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568A - 생수용 pet 용기 - Google Patents

생수용 pet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568A
KR20090073568A KR1020070141543A KR20070141543A KR20090073568A KR 20090073568 A KR20090073568 A KR 20090073568A KR 1020070141543 A KR1020070141543 A KR 1020070141543A KR 20070141543 A KR20070141543 A KR 20070141543A KR 20090073568 A KR20090073568 A KR 20090073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bs
bottled water
pe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민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7014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568A/ko
Publication of KR2009007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국내외 음료업계에 있어서 음료제품의 충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장체인 유리병, 종이, 페트병등 중에서, 페트병의 성장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페트병은 그 원료를 원유에 의존하고 있어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부담 저하가 적은 페트병의 사용은 소비자 및 업체에게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페트병중에서도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판매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대형 생수 페트병에 대하여 경량화, 박육화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페트병에서 세로압축하중부하에 대한 강도 확보를 하고자 가로 리브 구조를 부여하는 방법을 도입하였고 상부 레벨과 하부 레벨의 차이를 적절히 함으로써 측면 변형에 있어서도 변형이 용이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중앙부분에 용기 안쪽으로 완만하게 들어가는 타원형상의 리브 구조를 도입하여 소비자의 취급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수축라벨이 열수축 될 때 과수축되어 라벨링 작업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상기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용기 중량 경량화를 달성하여 종래의 페트병과 동등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내열압(Heat&pressure resistant), 보틀(Bottle), 용기(Container), 2축연신블로우(Biaxial stretch blow molding), 프 리폼(Preform), 경량화(light weighting), 연신비(draw ratio)

Description

생수용 PET 용기{Mineral water PET bottle}
본 발명은 생수용 PET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생수용 PET 용기의 몸통부에 용기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상의 다수의 가로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생수용 PET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화, 박육화 되어진 용기에 더욱 유리하다.
전 세계 청량음료 업계에 있어서 음료충진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포장용기 재질인 유리병, 금속캔, 종이용기, 페트병 중에서 페트병이 적용된 음료상품의 성장은 매년 2~10%이상의 시장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페트병의 적용이 급속히 높아지는 한편으로는 최근에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환경문제로의 의식이 높아지면서, 청량음료 업계에 있어서도, 환경부담이 적은 페트병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페트병 원료 합성수지의 원천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원유에 있으며, 기존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재활용 용이의 관점에서도 환경부담이 적은 페트병의 개발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 페트병 상품중에서도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판매수량이 급증하여, 성장률이 높은 대형용기 2L 페트병에 초점을 맞추어 환경부하를 최대한 저감하기 위해 페트병 경량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소비자로부터 대형 페트병은 재활용으로써 폐기할 때 “찌그러지기 어려워 버리기 어렵다” “부피가 커서 바구니에 금방 가득 찬다”등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더불어 사용하고 나서는 “폐기하기 쉬운 대형 페트병”의 개발이 목표가 되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페트(PET)병 합성수지제 용기는 타소재 대비 경량이어서 취급이 용이하고 투명성이 있으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유리용기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고 비용측면에서도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최근, 식품이나 탄산음료, 생수, 세제, 간장류 또는 차류등을 충진하는 범용용기로써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페트병은 외력에 대한 강도가 비교적 작아, 예를 들어, 용기의 몸통부를 손으로 잡고 내용물을 따를 경우 두께가 얇은 경우 손으로 잡은 부분에서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용기의 외력에 대한 저항(좌굴)을 개선하기 위해, 용기의 두께를 적절히 변경하는 동시에, 몸통부에 세로리브(rib), 가로리브 또는 웨이스트(몸통부를 포위하는 원주방향의 홈)등의 보강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최근에는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 및 쓰레기의 삭감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용기1개당 사용되는 수지량을 삭감하기 위해 용기의 박육화(경량화)가 요구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요망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강성저하를 한층 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경우 다각형 단면을 갖는 웨이스트 부착 용기에서는, 용기의 전체의 박육화에 따라, 웨이스트 부분의 코너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용기의 단면형상이 마름모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웨이스트 부착 합성수지제 용기에 대해서 박육화를 도모한 경우에도 외관형상에 변형을 초래하지 않는 좌굴강도 및 강성이 높은 용기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용기의 외관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몸통부에 가로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용기가 얇게 되기 때문에 리브가 열에 의해 영향을 받아 휘어지는 경우가 있어 아직 리브에 의한 효과는 제한적이다. 생수용 페트병의 경량화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항목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1) 페트병을 경량화해도 종래의 페트병과 동등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2)폐기할 때 용이한 특성이 있어야 하며 (3)개전성이나 따름성과 같은 소비자가 취급할 때 사용 적성이 있을 것 (4)수송효율을 최대한으로 하고 환경부담 저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등이다. 이상의 개발요구 항목을 유지하면서, 생수용 페트병의 경량화의 도모를 시도하였다.
