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431A -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431A
KR20090072431A KR1020070140531A KR20070140531A KR20090072431A KR 20090072431 A KR20090072431 A KR 20090072431A KR 1020070140531 A KR1020070140531 A KR 1020070140531A KR 20070140531 A KR20070140531 A KR 20070140531A KR 20090072431 A KR20090072431 A KR 2009007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ame
backrest
ch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07014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431A/ko
Publication of KR2009007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재질로 성형되면서도 결합공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너트가 인서트되어 사출성형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클립을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프레임상에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등받이 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율적으로 완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의자의 프레임 상부에 등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는 의자의 프레임(40) 상부에 체결되고, 고무재질로 성형되면서 프레임(40)과 등받이(50)에 제1 및 제2보울트(64)(65)에 의해 나사체결될 수 있는 제1 및 제2결합공(61)(62)이 나란히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너트(63)가 각각 인서트로 형성되며, 전후면에는 전후면결합홈(66)(67)을 각각 가지는 연결구(60)와; 상기 연결구(60)의 전면결합홈(66)과 프레임(40)의 상단면을 통하여 클램핑되고 금속재질의 철편이 절곡되면서 내부에는 보울트공(71)이 형성되는 클립(7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의자, 의자의 등받이, 의자등받이 연결구, 의자등받이 체결구

Description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CONNECT STRUCTUREFOR BACK OF CHAIN.}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재질로 성형되면서도 결합공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너트가 인서트되어 사출성형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클립을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프레임상에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과 더불어, 등받이 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율적으로 완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앉는 의자는 그 사용의 용도, 목적 등이나 재질, 구조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의자의 대체적인 구조는 의자의 골격을 유지토록 하는 프레임상에 지지다리와 좌판, 등받이, 팔걸이 등이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들의 구조에서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나 또는 공부하는 학생들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서는 등받이의 구조가 무엇보 다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도 등받이의 구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컨데, 의자프레임의 후방에 탄성력이 있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이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등받이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등을 기댈시 지지프레임의 탄성력에 의해 체중을 완충하여 편안함을 더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탄력을 가진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등받이를 연결토록 구성하는 것이나, 이러한 연결구는 금속재질의 보울트 및 너트 등으로 단순히 체결토록 하는 구성임으로써 제조성,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결구들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더불어 등받이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이 연결구측으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체결력이 쉽게 풀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의자의 프레임과 등받이를 간단한 구조의 연결구와 클립을 이용하여 간편하고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은 물론이고, 그 연결력을 월등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연결부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단순하고 깨끗한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가 탄력성이 좋은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전,후 방향은 물론이고, 상,하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시 등받이 측으로 가해지는 사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는 고무재질의 연결구와 이의 연결구에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클립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는 신축성이 좋은 고무재질로 성형되면서도 중심부와 양측면에는 의자의 프레임과 등받이에 각각 보울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금속 재질의 너트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결합공들이 나란히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서 체결되는 클립은 금속재질의 철편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연결구와 프레임을 억지끼움식으로 견고히 체결토록 함으로써 이들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프레임에 등받이를 연결함에 있어서, 고무재질로 사출성형 되는 연결구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클립을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가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더불어 체결력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받이 측으로 등을 기댈 경우 사용자의 신체적인 하중을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고도 효율적으로 완충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 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고,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자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상기 의자(100)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10)과, 이의 저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구름바퀴(21)를 가지는 지지다리(20)와, 좌판(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팔걸이(30)와, 좌판(10)의 후면으로 프레임(40)에 의해 설치되는 등받이(50) 및 등받이커버(51)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좌판(10)과 등받이(50), 팔걸이(30) 등은 안락함을 위하여 일정한 쿠션 을 가지는 쿠션재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프레임(40)은 유연한 곡선으로 형성하여 뛰어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의 구성은 대체적으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40)에 등받이(50)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등받이 연결구조는 이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연결구(60)와, 상기 연결구(60)의 상부에 체결되어 강도를 보강토록 하는 금속재질의 클립(70)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60)는 고무재질로 사출성형되면서 중심부에는 프레임(40)의 상부 체결공(41)과 일치된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결합공(61)이 나란히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의 양측에는 등받이(50)와 결합되는 제2 결합공(6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61)(62)들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너트(63)가 각각 인서트로 사출성형되고, 이들 각 결합공(61)(62)의 너트(63)에는 별도의 보울트들이 나사결합됨으로써 프레임(40)의 상부에 등받이(50)를 효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중심부의 제1 결합공(61)의 너트(63)에는 프레임(40)의 체결공(41)을 통하여 삽입되는 제1 보울트(64)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연결구(60)를 프레임(40)상에 고정하게 되고, 또한 양측 제2결합공(62)의 너트(63)에는 제2보울트(65)가 나 사체결되어 등받이(50)의 후면과 나사체결됨으로써 등받이(50)를 프레임(40)상에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60)의 전면에는 클립(70)이 체결될 수 있는 전면 결합홈(66)과, 후면에는 프레임(40)의 상단부가 체결될 수 있는 후면 결합홈(6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클립(70)은 금속재질의 철판이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전,후면에는 연결구(60)의 제1 결합공(62)과 일치되는 보울트공(71)이 각각 나란히 천공된다.
즉, 상기 클립(70)은 강도가 뛰어난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고무재질의 연결구(60)와 프레임(40)의 상부를 클램핑하는 기능과 더불어, 결합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프레임(40)의 상부에 연결구(6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60)를 이용하여 등받이(50)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40)의 상부에 연결구(60)의 후면 결합홈(67)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부에서 클립(70)을 억지끼움식으로 클램핑한다.
이때, 상기 클립(70)은 금속재질의 철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연결구(60)의 전면결합홈(66)과 프레임(40)의 후면을 통하여 긴밀히 결합되고, 이에 따라 보울트공(71)은 연결구(60)의 제1결합공(61)과 프레임(40)의 상부 체결공(41)과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보울트(64)를 프레임(40)의 후방에서 나사조립하게 되면, 제1 보울트(64)는 연결구(60)의 제1 결합공(61)내에 인서트로 형성된 너트(63)와 나사 조립됨으로써 연결구(60)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60)는 고무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제1 결합공(61)이 형성된 중심부분과, 제2 결합공(62)이 형성된 양측면부분은 경질의 고무재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결합공(61)이 형성된 중심부분과 제2 결합공(62)이 형성된 양측면부분의 사이의 연결부분은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재를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연결구(60)를 프레임(40)의 상부에 조립한 상태에서 이를 이용하여 등받이(50)를 연결하게 되는데, 즉 연결구(6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62)을 등받이(50)의 후면에 형성된 너트공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2 보울트(65)를 나사조립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보울트(65)는 연결구(60)의 제2 결합공(62)내의 너트(63)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등받이(50)상에 형성되는 브라켓트의 너트공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고, 이같이 등받이(50)가 조립되면, 그 후면에서 별도의 등받이커버(51)를 결합함으로써 모든 조립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의자(100)는 도 7에서 보듯이 프레임(40)과 더불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구(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등받이(50)를 통하여 기댈시 가해지는 체중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60)는 도 8에서 보듯이 클립(70)이 체결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과 신축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편중되게 가해진다 하더라도 이를 유연하게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자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에서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연결구조를 보인 일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 3에서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연결구의 단면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의자 10:좌판
20:지지다리 21:구름바퀴
30:팔걸이 40:프레임
41:체결공 50:등받이
51:등받이커버 60:연결구
61:제1결합공 62:제2결합공
63:너트 64:제1보울트
65:제2보울트 66:전면결합홈
67:후면결합홈 70:클립
71:보울트공

