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596A -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 Google Patents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596A
KR20090074596A KR1020080000433A KR20080000433A KR20090074596A KR 20090074596 A KR20090074596 A KR 20090074596A KR 1020080000433 A KR1020080000433 A KR 1020080000433A KR 20080000433 A KR20080000433 A KR 20080000433A KR 20090074596 A KR20090074596 A KR 2009007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signal
data packet
channel information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439B1 (ko
Inventor
유수엽
강명법
신승은
박기점
Original Assignee
루미너스엘이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너스엘이디(주) filed Critical 루미너스엘이디(주)
Priority to KR102008000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4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콘솔장치 및 복수 개의 수신장치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수신장치의 채널 순번을 설정할 필요없이 콘솔장치에 근접하게 접속되어 있는 순서대로 채널정보신호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 즉, 콘솔장치로부터 송출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은 가장 근접한 제1 수신장치로 전송되고, 제1 수신장치는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한다. 제1 수신장치는 상기 추출된 채널정보신호에 따라 그와 연결된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한편, 추출된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이웃하는 제2 수신장치로 송출한다. 제2 수신장치 역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하고 제3 수신장치로 송출한다. 이처럼, 각 수신장치의 채널 순번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콘솔장치에 직렬로 근접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시킨 후 송출함으로써, 전체 조명제어시스템을 간략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 집적화에 기여할 수 있다.
DMX, 디엠엑스, 조명제어

Description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Light Controlling in DMX512 Protocol}
본 발명은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제어를 위한 콘솔장치와 복수 개의 수신장치가 직렬방식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콘솔장치와 근접하게 접속된 순서대로 콘솔장치로부터 송출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을 각 수신장치에 순차 전송하도록 구성된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과 소득 향상으로 대도시의 생활 패턴이 24시간 생활권으로 되면서 실내외 조명제어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즉, 예전에는 조명을 제어하는 기술이 단순히 조명을 켜고 끄는 ON-OFF의 개념이 지배적이었으나, 근래 들어서는 무대조명 등과 같이, 복수 개의 조명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온-오프 시키고 각 조명의 밝기에 대한 제어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중앙 집중적인 조명제어 시스템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 개의 조명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각각의 시스템은 그 구성에 따라 일정한 한계를 가진 다.
예컨대, 국제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DMX-512 (ANSI E1. 11)가 적용된 조명제어시스템 중에서,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콘솔장치와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송출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수신장치(Receiver) 간의 연결방식을 병렬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각 수신장치마다 채널 순번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채널 순번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각 수신장치마다 채널 순번 설정을 위한 딥 스위치(Dip Switch)를 부착해야 하는데, 만약 콘솔장치에 연결된 수신장치가 다수인 경우(DMX-512 시스템에서는 최대 512개의 수신장치를 연결될 수 있음), 전체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게 되어 소형 조명기기 시스템에는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즉, 주로 극장이나 실내외 경기장의 조명제어시스템에 주로 적용되는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조명제어시스템에 적용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 환경에서도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간략하게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명제어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 환경에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규모 장소에서의 조명제어에 적용할 수 있는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 환경에서 콘솔장치에 연결된 각 수신장치의 채널 순번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각 수신장치는 콘솔장치에서 생성한 DMX512 데이터 패킷 중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조명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딥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간략화된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은, 각 채널별 채널정보신호를 포함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콘솔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생성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조명제어를 위한 콘솔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수신장치는, 상기 콘솔장치에서 생성된 조명제어를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채널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장 치와 연결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 내 수신장치에서의 