상기 개발요구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하의 3가지이다. 경량화에 있어 최대 과제는, 제품보관시 용기에 부하되는 세로하중에 대한 강도의 확보이다. 용기의 세로하중 부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는 방법으로써는, 종래까지는 패널부의 기둥 등으로 인하여 강도를 확보하여 왔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대폭적인 경량화가 기대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어, 용기 전체에 “가로 리브”구조를 부여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로써, 리브에서 하중이 분산되어, 세로압축 하중에 대한 강도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리브 구조가 적절하지 않으 면 페트병이 좌굴(영구변형)되거나, 수직방향 변형량(찌그러짐 양)이 커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충진된 페트병 제품은, 종이박스로 포장되어 파렛트 위에 적재되지만, 페트병의 세로변형량이 크면 용기의 세로변형량이 크면 용기의 측면의 팽창이 커지며, 제품 보관시에, 종이박스의 동체부 측면이 부풀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 PET 용기는 몸통부가 웨이스트부와 상기 웨이스트부를 중심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통, 웨이스트부와 하부몸통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상의 다수의 가로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몸통부 면 중앙을 중심으로부터 그 가로 길이가 최소 10mm에서 부터 최대 모서리부까지 그 깊이가 최소 2mm에서 최대 5mm까지 되어지는 타원 형상의 몸통으로 파고 드는 형상의 가로 리브가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통부는 코너부가 있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코너부에는 최소 0.01mm에서 최대 상기 다각형의 변에 형성된 가로 리브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보조 가로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생수용 PET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2축연신 블로우 조건의 최적화 및 병 디자인의 개선으로 인하여 경량화 되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고 환경에 부담이 적게 가게 되며 제품의 취급 안정성은 경량화 이전의 제품과 유사하면서 다 쓴 후 에는 폐기가 용이하게 되어 재활용을 원할 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생수용 페트 용기는 2축연신블로우성형을 실시하여 얻어진 것이고 용기의 상하부를 구분하는 적어도 1개의 링부인 웨이스트부를 구성하고 상기 웨이스트부가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들어가며 원주 방향으로 용기전체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및 하부 몸통부에 상기 웨이스트부 형상과 유사하지만 들어가는 깊이가 낮게 되는 가로 리브가 역시 원주 방향 전체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몸통부가 다각형 단면을 갖으며 가로리브는 다각형 단면의 각 코너부를 돌아가면서 존재하게 된다. 특히 다각형의 코너부에서는 몸통부에 용기 표면과 동일한 레벨이거나 용기표면에 대하여 적은 단차를 갖는 오목부를 갖는 보강 가로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병 적재 및 생수 완제품 파렛트 적재시 다단 적재에 따른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고 유통과정에서 변형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상기 가로 리브의 특성이 상부 몸통부 및 하부 몸통부의 각각의 단면을 보았을 때 중앙 부분에 안쪽으로 완만하게 타원형으로 들어가는 보강 리브가 들어가 있으며 이는 몸통부 면 중앙을 중심으로부터 그 가로 길이가 최소 10mm에서 부터 최대 모서리부까지 그 깊이가 최소 2mm에서 최대 5mm까지 되어지는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 다. 최소2mm이상이 되어야 제품 취급시 보강 효과가 발현되며 5mm이상으로 하면 보강효과가 더욱 좋게 되나 2축연신 성형시 연신거리가 짧아지게되어 해당 부분에 수지가 몰려서 나머지 인근영역의 두께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생깁니다. 또한 가로길이는 최소 10mm이상이 되어야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취급하고 잡기에 용이하게 하며 측면 방향의 힘에 대해서 변형이 용이하지 않게 작용한다. 또한 수축라벨을 적용함에 있어서 가로 리브만이 들어가게 되면 일부분이 리브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단면의 중앙부분에 타원형상의 안쪽으로 파고드는 리브가 도입되면 리브부분에서 라벨이 뜨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라벨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 및 하부 몸통부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한쪽 부분에서만 적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량화, 박육화된 생수 PET용기의 바닥부의 형태에 대해서는 리브가 들어가 있지 않은 형태 또는 현재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8각 방향의 원주 방향 리브 홈을 도입한 형태를 도입할 수도 있다. 