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016A -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 Google Patents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016A
KR20090076016A KR1020080001734A KR20080001734A KR20090076016A KR 20090076016 A KR20090076016 A KR 20090076016A KR 1020080001734 A KR1020080001734 A KR 1020080001734A KR 20080001734 A KR20080001734 A KR 20080001734A KR 20090076016 A KR20090076016 A KR 2009007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detergent
hos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흔 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Priority to KR102008000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6016A/en
Publication of KR2009007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A carbon cleaner of an automotive engine is provided to remove harmful materials including NOx and Sox included in exhaust gas by spraying compacted cleaning agent with the air of high pressure through a cleaning agent discharge hose and emitting the air of the high pressure through an air discharge hose. A carbon cleaner of an automotive engine comprises: a cleaning agent container(6) including a cleaning agent inlet(5) at the top; a cleaning agent outlet(16)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agent container; an air joint(7) and an air discharge part(8)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agent container; a metric hose(10) displaying the amount of the cleaning agent within the cleaning agent container; a controlling unit(13) in which an air discharge hose(13c) and a cleaning agent discharge hose(13d) are connected; and a nozzle pipe(14) and an injection nozzle(15) which are connected to the end part of the controlling unit and spray the cleaning agent.

Description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Carbon cleaner of vehicle engine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만나 전기적 점화에 의해 연소가 진행될 때 이상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부산물인 카본 디포짖(deposits)을 세정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에 관련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rbon deposits, which are by-products generated by abnormal combustion when fuel and air meet inside an engine of a vehicle and undergo combustion by electrical ignition. It relates to the carbon cleaner of the vehicle engine to clean.

차량의 엔진 내에서 발생되는 카본은 일반적으로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엔진 내부에 카본이 쌓이게 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연비 저하, 출력 저하, 배기가스 증가, 엔진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Carbon generated in the engine of a vehicle is generally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of fuel, and carbon builds up inside the engine as time passes, and if it is not effectively removed, problems such as fuel consumption, power output, exhaust gas increase, engine damage, etc. Is generated.

엔진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만나 전기적 점화에 의해 연소가 진행될 때 이상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부산물의 일종인 것을 카본 디포짖(carbon deposit)이라 하며, 특히 엔진의 연소 상태가 불안정할 때 카본이나 NOx, SOx 등의 유해물질이 흡입계통, 흡기밸브, 연소실 안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연소계통 및 배기계통에 흡착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경우 불완전 연소로 인한 엔진성능 저하, 배 기가스 증가, 특히 배기가스 중에 NOx, SOx 등의 유해 물질 다량 배출, 엔진부조 및 RPM불안정, 시동불량, 소음증가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Carbon deposits are a by-product of abnormal combustion when fuel and air meet inside the engine and are combusted by electrical ignition. Especially, when the combustion state of the engine is unstable, carbon, NOx,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SOx are easily generated in the intake system, intake valve, and combustion chamber, and are adsorbed in the combustion system and the exhaust system.If this is not effectively removed, the engine performance is reduc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and the exhaust gas is increased, especially NOx in the exhaust gas. Many problems occur, such as large quantities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SOx, engine relief and RPM instability, starting failure, and noise increase.

현재의 엔진 설계기술을 고려할 때 아무리 연소현상을 개선하고 소모품을 정기적으로 교환하더라도 엔진 내부에는 카본이 축적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관리적 차원에서 카본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한 카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현실적이라 할수 있다.Considering the current engine design technology, no matter how much the combustion phenomenon is improved and the consumables are replaced regularly, carbon is inevitably accumulated inside the engine. Therefore, it is realistic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carbon from the management level and to effectively remove the generated carb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엔진 분해 후 청소, 부품교환, 약품을 사용한 카본제거 등의 엔진세정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엔진분해 후 청소는 가장 효과적이기는 하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고비용이라 현실성이 떨어지며, 부품 교환에 있어서 카본이 쌓이면 부품에는 이상이 없는 데도 스캐너 상에 부품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더러 있어 대부분 부품을 교환했으나 소비자도 이제는 카본만 청소하면 부품을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정비의 효율성을 생각할 때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약품(세정제)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카본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n engine cleaning method such as cleaning after disassembling the engine, replacing parts, and removing carbon using chemicals is used. Cleaning after disassembly of the engine is the most effective, but it takes a lot of time and is expensive, so it is not practical, and when carbon is accumulated in the parts exchange, parts sometimes appear abnormally on the scanner even though there is no problem with parts. It is now recognized that cleaning carbon only eliminates the need for parts replacement.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maintenance, a realistic and reasonable way to remove carbon is by using chemicals (cleaners) on a regular basis.

