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300A -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살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살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300A
KR20090071300A KR1020080010965A KR20080010965A KR20090071300A KR 20090071300 A KR20090071300 A KR 20090071300A KR 1020080010965 A KR1020080010965 A KR 1020080010965A KR 20080010965 A KR20080010965 A KR 20080010965A KR 20090071300 A KR20090071300 A KR 2009007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uidized bed
tank
residual oxida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히코 오가사와라
켄타 세키야
겐 미무라
Original Assignee
에바라지츠교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바라지츠교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바라지츠교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V값이 낮은 경우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고, 또 이 효과를 낮은 가격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분해 또는 오존접촉에 의한 살균처리에 의해 발생한 잔류 옥시던트를 함유하는 양식수를 활성탄조(31)에 주입하고, 이 양식수를 파쇄상의 활성탄으로 형성된 하측유동층(35)과, 구상의 활성탄으로 형성된 상측유동층(36)에 차례로 통과시키고, 이에 의해 양식수에서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한다.
잔류 옥시던트, 유동층, 양식수, LV값, 활성탄조

Description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 살균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residual oxidant, and water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수산증양식에 이용하는 해수의 살균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및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이러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또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을 이용한 물의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산증양식에 이용하는 해수 등의 피처리수를 살균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2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가지 방법은 피처리수를 오존에 접촉시키는 방법이며, 또 한가지 방법은 피처리수를 직류전기분해하는 방법이다.
이들 중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살균처리를 해도 살균처리 후의 피처리수 중에는 잔류 옥시던트가 발생한다. 잔류 옥시던트는 증양식하는 생물에게 유해하다. 이 때문에, 살균처리를 행한 후 피처리수에 함유되는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활성탄으로 형성된 층에 피처리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는 활성탄의 고정층에 피처리수를 하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과, 활성탄의 유동층에 피처리수를 상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다.
고정층에 피처리수를 하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에는 고정층 내에 많은 기체가 발생하고, 이 기체때문에 활성탄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가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유체층에 피처리수를 상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에는 LV값이 낮으면 활성탕이 충분히 팽창하지 않고, 활성탄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특허제3160829호 공보(특허문헌1)에는 고정층 상에 유동층을 설치하고, 피처리수를 고정층과 유동층에 차례로 통과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적용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피처리수를 고정층과 유도층에 차례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층의 결점 또는 유동층의 결점에 의해 잔류 옥시던트의 제거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허제3160829호 공보
예를 들어, 증양식의 대상이 물고기의 알 등인 경우에는 양식수의 흐름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에서의 LV값을 낮게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특허제3160829호 공보에 기재된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에 의하면 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제3160829호 공보에 기재된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을 실제로 적용하여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제조하면 장치의 가격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 주된 원인은 고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탄이 고가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고정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입자직경이 비교적 큰(예를 들어, 입자직경이 약 0.5mm보다 큰) 파쇄탄 또는 입상활성탄을 이용한다. 입자직경이 큰 활성탄은 입자직경이 작은 활성탄에 비해 고가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LV값이 낮은 경우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이 효과를 낮은 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 살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는, 처리조와, 잔류 옥시던트를 함유하는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구와,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피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1 유동층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2 유동층과,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은, 잔류 옥시던트를 함유하는 피처리수를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상기 주입공정에서 상기 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1 유동층에 통과시키는 제 1 처리공정과, 상기 제 1 처리공정에서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2 