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35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1335A KR20090071335A KR1020080077058A KR20080077058A KR20090071335A KR 20090071335 A KR20090071335 A KR 20090071335A KR 1020080077058 A KR1020080077058 A KR 1020080077058A KR 20080077058 A KR20080077058 A KR 20080077058A KR 20090071335 A KR20090071335 A KR 20090071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dow
- range
- unit
- flash
- subjec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섬광 조사시의 장착 부품의 그림자가 촬영 화상 중에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촬영 전에 검출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이다. 거리 정보 입력부(13)와 섬광 조사부(4)를 구비하는 카메라(1)가 장치 본체의 구조 정보와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부품의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조사 범위 밖이 되는 촬상 시야 범위에서의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는 그림자 범위 산출부(12)와 거리 정보 입력부(13)가 입력하는 피사체 거리 정보와 해당 피사체의 촬영 화상에서의 위치 정보, 및 그림자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플래쉬광을 조사하는 섬광 조사부와 함께 이용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면서 촬영 화상의 화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화상의 촬상 보정 방법의 하나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17377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에 부착된 이물질을 검출하고, 이물질의 그림자에 의한 상(像) 결함을 보정하는 기술이 있다.
또, 예를 들어, 컨버젼 렌즈나 렌즈 후드 등 카메라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카메라 본체가 미리 구비하는 렌즈와는 다른 렌즈 사양에 의해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장착 부품이나, 카메라 본체가 미리 구비하는 렌즈 대신에 장착하는 교환 렌즈 등의 장착 부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광각 렌즈나 망원 렌즈 등의 컨버젼 렌즈를 장착하는 경우, 카메라 본체에 구비되는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에 컨버젼 렌즈가 중복되어 섬광이 비네팅(vignetting, '케라레'로도 쓰임)되는 일이 있다.
도 17은 카메라(1a)가 구비하는 섬광 조사부(4a)에 의한 섬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컨버젼 렌즈(10a)를 카메라(1a)가 미리 구비하는 렌즈(9a)에 장착하지 않는 예, 도 17(b)는 컨버젼 렌즈(10a)를 렌즈(9a)에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광 조사부(4a)는 조사각(γ)의 범위인 조사 범위(19a)에 섬광을 조사한다.
그렇지만,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9a)에 장착한 컨버젼 렌즈(10a)에 의해 부호 21a에 나타내는 범위의 섬광 조사부(4a)의 섬광이 비네팅(vignetting)되고, 조사각(γ)의 조사 범위(20a)에만 섬광이 조사되며, 부호 21a에 사선 스티치로 나타내는 범위에는 섬광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이때, 부호 21a의 범위에 존재하는 피사체에 컨버젼 렌즈(10a)의 그림자가 비쳐 들어가는 일이 있다. 이 컨버젼 렌즈(10a)에 의한 섬광의 비네팅(vignetting)(케라레)을 피하는 방법으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295265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버젼 렌즈(10a)를 장착하는 경우에 섬광 조사부(4a)를 카메라(1a)로부터 돌출시키고, 섬광의 조사 범위는 섬광 조사부(4a)로부터 섬광 조사부(4a-1)로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사 범위를 컨버젼 렌즈(10a)에 중복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섬광의 비네팅(vignetting)을 회피하는 기술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4-317377호에서 촬영 화상의 상(像) 결함을 보정하는 경우, 상(像) 결함을 보정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용 화상을 미리 촬영해 둘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 이물질 검출용 화상의 해석 처리 후에 촬영 화상을 읽어 들여 상(像) 결함을 보정하게 된다. 이로써, 촬영하는 사용자는 이물질 검출용 화상의 촬영이나 해석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 수고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 다.
또,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295265호의 기술은 섬광의 비네팅(vignetting)을 회피하지만, 섬광 조사부(4a-1)와 컨버젼 렌즈(10a)의 끝 부분의 부호(24a)를 잇는 파선(25a)의 아래쪽 범위로 섬광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도 17(b)의 부호 22a의 위치의 피사체에는 섬광이 조사되지만, 부호 23a의 위치의 피사체에는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섬광을 수반하여 촬영한 경우라도, 촬영자의 예측에 반하여 부호 23a의 위치에 있는 피사체에는 섬광이 조사되지 않아 촬영 화상에서 부호 23a의 피사체가 어두운 화상이 된다.
이때, 섬광이 한 순간이기 때문에, 촬영자는 촬영 후 화상 확인시에 처음으로 부호 23a에 나타내는 피사체의 화상이 섬광 조사의 비네팅(vignetting)에 의한 어두운 화상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일안 리플렉스(Single Lens Reflex) 디지털스틸카메라 등 액정 모니터 등의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카메라로 섬광에 의한 비네팅(vignetting)이 없는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한 화상을 모니터 등의 외부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하게 된다.