일반적으로 약품 사용법은 엔진을 워밍 업 시킨 후 에어클리너 엘보우 호스를 스로틀 바디로부터 떼어낸 후 스프레이식 엔진 세정제의 스트로를 스로틀 바디 입구(공기흡기관)에 꽂은 후 엔진 세정제를 분사, 주입하였다.In general, the chemical usage is to warm up the engine, remove the air cleaner elbow hose from the throttle body, insert the straw of the spray-type engine cleaner into the throttle body inlet (air intake), and then spray and inject the engine cleaner.

이와 같은 방식은 작업자가 엔진 시동을 건 후 지속적으로 악셀레이터를 밟고, 다른 작업자는 스프레이식 엔진 세정제를 주입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엔진 세정제를 분사할 때 스로틀 밸브 입구, 통로 부분만 분사되고 흡기 및 연소실 내부에는 분사액이 미치지 못하므로 카본이나 각종 슬러지등 의 침착물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In this way, the operator continuously steps on the accelerator after starting the engine, while other workers inject spray-type engine cleaner,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When spraying the engine cleaner, only the throttle valve inlet, the passage part is injected, and the intake and Since the injection liquid did not reach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there was a limit to effectively clean deposits such as carbon and various sludges.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실용신안 등록 제344716 호 "차량 엔진 라인의 카본 크리너"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상기 고안은 세정제 투입통을 통해 압축용기에 세정제를 투입하여, 에어 컴프레셔에서 압축공기 투입구로 에어를 세정제 압축용기에 공급하고, 압축용기에 연결된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제와 에어를 함께 차량의 스로틀 바디로 분사하는 형태로, 에어의 세기는 전적으로 압축용기에 공급되는 에어의 양에 의존하므로 에어의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정액을 더욱 미립화 시켜 연소실 내부 깊숙이까지 분사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technology such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44716,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line," as a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s appeared, but the above-mentioned design puts a cleaning agent into a compression container through a cleaning container, and thus an air compressor Air is supplied to the compressed air compressor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let and sprayed together with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ompressed air to the throttle body of the vehicle. Since it depends on the strength of the air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atomize the cleaning liquid further atomized deep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as insufficient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흡기 및 연소실에 세정제를 고압의 에어와 함께 분사함으로써, 카본이나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착물을 강력하게 세정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며, 특히 배기가스 중에 NOx, SOx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엔진부조 및 RPM 불안정을 개선하고, 시동불량을 해결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 엔진에 침착되는 카본 등을 세정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praying the cleaning agent with a high pressure air in the intake and combustion chamber of the car, to strongly clean the deposits such as carbon or various sludge, the engine Vehicle engine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gine, reduce the exhaust gas,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NOx and SOx in the exhaust gas, improve engine relief and RPM instability, solve the starting failure, and reduce the noi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for cleaning carbon deposited on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는, 상부에 세정제 주입구를 구비한 세정제 용기와, 상기 세정제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정제 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제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 연결부 및 에어 배출부와, 상기 에어 배출부의 일단(一端)과 세정제 토출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제 용기 내에 있는 세정제의 양을 표시해주는 계량 호스, 상기 에어 배출부의 타단(他端)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 호스와 상기 세정제 토출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세정제 배출 호스가 연결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의 단부(端部)에 연결되어 세정제를 분사하는 노즐관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container having a cleaner injection hole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leaner discharge portion provid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container, and an air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cleaner container. And a metering hose connected between an air outlet, an end of the air outlet, and an end of the detergent outlet, the metering hose indicating the amount of detergent in the detergent container, and an ai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outle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discharge portion, and a nozzle tube and an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trol