조명제어방법은, 콘솔장치로부터 각 채널의 조명제어정보에 관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엑스 채널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채널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 연결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조명제어 방법은, 콘솔장치 및 둘 이상의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의한 조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에서 상기 각 수신장치에 연결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수신장치가 입력받은 상기 DMX512 데이터 패킷 중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수신장치가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이웃하여 직렬로 연결된 다른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은, 각 수신장치의 채널순번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콘솔장치에 직렬로 근접하게 연결된 순서대로 각 수신장치에서 순차적으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제외시킨 후 송출함으로써, 전체 조명제어시스템을 간략하게 구성하여 장치의 소형화, 집적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방법 및 조명제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조명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의 일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DMX-512 (ANSI E1. 11) 프로토콜은 본래 무대조명 제어장치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점차 실내외 조명 제어를 위해 활용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DMX-512 프로토콜 환경의 조명제어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링크 당 512 채널의 수신장치까지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각 채널의 수신장치는 그와 연결된 각 조명(예컨대, LED조명)의 ON-OFF 동작 및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는 하나의 콘솔장치에 512 개의 수신장치(Receiver)가 연결되고, 콘솔장치 상판에 구비된 512개의 슬라이더 조절기를 통해 각 수신장치를 제어하는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콘솔장치 상의 슬라이더 조절기는, 각 조명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를 통해서 8비트 값(0 ~ 255 사이의 값)을 리니어(Linear)하게 디지털화된 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조명의 수신장치로 보낸다.  여기서 0의 값은 광원이 완전히 오프된 상태를 의미하고, 255의 값은 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출력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콘솔장치의 외관 사진이다. 콘솔장치 기판(10) 상에 구비된 슬라이더 조절기(20)를 통해 각 수신장치에 조명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콘솔장치 기판(10) 상에는 모두 24개의 슬라이더 조절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24개의 수신장치와 연결되어 각 수신장치와 연결된 조명의 밝기값(디머수치; Dimmer value)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DMX-512 콘솔장치의 커넥터는 5개의 핀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각각 그라운드 와이어 1개, DMX-512 콘솔장치로부터 각 수신장치(Receiver)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리머리(Primary) 통신"을 위한 와이어 2개, 각 수신장치(Receiver)로부터 DMX-512 콘솔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세컨더리(Secondary) 통신"을 위한 와이어 2개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핀의 배열은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 1은 DMX-512 콘솔장치의 커넥터 핀 배열의 일예를 기재한 것이다. 표 1에서, 핀 번호 #1은 공통접지(Common Reference) 단자로서 사용되고, 핀 번호 #2, #3은 각각 "프리머리 데이터 링크(Primary Data Link)" 단자로 사용되며, 핀 번호 #4, #5는 각각 "세컨더리 데이터 링크(Secondary Data Link)" 단자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표 1] XLR Connector 핀 배열의 예
 
Figure 112008000267478-PAT00001
한편, DMX512 콘솔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데이터는 두 개의 와이어를 통해 표준 RS-485 전송장치를 사용하여 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표준 RS-485 전송장치 대신, 마이크로폰 케이블(예컨대, Category-5 UTP Cable)을 사용하여 DMX-512 콘솔장치와 수신장치(Receiver)를 연결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케이블을 사용하여 DMX-512 콘솔장치와 수신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다른 신호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전 차폐된 케이블을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 250[KHz]를 기본 펄스주파수로 설정한 경우, 1 bit 의 데이터를 보내는 시간인 4 micro second 폭을 하나의 비트, 즉 1 bit로 취급한다. 그리고 512개 슬롯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보내는 시간은 총 22 milie second의 시간이 걸리며, 이는 1 초에 44회 걸쳐 전체 512개 슬롯이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DMX512 콘솔장치와 수신장치의 연결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카테고리 5의 비차폐 트위스트 쌍(UTP; 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카테고리 5의 차폐 트위스트 쌍(STP; 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DMX512 환경에서 콘솔장치로부터 수신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파형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의 각 구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MBB구간(1000)
도 2에서, 구간(1000)은 "마크 비포어 브레이크"(Mark Before BREAK; 이하 "MBB"라 한다) 구간으로서, "브레이크(BREAK)" 구간(2000) 앞에서 하이 신호가 일 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구간이다. MBB구간(1000)은 "브레이크(BREAK)" 구간(2000)과 함께, 콘솔장치에서 수신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작될 것을 알려주는 구간이다.
