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729A -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729A
KR20090072729A KR1020070140927A KR20070140927A KR20090072729A KR 20090072729 A KR20090072729 A KR 20090072729A KR 1020070140927 A KR1020070140927 A KR 1020070140927A KR 20070140927 A KR20070140927 A KR 20070140927A KR 20090072729 A KR20090072729 A KR 20090072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terminals
terminal
portable terminal
boar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921B1 (ko
Inventor
박인규
양수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회로기판들과, 상기 단자들 중 오픈 단자가 다른 단자에 의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연결의 정확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CIRCUIT BOAR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결합 되는 회로기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위의 다양한 하드웨어의 탑재를 위한 회로기판 역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회로기판들을 물리적으로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결합 후에는 회로적인 연결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테스트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회로적 연결에 대한 테스트 수단을 구비하는 회로기판 에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테스트 수단이 상기 회로기판 어셈블리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집적화에 따라 보다 소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오픈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1 회로기판과, 상기 제1 단자들 각각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오픈 단자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픈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들 중 일 단자와의 접속에 의해 쇼트 되는지를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위의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유저 인터 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는 복수의 단자들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오픈 단자만이 오픈된 상태이고, 다른 단자들과의 접속에 의해 상기 오픈 단자의 회로적 연결 여부만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테스트하는 단자의 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테스트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테스트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회로기판 어셈블리가 소형화됨에 따라,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내장하는 휴대 단말기 역시 소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120)가 외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의 양단은 손목이나 팔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150)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통신망 내에서 기지국, 서버장치,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의 외 측 영역은 제1장착부(111), 제1장착부(111)의 하측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장착부(112) 및 제1장착부(111)의 상측 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타 단에 연결되는 제3장착부(1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1장착부(111) 내지 제3장착부(113)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장착부(111)에는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정보(신호, 명령 등) 출력뿐만 아니라 정보 입력을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제2장착부(112)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부(130)와 음성 등을 입력받는 음향 입력부 또는 마이크(160)가 구비된다. 제3장착부(113)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또는 스피커(140)가 장착된다. 이러한 조작부(130)와 스피커(140) 및 마이크(160)의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는 편리한 입출력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에 의하면,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각각 제1장착부(111)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과 배치는 착용시 외관을 저해하는 돌출 부위를 최소화하고,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시 손가락에 의한 조작의 방향 또는 방법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다.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밴드(150)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밴드(150)와 제2장착부(112) 사이 및 밴드(150)와 제3장착부(113) 사이에 완만한 형상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조작부(130)는 밴드(150)의 폭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131)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휠(131)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회전축이 밴드(150)의 길이 방향과 평 행한 방향 등으로 배열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휠(131)의 양단에는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푸시키(132,133)가 구비된다. 나아가, 휠(131)은 자체로 누름 조작에 의하여 입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휠(131)은 그 일부가 제2장착부(112)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휠(131) 및 푸시키(132,133)의 형상과 배치는 휠(131)을 회전시키기 위해 손가락이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100)를 소형화시키는데 유리하다. 푸시키(132,133)의 양단에는 비의도적인 누름에 의한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름방지수단 또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서, 오입력 누름방지수단은 푸시키(132,133)와 균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턱(돌출형상)일 수 있다.
휠(131)은 손가락 등을 대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모드에서 포인터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각종 조절 가능한 양, 예를 들어 음량, 화면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휠(131)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 한 쌍의 푸시키(132,133)의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20)에 숫자나 문자가 나열되면 사용자는 휠(131)과 푸시키(132,133)에 의하여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켜 해당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여 다이얼링을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편집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휴대 단말기(100) 가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대기 모드에서 현재의 시각이나 날짜 또는 제한된 몇 가지 항목이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휠(131)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푸시키들(132,133)은 커서나 포인터에 대한 4방향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휠(131)의 회전과 푸시키(132,133)의 클릭의 조합에 의하여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경우, 그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휠(131)을 눌러주면 해당 항목 또는 기능이 실행된다.