도 18은 섬광에 의한 장착 부품의 그림자가 촬영된 화상의 예이다. 도 18의 섬광의 비네팅(vignetting)에 의한 그림자(18a)가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위치나 각도 등을 촬영자가 조정하고, 그림자가 비쳐 들어오지 않을 때까지 다시 촬영하는 작업이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재촬영은 촬영자에게 수고스러운 일이며 섬광 조사 횟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섬광 조사를 하기 위한 충전 시간, 전 기량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섬광 조사시의 장착 부품의 그림자가 촬영 화상 중에 발생하는지를 촬영 전에 검출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에 섬광을 조사하기 위한 섬광 조사부를 갖고, 본체 장치에 대한 소정의 장착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촬상 장치로, 미리 장치 본체의 구조에 관한 제1 구조 정보가 기억되는 동시에, 해당 장치 본체에 장착 부품이 장착되었을 때, 해당 장착 부품 자체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장착 부품의 구조에 관한 제2 구조 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피사체로부터 촬상 소자의 촬상 중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와, 촬상 소자에 의한 촬상 범위 내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화상 위치를 산출하는 화상 위치 산출부와,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제1 및 제2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소자의 촬상 시야 범위에서의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 밖이 되는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는 그림자 범위 산출부와, 그림자 범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그림자 범위, 거리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 및 화상 위치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해당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이런 구성에 의해, 장치 본체의 구조에 관한 제1 정보와 장착 부품의 구조에 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범위 산출부가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 밖이 되는 촬상 시야 범위에서의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고, 거리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화상 위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피사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발생 판정부가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가 해당 장치 본체의 구조에 관한 제1 정보와 해당 촬상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부품의 구조에 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시야 범위에서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 밖이 되는 위치에 피사체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게 된다.
이로써,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를 수반하는 촬영 처리 실행 전에 촬상 시야 범위에서 섬광 조사부의 조사 범위 밖에 피사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촬상 장치가 판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인 카메라(1)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카메라(1)는 예를 들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등의 섬광 조사(섬광 발광, 플래쉬 발광)를 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장치의 본체(카메라(1)의 장치 본체)에 소정의 장착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촬상 장치로, 제어부(2), 촬상부(3), 섬광 조사부(4), 표시부(5), 요구 입력부(6), 화상 기억부(7), 본체 구조정보 기억 부(8), 장착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 그림자 범위 산출부(12), 거리 정보 입력부(13), 그림자 발생 판정부(14),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15) 및 트리밍 화상 생성부(16)를 구비한다.
제어부(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각종 메모리로 구성되고, 각 부의 제어나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이나 데이터의 전송 등을 수행한다. 촬상부(3)는 제어부(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 출력 요구에 따라 화상 신호를 연속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상부(3)가 화상 신호를 연속 출력하고 있는 것을 촬영 모드로서 설명한다.
섬광 조사부(4)는 제어부(2)로부터 입력되는 조사 요구에 따라 플래쉬광(섬광)을 조사(발광)한다. 표시부(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이고, 제어부(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의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표시를 한다.
요구 입력부(6)는 터치 패널, 버튼이나 키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요구 입력부(6)가 구비하는 입력 수단이 사용자(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받으면, 어떠한 입력 수단이 조작되었는지, 어떻게 조작되었는지 등을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화상 기억부(7)는 촬영 요구에 기초하여 촬상부(3)가 출력하는 화상 신호를 촬영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본체 구조정보 기억부(8)는 카메라(1)의 치수나 각 부의 위치 등의 카메라(1)의 구조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여기서, 구조정보는 촬상부(3)의 촬상 소자 부분, 즉, 촬상면의 크기 및 폭의 정보, 카메라(1)가 미리 구비하고 있는 렌즈의 초 점거리 정보, 렌즈의 위치 정보, 렌즈의 치수 정보, 섬광 조사부(4)의 치수 정보, 가이드 넘버 등의 성능 정보, 및 카메라(1)에 장착할 수 있는 장착 부품의 장착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위치 정보란 촬상부(3)의 촬상 중심으로부터의 상대 위치 정보이다.
장착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는 장착부품 자체가 미리 구비하는 전기 접점을 통해 치수 정보나 초점 거리 정보, 제품 식별 정보 등의, 카메라(1)에 장착되는 장착부품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장착 부품 정보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품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요구 입력부(6)가 제어부(2)에 입력하는 것일 수도 있고, 카메라(1)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본체 구조정보 기억부(8)가 기억하는 구조정보와 장착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가 입력하는 장착부품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1)의 촬영 시야 범위에서 섬광 조사부(4)의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한 범위의 정보를 그림자 범위 정보로서 제어부(2)로 출력한다.
거리 정보 입력부(13)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와 해당 피사체의 좌표 정보를 대응시켜 제어부(2)에 입력한다. 피사체의 좌표 정보는 촬상부(3)가 입력하는 화상 신호로 구성되는 화상에서 정보 입력 대상의 피사체가 어떠한 좌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는 거리 정보 입력부(13)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거리 정보로서 제어부(2)에 입력하는 것일 수도 있다. 거리 정보 입력부(13)가 수행하는 거리의 측정은, 예를 들어, 카메라(1)가 가진 AF(오토 포커스) 기능으로 피사체의 핀트에 맞췄을 때의 렌즈의 위치 정보와 초점거리 정보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또, 거리 정보 입력부(13)는 피사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외에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요구 입력부(6)가 제어부(2)에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입력하는 등 거리 정보 입력부(13)에 의한 거리 정보의 입력은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든 적용할 수 있다.