표 2는 도 2의 파형도에 적용될 수 있는 타이밍 다이어그램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간(Designation) 1000, 즉 MBB 구간은 최소 8 micro second에서 최대 1 sec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표 2에 기재된 수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표 2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2] 도 2의 파형도에 적용될 수 있는 타이밍 다이어그램 수치
Figure 112008000267478-PAT00002
- 브레이크 구간(2000)
도 2에서, 구간 1은 "브레이크(BREAK)" 구간으로서, 콘솔장치에서 수신장치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시작됨을 알리는 구간이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구간(2000)에서는 88~176 micro second동안 로우 레벨(Low level)의 값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이 로우 레벨의 브레이크 신호를 수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콘솔 장치와 수신장치의 동기(synchronization)를 맞출 수 있다.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전 브레이크와 다음 브레이크 까지의 구간(11)은 약 1,196 micro second ~ 1.25 second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MAB 구간(3000)
도 2에서, 구간(3000)는 "마크 애프터 브레이크" (Mark After BREAK; 이하 "MAB"라 한다) 구간으로서, 브레이크 구간(2000)이 끝났음을 알리는 구간이다. MAB 구간(3000)은 약 8.0 micro second ~ 1.0 second의 시간 동안 하이 레벨의 신호를 유지하는 구간이다.
MAB 구간(3000)은, 사용환경에 따라 1 비트펄스, 또는 8 micro second에 해당하는 2 비트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장치 측에서 콘솔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MAB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8 micro second에 해당하는 2 bit 펄스를 사용한다.
- 시작코드구간(0)
도 2에서, MAB(3000) 구간 이후 첫 번째로 오는 정보구간이 시작코드(START code)구간(0) 이다. 시작코드구간(0)는 전체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간으로서, 1비트의 스타트 비트(start bit)(0a), 8비트의 데이터비트(data bit)(0b), 2비트의 종료비트(stop bit)(0c)로 구성된다. 시작코드구간(0)이 끝나면 채널분리마크구간(0-1)이 뒤따른다. 채널분리마크구간(0-1) 각 채널간의 신호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 채널정보구간(1)
시작코드구간(0)이 종료되는 것을 알리는 채널분리마크구간(0-1)이 끝나면, 각 채널의 조명제어값 정보를 담고 있는 채널정보구간이 나타난다. 채널정보구간(1)은, 제1 채널에 대한 정보신호로서, 1비트의 시작비트(start bit)(1a), 8비트의 데이터비트(data bit)(1b), 2비트의 종료비트(stop bit)(1c)로 구성된다.
제1 채널의 채널정보구간(1) 뒤에는 채널분리구간(1-1)이 나타나고, 이후 제2, 제3, … , 제N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구간 및 채널분리구간이 교대로 뒤따른다. 도 2에서 구간(N)은 마지막 수신장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구간으로서, 앞서 설명한 제1 채널정보구간(1)과 마찬가지로 1비트의 시작비트(start bit)(Na), 8비트의 데이터비트(data bit)(Nb), 2비트의 종료비트(stop bit)(Nc)로 구성된다. DMX512 환경에서 최대 512개의 채널 설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N의 최대값은 512이다.
한편, 각 채널정보구간에서 8비트의 데이터 비트는 조명제어값(Dimmer value)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레벨 0에서 레벨 255까지 조정이 가능하다. 레벨 0은 해당 조명이 오프 상태이거나 최소 출력을 의미하고, 레벨 255는 해당 조명의 최대 출력을 의미한다.