unit for spraying the cleaning ag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 내에서 에어 배출 호스와 세정제 배출 호스가 합쳐져서, 상기 에어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세정제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제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도록 한다. Preferably, the air discharge hose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are combined in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hose injects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at a high pressu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본 클리너는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부면에 눈금이 각인되며, 상기 계량 호스는 눈금이 각인된 부분의 케이스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계된다. Preferably, the carbon cleaner is embedded in the case, the scale is stamp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the metering hose is design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tamp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는, 에어 및 세정제의 분사량을 각각 조절하는 에어 조절 밸브 와 세정제 조절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에 연결된 에어 배출 호스 및 세정제 배출 호스가, 에어 조절 밸브와 세정제 조절 밸브의 사이에서 하나의 호스로 합쳐져서 가요성(可嶢性) 노즐관으로 연장된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air control valve and a detergent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and the cleaner, respectively, and the air discharge hose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air control valve and the detergent control valve It merges into a hose and extends into a flexible nozzle tu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는, 자동차의 흡기 및 연소실에 용기내에서 압축된 세정제를 고압의 에어와 함께 세정제 배출 호스를 통해분사함과 동시에 추가로 에어 배출 호스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카본이나 각종 슬러지와 같은 침착물을 강력하게 세정하여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배기가스를 감소하여, 특히 배기가스 중에 NOx, SOx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엔진부조 및 RPM의 불안정을 개선하고, 시동불량을 해결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carbon cleaner of the vehicl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rays the cleaner compressed in the container to the intake and combustion chamber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high pressure air through the cleaning agent discharge hose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se. By spraying air, it is possible to strongly clean deposits such as carbon and various sludges to improve engine performance, reduce exhaust gas, and in particular,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NOx and SOx from exhaust gas, engine relief and RPM.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nstability, solving the starting failure, and reducing the nois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는, 상부에 세정제 주입구(5)를 구비한 세정제 용기(6)와 상기 세정제 용기(6)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정제 토출부(16); 상기 세정제 용기(6)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 연결부(7) 및 에어 배출부(8)와 상기 에어 배출부(8)의 일단(一端)과 세정제 토출부(16)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제 용기 내에 있는 세정제의 양을 표시해주는 계량 호스(10); 상기 에어 배출부(8)의 타단(他端)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 호스(11)와 상기 세정제 토출부(16)의 타단에 연결되는 세정제 배출 호스(12)가 연결되는 조절부(13); 상기 조절부의 단부(端部)에 연결되어 세정제를 분사하는 노즐관(14) 및 분사 노즐(15);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13) 내에서 에어 배출 호스(13c)와 세정제 배출 호스(13d)가 합쳐져서, 에어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세정제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제를 노즐관 및 분사노즐을 통해서 고압으로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container (6) having a cleaner injection port (5) thereon and a cleaner discharge portion (16) provided at a bottom of the cleaner container (6); It is connected between the air connecting portion 7 and the air discharge portion 8 and the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8 and the one end of the detergent discharge portion 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6) A metering hose (10) indicating the amount of detergent in the detergent container; An adjusting unit 13 to which an air discharge hose 1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8 and a detergent discharge hose 1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leaner discharge unit 16 are connected; A nozzle tube (14) and a spray nozzle (15)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adjusting unit to spray a cleaner; The air discharge hose 13c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13d are combined in the control unit 13 to discharge the detergent discharged from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hose. And spray at a high pressure through the spray nozzle.

