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021A -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021A
KR20090075021A KR1020080000774A KR20080000774A KR20090075021A KR 20090075021 A KR20090075021 A KR 20090075021A KR 1020080000774 A KR1020080000774 A KR 1020080000774A KR 20080000774 A KR20080000774 A KR 20080000774A KR 20090075021 A KR20090075021 A KR 2009007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bar
door
home
refrigerator
b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021A/ko
Publication of KR2009007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3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홈바 프레임; 상기 홈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둘레 일 지점과 상기 홈바 도어의 테두리 일 지점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자석; 및 상기 홈바 프레임에 설치된 자석을 지지하며 홈바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 자석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에 의한 기구적 결합력에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추가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도 홈바 도어가 홈바 프레임에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기유출에 의한 저장물의 변질과 소비전력의 상승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홈바 도어, 홈바 프레임, 밀폐, 자석, 개구부, 자석 커버

Description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Sealing Structure of Home Bar Doo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자력을 이용하여 홈바 도어를 홈바 프레임에 밀착시킴으로써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홈바 도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하는 과정에서 저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저장실 내부에 저장된 각종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근래에는 생활 환경의 향상으로 대형화 및 고급화된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저장실 내부의 용량을 크게 하고, 저장실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좌우(즉,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한 양문형(side by side) 냉장고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양문형 냉장고는 저장실의 대형화에 의해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 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하여 저장실의 일측 도어(이하, "냉장고 도어"라 한다.) 내부에 간이 저장실을 구비한 홈바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등과 같은 간단한 저장물을 인출할 경우 냉장고 도어 전체를 열지 않고 홈바 도어를 열어 홈바 저장실의 저장물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하기 [문헌1]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홈바를 구비한 양문형 냉장고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바 도어(1)의 손잡이(2)에 의해 작동하는 걸림후크(3)가 홈바 도어(1)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후크(3)가 홈바 프레임(4)의 개구부(4a) 상부면(4b)에 형성된 고정돌기(5)에 걸림으로써 홈바 도어(1)가 홈바 프레임(4)에 대해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걸림후크(3)와 고정돌기(5)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사용할 경우 이들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홈바 도어(1)가 홈바 프레임(4)에 대해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그 틈새를 통해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저장물의 변질과 소비전력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2073호(2006. 4. 18.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바가 구비된 양문형 냉장고에 있어서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에 의한 결합력에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추가하여 장시간의 사용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도 홈바 도어가 홈바 프레임에 대한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홈바 도어를 통한 냉기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홈바 프레임; 상기 홈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둘레 일 지점과 상기 홈바 도어의 테두리 일 지점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자석; 및 상기 홈바 프레임에 설치된 자석을 지지하며 홈바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 자석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홈바 도어의 상부 면에 설치되고,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는 걸림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상단과 홈바 도어의 테두리 상단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과 홈바 도어의 테두리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자석이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바 프레임에는 홈바 도어와 대향하는 위치 및 개구부의 측면에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 커버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결합수단에 의해 홈바 프레임에 결합되되, 자석은 상기 자석 커버와 홈바 프레임 사이에서 밀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 커버와 홈바 프레임의 조립시, 상기 자석 커버에는 후크형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바 프레임의 홈바 도어와 대향하는 위치의 결합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자석 커버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에 의해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측면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는 종래의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에 의한 기구적 결합력에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추가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걸림후크와 고정돌기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도 홈바 도어가 홈바 프레임에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기유출에 의한 저장물의 변질과 소비전력의 상승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석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석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홈바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서 홈바 프레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6은 도 4에서 홈바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10)는 냉장고 도어(11)의 내측에 홈바 저장실(12)을 형성하는 홈바 프레임(13)과 회동수단(14)에 의하여 상기 홈바 프레임(13)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홈바 도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바 프레임(13)은 냉장고 도어(11)의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16)를 구비하고, 개구부(16)의 상부 면(17)에는 홈바 저장실(12)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6)의 테두리를 둘러싼 외주면(19)에는 개구부(16)의 테두리 방향으로 개스킷(20)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홈바 도어(15)는 홈바 프레임(13)의 개구부(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홈바 도어(15)의 상부 면에는 걸림후크(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후크(21)는 전술한 [문헌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홈바 프레임(13)에 형성된 개구부(16)의 고정돌기(18)에 결합됨으로써, 홈바 도어(15)가 홈바 프레임(13)에 대해 접촉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구적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때, 홈바 도어(15)의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된 홈바 도어 패널(22)은 닫힘 상태에서 개스킷(20)의 개재에 의해 홈바 프레임(13)의 외주면(19)에 밀착됨으 로써 홈바 저장실(12)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홈바 프레임(13)의 개구부(16) 둘레 상부와 상기 홈바 도어(15)의 테두리 상부에는 각각 자석(50)(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석(50)(70)은 홈바 도어(15)의 폐쇄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15)에 설치된 자석(70)은 내부에 발포제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홈바 프레임(13)에 설치된 자석(50)은 자석 커버(80)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조립시, 상기 자석(50)은 홈바 프레임(13)과 자석 커버(80) 사이에 밀착 배치된다. 홈바 프레임(13)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자석 커버(80)에 의해 자석(50)이 동일한 극성으로 조립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분리하여 바로잡을 수 있다.
또한, 자석(50)의 자력이 충분하다면 상기 고정돌기(18)와 걸림후크(21)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홈바 프레임(13)의 개구부(16) 양측과 홈바 도어(15)의 테두리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홈바 프레임(13)의 자석과 홈바 도어(15)의 자석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홈바 프레임(13)에는 홈바 도어(15)와 대향하는 위치 및 개구부(16)의 측면에 결합구멍(29)(39)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 커버(80)는 상기 결합구멍(29)(39)에 끼워지는 결합수단에 의해 홈바 프레임(13)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석 커버(80)와 홈바 프레임(13)의 조립시, 상기 자석 커 버(80)에는 후크형 리브(8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바 프레임(13)의 홈바 도어(15)와 대향하는 위치의 결합구멍(29)에 끼워지고, 상기 자석 커버(80)에는 체결구멍(83)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84)에 의해 홈바 프레임(13)의 개구부(16) 측면의 결합구멍(39)을 통해 양자가 결합된다.
즉, 도면에서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후크형 리브(81)와 스크류(84)가 각각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후크형 리브(81)와 스크류(84)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고 스크류(84)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50)(70)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 사출물인 걸림후크(21)와 고정돌기(18)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하여도 홈바 도어(15)와 홈바 프레임(13) 사이의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석(50)(70)은 홈바 도어(15)를 개폐할 경우 한쪽으로 편향되어 홈바 도어(15)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바 프레임(13) 및 홈바 도어(15)의 무게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의 홈바 도어 밀폐구조를 나타 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홈바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홈바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에서 홈바 프레임의 분해 단면도.
도6은 도 4에서 홈바 도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3: 홈바 프레임 15: 홈바 도어
16: 개구부 18: 고정돌기
21: 걸림후크 29,39: 결합구멍
50, 70: 자석 80: 자석 커버

