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552A -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552A
KR20090072552A KR1020070140698A KR20070140698A KR20090072552A KR 20090072552 A KR20090072552 A KR 20090072552A KR 1020070140698 A KR1020070140698 A KR 1020070140698A KR 20070140698 A KR20070140698 A KR 20070140698A KR 20090072552 A KR20090072552 A KR 2009007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avigation devic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화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14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552A/ko
Publication of KR2009007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55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제1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연동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의 입출력 기능을 향상시켜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메시지의 입출력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메시지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메시지,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용단말기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Method for transmitting/receving the message through the negavitor to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가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승차한 사용자는 셀룰러폰, PCS, 개인정보단말기(PDA), 차량 탑재형단말기와 같은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Device)를 가지고 있으며, 차량에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차량의 운전석 주위에는 상기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와 핸즈프리킷 등이 별개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위한 거치대와 핸즈프리킷 등이 별개로 장착되면 운전석 주변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그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는 측면이나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는 측면에서 운전자의 시선이나 손동작에 불편하거나 불합리한 점이 많다.
예를 들면, 현재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도로 운행중 도로교통, 신호등, 카메라, 지리 정보 등 관련 정보를 얻고 있는 동안에 이동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전화 통화나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의 송/수신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는 동안에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전화통화와 동시에 단문메시지에 응답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다시 말해 운전 중에는 비록 도로교통법에 의해서 전화통화나 메시지의 입출력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위하여 금지되어 있을 지라도, 운전자는 운전을 계속하면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버튼을 단시간 내에 수시로 입력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운전자의 시선이 도로 운전 중에 전방주시를 부주의하게 되어 차량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단말기 사용자들은 운전을 계속하는 도중에도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버튼키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고 있으므로, 메시지의 전송시에는 서로 무관할 수 없는 이들 휴대용단말기와 네비게이션 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단말 기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출력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제1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연동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수신된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따르 면, 종래 차량 탑승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의 입출력 기능을 향상시켜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으로 메시지의 입출력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차량 탑승시에도 네비게이션 장치의 대화면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중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장치의 대화면을 이용함으로써 메시지 입력 시 오류 입력가능성을 줄여 정확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운전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제거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따른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의 측면에 따른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사용되는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은 동기 이동통신망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은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노드B(200), 기지국제어기로 동작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202),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204),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206) 및 메시지 센터(208), 휴대용단말기(210) 및 네비게이션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노드B(20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한다. 노드B(200)는 RNC(202)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휴대용단말기(210)와의 데이터(메시지)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휴대용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단말기(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RNC(202)의 상위 프로토콜로 전달한다.
RNC(202)는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노드B로 전달된 데이터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RNC(202)는 교환기(MSC,204)를 포함하는 핵심망(core network)에 직접 연결되어 핵심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수행한다.
교환기(204)는 이동성 제어, 위치 등록/관리, 인증, 로밍 등을 담당한다.
홈위치등록기(206)는 교환기(204)의 요구에 따라 가입자에 대한 상세 정보와 휴대용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교환기(204)는 상기 홈위치등록기(206)와 연동(co-working)하여 호 라우팅 및 호 로밍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센터(208)는 메시지의 저장/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문 메시지(SMS), 장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저장/전송하기 위한 센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210)는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동통신망과 무선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등과 같은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장치(300)는 운행하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21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네비게이션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를 통하여 용이하게 메시지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는 휴대용 단말기(210)를 통하여 이동 통신 망으로 전송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300)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단문 메세지를 휴대용 단말기로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한다. 휴대용 단말기(210)는 네비게이션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프로파일이 제정되어 있는 불루투스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비게이션 장치(300)는 불루투스 또는 USB 통신 데이터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용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서 메시지는 메시지의 용량에 따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에서 메시지 송신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제1메세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연동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제1메세지를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용단말기(200)와 네비게이션 장치(300)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1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네비게이션 연동 설정단계(S100)는 휴대용단말기(100)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단말기(200)와 네비게이션 장치(3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속되면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을 설정하고, 휴대용단말기(200)에서 네비게이션 장치(300)를 즉시 인식한다.
상기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대신에 USB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통신을 통하여 수신도 가능하다. 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S11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불루투스 통신 또는 초광대역(UWB) 통신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S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10)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의 제1메세지 전송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대화면의 터치스크린 화면이 바람직하다.
제1메시지는 80바이트(한글 40자) 이내의 짧은 내용을 발신하는 단문메시지 도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종래의 단문메시지와는 달리 정지영상, 음악,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S120)는 휴대용단말기(2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의 노드B(200)에 전송한다.
또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S120)에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제1메세지 전송 메뉴에 들어가서 제1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휴대용단말기(21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10)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10) 및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10)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로 상기 수신된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메시지 네비게이션 연동을 설정하는 단계(S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10)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와의 연동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메시지는 단문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21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발신자가 전송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220)는 네비게이션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2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10)에서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은 네비게이션 장치(200)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입력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휴대용단말기(100)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결국, 운전자가 운전중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네비게이션 장치(200)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메시지를 입력함으로써 메시지 입력시 오류 입력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운전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단문메시지 송수신 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노드B
202: RNC(Radio Network Controller)
204: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206: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208: 메시지 센터
210: 휴대용단말기
300: 네비게이션 장치

Claims (6)

  1. 네비게이션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 제1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와의 연동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1메세지 전송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수신된 제2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제2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KR1020070140698A 2007-12-28 2007-12-28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KR20090072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98A KR20090072552A (ko) 2007-12-28 2007-12-28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698A KR20090072552A (ko) 2007-12-28 2007-12-28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552A true KR20090072552A (ko) 2009-07-02

Family

ID=4132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698A KR20090072552A (ko) 2007-12-28 2007-12-28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5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lla et al. Generations of mobile wireless technology: A survey
EP2180728B1 (en) Emergency call number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US20080039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luetooth handsfree device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O200409334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9217085A1 (en) Call rejection with a message comprising location information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14003516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Rayan et al. A survey on mobile wireless networks
CA2625126C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2002007431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통신서비스 전환방법
KR20090072552A (ko)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의 메시지송수신방법
ES2451660T3 (es) Transmisión de objetos multimedia entre interlocutores de comunicaciones en redes de radiocomunicación
CN114175740B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JP200310205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アクセス制御方法
CN107196756B (zh) 一种wifi密码的生成方法及移动终端
KR101041314B1 (ko)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2719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KR100639331B1 (ko) 탑승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50908B1 (ko) 위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73894A (ko)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07276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KR100885279B1 (ko) 단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의 가능 서비스 판단 방법및 시스템
KR100594460B1 (ko)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와이파이타입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