도 3은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 콘솔장치와 수신장치의 연결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콘솔장치(1100)에 7개의 수신장치(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가 병렬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3에서, 콘솔장치(1100)로부터 송출된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각 수신장치(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로 전송된 다. 도 3의 각 수신장치는 딥 스위치(DIP switch; Dual Inline Package switch)(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유의 채널 순번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장치는 콘솔장치(1100)로부터 전송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 중에서 자신의 채널과 일치하는 데이터 패킷만을 인식하여 그에 맞게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7개의 수신장치(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가 임의의 순번 #1, #2, #3, #18, #90, #300, #512로 각각 설정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수신장치의 채널 순번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1부터 9번째 스위치는 수신장치의 고유 어드레스를 2진 숫자 0(OFF)과 1(ON)로 표시하며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10번째 스위치는 보통 사용하지 않으며 오프(OFF)상태로 놔둔다. 그러나 만약 온(ON)으로 세팅할 경우, 해당되는 슬롯값의 마지막 Level이 표시된다. 표 3은 각 채널순번 설정에 따른 딥 스위치의 온/오프 구성을 기재한 것이다.
[표 3] 채널순번 설정에 따른 딥 스위치의 온/오프 구성
Figure 112008000267478-PAT00003
만약, 수신장치의 채널순번을 #3으로 설정하고자 한다면, 1번과 2번의 Dip Switch를 각각 ON상태로 하면 된다. 이는 2진수로 "0-0-0-0-0-0-0-1-1"에 해당되어 십진수 3이 되고, 십진수에 해당하는 숫자가 수신장치의 채널순번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신장치는 콘솔장치로부터 전송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중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되는 데이터 패킷만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신장치의 채널순번을 #120으로 설정하고자 한다면, 딥 스위치의 1번 스위치부터 9번 스위치를 2진 숫자 "0-0-0-1-1-1-1-0-0"에 맞추어 온/오프 시키면 된다. 이 경우, 딥 스위치 상에서는 "OFF-OFF-OFF-ON-ON-ON-ON-OFF-OFF"와 같이 구현된다.
한편, 콘솔장치에 수신장치를 추가로 연결시킬 경우 신호가 감소되는 것을 증폭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예컨대, 32개의 수신장치마다 분산기(Splitter)를 이용하여 수신장치를 추가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방법 및 조명제어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 본 발명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3에서는 각 수신장치가 콘솔장치에 병렬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각 수신장치(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가 콘솔장치(1200)에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 즉 직렬 연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5의 조명제어시스템에서는, 콘솔장치(120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첫번째 수신장치(1201)에 전달이 되고 채널 순번이 순차적으로 정해진다. 즉, 콘솔장치(1200)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1 수신장치(1201)에는 채널 순번 #1이 설정되고, 제1 수신장치(1201)에 이어서 연결되어 있는 제2 수신장치(1202)에는 채널 순번 #2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지막 수신장치까지 순차적으로 채널 순번이 설정된다.
도 5의 조명제어시스템에서 각 수신장치(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 중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여기서, 자신의 채널이라 함은 콘솔장치(12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순번에 해당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예컨대, 수신장치#1(1201)은 콘솔장치(1200)와 첫번째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신장치#1(1201)의 채널은 '1'이 된다. 한편, 수신장치#2(1202)은 콘솔장치(1200)와 두번째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신장치#2(1202)의 채널은 '2'가 된다.