Claims (6)

  1. 냉장고의 도어 외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홈바 프레임;
    상기 홈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 도어;
    상기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둘레 일 지점과 상기 홈바 도어의 테두리 일 지점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자석; 및
    상기 홈바 프레임에 설치된 자석을 지지하며 홈바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 자석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홈바 도어의 상부 면에 설치되고, 닫힘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는 걸림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상단과 홈바 도어의 테두리 상단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과 홈바 도어의 테두리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자석이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프레임에는 홈바 도어와 대향하는 위치 및 개구부의 측면에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 커버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결합수단에 의해 홈바 프레임에 결합되되, 자석은 상기 자석 커버와 홈바 프레임 사이에서 밀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커버와 홈바 프레임의 조립시, 상기 자석 커버에는 후크형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바 프레임의 홈바 도어와 대향하는 위치의 결합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자석 커버에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에 의해 홈바 프레임의 개구부 측면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KR1020080000774A 2008-01-03 2008-01-03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KR20090075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74A KR20090075021A (ko) 2008-01-03 2008-01-03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74A KR20090075021A (ko) 2008-01-03 2008-01-03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21A true KR20090075021A (ko) 2009-07-08

Family

ID=4133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774A KR20090075021A (ko) 2008-01-03 2008-01-03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0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61B1 (ko) 냉장고
KR101643640B1 (ko) 냉장고
KR102245373B1 (ko) 냉장고
RU2636160C1 (ru) Каме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холодильник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10090157A (ko) 홈바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0593101C (zh) 冰箱及其密封垫圈
KR20160062861A (ko) 냉장고
KR102550655B1 (ko) 냉장고 및 바스켓 어셈블리
KR101504347B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구조와 그 조립방법 및 냉장고
WO2018181439A1 (ja) 冷蔵庫
US20160131413A1 (en) Refrigerator
KR20090075021A (ko) 냉장고용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KR20090066729A (ko) 냉장고용 가스켓 구조
KR20080089768A (ko) 냉장고용 가스켓
JP2009275963A (ja) 冷蔵庫
KR200168214Y1 (ko) 냉장고의 가스켓
EP4354056A1 (en) Refrigerator
KR200318311Y1 (ko) 냉동실도어 열림방지장치
JPH11118327A (ja) 冷凍冷蔵庫
KR20090066770A (ko) 냉장고형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KR100747925B1 (ko) 냉장고 도어용 래치
KR200376659Y1 (ko) 냉장고의 중간앞판
KR200187030Y1 (ko) 냉장고의 도어닫힘 제한장치
JP707906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