그림자 발생 판정부(14)는 거리 정보 입력부(13)가 입력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와, 해당 피사체의 좌표 정보와 구조 정보, 장착 부품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피사체의 위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피사체의 위치는 촬상부(3)의 촬상 소자의 촬상 중심에서의 상대 위치이다. 그림자 발생 판정부(14)는 산출한 피사체의 위치 정보와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로부터 입력되는 그림자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피사체의 좌표 정보와 함께 제어부(2)로 출력한다.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15)는 제어부(2)로부터 입력되는 그림자 발생 판정부(14)에 의한 판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된 좌표 정보로부터 촬상부(3)의 촬상 시야에서의 그림자 발생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그림자 발생 범위 정보로서 제어부(2)로 출력한다.
트리밍 화상 생성부(16)는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15)가 산출하는 그림자 발생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부(3)가 입력하는 화상 신호로 구성되는 화상에서 그림자 발생 범위를 제외한 화상을 생성한다.
이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의 동작 처리의 흐름을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카메라(1)의 촬영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다.
카메라(1)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촬영 처리 개시 요구가 요구 입력부(6)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2)는 그림자 범위 산출 요구를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로 출력한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입력되는 그림자 범위 산출 요구에 기초하여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카메라(1)의 화각 정보와 함께 그림자 범위 정보로서 제어부(2)로 출력한다(단계 S1).
카메라(1)가 구비하는 셔터 버튼(촬영 요구 버튼)(미도시)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반압(半押)되면(즉, 반 셔터가 눌러지면), 요구 입력부(6)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을 검출하고,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단계 S2). 제어부(2)는 반압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 대상이 확정된 것으로 판정하고,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로부터 입력되는 그림자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제어부(2)가 수행하는,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여부의 판정 처리에서의 판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제어부(2)가 판정하는 그림자 범위 존재 조건은,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섬광을 수반하는 촬영 모드이고, 또한 카메라(1)의 촬영 시야 범위에 그림자 범위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또,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제어부(2)가 판정하는 조건은, 상술한 그림자 범위 존재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이다. 또, 제어부(2)는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산출하는 그림자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1)의 촬영 시야 범위에 그림자 범위가 발생하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에서 제어부(2)가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반면, 단계 S3에서 제어부(2)가 그림자 범위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는 측거점마다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을 요구하는 거리 측정 요구를 거리 정보 입력부(13)로 출력한다. 거리 정보 입력부(13)는 제어부(2)로부터 입력되는 거리 측정 요구에 기초하여, 측거점에 존재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단계 S4).
여기서, 측거점이란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측정 대상으로, 화상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 상의 소정 위치에 존재한다. 측거점은 예를 들어, 소정 화소 수마다 주기적으로 복수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 거리 측정 요구는 화상 데이터 신호로 구성되는 화상 상에서의 측거점의 위치 정보(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제어부(2)는 거리 정보 입력부(13)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값과 플래쉬 도달 거리의 값을 비교한다.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값이 플래쉬 도달 거리의 값 이하가 되는 경우, 제어부(2)는 그림자 발생 판정 요구를 그림자 발생 판정부(14)로 출력한다. 또,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값이 플래쉬 도달 거리의 값을 넘는 경우, 제어부(2)는 단계 S7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5).
플래쉬 도달 거리란, 섬광 조사부(4)의 섬광 조사에 의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이 촬상부(3)에서 촬상할 수 있게 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 즉 섬광 조사부(4)에 의한 플래쉬광이 피사체에 도달하는 거리를 나타내는 플래쉬 도달 거리의 값이다. 또, 플래쉬 도달 거리(z)의 값은 카메라(1)가 구비하는 섬광 조사부(4)의 가이드 넘버에 기초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있어서, GN은 섬광 조사부(4)의 가이드 넘버의 값을 나타낸다. F는 카메라(1)의 조리개 값을 나타낸다. ISO는 카메라(1)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감도 설정값을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2)가 그림자 발생 판정부(14)에 출력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 요구는, 판정 대상의 측거점에서의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아닌지의 판정 처리를 그림자 발생 판정부(14)에 요구하는 신호이다. 또, 그림자 발생 판정 요구는 판정 대상의 측거점의 위치 정보와 거리 정보, 렌즈의 초점거리 정보,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산출한 그림자 범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림자 발생 판정부(14)는 입력되는 그림자 발생 판정 요구에 기초하여, 판정 대상의 측거점에서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제어부(2)에 출력한다(단계 S6). 그림자 발생 판정 부(14)는 판정 대상의 측거점에 존재하는 피사체의 거리 정보와 판정 대상의 측거점의 위치 정보, 렌즈의 초점거리 정보와 그림자 범위 정보에 포함되는 화각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광학계의 관계식으로부터 판정 대상의 측거점에 존재하는 피사체의 촬상부(3)에 대한 좌표(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피사체의 좌표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 대상의 측거점에서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제어부(2)는 모든 측거점에서 단계 S5∼단계 S7에 의한 그림자 발생 판정 처리가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림자 발생 판정 처리가 종료하지 않은 측거점에 대해 단계 S5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단계 S7). 제어부(2)는 모든 측거점에 대해 그림자 발생 판정 처리가 종료하면,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측거점의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
제어부(2)는 어떠한 측거점에서도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어느 하나라도 측거점에서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한다고 판정한 경우, 표시부(5)에 그림자 발생 통지 요구를 출력한다. 표시부(5)는 입력되는 그림자 발생 통지 요구에 기초하여 그림자 발생 통지 처리를 하고, 단계 S10의 처리로 진행한다(단계 S9).