유동층에 통과시키는 제 2 처리공정과, 상기 제 2 처리공정에서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물의 살균 시스템은, (a) 살균조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하고 또는 오존접촉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수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행하는 살균장치와, (b)폭기조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처리가 행해진 피처리수를 상기 폭기조에 주입하고, 상기 폭기조에 주입된 피처리수에 대하여 폭기처리를 행하는 폭기장치와, (c)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폭기처리가 행해진 피처리수에 대하여 잔류 옥시던트의 제거처리를 행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는, 처리조와,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폭기처리가 행해진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구와,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1 유동층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2 유동층과,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또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에 의하면,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1 유동층과,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2 유동층에 피처리수를 차례로 통과시킴으로써, LV값이 낮은 경우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모든 활성탄의 층을 유동층으로 함으로써 모든 활성탄의 층을 입자직경이 작은 활성탄만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비교적 고가의 입자직경이 큰 활성탄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 때문에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물의 살균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와 같은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물의 살균 시스템에 의하면, LV값이 낮은 경우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구나 이 효과를 낮은 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양식수 살균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중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1)은 양식수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행하고, 그리고 이 살균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트리할로메탄 및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양식수 살균 시스템(1)은 살균장치(10), 폭기장치(20) 및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살균장치(10)는 양식수를 직류전기분해함으로써 양식수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살균장치(10)는 살균조(11)를 구비하고 있다. 살균조(11)의 주입구에는 주입배관(12)이 접속되고, 살균조(11)의 인출구에는 접속배관(13)이 접속되어 있다. 또, 살균조(11) 내에는 1쌍의 전극(14, 15)이 배치되고, 이들 전극(14, 15)은 전류제어기(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류제어기(16)에는 직류전원(17)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폭기장치(20)는 살균장치(10)의 살균처리에 의해 양식수 중에 발생한 트리할로메탄을 제거하기 위한 폭기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폭기장치(20)는 폭기조(21)를 구비하고 있다. 폭기조(21)의 주입구에는 접속배관(13)이 접속되고, 폭기조(21)의 인출구에는 접속배관(22)이 접속되어 있다. 또, 폭기조(21) 내의 저부에는 노즐(23)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23)에는 다수의 분출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는 살균장치(10)의 살균처리에 의해 양식수 중에 발생한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하는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는 활성탄조(31)를 구비하고 있다. 활성탄조(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측면에 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구(32)에는 접속배관(22)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활성탄조(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측면에는 인출구(33)가 형성되고, 인출구(33)에는 인출배관(34)이 접속되어 있다. 또, 활성탄조(31) 내에는 주입구(32)로부터 활성탄조(31)에 주입된 양식수(38)를 통과시키는 하측유동층(35)과, 하측유동층(35)을 통과한 양식수(38)를 통과시키는 상측유동층(36)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유동층(35)은 활성탄조(1) 내에서 상측유동층(3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활성탄조(31) 내를 통과하는 양식수(38)의 흐름에 주목하면 하측유동층(35)은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유동층(35)은 파쇄상의 활성탄(35A)(이하, 이것을 「파쇄탄(35A)」이라 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쇄탄(35A)은 그 입자직경이 약 0.5mm 이하의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쇄탄(35A)은 상측유동층(36)의 형성에 이용하는 구상의 활성탄(36A)보다 안식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파쇄탄(35A)의 안식각은 약 30~4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탄(35A)으로서, 예를 들어 클러레케미칼주식회사 제품인 WA-10/32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파쇄탄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입자직경 1.7~0.5mm
(2) 충진밀도 0.5g/ml
(3) 요소흡착력 1100mg/g
(4) 안식각 30~40도
하측유동층(35)은 이러한 미세한 파쇄탄(35A)을 다수 쌓아올림으로써 형성되 어 있다. 하측유동층(35)의 두께는 상측유동층(36)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측유동층(35)의 두께는 약 1000mm이다. 또, 활성탄조(31) 내에서의 양식수(38)의 LV값이 10m/h인 경우, 하측유동층(35)을 형성하는데에 이용되는 파쇄탄(35A)의 총중량은 예를 들어 약 315kg이다.
한편, 상측유동층(36)은 환성탄조(31) 내에서 하측유동층(3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활성탄조(31) 내를 통과하는 양식수(38)의 흐름에 주목하면, 하측유동층(35)은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유동층(36)은 하측유동층(35) 상에 적층되어 있다.