Claims (2)

  1. 의자의 프레임 상부에 등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는 의자의 프레임(40) 상부에 체결되고, 고무재질로 성형되면서 프레임(40)과 등받이(50)에 제1 및 제2 보울트(64)(65)에 의해 나사체결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결합공(61)(62)이 나란히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너트(63)가 각각 인서트로 형성되며, 전,후면에는 전,후면 결합홈(66)(67)을 각각 가지는 연결구(60)와;
    상기 연결구(60)의 전면 결합홈(66)과 프레임(40)의 상단면을 통하여 클램핑되고 금속재질의 철편이 절곡되면서 내부에는 보울트공(71)이 형성되는 클립(7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는 고무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제1 결합공(61)이 형성된 중심부분과, 제2 결합공(62)이 형성된 양측면부분은 경질의 고무재로 형성하고, 상기 제1 결합공(61)이 형성된 중심부분과 제2 결합공(62)이 형성된 양측면부분의 사이의 연결부분은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재를 혼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KR1020070140531A 2007-12-28 2007-12-28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KR20090072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531A KR20090072431A (ko) 2007-12-28 2007-12-28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531A KR20090072431A (ko) 2007-12-28 2007-12-28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431A true KR20090072431A (ko) 2009-07-02

Family

ID=4132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531A KR20090072431A (ko) 2007-12-28 2007-12-28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4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60B1 (ko) * 2010-07-01 2011-02-15 박점희 허리지지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860B1 (ko) * 2010-07-01 2011-02-15 박점희 허리지지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1272A1 (en) Customizable Saddle Structure, Particularly for Bicycles, Having a Removable Seat Element
US7059673B1 (en) Seat device for a bicycle
US20100148554A1 (en) Backrest device
US20080036261A1 (en) Movable backrest for a chair
KR20090053341A (ko) 프레임 의자
US7523992B1 (en) Mechanisms for flexibly securing J-bar to chair backrest and chair headrest respectively
KR20090072431A (ko)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조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KR101188881B1 (ko)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0423685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CN210249209U (zh) 一种靠背转动结构及座椅
KR200250589Y1 (ko) 통기성 의자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381385Y1 (ko) 텐션을 갖는 의자용 좌판
KR102514183B1 (ko) 관절타입 등받이체의 탄력 복원구조가 적용된 사무용 의자
KR20040155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CN211092850U (zh) 一种坐具
KR200185922Y1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19990046125A (ko) 의자등받이
JP2002136387A (ja) 椅子における背板の取付構造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0973596B1 (ko) 의자 등받이의 완충장치
KR200226673Y1 (ko) 의자용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