여기서, 단계 S3에서 그림자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에서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어떤 측거점에서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단계 S9에서의 그림자 발생 통지 처리를 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카 메라(1)가 구비하는 셔터 버튼(미도시)이 사용자 조작을 받은 경우, 이하의 처리로 진행한다.
카메라(1)가 구비하는 셔터 버튼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압(全押)되는 경우(즉, 완전 셔터가 눌러지는 경우), 요구 입력부(6)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버튼의 전압 입력을 검출하고, 셔터 버튼의 전압 입력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제어부(2)는 전압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한 촬영 실행 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정하여 단계 S11로 진행한다(단계 S10).
또, 카메라(1)가 구비하는 셔터 버튼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반압되는 경우, 요구 입력부(6)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을 검출하고,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 신호를 제어부(2)에 입력한다. 제어부(2)는 반압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 대상이 변경된 것으로 판정하고, 단계 S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제어부(2)는 전압 입력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한 촬영 실행 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정하면, 촬상부(3)에 촬영 처리를 요구하는 촬영 요구를 입력한다. 촬상부(3)는 입력되는 촬영 요구에 기초하여 촬영 처리를 하고, 화상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2)에 출력한다. 또한, 이때 섬광 조사부(4)의 섬광 조사를 수반하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2)는 섬광 조사부(4)의 섬광 조사와 촬상부(3)의 촬영 처리를 연동시키고, 촬영 처리를 실행시킨다(단계 S11).
이어, 도 2의 단계 S1에서의 그림자 범위 산출 처리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카메라(1)의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수행하는 그림자 범위 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그림자 범위 산출 처 리의 예로서, 카메라(1)에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된 경우의 그림자 범위 산출 순서를 설명한다.
도 4는 카메라(1)에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된 경우의 카메라(1)의 측면도이다. 또, 도 5는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에 있어서, 섬광 조사부(4)의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카메라(1)에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된 경우의 카메라(1)의 평면도이다. 또, 도 7은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에 있어서, 섬광 조사부(4)의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그림자 범위 산출 요구가 입력되면, 카메라(1)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장착 부품 정보의 입력 요구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제어부(2)는 장착 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에 장착 부품 정보의 입력 요구를 출력하고, 장착 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로부터 입력되는 렌즈 장착 부품(10)의 장착 부품 정보를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로 출력한다(단계 S31). 또한, 장착 부품 정보는 렌즈 장착 부품(10)의 초점 거리, 구경(口徑)의 값, 카메라(1)에 장착한 경우의 촬상부(3)의 촬상면으로부터의 경동(鏡胴)의 길이 정보이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장착 부품 정보가 입력되면, 카메라(1)의 구조 정보의 입력 요구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제어부(2)는 본체 구조정보 기억부(8)로부터 카메라(1)의 구조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구조정보를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로 출력한다(단계 S32). 또한, 구조정보는 촬상부(3)의 촬상면의 크기와 폭, 섬광 조사부(4)의 중심에서 광축까지의 거리, 카메라(1)가 미리 가진 렌즈(9)의 초 점거리의 정보이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입력되는 장착 부품 정보와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1)에서 촬상부(3)가 촬상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화각을 산출한다(단계 S33).
단계 S33에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수행하는 화각의 산출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측면도에서 촬상부(3)의 촬상 중심을 통하는 카메라(1)의 광축을 Z축으로 하고, 촬상부(3)의 촬상면에 접하며, Z축에 직교하는 축을 X축으로서 좌표축을 정한다. 또, Z축과 X축의 교점이 되는 촬상부(3)의 촬상 중심을 원점으로 한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도 4에 나타내는 XZ평면에서의 카메라(1)의 화각(α1)을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수학식 2]에 있어서, e는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의 초점거리의 값이다. 또한, 촬상면에서 렌즈까지의 거리인 초점거리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초점거리를 촬상부(3)의 촬상면에서 렌즈 장착 부품(10)의 Z축 방향의 끝까지의 거리로 설명한다. 또, x는 촬상부(3)의 촬상면의 X축 방향의 폭의 값, 즉, 상면(像面)의 높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평면도에서 촬상부(3)의 촬상 중심을 통하는 카메라(1)의 광축을 Z축으로 하고, 촬상부(3)의 촬상면에 접하며, X축 및 Z축에 직 교하는 축을 Y축으로서 좌표축을 정한다. 또, Z축과 Y축의 교점이 되는 촬상부(3)의 촬상 중심을 원점으로 한다.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도 4에 나타내는 XZ평면에서의 카메라(1)의 화각(α2)을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수학식 3]에 있어서, e는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의 초점거리의 값이다. 또, y는 촬상부(3)의 촬상면의 Y축 방향의 폭의 값, 즉, 촬상부(3)의 상면의 폭의 값이다.
