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352A -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352A
KR20090074352A KR1020080000110A KR20080000110A KR20090074352A KR 20090074352 A KR20090074352 A KR 20090074352A KR 1020080000110 A KR1020080000110 A KR 1020080000110A KR 20080000110 A KR20080000110 A KR 20080000110A KR 20090074352 A KR20090074352 A KR 20090074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rotary ring
dome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408B1 (ko
Inventor
권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Priority to KR102008000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패닝 플레이트; 이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 이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 이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 이 회전링의 체결장공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 이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돔 베이스; 이 돔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와,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조립체 하우징; 이 조립체 하우징의 수용홈에 하부가 수용되며, 패닝 플레이트와, 이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와, 이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와, 이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과, 이 회전링의 체결장공 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와, 이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조립체; 이 조립체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 되며, 일측에 윈도우 돔커버가 고정된 돔커버 케이스; 이 조립체 하우징과 돔커버 케이스 사이에 놓여져서 돔커버 케이스를 지지하는 윈도우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가 제공된다.
감시카메라, 카메라모듈, 틸팅, 패닝, 로테이팅

Description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Camera module assembly and CCTV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으로 틸팅(tilting), 로테이팅(rotating), 패닝(pann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자 및 그 동태를 감시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는 설치형태에 따라 돔형, 세트형, 총알형, 미니어처형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 중 돔형은 실내 인테리어 조명장치 등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반구 형상을 기본 디자인 요소로 채택하고 있어 피 감시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돔형 감시카메라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19255호(2006.03.03) "돔형 감시카메라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결합되며 모듈설치대가 설치되기 위한 수직벽이 대향하여 구비되는 디스크프레임, 상기 디스크프레임 상에 각도조정 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모듈설치대, 상기 모듈설치대의 상부로 창이 구비된 불투명체의 반구형 속커버, 상기 속커버 외부로 덮여지며 선단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반구형 투명커버, 상기 투명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프레임에 고정되는 링형의 돔바디로 이루어지는 돔형 감시카메라장치에 있어서, 디스크프레임을 회전 가능토록 잡아주기 위하여 2개소 이상 위치에 파지편이 구비되는 베이스; 외주연이 상기 베이스의 파지편에 끼워지며 상기 돔바디 고정을 위하여 버튼식후크가 설치되고, 외연부에 인접하여 고정후크가 1개소 이상 형성되는 디스크프레임; 상기 디스크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돔바디를 착탈하기 위한 래치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식후크; 외주연이 경사 형성되는 몸체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투명커버가 결합되며, 선단부측으로 상기 디스크프레임의 고정후크와 버튼식후크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내부 슬리브가 구비되는 돔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디스크 프레임의 미세 각도조정을 완전 조립 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감시카메라의 로테이팅이나 패닝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기능상의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시카메라의 로테이팅, 패닝, 틸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와 관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패닝 플레이트; 이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 이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 이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 이 회전링의 체결장공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 이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돔 베이스; 이 돔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와,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조립체 하우징; 이 조립체 하우징의 수용홈에 하부가 수용되며, 패닝 플레이트와, 이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와, 이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 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와, 이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과, 이 회전링의 체결장공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와, 이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조립체; 이 조립체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 되며, 일측에 윈도우 돔커버가 고정된 돔커버 케이스; 이 조립체 하우징과 돔커버 케이스 사이에 놓여져서 돔커버 케이스를 지지하는 윈도우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회전링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틸팅, 로테이팅, 패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회전링에 형성된 체결장공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전후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회전링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카메라모듈 홀더에 슬라이드홈에 상응하는 슬라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의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사카메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1)는 돔 베이스(10), 조립체 하우징(20), 카메라모듈 조립체(30), 윈도우 홀더(40), 윈도우 돔커버(50), 돔커버 케이스(60), 베이스 쿠션(70)을 포함한다.