밴드(150)는 가죽(leather) 또는 고무(rubber)나 플라스틱(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단일 층이 적층 되어 다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150)에는 단말기 본체(110)와 기지국 사이 또는 단말기 본체(110)와 이어셋과 같은 외부의 독립 장치 또는 부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방사체(170A,17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방사체(170A,170B)의 배치는 작고 한정된 크기를 갖는 단말기 본체(110) 내부에 안테나 방사체가 내장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수신감도의 저하 문제 및 외관을 떨어뜨리는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밴드(150)에는 손목이나 팔 등에 단말기 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스너(fastener;151)가 구비될 수 있다. 패스너(151)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패스너(151)가 버클 형태로 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210)의 후면에는 단말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261)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0)의 후면에는 UIM/SIM 카드(User Identity Module/Subscriber Indentity Module) 등을 수납되며, 덮개(161)는 상기 카드 등을 감싸도록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덮개(161)의 일 측에는 충전 가능한 전원공급부 또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162)가 배치된다. 충전 단자(162)는 휴대 단말기(100)를 충전하기 위한 다른 외부 충전장치 또는 플러그 수단과 접속하여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 단자(162)의 배치는 사용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보일 수 있는 복잡한 형상이나 부품의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회로기판 어셈블리(200)는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각종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기능적으로 제어부(200, 도 8)라 칭해질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에 조작부(130)와 스피커(140)가 연결된 상태만을 보이고 있으나, 디스플레이(120) 등도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당연하다.
도 4a는 도 3의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의 다른 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확대된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회로기판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회로기판들(210 내지 250)을 포함한다. 회로기판들(210 내지 250) 중 제1, 제3, 및 제3 회로기판들(210,230,250)은 리지드(rigid) 회로기판이고, 제2 및 제4 회로기판들(220,240)은 리지드 회로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이다. 그러나, 회로기판들의 개수나 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에는 무선통신 모듈 등과 같은 부품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회로기판(220)은 제3 회로기판(230)에 장착되는 스피커(140)를 제1 회로기판(210)과 연결해준다. 이와 달리, 제2 회로기판(220)에 직접 스피커(140)나 조작부(1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회로기판(210) 및 제2 회로기판(220)은 각각 복수의 단자들(211, 221)을 가진다. 단자들(211, 221)은 에칭(ething) 등에 의해 회로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며, 도전성을 가진다.
회로기판들(210, 220) 사이의 접착 또는 결합과 단자들(211, 221) 사이의 회로적 연결을 위하여, 회로기판들(210, 220) 사이에는 접착 필름(260)이 개재된다.
접착 필름(260)으로는 이방전도성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과 같은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방전도성필름에는 접착성을 가지는 기지에 금속 코팅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입자와 같은 전도성 입자(261)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이룬다. 접착성을 가진 기지는 회로기판들(210, 220)을 결합 또는 부착시키게 되고 전도성 입자(261)는 단자들(211, 2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로기판들(210, 220)이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접착 필름(260)은 핀(pin)을 이용하는 커넥터에 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기에, 회로기판들(210, 220)이 이루는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도 4b의 제1 단자들(211) 및 제2 단자들(221)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은 서로 간에 대응하는 개수와 간격을 가진 채로 배열된다.
제1 단자들(211)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단자(들)는 오픈 단자(271)로 형성된다. 오픈 단자(27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도전성 세그먼트(segment)들로 형성된다. 그에 의해, 오픈 단자(271)는 회로적으로 오픈(open)된 초기 상태를 갖게 된다.
오픈 단자(271)를 이루는 각 세그먼트에서는 연장라인(272)가 각각 연장한다. 연장라인(272) 역시 도전성으로 형성되며, 오픈 단자(271)가 제2 단자들(221) 중 일 단자에 의해 쇼트(short) 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테스트 포인트가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오픈 단자(271)와 연장라인(272)이 단자들(211, 221) 사이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테스트부(270)라고 칭한다.
테스트부(270) 역시 단자들(211)과 마찬가지로 회로기판(210) 상에서 일정 면적을 차지한다는 제1 단자들(211) 각각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자는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기 에, 일부의 단자들에 대한 테스트만으로도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 전체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상기 인식을 바탕으로, 테스트부(270)는 제1 단자들(211) 중 최 외곽에 배치되는 단자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 두 개에만 형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최 외곽 양측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제1 단자들(211) 각각에 테스트부(270)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테스트부(270) 형성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테스트부(270)가 제1 단자들(211)의 최 외곽 단자를 오픈 단자(271)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테스트부(270)가 제1 단자들(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어서 제1 단자들(211)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지는 않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제1 및 제2 단자들(211, 221)에 대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테스트부(270')의 오픈 단자(271')는 제1 단자들(211) 중 다른 단자들에 비하여 돌출한 형태를 가진다. 오픈 단자(271')는 역시 제2 단자들(222) 중 그에 대응하는 일 단자보다도 큰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단자들(211)에 제2 단자들(221)을 정렬함에 있어서, 오픈 단자(271')의 돌출된 부분을 기준선으로 삼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장라인(272)에 대응하여서는 제2 단자들(221)에 인접한 정렬라인(222)을 형성할 수 있다. 정렬라인(222)은 연장라인(272) 보다는 작은 길이를 가진다. 정렬라인(222) 역시 제1 회로기판(210)과 제2 회로기판(220) 사이의 정확한 정렬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도 7은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 및 220) 사이의 연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과 도 4a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단자들(211)이 형성된 제1 회로기판(210)에 접착 필름(260)을 먼저 부착하게 된다. 접착 필름(260)은 제1 단자들(211)이 차지하는 면적보다는 좀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 필름(260)에 제2 단자들(221)이 형성된 제2 회로기판(220)을 대응시켜, 제2 회로기판(220)을 제1 회로기판(210)에 가 압착한다.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이 제대로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살핀다. 이때, 오픈 단자(271)이 연장된 부분이나 정렬라인(222)을 활용하면 정렬 여부에 대한 판단이 보다 용이하다. 제대로 정렬이 안 되었다면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 사이의 위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 사이의 정렬이 만족할만한 수준 이내라면,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210,220)을 최종적으로 압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로써, 회로기판 어셈블리(200)가 완성된다.