상술한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기초하여 화각을 산출하면,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의 조사각을 산출한다. 도 4의 측면도에서 하방 조사각(β1)은 XZ평면에서의 섬광 조사부(4)의 조사각이다. 하방 조사각(β1)은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조사 중심)과 렌즈 장착 부품(10)의 Z축 방향의 끝 부분을 잇는 직선과, 렌즈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을 통하고 Z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이다. 도 3에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수학식 4]에 기초하여 하방 조사각(β1)을 산출한다(단계 S34).
[수학식 4]에 있어서, b는 카메라(1)에서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까지의 Z축 방향의 거리의 값을 나타낸다. 또, d는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에서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까지의 X축 방향의 거리의 값이고, [수학식 5]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에 있어서, c는 촬상부(3)의 상면 중심에서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까지의 X축 방향의 거리의 값을 나타낸다. 또, a는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에서의 X축 방향의 크기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에서의 Y축 방향의 폭의 값은 X축 방향의 크기의 값(a)과 똑같은 것으로 한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6의 평면도에서 측방 조사각(β2)은 YZ평면에서의 섬광 조사부(4)의 조사각이다. 측방 조사각(β2)은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과 렌즈 장착 부품(10)의 Z축 방향의 끝 부분을 잇는 직선과, 렌즈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을 통하고 Z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이다. 도 3에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수학식 6]에 기초하여 측방 조사각(β2)을 산출한다(단계 S35).
[수학식 6]에 있어서, g는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에서 장착 부품(10)의 끝 부분까지의 Y축 방향의 거리의 값이고, [수학식 7]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7]에 있어서, f는 촬상부(3)의 상면 중심에서 섬광 조사부(4)의 발광 중심까지의 Y축 방향의 거리의 값을 나타낸다.
도 3에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상술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플래쉬 도달 거리(z)를 산출한다(단계 S36).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단계 S33∼S36에서 산출한 카메라(1)의 화각, 섬광 조사부(4)의 조사각,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 도달 거리(z)에 기초하여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제어부(2)로 출력하여 그림자 범위 산출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37).
상술한 단계 S37에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수행하는 그림자 범위의 산출 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카메라(1)의 측면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은 플래쉬광 도달 거리(z)까지의 조사 범위(20)에 조사된다. 그렇지만, 렌즈 장착 부품(10)이 플래쉬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e≤Z≤z의 범위에서 부호 21-1에 나타내는 직선과 부호 21-2에 나타내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그림자 범위(21)에는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부호 21-2에 나타내는 직선의 식≤그림자 범위(21)≤부호 21-1에 나타내는 직선의 식」을 충족하고, 또한, 「e≤Z≤z」를 충족하는 범위를 그림자 범위(21)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카메라(1)의 평면도에서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은 플래쉬광 도달 거리(z)까지의 조사 범위(22)에 조사된다. 그렇지만, 렌즈 장착 부품(10)이 플래쉬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e≤Z≤z의 범위에서 부호 23-1에 나타내는 직선과 부호 23-2에 나타내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그림자 범위(23)에는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부호 23-2에 나타내는 직선의 식≤ 그림자 범위(23)≤부호 23-1에 나타내는 직선의 식」을 충족하고, 또한, 「e≤Z≤z」를 충족하는 범위를 그림자 범위(23)로서 산출한다.
여기서, 그림자 범위(21)에 포함되고, 또한 그림자 범위(23)에 포함되는 범위에는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그림자 범위 산출부(12)는 도 5의 XZ평면에서의 그림자 범위(21)와 도 7의 YZ평면에서의 그림자 범위(23)의 양쪽에 포함되는 범위를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그림자 범위로서 산출한다.
이어, 그림자 범위의 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8은 예로서 카메라(1)의 촬상 시야 내에서의 Z축 방향의 그림자 범위의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부호 81, 부호 82, 부호 83은 각각 XY평면에 평행하고, Z의 값이 서로 다른 평면에서의 카메라(1)의 촬상 시야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촬상 시야 범위(81)에 서 부호 811은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811과 마찬가지로, 촬상 시야 범위(82)에서의 부호 821에 나타내는 범위, 촬상 시야 범위(83)에서의 부호 831에 나타내는 범위는 각각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카메라(1)의 촬상 시야 범위에 있어서,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 범위의 비율이 커지게 된다.