상기 각 수신장치의 채널은, 채널 순번을 별도로 설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콘솔장치(1200)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수신장치들 중에서 콘솔장치(1200)와 몇 번째로 근접해 있는 수신장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수신장치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는데, 예컨대, 수신장치 #1(1201)는 콘솔장치(1200)로부터 송출되는 복수 채널에 대한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 중 첫 번째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데이터 패킷을 기초로 수신장치(1201)와 연결된 조명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조명밝기를 제어한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신장치는 채널순번을 설정하기 위한 별도의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분산기(Splitter) 또는 반복기(Repeater)가 필요 없고, 길이에 관계 없이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계속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수신장치(1201)의 상세 구성 및 조명(1301)과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수신장치(1201)에서 입력부(1201a)는 콘솔장치로부터 전송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부(1201b)는 입력부(1201a)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따라 LED조명(1301)의 밝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201c)는 콘솔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데이터를 다른 수신장치의 입력부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항 R은 LED조명(130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항 R 에는 공통 전원단자(Vcc)과 연결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LED조명(1301)과 저항 R은 각각 별개로 나누어 도시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LED조명(1301) 내에 저항 R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연결방식에 따라, 각 수신장치를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도 5과 같은 조명제어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채널설정 과정 없이도, 수신장치의 채널순번을 콘솔장치와 직렬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된 순서대로 자동으로 부여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콘솔장치와 복수 개의 수신장치를 포함한 조명제어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각 수신장치(701, 702, 703, 704)는 콘솔장치(700)와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콘솔장치(700)는 각 수신장치에 연결된 조명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기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제1 수신장치(701)로 전송한다(S20).
콘솔장치(700)로부터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제1 수신장치(701)는, DMX512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복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 중에서 자신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이하 "제1 채널정보신호"라 한다)을 추출한다(S30). 그러고 나서, 제1 수신장치(701)는 상기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제2 수신장치(702)로 전송한다(S40).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1 수신장치(701)에 입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의 신호 파형(a) 및 제1 수신장치(701)로부터 출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의 신호 파형(b)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도 2의 파형도 내의 각 구간과 동일한 구간에 대해서는 도 8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를 기재하였다.
즉, 도 8에서, 참조번호 0, 1, 2, 3은, 각각 개시코드, 제1 채널정보신호, 제2 채널정보신호, 제3 채널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참조번호 0-1, 1-1, 2-1, 3-1은 각각 개시코드채널의 분리마크, 제1 채널의 분리마크, 제2 채널의 분리마크, 제3 채널의 분리마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000은 브레이크(BREAK) 구간, 참조번호 3000은 마크 애프터 브레이크(MAB) 구간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채널정보신호(1)는 채널순번 #1에 해당하는 제1 수신장치(701)와 연결된 조명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제3 채널정보신호(2, 3)는 각각 채널순번 #2, #3에 해당하는 제2 수신장치(702), 제3 수신장치(703)와 각각 연결된 조명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8의 파형(a)에서 제1 수신장치(701)로 입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었던 제1 채널정보신호(1)는, 파형(b)의 제1 수신장치(701)에서 출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제1 수신장치(701)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인 제1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수신장치(701)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에서, 시작코드구간(0) 이후에 첫 번째로 나오는 채널분리마크구간(0-1)을 통해 제1 채널정보신호(1)가 뒤따름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수신장치(701)는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채널분리마크구간(0-1)에 뒤따르는 채널정보신호(1)를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로 인식하여 이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수신장치(702)는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제1 수신장치(701)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원래의 제1 채널정보신호가 존재했던 구간(1)에서의 각 비트는, 파형(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하이레벨의 신호구간(1')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나머지 구간들(2000, 3000, 0', 0-1', 1-1', 2', 2-1', 3', 3-1'의 비트 레벨은 제1 수신장치(701)에 입력될 때의 원래의 구간과 비교했을 때 변함이 없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제1 수신장치(701)에 DMX512 데이터 패킷이 입력된 때부터 출력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1 바이트 송신시간만큼 시간지연이 발생된다. 도 8에서 (t1-t0)만큼의 시간지연이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모든 수신장치에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서 출력할 때까지의 전체 시간지연은 수신장치의 개수에 비례한다. 예컨대, 콘솔장치에 512개의 수신장치가 존재한다면 512 Byte의 송신시간만큼 지연된다. 만약, DMX512 프로토콜 환경의 기본주파수인 250 [KHz] 사용환경에서는 약 16.4 micro second의 시간지연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콘솔장치에서 DMX512 데이터 패킷 신호를 약 25~40 mille second의 주기로 송출하는 점을 고려할 때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줄 정도의 지연은 아니다.