자동차의 흡기 및 연소실 계통의 카본 및 각종 슬러지 등과 같은 침착물을 세정할 경우, 상기 세정제 용기(6)의 상부에 구비된 주입구(5)의 마개(4)를 열고 세정제를 주입구를 통해 용기(6)에 주입한 후 마개(4)를 닫아 주입구(5)를 밀폐한다. 세정제는 액체식 또는 거품식이며, 그 양은 통상적으로 용기의 80%까지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lean deposits such as carbon and various sludges of the intake and combustion chamber systems of automobiles, the stopper 4 of the injection hole 5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container 6 is opened and the cleaning agent is injected through the container 6. ) And then plug the cap (4) to seal the inlet (5). The cleaning agent is liquid or foamed, and the amount is usually preferably filled up to 80% of the container.

세정제 용기(6)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 주입구(1)에 컴퓨레셔 호스(도시 되어 있지 않음)를 연결하여 컴퓨레셔에서 생성되는 에어를 에어 조절부(2)및 에어 연결부(7)를 통해서, 세정제가 주입되어 있는 용기(6)에 주입한다. 에어 주입시 에어 압력계(3)를 통해서 내부의 압력을 보면서 에어 조절 밸브(2)를 에어 공급(2a) 및 에어 배출(2b)방향으로 조정하여 용기내의 압력을 맞춘다. A compressor hos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 connected to the cleaner container 6 to generate air from the compressor through the air regulator 2 and the air connector 7.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6) into which is injected. When the air is injected, the pressure in the containe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ir control valve 2 in the air supply 2a and air discharge 2b directions while watching the internal pressure through the air pressure gauge 3.

상기 에어 연결부(7)의 일단(一端)에는 에어 주입구(1) 및 에어 조절부(2)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他端)에는 압력계(3)와 연결되어 있다. 세정제 용기(6)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에어 연결부(7)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 공급 호스(17)를 통해서, 세정제가 이미 주입되어 있는 용기내에 에어가 충진되면 용기내의 세정제와 에어가 교반이 일어난다. 즉, 용기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가 와류(도 2에서 용기 내부 화살표로 도시)를 형성되게 하여 세정제가 잘 섞이도록 한다.One end of the air connection unit 7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 and the air control unit 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gauge 3.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7 provided inside the detergent container 6 and connected to the air connection 7, when air is filled in the container into which the detergent is already injected, the detergent and the air in the container are stirred. That is, the ai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forms a vortex (shown by the arrow inside the container in FIG. 2) to allow the detergent to mix well.

상기 용기(6)내에서 에어에 의해 압축된 세정제는 세정제 토출부(16)을 통해서 세정제 배출 호스(12)를 거쳐 조절부(13)에 도달하며, 일부는 세정제 용기의 높이만큼 계량 호스(10)에 세정제가 주입되고, 세정제를 채우고 남은 용기 상부의 공 간의 에어는 에어 배출구(8)를 통해 분기부(9) 및 에어 배출 호스(11)을 거쳐 조절부(13)에 도달한다. 카본 클리너는 케이스(18)에 내장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일측 외부면에 눈금(18a)이 각인되어, 케이스 내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계량 호스(10)를 통해 세정제가 용기(6)내부에 얼마나 충진되었는지를 나타내어 주며, 케이스(18)의 하단에는 개구(19,開口)가 있어 에어 배출 호스(11) 및 세정제 배출 호스(12)가 개구를 통해서 조절부(13)로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13) 내에서 에어 배출 호스(13c)와 세정제 배출 호스(13d)는 에어 조절 밸브와 세정제 조절 밸브 사이에서 하나의 호스로 합쳐져서 노즐관(14)으로 연장된다.The detergent compressed by the air in the vessel 6 reaches the regulating portion 13 via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12 via the detergent discharge portion 16, and some of the metering hoses 10 by the height of the detergent container. ), The cleaning agent is injected, and the air in the space above the container remaining after filling the cleaning agent reaches the control unit 13 via the branch 9 and the air discharge hose 11 through the air outlet 8. The carbon cleaner may be embedded in the case 18 and filled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6 through the metering hose 10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ase by marking the scale 18a on one outer surface of the case. In the bottom of the case 18, there is an opening (19, 있어 口) so that the air discharge hose 11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1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 through the opening and the control unit 13 The air discharge hose 13c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13d are combined into one hose between the air control valve and the detergent control valve and extend into the nozzle tube 14 within the pipe.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분사 노즐(15)이 장착되어 있는 가요성(可嶢性)의 노즐관(14)을 자동차의 스로틀 바디(20)의 밸브(21)쪽으로 향하게 한 후 조절부(13)에 구비된, 에어 조절 밸브(13b)를 열어 에어 분사량을 조절한 후 세정제 조절 밸브(13a)를 조금씩 열어서 에어 조절 밸브쪽으로 흐르는 에어와 용기내에서 압축된 세정제가 2차로 혼합된 후 미립화되어 스로틀 바디 내부로 강력히 분사됨으로써 엔진의 흡기 및 연소실 계통에 점착된 카본 등을 제거하며, 좀더 강력한 세정을 원할시에는 에어 조절 밸브(13b)의 에어의 양을 조절하여 세정제를 더욱 미립화 시켜 연소실 내부 깊숙이 까지 분사하여 소기의 세정 능력을 달성하는데 있으며, 특히 조절부(13)에 구비된 에어 조절 밸브(13b)와 세정제 조절 밸브(13a)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사 유량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에어의 공급 압력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조절부(13)내의 에어 배출 호스(13c) 와 세정제 배출 호스(13d)의 경(徑)의 비율은 10:1 내지 15:1인 것이 최적인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를 제공한다.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the flexible nozzle tube 14 on which the spray nozzle 15 is mounted is directed toward the valve 21 of the throttle body 20 of the vehicle, and then the adjusting unit 13 ), The air control valve 13b is opened to adjust the air injection amount, and then the detergent control valve 13a is opened little by little, and the air flowing to the air control valve and the compressed cleaner in the container are secondarily mixed and then atomized and throttled. It is strongly injected into the body to remove carbon adhered to the intake and combustion chamber system of the engine, and when more powerful cleaning is required,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control valve 13b is adjusted to further refine the cleaning agent to deep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cleaning ability by spraying, in particular, the injection flow rat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ontrol valve 13b and the detergent control valve 13a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3 is very medium. And it is also important as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Therefore,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air discharge hose 13c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13d in the adjusting unit 13 to 10: 1 to 15: 1 provides a carbon cleaner of the vehicle engin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의 노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nozzle unit of the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클리너의 계량 호스를 나타낸 부분도이다.5 is a partial view showing a metering hose of a carbon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에어 주입구 2. 에어 조절부1. Air Inlet 2. Air Control Part