특히, 원주 방향의 리브 홈의 경우 바닥부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경량화, 박육화된 생수 용기의 바닥부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및 힐(Heel)부의 가로 리브가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그 깊이는 2mm이상 그리고 5mm이하의 수준이면 수직하중 및 측면 하중에 대해서 견디는 힘이 확보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수용 PET 용기를 나타내며 시중에서 많이 유통되는 2.0리터 생수 페트병에 대한 것으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 2는 상부몸통부(2) 에 도입되는 가로리브(5) 형상을 나타내며 도 3은 하부몸통부(3)에 도입되는 가로리브(7)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웨이스트부(4)는 용기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며 고리형상의 홈으로 원주방향으로 용기 전체에 둘러져 있게 된다. 용기의 몸통부를 향하여 옴폭 들어가게 되며 몸통부를 상하 각각 구분하는 웨이스트부(4)는 용기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하는 것으로 웨이스트부(4)의 디자인이 좋지 않은 경우 경량화, 박육화된 생수 페트병에 있어서 이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기 때문에 용기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 또는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페트병을 잡았을 때 힘을 받아 변형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생수용 PET 용기를 경량화 함에 있어서 웨이스트부의 깊이는 2mm에서 5mm로 이하로 하는 것이 음료업체에서 요구하는 스펙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소비자로 하여금 손쉽게 폐기할 수 있는 수직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도 1에서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웨이스트부(4)를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고리 형상 홈으로 구성하고, 또한, 고리 형상 홈의 바닥 보다 높지만 몸통부의 표면보다도 낮은 레벨을 가지는 가로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용기의 박육화, 경량화를 도모한 경우일지라도 용기의 강성을 현저하게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상부몸통부(2)에 나타난 가로 리브(5)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가로 리브(5)를 용기 상단에 도입하면 상기 가로 리브가 용기의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되어 소비자가 손에 잡으며 발생하는 측면 변형에 상당히 저항성이 생기고 수직강도에 대해서도 상당히 개선된다. 깊이는 최소2mm에서 최대5mm로 하게 되는 것이 적당하다. 그 이상 깊게 되면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에 변형이 적게 되지만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응력이 집중하기 쉽게 되어 변형에 약해진다. 반대로 너무 깊이가 적게 되면 수직에 버티는 힘은 증가하지만 측면 변형에 대해서는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적정한 깊이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로 리브는 응력이 어느 한곳에 집중되는 것을 막고 외관형상의 안정화를 위해 원주방향 전체로 단일 원호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로 리브는 경량화, 박육화된 생수용 PET 용기에서 용기 변형을 막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 도 2와 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가로리브의 깊이는 몸체부보다 레벨보다도 낮은 레벨을 갖는다. 음용 후 폐기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쉽게 찌그러지는 것이 필요하지만 생수 제품 충진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형은 없어야 한다. 변형이 있게 되면 소비자는 해당 제품을 구매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두 합의점을 찾고자 몸통부 4각면 중심에 가로 리브를 구획하면서 코너부에 있어서는 그 깊이를 적게 함으로써 수직강도에 대해서 업체가 요구하는 수준을 만족할 수 있게 하였다. 코너부에 있어서의 가로 리브 깊이는 최소 몸통부 레벨과 같게 할 수 있고 최대 5mm까지 가능하다. 용기가 필요로 하는 수직강도 수준에 맞추어서 깊이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서술하였듯이, 경량화, 박육화 후의 용기의 세로압축하중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병 전체에 “가로 리브”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축 라벨 장착 부분에 “가로 리브”를 부여하면 라벨이 열수축 될 때, 리브의 홈에 라벨이 들어가서 라벨 자체가 요철이 생기므로 상품 이미지가 손상된다.