돔 베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후술할 조립체 하우징(20)이 수용될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기둥 로드(11)가 이격 형성되며, 바닥에는 상기 돔 베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슬릿(12)이 형성된다. 또한, 돔 베이스(10)의 바닥 외면에는 후술할 베이스 쿠션(70)이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다수의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조립체 하우징(20)은 상기 돔 베이스(10)에 바람직하게는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21)와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22)을 구비한다.
카메라모듈 조립체(30)는 상기 조립체 하우징(20)의 수용홈(22)에 수용되며 패닝 플레이트(31), 마운틴 커버(32), 회전링 지지부(33), 회전링(34), 카메라모듈 홀더(35), 카메라 모듈(36), 탄성 부재(37)를 구비한다.
패닝 플레이트(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얇은 판 형상으로 중간에 큰 홀(31a)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팬 고정부(31b)가 하방으로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닝 플레이트(31)에는 다수의 볼트공(31c)이 형성되어 있다.
마운틴 커버(3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닝 플레이트(31)의 볼트공(31c)에 볼트 등에 의해 패닝 플레이트(31)와 결합 된다. 상기 마운틴 커버(32)의 중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상처럼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이 돌출 부분의 일측에는 절개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틴 커버(32)의 돔 형상 내부에는 후술할 회전링(34)이 설치(도 4참조)되는데, 돔 형상에 의해 회전링(34)의 고정돌기(34a)와 저촉되어 회전링(34)에 적절한 마찰력을 가한다. 그 결과 후술할 카메라 모듈(36)을 로테이팅이나 틸팅 시 세팅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절개부(32a)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36)이 돌출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링 지지부(33)는 상기 패닝 플레이트(31)와 마운틴 커버(32) 사이에 설치되어 후술할 회전링(34)을 지지함과 더불어 회전링(34)이 특정 위치에서 세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링 지지부(33)에는 중앙 부분에 함몰부(33a)가 형성되며 이 함몰부(33a)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회전링 지지부(33)의 하단에는 걸림돌기(33b)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3b)에 의해 회전 링 지지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닝 플레이트(31)의 저면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33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 지지부(33)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1경사부(33aa)와, 상기 제1경사부(33aa)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1직선부(33a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33aa)와 제1직선부(33ab)가 만나는 지점에 후술한 회전링(34)의 고정돌기(34a) 사이의 공간이 지지되고, 그 결과 회전링(34)의 움직임이 1차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1경사부(33aa)와 고정돌기(34a)가 접촉되어 회전링(34)이 2차적으로 고정된다.
회전링(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링 지지부(33)와 마운틴 커버(32)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 지지부(33)의 함몰부(33a)에 수용된다. 상기 회전링(34)의 외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톱니 형상을 갖는 고정돌기(34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고정돌기(34a)는 단면 형상이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완만한 단면 형상을 갖고, 각각의 고정돌기(34a)는 각각 이격 형성된다.
