2011-02-08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apturing a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of an object being in a capturing 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1229B2 (en) 2011-02-08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apturing a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of an object being in a capturing 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4883B2 (ja) 撮像装置
US8525921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00926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324877A (ja) 撮像装置
JP200717857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31186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450908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JP2007201539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13002402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096455A (ja) 撮影装置
JP4941758B2 (ja) 撮像装置
JP2006313978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6803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6253810A (ja) 撮像装置
JP2007028546A (ja) 撮像装置
JP2006333052A (ja) 露出調整装置
JP2006270426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078121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3222787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140746A1 (ja)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10090086A (ko) 복수의 표시부들 각각에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22157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JP4298491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