한편, 제1 수신장치(701)는 S30에서 추출한 제1 채널신호정보를 기초로 제1 수신장치(701)에 연결된 조명(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한다(S32). 조명제어를 위한 S32 과정은 상기 전송과정(S40) 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나중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수신장치(701)에서의 채널정보신호 추출 및 데이터 입출력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수신장치(701)는 콘솔장치(700)로부터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개시코드를 감지하면 이후에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 즉, 제1 채널정보신호를 인식하고 이를 추출한다(S30). 추출된 제1 채널정보신호는 별도의 데이터 버퍼에 저장하거나, 또는 조명제어를 위한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or) 회로의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수신장치(701)에서 제1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한 후에는, 이후에 나타나는 제2, 제3, … , 제N 채널정보신호는 별도의 저장이나 추출없이, 입력받은 대로 곧바로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제2 수신장치(702)로 전송된다(S40).
상기 S40 과정을 통해 제1 수신장치(701)로부터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제2 수신장치(702)는, S30과정과 유사하게, DMX512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복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 중에서 자신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이하 "제2 채널정보신호"라 한다)을 추출한다(S50).
이 경우, 제1 수신장치(701)와 유사하게, 제2 수신장치(702)는 입력받은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채널분리마크구간(1-1')에 뒤따르는 채널정보신호(2')를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로 인식하여 이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의 원래의DMX512 데이터 패킷에서의 첫 번째 채널분리 마크구간(0-1)은, 제1 수신장치(701)를 거치면서 채널분리기능이 상실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정보신호의 채널분리마크구간(1-1')이, 제2 수신장치(702)로 입력되는 첫 번째 채널분리마크구간이 된다.
따라서, 제2 수신장치(702)는 첫 번째 채널분리마크구간(1-1')에 뒤따르는 채널정보신호(2')를 자신의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로 인식하여 이를 추출한다(S50).
그러고 나서, 제2 수신장치(702)는 입력받은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제2 채널정보신호를 제외시킨 후에 제3 수신장치(703)로 전송한다(S60). 따라서, 제3 수신장치(703)는 제1 채널정보신호 및 제2 채널정보신호가 모두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제2 수신장치(702)는 상기 S50과정에서 추출한 제2 채널정보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2 수신장치(702)와 연결된 조명(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한다(S52).
제3 수신장치(703) 역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인 제3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S70), 그에 연결된 제3 조명을 제어한다(S72).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수신장치에 순차적으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경우, 마지막으로 연결된 제N 수신장치(704)에 전송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은 이전의 수신장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는 모두 제외된 제 N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신호만을 포함하게 된다.
제N 수신장치(704)는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인 제N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S90), 그에 연결된 제N 조명을 제어한 다(S92).
한편, 제1 수신장치(701)가 콘솔장치로부터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동안, 제1 수신장치(701) 내 데이터 버퍼에 잠시 저장된다. 하나의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데 1바이트의 시간만큼 지연되므로, 데이터 버퍼의 용량은 전체 DMX512 데이터 패킷의 용량(512 Kbyte)보다 훨씬 적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 수신장치는 데이지 체인 형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수신장치 내 입력부와 출력부는 단일입력-단일출력 방식이므로 부하가 작고, 또한 수신장치간 연결거리를 단거리로 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와 외란에 견고하다.  더욱이 각 시스템마다 클록에 의하여 파형이 정형으로 재생되는 형태이므로 전송라인에 의한 파형의 패턴이 문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조명제어시스템에서 콘솔장치(1300)와 각 수신장치(1311, 1312, 1313, 1314)의 연결방식은 직렬 연결방식과 병렬 연결방식이 혼합된 형태이다.