또, 도 9는 도 3의 단계 S9에서 표시부(5)가 수행하는 그림자 발생 통지예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5)가 그림자 발생경고 아이콘(111)을 표시함으로써 그림자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로써, 섬광 조사부(4)의 조사를 수반하는 촬영 처리에서, 섬광 조사부(4)의 조사 범위 밖의 피사체가 사용자의 뜻에 반하여 어두운 화상이 되는 것을, 카메라(1)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촬영 전에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통지에 기초하여 촬영 처리 전에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카메라(1)를 설치하거나 촬영하는 각도를 변경하거나, 섬광 조사부(4)의 섬광 조사 처리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도 3의 단계 S9의 그림자 발생 통지 처리를 할 때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부(5)가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표시부(5)가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예이다.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로서, 도 10의 부호 112에 나타내는 직사각형을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또, 그림자가 발생한다고 판정된 측거점의 위치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하여 통지할 수도 있다.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부(5)에 표시함으로써, 촬상되는 화상 데이터 상의 어떤 위치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즉 어떤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통지된 범위에 그림자가 발생해도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도 3의 단계 S11의 촬영 처리를 할 때,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부(5)가 표시하는 동시에, 트리밍 화상 생성부(16)가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112)를 포함하지 않는 범위를 촬영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 기억부(7)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도 11, 도 12, 도 13은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 어떤 범위를 트리밍 화상 생성부(16)로부터 잘라내는지를 나타내는 예이다. 트리밍 화상 생성부(16)는, 예를 들어, 도 11의 부호 113이나 도 12의 부호 114, 도 13의 부호 115에 나타내는 범위를 잘라낼 수도 있다. 또, 저장할 때 사용자에게 잘라내는 범위를 요구 입력부(6)를 통해 입력하게 하고,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촬영된 화상에 있어서, 촬영 화상 전체에서 보면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화상 부분이 되는 그림자 발생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를 회피하는 방법으로 카메라(1)가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이 가동 부재에 의해 섬광 조사부(4)를 카메라(1)를 향해 이동시키고,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 광의 조사 범위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섬광 조사부(4)의 이동에 의한 플래쉬광의 조사 범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예로서 카메라(1)가 구비하는 섬광 조사부(4)가, 예를 들어, 폴더식 구조를 가진 가동 부재에 의해 조사 범위를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통상의 촬영에서의 섬광 조사부(4)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섬광 조사부(4)에서 사선 스티치로 나타내는 조사 부분은 카메라(1)의 거의 광축 방향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도 15는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경우의 섬광 조사부(4)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섬광 조사부(4)에 있어서, 사선 스티치로 나타내는 조사 부분은 도 14의 위치에 비해 카메라(1)의 전방으로 이동해 있다(팝업 상태). 또, 섬광 조사부(4)의 조사의 중심이 카메라(1)의 광축(Z축)에 대해 평행이 아니라, 소정 각도가 되도록 섬광 조사부(4)의 조사 부분을 이동한다.
도 16은 도 14의 섬광 조사부(4)에 의한 플래쉬광의 조사 범위와 도 15의 섬광 조사부(4)에 의한 플래쉬광의 조사 범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평상시의 섬광 조사부(4)와 그림자 발생시의 섬광 조사부(4)의 쌍방이 플래쉬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되는 카메라(1)의 촬상 시야 범위를 부호 30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부호 32로 나타내는 범위는 평상시의 섬광 조사부(4)와 그림자 발생시의 섬광 조사부(4)의 쌍방이 플래쉬광을 조사하지 않는 그림자 범위를 부호 32로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림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섬광 조사부(4)의 조사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평상시의 섬광 조사부(4)의 위치에서는 플래쉬광을 조 사할 수 없는 범위(31)에 플래쉬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를 회피하는 방법으로, 그림자 발생시에 카메라(1)의 ISO 감도 설정값을 올리고, 섬광 조사부(4)에 의해 섬광 조사시키지 않고 촬영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도 3의 단계 S3에서, 제어부(2)가 그림자 범위의 존재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섬광 조사를 수반하지 않는 촬영 모드나 카메라(1)에 장착되는 장착 부품에 의해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섬광 조사가 비네팅(vignetting) 되지 않는 경우 등, 카메라(1)의 촬영 시야 범위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측거점마다 수행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 처리를 수행하지 않기로 했다. 