도 4와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세로 리브의 둘레를 용기의 몸통부 표면보다도 낮은 오목부로써 형성하여 용기 성형시 세로 리브의 윤곽형상을 들뜨게 함으로써, 용기의 코너부 근방영역의 보강효과를 한층 더 높이는 동시에, 가로 리브의 단부가 지지부에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용기에서 좌굴강도가 한층 더 높아지고 또한 용기의 변형 후의 복원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실시예 >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용기를 대상으로 하여 보강리브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도시한 단면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본 발명은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등의 다각형 단면은 물론이고, 원형 단면을 갖는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또한 용기의 용량에 대해서도, 예시한 2리터 이외에 500ml이하, 1리터, 1.5리터, 2리터를 초과하는 대형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충전 용량에 대해서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용기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프리폼을 2축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L 생수 페트병을 나타낸다. 참조부호1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 참조부호2는 용기 본체의 상부몸통부, 참조부호3는 용기 본체의 하부몸통부, 참조부호15는 용기의 바닥부를 타낸다. 참조부호4는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적절히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를 구분짖는 웨이스트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와 3에는 본 발명에 도입된 상부 및 하부 몸통부의 가로리브를 확대한 것으로 참조부호 5와 7은 용기 본체의 몸통부에 적절히 수를 조절하여 형성될 수 있는 가로 리브를 나타내고 원주 방향으로 전체 구획되어진다. 도 6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 부호 9은 용기 본체의 바닥부의 보강을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적절히 배열한 홈 리브 형상이다.
도 2와 3에서 몸통부 상부와 하부에 도입되어진 가로 리브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었다. 몸통부 상부에 도입되어진 가로 리브의 깊이는 2mm로 하였고 폭은 2.3mm로 하였다. 가로 리브의 깊이는 최소 2mm에서 최대 5mm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폭은 최소 2mm에서 최대 4mm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가로 리브와 바깥면 사이의 이어짐은 라운드 처리하였다.
몸통부 하부에 도입되어진 가로 리브의 깊이도 역시 상부 몸통부와 마찬가지로 2mm로 하였고 폭은 4mm로 하여 수직강도에 최소한의 정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음용하기 위하여 용기를 파지하는 몸통부 상부에는 측면에서의 강도도 고려하여 상기 수치를 적용하였고 하부에서는 전체적 수직강도의 최소값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으로 이는 각 용기 메이커가 원하는 목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 짖는 웨이스트부의 깊이는 4mm로 하였고 이는 최소 2mm에서 최대 8mm까지 설정함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웨이스트부의 형상은 상부 및 하부 가로 리브 형상과 동일하게 함으로서 가로 리브간의 가지는 강도의 편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도 4와 5에서 소비자가 용기 취급시 음료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로 가로리브를 도입한 것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용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었다. 전체적 형상은 손톱모양이 안쪽으로 파고드는 형상이다. 각 면의 중앙에 안쪽으로 큰 R값으로 하여 들어가는 리브로써 구획 형성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의 강성 보완 및 소비자 취급시 안정감 확보등을 위하여 도입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각각의 면에 도입되어진 가로리브는 상부 및 하부 몸통부에서 그 깊이를 다르게 설정하였다. 용기의 몸통부 외곽표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의 깊이는 3mm~4mm이 적당하며 몸통부 하부에서의 깊이는 2mm~3mm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 4와 5에서 또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모서리가 되는 각부의 깊이는 가로리브의 깊이와 동일하게 설정하지는 아니하였다. 그 이유는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로써 최소한의 수직강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며 깊이를 조절하게 되면 업체가 요구하는 수직강도를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모서리 각부의 깊이는 최소 몸통부 레벨과 같으며 최대 가로리브가 가지는 깊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바닥부의 보강을 위한 가로 리브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상은 이미 시장에 널리 사용되어지는 형태로 본 발명에서도 용기의 바닥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도입하였고 이에 대하여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아닌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 PET 용기는 경량화 되어 중량이 감소하였으면서도 측 면에서의 강도를 확보하게 되어 소비자가 용기를 취급시 안정감을 확보 할 수 있게 되면 또한 필요한 수직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공병 및 완제품 취급시 다단 적재 및 유통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병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가 리사이클 배출시 용기를 압축하여 폐기하기 쉽게 형태를 가지고 있어 재활용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수용 PET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상부몸통부(2)에 도입되는 가로리브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하부몸통부(5)에 도입되는 가로리브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와 상부몸통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