상기 회전링(34)의 내주면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 상면과 하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공(34ba)을 갖는 가이드홈(34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4b)은 후술할 카메라모듈 홀더(35)의 가이드 로드(35b)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 고, 체결장공(34ba)은 카메라모듈 홀더(35)를 회전링(34)에 고정시키는 매개수단이 된다. 이때, 체결장공(34b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4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카메라모듈 홀더(35)를 체결장공(34ba)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34)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34b)과 이격 된 위치에 다수의 슬라이드홈(34c)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34c)에는 후술할 카메라모듈 홀더(35)의 슬라이드 돌기(35c)가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링(34)과 카메라모듈 홀더(35)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회전링(34)의 후면에는 후술할 회전링 커버(34d)가 결합 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홈(34d)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회전링(34)의 후방에는 커버 돌기(34ea)를 갖는 반원 형상의 회전링 커버(34d)가 끼워 맞춤 결합 된다. 이 회전링 커버(34d)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36)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로 틸팅 될 때 함몰부(33a)에 수용되어 카메라 모듈(36)이 세팅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카메라모듈 홀더(35)는 상기 회전링(34)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고 사각형 단면을 갖되 좌·우 측벽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몸체(35a)와, 이 몸체(35a)의 상·하측 수직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링(34)의 체결장공(34ba)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35b)와, 이 몸체(35a)의 좌·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34)의 슬라이드홈(34c)에 끼워지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35c)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로드(35b)와 슬라이드 돌기(35c)에는 나사산을 갖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카메라 모듈(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 홀더(35)의 일측에 결합 되는 기판(36a)과, 상기 기판(36a)에 고정되는 촬상 헤드부(36b)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36)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공지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부재(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 지지부(33)의 외주면에 끼워진 후 패닝 플레이트(31)의 상면에 놓여지며,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회전링 지지부(33)에 적절한 탄성을 주어 회전링 지지부(33)가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링 지지부(33)는 외주면에 탄성부재(37)가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돌기(33b)에 의해 패닝 플레이트(31)의 저면에 고정되므로 탄성부재(37)에 의해 적정 상하 유동 간격을 갖고, 그 결과 마운틴 커버(32)가 결합 된 상태에서도 회전링(34)이 좌우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전·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에서 카메라 모듈의 전후 이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6)은 카메라모듈 홀더(35)의 일측에 결합되고, 이 카메라모듈 홀더(35)는 회전링(34)의 체결장공(34ba)에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때, 체결장공(34ba)은 가이드홈(34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카메라모듈 홀더(35)는 체결장공(34ba)의 길이 내에서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크기의 카메라 모듈(36)을 장착할 수 있다.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로테이팅 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틸팅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6)이 로테이팅 또는 틸팅되는 원리는 회전링(34)과 회전링 지지부(33)와 마운틴 커버(32)의 형상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링(34)을 돌리거나 기울이면 회전링(34)의 고정돌기(34a)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33a)와 마운틴 커버(32)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세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36)의 로테이팅은 0~360°, 틸팅은 0~9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카메라 모듈(36)이 90°로 틸팅되는 경우 고정돌기(34a)는 마운틴 커버(32)에만 저촉되고, 함몰부(33a)에는 회전링 커버(34d)만이 수용된다.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가 패닝되는 작동 상태도이다.
카메라 모듈(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에 의해서 마운틴 커버(32) 내에서 작은 각도로 패닝(좌우로 회전) 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 조립체(30)를 패닝하는 원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조립체 하우징(20) 내에서 카메라모듈 조립체(30)를 원하는 위치로 향하도록 한다. 그 후 조립체 하우징(20)의 스토퍼 돌기(21)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100)를 조립체 하우징(20)과 카메라모듈 조립체(30) 양쪽에 접하도록 한 후 조립체 하우징(20)에 고정한다. 원하는 위치로 패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고정 부재(100)를 풀고 카메라모듈 조립체(30)를 패닝후 스토퍼 돌기(21)를 이용하여 다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체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에 의해 간단하게 패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사카메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패닝 플레이트와 회전링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전·후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로테이팅 되는 작동 상태도,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이 틸팅되는 작동 상태도,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카메라에 채용된 카메라모듈 조립체가 패닝되는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감시카메라 10 : 돔 베이스
20 : 조립체 하우징 21 : 스토퍼 돌기
22 : 수용홈 30 : 카메라모듈 조립체
31 : 패닝 플레이트 31a : 홀
31b : 팬 고정부 31c : 볼트공