3. 압력계 4. 마개3. pressure gauge 4. plug

5. 세정제 주입구 6. 세정제 용기5. Detergent inlet 6. Detergent container

7. 에어 연결부 8. 에어 배출부7. Air connection section 8. Air exhaust section

9. 분기부 10. 계량 호스9. Branch 10. Metering hose

11. 에어 배출 호스 12. 세정제 배출 호스11. Air Drain Hose 12. Cleaner Drain Hose

13. 조절부 13a. 세정제 조절 밸브13. Adjuster 13a. Detergent Control Valve

13b. 에어 조절 밸브 13c. 에어 배출 호스13b. Air control valve 13c. Air exhaust hose

13d. 세정제 배출 호스 14. 노즐관13d. Cleaner drain hose 14. Nozzle tube

15. 분사노즐 16. 세정제 토출부15. Spray nozzle 16. Cleaner discharge part

17. 에어 공급 호스 18. 케이스17. Air supply hose 18. Case

18a. 눈금 19. 케이스 개구(開口)18a. Scale 19. Case opening

20. 스로틀 바디 21. 밸브20. Throttle Body 21.Valve

Claims (9)

상부에 세정제 주입구를 구비한 세정제 용기;A detergent container having a detergent injection hole in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세정제 용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정제 토출부;A cleaner discharging unit provided at a bottom of the cleaner container; 상기 세정제 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 연결부 및 에어 배출부;An air connection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에어 배출부의 일단(一端)과 세정제 토출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제 용기 내에 있는 세정제의 양을 표시해주는 계량 호스;A metering hose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air outlet and one end of the detergent outlet to indicate the amount of detergent in the detergent container; 상기 에어 배출부의 타단(他端)에 연결되는 에어 배출 호스와, 상기 세정제 토출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세정제 배출 호스가 연결되는 조절부;An adjusting unit to which an air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and a detergent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leaner discharge unit are connected; 상기 조절부의 단부(端部)에 연결되어 세정제를 분사하는 노즐관 및 분사 노즐;A nozzle tube and an injection nozzle connected to an end of the adjustment unit to inject a cleaning agent;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Carbon cleaner of the vehicle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부 내에서 에어 배출 호스와 세정제 배출 호스가 합쳐져서, 상기 에어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세정제 배출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제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And the air discharge hose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are combined in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hose causes the cleane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discharge hose to be injected at a high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본 클리너는 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부면에 눈금이 각인되며, 상기 계량 호스는 눈금이 각인된 부분의 케이스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The carbon cleaner is built in the case, the scale is stamp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the metering hose is a carbon cleaner of the vehicle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design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tampe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부는, 에어 및 세정제의 분사량을 각각 조절하는 에어 조절 밸브 와 세정제 조절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The control unit is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ntrol valve and the cleaning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and the cleaning agent, respectivel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절부에 연결된 에어 배출 호스 및 세정제 배출 호스가, 에어 조절 밸브와 세정제 조절 밸브의 사이에서 하나의 호스로 합쳐져서 노즐관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And the air discharge hose and the detergent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re combined into one hose between the air control valve and the detergent control valve to extend into the nozzle tub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노즐관은 가요성(可嶢性)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The nozzle cleaner is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정제 용기 내부로는 상기 에어 연결부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호스가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And an air supply hose for supplying high pressure air from the air connection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에어 연결부의 일단(一端)에는 에어 주입구 및 에어 조절부가 연결되고 타단(他端)에는 압력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An air inlet and an air control unit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connection unit, and a pressure gaug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clea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정제 주입구는 개폐식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카본 클리너.The cleaner injection opening is a carbon cleaner of a vehicle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cap.
KR1020080001734A 2008-01-07 2008-01-07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KR200900760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34A KR20090076016A (en) 2008-01-07 2008-01-07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34A KR20090076016A (en) 2008-01-07 2008-01-07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16A true KR20090076016A (en) 2009-07-13