도 5는 하부몸통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
도 6은 용기 본체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부호의 설명>
1: 입구부 2: 상부몸통부
3: 하부몸통부 4: 웨이스트부
5: 상부몸통부의 가로리브
7: 하부몸통부의 가로리브

Claims (3)

  1.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으로 얻어지는 박육화, 경량화 생수용 PET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의 몸통부는 웨이스트부와 상기 웨이스트부를 중심으로 상하에 위치하는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몸통, 웨이스트부와 하부몸통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상의 다수의 가로리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 PET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통부 면 중앙을 중심으로부터 그 가로 길이가 최소 10mm에서 부터 최대 모서리부까지 그 깊이가 최소 2mm에서 최대 5mm까지 되어지는 타원 형상의 몸통으로 파고 드는 형상의 가로 리브가 도입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합성 수지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코너부가 있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코너부에는 최소 몸통부 레벨과 같고 최대 상기 다각형의 변에 형성된 가로 리브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보조 가로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 PET 용기.
KR1020070141543A 2007-12-31 2007-12-31 생수용 pet 용기 KR20090073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43A KR20090073568A (ko) 2007-12-31 2007-12-31 생수용 pet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43A KR20090073568A (ko) 2007-12-31 2007-12-31 생수용 pet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68A true KR20090073568A (ko) 2009-07-03

Family

ID=4133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543A KR20090073568A (ko) 2007-12-31 2007-12-31 생수용 pet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5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25B1 (ko) 2015-09-22 2016-08-01 정순태 내열 음료용기 제조방법
JP2016216094A (ja) * 2015-05-20 2016-12-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セプティック充填用ボトル、及び、充填ボト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6094A (ja) * 2015-05-20 2016-12-2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セプティック充填用ボトル、及び、充填ボトル
KR101644425B1 (ko) 2015-09-22 2016-08-01 정순태 내열 음료용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013B2 (ja)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US11220368B2 (en) Swirl bell bottle with wavy ribs
US20230202704A1 (en) Plastic Container with Strapped Based
EP1483157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depressed grip sections
US8567624B2 (en) Lightweight, high strength bottle
US6662961B2 (en) Plastic container having structural ribs
US20050035083A1 (en) Hollow plastic bottle
CA2568554C (en) Plastic container
AU2011342160B2 (en) Resin container
US20050218107A1 (en) Rib truss for container
JP2003104343A (ja) ボトル型容器
US20100006535A1 (en) Plastic Container Possessing Improved Top Load Strength and Grippability
US20230219709A1 (en) Swirl bell bottle with wavy ribs
US20060065566A1 (en) Container having label protection feature
KR20090073568A (ko) 생수용 pet 용기
JP5102097B2 (ja) 樹脂製飲料用容器
JP2003104347A (ja) ウエスト付き合成樹脂製容器
CA2918903C (en) Swirl bell bottle with wavy ribs
CN214241635U (zh) 一种顶压增强的2l热灌装pet饮料瓶
CN218229764U (zh) 一种具有导向筋结构的塑料瓶
JP6060595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US20240059449A1 (en) Bottle with a light weighted base
CA2670889C (en) Lightweight, high strength bottle
EP1485298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structural ribs
US20090242505A1 (en) Rectangular container having inset label panels and concave heel ge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