32 : 마운틴 커버 32a : 절개부
33 : 회전링 지지부 33a : 함몰부
33aa : 제1경사부 33ab : 제1직선부
33b : 걸림돌기 34 : 회전링
34a : 고정돌기 34b : 가이드홈
34ba : 체결장공 34c : 슬라이드홈
34d : 돌기홈 34e : 회전링 커버
34ea : 커버 돌기 35 : 카메라모듈 홀더
35a : 몸체 35b : 가이드 로드
35c : 슬라이드 돌기 36 : 카메라 모듈
36a : 기판 36b : 촬상 헤드부
37 : 탄성 부재 40 : 윈도우 홀더
50 : 윈도우 돔커버 60 : 돔커버 케이스
70 : 베이스 쿠션 70a : 돌기
80 : 윈도우 패킹 90 : 커버 패킹
100 : 고정 부재

Claims (7)

  1.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패닝 플레이트;
    상기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
    상기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
    상기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체결장공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상기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 및
    상기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
  2. 피사체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돔 베이스;
    상기 돔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 돌기와, 중앙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한 조립체 하우징;
    상기 조립체 하우징의 수용홈에 하부가 수용되며, 패닝 플레이트와, 상기 패닝 플레이트에 결합 되며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마운틴 커버와, 상기 패닝 플레이트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함몰부가 형성된 회전링 지지부와, 상기 회전링 지지부와 마운틴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 지지부의 함몰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체결장공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체결장공에 고정되는 가이드 로드에 의해 상기 회전링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 홀더와, 상기 카메라모듈 홀더의 일측에 결합 되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조립체;
    상기 조립체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 되며, 일측에 윈도우 돔커버가 고정된 돔커버 케이스; 및
    상기 조립체 하우징과 돔커버 케이스 사이에 놓여져서 돔커버 케이스를 지지하는 윈도우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홀더에는 상기 윈도우 돔커버를 보호하기 위해 돔커버 케이스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돔 베이스의 하부에는 베이스 쿠션이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닝 플레이트와 회전링 지지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링 지지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모듈 홀더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상응하는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의 고정돌기는 톱니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20080000110A 2008-01-02 2008-01-02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KR10095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110A KR100958408B1 (ko) 2008-01-02 2008-01-02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110A KR100958408B1 (ko) 2008-01-02 2008-01-02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352A true KR20090074352A (ko) 2009-07-07
KR100958408B1 KR100958408B1 (ko) 2010-05-18

Family

ID=4133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110A KR100958408B1 (ko) 2008-01-02 2008-01-02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78A1 (ko) * 2014-08-14 2016-02-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장치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KR102610488B1 (ko) * 2023-10-10 2023-12-07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489B1 (ko) * 2018-05-02 2018-09-18 (주)씨프로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735B1 (ko) * 2000-10-13 2003-05-14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용 카메라의 하우징 체결 장치
KR20060010150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케이스
KR100718088B1 (ko) * 2005-08-19 200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78A1 (ko) * 2014-08-14 2016-02-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장치
CN112492259A (zh) * 2019-09-12 2021-03-1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CN112492259B (zh) * 2019-09-12 2023-07-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监控方法
KR102610488B1 (ko) * 2023-10-10 2023-12-07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408B1 (ko)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1047156B1 (ko)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CN101680784B (zh) 可调节传感器
JP6195081B2 (ja) 撮像装置
KR100958408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EP2233831A1 (en) Lighting device, lighting unit, and support
JP6080057B2 (ja) 撮像装置
JP2008086016A (ja) 単一モータによるカメラレンズのパン動作及びチルト動作が可能な回転可能なカメラ
JP4281517B2 (ja) 照明器具
KR100917242B1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WO2015029802A1 (ja) 撮像装置
JP2010010123A (ja) 照明器具
KR100994442B1 (ko)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EP1933082B1 (en) Waterproof universal lamp
US20200366820A1 (en) Multi lens camera and lens adjusting device therefor
JP5840721B2 (ja) Led照明装置
CN113055564B (zh) 一种半球型摄像机p向调节结构
KR200403448Y1 (ko) 감시카메라장치
KR200390350Y1 (ko) 회동되는 돔형 카메라
KR10091724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카메라 모듈 지지체
JP4280997B2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CN218721055U (zh) 可调节角度的筒灯
CN112136320A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100383735B1 (ko) 감시용 카메라의 하우징 체결 장치
KR200391550Y1 (ko)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