도 9에서, 수신장치 #1-1(1311)과 수신장치#1-2(1312)는 콘솔장치(1300)로부터 각각 동일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장치 #1-1(1311)과 수신장치#1-2(1312)는 각각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제1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한편, 제1 채널정보신호를 제외시킨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채널정보신호는 수신장치 #1-1(1311)에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마크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 신호에 해당된다.
수신장치 #2-1(1321)는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제2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한편, 제2 채널정보신호를 제외시킨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채널정보신호는 수신장치 #2-1(1321)에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마크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에 해당된다.
수신장치#1-2(1312)은 수신장치 #1-1(1311)과 동일하게 작동하고, 수신장치#2-2(1322)는 수신장치 #2-1(1321)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즉, 수신장치#1-2(1312)과 수신장치 #1-1(1311)은 동일한 디머값에 따라 각각에 연결된 조명밝기를 제어하고, 수신장치#2-2(1322)와 수신장치 #2-1(1321) 역시 동일한 디머값에 따라 각각에 연결된 조명밝기를 제어한다.
이처럼, 동일한 조명밝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각각의 수신장치들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직렬연결방식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9와 유사하게, 콘솔장치와 수신장치들 간에 병렬 연결방식과 직렬 연결방식이 혼합된 구성이다.
도 10에서, 수신장치 #1-1(1411)과 수신장치#1-2(1412)는 콘솔장치로부터 각각 동일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수신장치 #1-1(1411) 는 입력받은 DMX512 데이터 패킷 중에서 자신의 채널 순번에 해당하는 제1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따라서, 도 10에서 수신장치 #2-1(1421)과 수신장치#2-2(1422)는 각각 제1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장치 #1-1(1411)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리고, 수신장치 #2-1(1421)과 수신장치#2-2(1422)는 입력받은 DMX512 데이터 패킷 중에서 자신의 채널 순번에 해당하는 제2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제1 및 제2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콘솔장치와 수신장치 상호간 또는 수신장치들 상호간에 직렬방식과 병렬방식을 혼합하여 연결하고, 채널 순번은 콘솔장치에 직렬로 근접하게 연결된 순서대로 설정함으로써, 종래 각 수신장치마다 일일이 채널순번을 설정했을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동일한 조명밝기값을 갖기를 원하는 조명장치의 디머값(Dimmer value)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은, 콘솔장치에 직렬로 연결된 순서대로 채널 순번을 설정하고, 각 채널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을 제외시킨 후 송출함으로써, 전체 조명제어시스템을 간략하게 구성하여 장치 의 소형화, 집적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장치(콘솔장치)의 외관 사진이다.
도 2는 DMX512 환경에서 콘솔장치로부터 수신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타이밍 차트(Timing Chart)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 콘솔장치와 수신장치의 연결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조명제어시스템의 수신장치 내에 구비되는 딥 스위치(DIP switch)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수신장치의 상세 구성 및 조명과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1 수신장치에 입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의 신호 파형(a) 및 제1 수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의 신호 파형(b)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9)

  1. 각 채널별 채널정보신호를 포함하는 DMX512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콘솔장치; 및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생성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콘솔장치로부터 생성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은 후 1 바이트 지연된 시간 후에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가 추출하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는, 상기 수신장치가 입력받은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구간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 구간에 해당하는 비트를 모두 하이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에 연결되는 수신장치는 상기 콘솔장치에 직렬로 연결된 순서대로 채널 순번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직렬로 연결된 이웃하는 수신장치로 순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2이상의 수신장치로서, 상기 2이상의 수신장치 중에서 일부는 상기 콘솔장치와의 관계에서 병렬로 연결되고, 나머지 수신장치들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시스템.