회로기판 어셈블리(200)의 회로적 연결의 정확성 여부는 테스트부(270)를 통해 검사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라인(272)에 테스트기를 접속시키면 오픈 단자(271)가 회로적으로 쇼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픈 단자(271)에 대응하는 제2 단자들(221) 중 일 단자가 오픈 단자(271)와 제대로 대응되게 결합 되었다면, 오픈 단자(271)는 상기 일 단자에 의해 초기의 오픈 상태에서 쇼트된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테스트 결과 여전히 오픈된 상태라면, 제1 단자들(211)과 제2 단자들(221) 사이의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되어, 불량품으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손목에 체결 가능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 폴더, 슬라이드, 스윙, 스위블 등 어떠한 형태의 단말기라도 복수의 회로기판을 가지는 단말기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01), 근거리통신모듈(102), 디스플레이(120), 조작부(130), 음향출력부(140), 마이크(160), 전원공급부(180), 메모리(19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 모듈(101)은 안테나(170A)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조작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조작부(130)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 또는 마이크(16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0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0)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4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0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0)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메모리(190)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0)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19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근거리통신모듈(102)은 휴대 단말기 이외 무선 헤드셋, 무선 데이터 포트 등과 휴대 단말기를 안테나(170B)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02)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스피커(140) 및 마이크(160)에 의하지 않고서 무선 이어셋을 통해 음성 통화 등을 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7)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그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유닛 등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다른 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확대된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b의 제1 단자들 및 제2 단자들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및 제2 단자들에 대한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7은 제1 및 제2 회로기판들 사이의 연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Claims (11)

  1. 하나 또는 일부를 이루는 오픈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제1 단자들 각각에 대응되게 부착되는 복수의 제2 단자들이 형성되는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오픈 단자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픈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들 중 일 단자와의 접속에 의해 쇼트 되는지를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단자는 한 쌍의 이격된 도전성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부는 상기 세그먼트들에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도전성 연장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단자는 상기 제1 단자들의 최 외곽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들의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단자들의 대응하는 인접한 단자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들 및 제2 단자들은 도전성 접착 필름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은 리지드(rigid) 회로기판이고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연성(flexible) 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대응하는 제2 단자보다 큰 길이를 갖는 기준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단자는 상기 오픈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어셈블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에는 상기 연장라인들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에셈블리.
  10.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회로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유저 인터 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 및
    상기 본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 페이스는 상기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40927A 2007-12-28 2007-12-28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4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ko) 2007-12-28 2007-12-28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ko) 2007-12-28 2007-12-28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29A true KR20090072729A (ko) 2009-07-02
KR101441921B1 KR101441921B1 (ko) 2014-09-19

Family

ID=4132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27A KR101441921B1 (ko) 2007-12-28 2007-12-28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9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0Y1 (ko) * 2003-01-24 2003-04-14 주식회사 카서 손목착용형 착신신호 전기자극형 이동통신장치
KR20070019907A (ko) * 2005-08-13 2007-0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921B1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670B2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8046037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US20140187233A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409871B1 (ko) 휴대 단말기
CN109150327A (zh) 一种天线检测方法、天线检测装置及移动终端
CN108388404A (zh) 终端、终端的控制方法、终端的制造方法和存储介质
CN106130663A (zh) 调整天线状态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7566554A (zh) 天线、天线调谐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WO2008077424A2 (en) Apparatus for audio communication
US807822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59024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86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KR101441921B1 (ko) 회로기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32776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8959885A (zh) 终端、终端的控制方法、终端的制造方法和存储介质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CN105933491A (zh) 测试方法、测试装置、测试天线及测试系统
CN11131397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404744B1 (ko) 루프 안테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306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회로 구성 방법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53152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