이로써, 카메라(1)는 촬영 시야 범위에 포함되는 피사체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촬영 처리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거점은 소정 화소 수마다 주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이 있었던 경우의 핀트 대상(포커스 대상)이 되는 1 또는 복수의 피사체의 화상 상의 좌표를 측거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섬광 조사부(4)가 장착 부품(예를 들어, 렌즈 장착 부품(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섬광 조사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점에서, 촬상부(3)의 촬상 시야 범위에서 섬광 조사부(4)가 존재하는 방향의 화상 범위에는 측거점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처리, 및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 처리에 의한 처리 횟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카메라(1)는 그림자 발생 경고 처리를 수반하는 촬영 처리를 고속으로 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림자 발생 경고 아이콘(111)을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섬광 조사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통지하기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2)가 표시부(5)에 경고 메세지를 표시하게 할 수도 있고, AF의 합초 위치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할 때, 통상과 다른 색이나 형상으로 합초 위치를 표시부(5)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메라(1)가 스피커를 더 구비하고, 이 스피커에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그림자의 발생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 카메라(1)가 발광 다이오드 등에 의한 파일럿 램프를 더 구비하고, 이 파일럿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그림자의 발생을 통지하는 것 등 사용자에게 그림자의 발생을 통지하는 구성이면, 어떤 그림자 발생 통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든 카메라(1)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 발생 판정부(14)가, 피사체가 그림자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 요구 입력부(6)로부터 촬영 요구가 입력되더라도 제어부(2)가 촬영 처리를 억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섬광 조사부(4)의 조사를 수반하는 촬영 처리에 있어서, 촬영 요구가 입력된 경우라도, 섬광 조사부(4)의 조사 범위 밖의 피사체가 사용자의 뜻에 반하여 어두운 화상이 되는 촬영 처리를 억제하게 되기 때문에,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조사 횟수나 촬영 처리 횟수를 억제하고, 소비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계 S2에 있어서, 셔터 버튼의 반압 입력에 기초하여 그림자가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한다고 했지만, 예를 들어, 카메라(1)에서 AF를 로크(lock)한 시점에서 판정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 판정에 이용하는 장착 부품 정보, 카메라(1)의 구조 정보,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가 모두 제어부(2)에 입력된 시점에서 판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 부품 구조정보 입력부(11)가 수행하는 장착 부품 정보의 입력은,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장 렌즈 등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장착 부품이 내부의 기억 영역에 장착 부품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장착 부품 구조 정보 입력부(11)가 장착 부품의 전기 접점을 통해 장착 부품 정보를 읽어내고, 제어부(2)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카메라(1)가 장착 부품 정보를 기억하고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착 부품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1)에 장착하는 장착 부품을 렌즈 장착 부품(10)으로 설명했지만, 장착 부품으로서 플래쉬광을 조사하는 섬광 조사 장치를 카메라(1)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림자 발생 판정부(14)에 의한 피사체 위치의 산출 방법은, 촬상부(3)의 촬상 소자의 촬상 중심에서의 피사체의 상대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산출 방법이든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촬상 장치는 카메라(1)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장치 본체는 카메라(1) 본체, 즉 장치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기재된 기억부에 기억되는 제1 구조 정보는 본체 구조 정보 기억부(8)가 기억하는 카메라(1) 의 구조 정보에 대응하며, 본 발명에 기재된 기억부에 기억되는 제2 구조 정보는 장착 부품 구조 정보 입력부(11)가 입력하는 장착 부품 정보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기재된 거리 측정부 및 화상 위치 산출부는 거리 정보 입력부(13)에 대응하며, 본 발명에 기재된 그림자 발생 통지부는 표시부(5)에 대응하고, 본 발명에 기재된 가동 부재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섬광 조사부(4)와 카메라(1)를 접속하는 가동 부재에 대응한다.
또한, 상술한 카메라(1)는 내부에 컴퓨터 시스템을 갖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1)의 제어부(2), 촬상부(3), 섬광 조사부(4), 표시부(5), 요구 입력부(6), 장착 부품 구조 정보 입력부(11), 그림자 범위 산출부(12), 거리 정보 입력부(13), 그림자 발생 판정부(14),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15), 및 트리밍 화상 생성부(16)의 동작 과정은 프로그램 형식으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수행된다. 여기서 말하는「컴퓨터 시스템」이란, CPU 및 각종 메모리나 OS,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각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그림자 범위 산출부(1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 들여 실행함으로써 카메라(1)에 구비되는 섬광 조사부(4)의 플래쉬광에 의한 그림자가 촬영 대상의 피사체에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통지하는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CD-ROM 등의 가반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를 말한다.