  8. 조명제어를 위한 콘솔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에서 생성된 조명제어를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채널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와 연결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가 제외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MX512 데이터 패킷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동안 상기 DMX512 데이터 패킷을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DMX512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은 후 1 바이트 지연된 시간 후에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추출하는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는, 상기 수신장치가 입력받은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구간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장치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 구간의 비트를 모두 하이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3. 조명제어시스템 내 수신장치에서의 조명제어방법에 있어서,
    콘솔장치로부터 각 채널의 조명제어정보에 관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b);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엑스 채널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c);
    상기 추출된 채널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장치에 연결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b)는,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구간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 구간의 비트를 모두 하이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6. 콘솔장치 및 둘 이상의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의한 조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에서 상기 각 수신장치에 연결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DMX512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a);
    상기 각 수신장치가 상기 DMX512 데이터 패킷 중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b); 및
    상기 각 수신장치가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DMX512 데이터 패킷을 이웃하여 직렬로 연결된 다른 수신장치로 출력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b)는, 상기 각 수신장치가 자신이 입력받은 DMX512 데이터 패킷에서 첫 번째 채널분리구간 이후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채널정보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각 수신장치가 자신의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정보신호 구간의 비트를 모두 하이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장치와의 관계에서 상기 둘 이상의 수신장치 중 일부 수신장치들을 병렬연결로 구성하고, 나머지 수신장치들은 직렬연결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방법.
KR1020080000433A 2008-01-02 2008-01-02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KR10098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3A KR100985439B1 (ko) 2008-01-02 2008-01-02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3A KR100985439B1 (ko) 2008-01-02 2008-01-02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96A true KR20090074596A (ko) 2009-07-07
KR100985439B1 KR100985439B1 (ko) 2010-11-09

Family

ID=4133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433A KR100985439B1 (ko) 2008-01-02 2008-01-02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4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182B1 (ko) * 2009-09-29 2010-05-24 주식회사 월드조명 순차적 무선 조명 제어 방식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121530B1 (ko) * 2009-09-16 2012-02-28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US8941333B2 (en) 2010-12-23 2015-0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545090B1 (ko) 2022-11-28 2023-06-20 김무성 조경용 장거리 능동형 led 제어신호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8087B2 (en) * 2011-10-07 2016-06-2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s for improved DMX512 communication while maintaining backwards compatibility
KR102446192B1 (ko) 2017-09-12 2022-09-22 주식회사 질라이트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30B1 (ko) * 2009-09-16 2012-02-28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959182B1 (ko) * 2009-09-29 2010-05-24 주식회사 월드조명 순차적 무선 조명 제어 방식을 이용한 조명 시스템
US8941333B2 (en) 2010-12-23 2015-0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545090B1 (ko) 2022-11-28 2023-06-20 김무성 조경용 장거리 능동형 led 제어신호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439B1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205B2 (en) Configurable lighting devices under broadcast control
KR100985439B1 (ko)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CN102422573B (zh) 数据的光传输方法和装置
CN101523986B (zh) 用于操作照明装置的操作设备及方法
EP2088836A1 (en) LED lighting system with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ality
RU2683594C2 (ru) Разделяемые цепочки освещения и способы разделения цепочек освещения
US10251249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ghting method
CN102415020A (zh) 数据的光传输方法和装置
WO2011156260A2 (en) Apparatus having a fixture with an integrated gateway and methods thereof
KR20150032765A (ko) 조광제어시스템
JP5008463B2 (ja) 調光方式および該調光方式を採用する照明装置
KR100886889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dmx512 기반의 조명제어장치
KR20110061069A (ko) Dmx51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led 조명기구
CN104938027B (zh) 用于向线电压上插入信令跃迁的控制器
US10433377B2 (en) Control circuit for modulating an analog dimming command signal
CN201636609U (zh) 基于多路实时同步BSync协议的动态灯组
JP2001093675A (ja) 照明システム
CN110868784A (zh) 舞台灯光数据双向同步通信方法及系统、存储介质及装置
WO2017155953A1 (e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US117787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line communication control of electrical devices
JP200001341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001224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20220183132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23148375A (ja) 照明制御装置
JP6941804B2 (ja) 照明器具の制御装置及び演出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