Family

ID=4133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734A KR20090076016A (en) 2008-01-07 2008-01-07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6016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52B1 (en) * 2008-12-04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455064Y1 (en) * 2009-12-22 2011-08-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Container lid with cleaning supply hose connection coupler
KR101455974B1 (en) * 2013-12-11 2014-11-03 박동희 Engine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
WO2018093757A1 (en) * 2016-11-15 2018-05-24 Lyden Oil Company Diesel engine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80085249A (en)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Engine carbon removal device
KR102137390B1 (en) * 2019-02-28 2020-07-24 정재성 System for removing carbon sludge of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52B1 (en) * 2008-12-04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315070B2 (en) 2008-12-04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0455064Y1 (en) * 2009-12-22 2011-08-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Container lid with cleaning supply hose connection coupler
KR101455974B1 (en) * 2013-12-11 2014-11-03 박동희 Engine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
WO2018093757A1 (en) * 2016-11-15 2018-05-24 Lyden Oil Company Diesel engine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80085249A (en)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오토프로업 Engine carbon removal device
KR102137390B1 (en) * 2019-02-28 2020-07-24 정재성 System for removing carbon sludg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6016A (en) Carbon cleaner for automobile engine
CN1075806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water spraying
CN103032136B (e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system with external mixing nozzle metering structure
CN101666268B (en) Process without opening cylinder for quickly removing carbon deposition of combustion chamber of engine
KR200477233Y1 (en) Intake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utomobile&#39;s Intake System
CN105508063A (en) Vehicle natural gas methanol mixed combustion system, engine system and vehicle
KR10123556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injectors of an diesel engine
CN201535216U (en) System for supplying fuel with nanometer bubbles for diesel engine
CN201539309U (en) Fast clearing device for deposits, namely carbon deposits in engine combustion chamber without opening cylinder
KR102550063B1 (e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CN208793095U (en) A kind of direct fuel-injection engine removes carbon system
CN104989528A (en) Device for inhibiting carbon deposit generation of air intake pipeline of direct injection engine
KR200344716Y1 (en) A carbon cleaner of car engine assembly
JP2003074371A (en) Air intake system cleaning device for engine
CN104948365A (en) In-line type fuel pump with variable pre-travel as well as accurately-controlled SCR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ystem of in-line type fuel pump
CN204827667U (en) Restrain device that directly spouts engine intake manifold way carbon deposit and generate
MY144149A (en) Fuel injection system and fuek injection valve device used in fuel injection system
CA2584555C (en) Liquid injection apparatus for engines
CN208996821U (en) A kind of engine washing equipment
KR102137390B1 (en) System for removing carbon sludge of vehicle
CN102337969A (en) Saturated steam cleaner and cleaning method
CN206830333U (en) Integrated form fuel gas injection valve
CN201078273Y (en) Cleaner without detaching
CN202325770U (en) 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ystem with external mixing nozzle metering structure
CN110566374B (en) Energy-saving and emission-reducing system of diesel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