나아가,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통해, 혹은 전송 매체 내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매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조합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의 촬영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메라(1)의 그림자 범위 산출부(12)가 수행하는 그림자 범위 산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1)에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된 경우의 카메라(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에 있어서,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1)에 렌즈 장착 부품(10)이 장착된 경우의 카메라(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렌즈 장착 부품(10)을 장착한 카메라(1)에 있어서, 섬광 조사부(4)에 의한 섬광이 조사되지 않는 그림자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1)의 촬상 시야 내에서의 Z축 방향의 그림자 범위의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표시부(5)가 수행하는 그림자 발생 통 지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표시부(5)가 그림자가 발생하는 범위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 어떤 범위를 트리밍 화상 생성부(16)가 잘라내는지를 나타내는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에 어떤 범위를 트리밍 화상 생성부(16)가 잘라내는지를 나타내는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촬영된 화상 데이터 중 어떤 범위를 트리밍 화상 생성부(16)가 잘라내는지를 나타내는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통상의 촬영에서의 섬광 조사부(4)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섬광 조사부(4)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경우의 섬광 조사부(4)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평상시의 섬광 조사부(4)에 의한 플래쉬광의 조사 범위와, 그림자 발생시의 섬광 조사부(4)에 의한 플래쉬광의 조사 범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카메라의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섬광 조사에 의한 장착 부품의 그림자가 촬영된 화상의 예이다.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2: 제어부
3: 촬상부 4: 섬광 조사부
5: 표시부 6: 요구 입력부
7: 화상 기억부 8: 본체 구조정보 기억부
9: 렌즈 10: 렌즈 장착 부품
11: 장착 부품 구조정보 입력부 12: 그림자 범위 산출부
13: 거리 정보 입력부 14: 그림자 발생 판정부
15: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 16: 트리밍 화상 생성부
20: 조사 범위 21: 그림자 범위
22: 조사 범위 23: 그림자 범위
111: 그림자 발생경고 아이콘
Claims (4)
- 피사체에 섬광을 조사하기(irradiate) 위한 섬광 조사부를 갖고, 장치 본체에 대한 소정의 장착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미리 상기 장치 본체의 구조에 관한 제1 구조 정보가 기억되는 동시에, 해당 장치 본체에 상기 장착 부품이 장착되었을 때, 해당 장착 부품 자체로부터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장착 부품의 구조에 관한 제2 구조 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와,상기 피사체로부터 촬상 소자의 촬상 중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와,상기 촬상 소자에 의한 촬상 범위 내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 위치를 산출하는 화상 위치 산출부와,상기 기억부에서 읽어낸 상기 제1 및 제2 구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의 촬상 시야 범위에서 상기 섬광 조사부에 의한 조사 범위 밖인 그림자 범위를 산출하는 그림자 범위 산출부와,상기 그림자 범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그림자 범위와 상기 거리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 및 상기 화상 위치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가 해당 그림자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그림자 발생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그림자 발생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가 상기 그림자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섬광 조사부에 의한 섬광 조사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그림자 발생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그림자 발생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가 상기 그림자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화상 위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소자에 의한 촬상 범위 내에서 그림자 발생 범위를 산출하는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와,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촬영 화상 중에 상기 그림자 발생 범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그림자 발생 범위를 제외한 트리밍 화상을 생성하는 트리밍 화상 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그림자 발생 판정부에 의해 상기 피사체가 상기 그림자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섬광 조사부의 조사 방향이 상기 그림자 범위의 방향과 일치 또는 접근하도록 해당 섬광 조사부의 위치 및 방향의 적어도 한 쪽을 이동시키는 가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337004A JP5362981B2 (ja) | 2007-12-27 | 2007-12-27 | 撮像装置 |
JPJP-P-2007-00337004 | 2007-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1335A true KR20090071335A (ko) | 2009-07-01 |
KR101505441B1 KR101505441B1 (ko) | 2015-03-25 |
Family
ID=4096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7058A KR101505441B1 (ko) | 2007-12-27 | 2008-08-06 | 촬상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362981B2 (ko) |
KR (1) | KR1015054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84091B (zh) * | 2021-12-16 | 2024-06-18 | 苏州镁伽科技有限公司 | 自动对焦装置、面板检测设备及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88977A (ja) * | 1992-04-07 | 1993-11-05 | Canon Inc | 電子閃光器内蔵電動ズームレンズ付カメラ |
JP2001013559A (ja) * | 1999-06-28 | 2001-01-19 | Asahi Optical Co Ltd | カメラのフラッシュ制御装置 |
JP2003295265A (ja) * | 2002-03-29 | 2003-10-15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JP2005323142A (ja) * | 2004-05-10 | 2005-11-17 |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 撮像装置 |
JP2007212866A (ja) * | 2006-02-10 | 2007-08-23 | Canon Inc | 撮像装置 |
-
2007
- 2007-12-27 JP JP2007337004A patent/JP536298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8-06 KR KR1020080077058A patent/KR1015054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157208A (ja) | 2009-07-16 |
KR101505441B1 (ko) | 2015-03-25 |
JP5362981B2 (ja) | 2013-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67314A1 (en) | Real time assessment of picture quality | |
US9313419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where image processing is applied using an acquired depth map | |
US8102465B2 (en)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by controlling light irradiation on a subject | |
WO2010100842A1 (ja) | 撮像装置、運転者監視装置、顔部測距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17215525A (ja)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 |
JP2005318652A (ja) | 画像歪み補正機能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装置 | |
JP3999505B2 (ja) | カメラ | |
JP2006279546A (ja) | 電子カメラ、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JP3799019B2 (ja) | ステレオ撮影装置及びステレオ撮影装置の撮影方法 | |
JP2014202875A (ja) | 被写体追跡装置 | |
JP3259031B2 (ja) | 計測結果又は解析結果投影装置及び方法 | |
JP6346484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21027584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381206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090071335A (ko) | 촬상 장치 | |
JP2018061292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 |
JP2015154348A (ja) | 撮影装置、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方法及びストロボ画像事前取得プログラム | |
JP2009278280A (ja)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444928B2 (ja) | 測光装置および撮像装置 | |
JP2004364067A (ja) | 指示器付きカメラ | |
US20230092593A1 (en) | Detection device detecting gaze point of us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 |
JP2014068280A (ja) | 撮像装置 | |
JP2006041741A (ja) | カメラシステム | |
JP7256368B2 (ja) | 測距カメラ | |
US20220148208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