상측유동층(36)은 구상의 활성탄(36A)(이하, 이것을 「구상탄(36A)」이라 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상탄(36A)은 그 입자직경이 약0.1~0.6mm 정도의 미세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상탄(36A)의 안식각은 약 2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탄(35A)으로서, 예를 들어 주식회사 클레버 제품인 A-BAC MP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구상탄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입자직경 0.53mm
(2) 충진밀도 0.59g/ml
(3) 요소흡착력 1370mg/g
(4) 안식각 25도
상측유동층(36)은 이러한 미세한 구상탄(36A)을 다수 쌓아올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측유동층(36)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00mm이다. 활성탄조(31) 내에서의 양식수(38)의 LV값이 10m/h인 경우, 상측유동층(36)을 형성하는데에 이용되는 구상탄(36A)의 총중량은 예를 들어 약 160kg이다.
하측유동층(35)과 상측유동층(36)의 경계부분에 있어서, 파쇄탄(35A)과 구상탄(36A)은 그다지 섞이지 않고 대체로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측유동층(36) 상에는 옥사리층(37)이 설치되어 있다. 옥시리층(37)은 옥사시(37A)에 의해 형성되고, 옥사리층(37)의 두께를 예를 들어 약 100mm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양식수 살균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양식수의 원수가 주입배관(12)을 통해 살균조(11)에 주입된다. 살균조(11)에 주입되는 양식수의 단위시간당 유량은 주입배관(12)에 설치된 펌프 및 매스플로 컨트롤러(모두 도시생략)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된다.
살균조(11) 내의 전극(14, 15) 사이에는 직류전원(17) 및 전류제어기(16)에 의해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 직류전원의 값은 전류제어기(16)에 의해 제어된다. 전극(14, 15)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살균조(11) 내에 주입된 양식수가 직류전기분해되고, 이에 의해 양식수에 대한 살균처리가 행해진다. 이 살균처리에 의해 양식수 중에는 트리할로메탄 및 잔류 옥시던트가 발생된다.
살균처리된 양식수는 접속배관(13)을 통해 폭기조(21)에 주입된다. 폭기조(21) 내에 설치된 노즐(23)의 각 분출공(24)으로부터는 소정의 유량으로 공기(25)가 분출되고 있다. 이에 의해, 살균처리가 행해진 양식수에 대하여 폭기처리가 행해진다. 이 폭기처리에 의해 양식수 중의 트리할로메탄이 제거된다.
폭기처리가 행해진 양식수는 접속배관(22)을 통하여 주입구(32)로부터 활성탄조(31)에 주입된다(주입공정). 주입구(32)로부터 활성탄조(31)에 주입된 양식 수(38)는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활성탄조(31)의 하측(저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상향으로 흐른다. 이 때, 양식수(38)는 하측유동층(35) 및 상측유동층(36)을 차례로 통과한다(제 1 처리공정 및 제 2 처리공정). 양식수(38)가 하측유동층(35)을 통과함으로써 하츠유동층(35)을 형성하고 있는 파쇄탄(35A)이 유동하고, 하측유동층(35)이 팽창한다. 또, 양식수(38)가 상측유동층(36)을 통과함으로써 상측유동층(36)을 형성하고 있는 구상탄(36A)이 유동하고, 상측유동층(36)이 팽창한다. 양식수(38)가 하측유동층(35) 및 상측유동층(36)을 차례로 통과함으로써 이 양식수에 대하여 잔류 옥시던트 제거처리가 행해진다. 이 잔류 옥시던트 제거처리에 의해 양식수(38)에 함유되는 잔류 옥시던트가 제거된다.
활성탄조(31)에서의 양식수(38)의 LV값은, 예를 들어 약 5~15m/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LV값은 선속도(Leniar Velocity)의 값이며, 일반적으로 LV값(m/h)=[유체의 유량(m3/h)]/[여과조의 단면적(m2)]이다.
하측유동층(35) 및 상측유동층(36)을 차례로 통과한 양식수(38)는 옥사리층(37)을 통과하고, 인출구(33)로부터 인출되고(인출공정), 인출배관(34)을 통하여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한 양식조(도시생략)에 공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식수 살균 시스템(1)에서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에 있어서, 파쇄탄(35A)에 의해 형성된 하측유동층(35)과, 구상탄(36A)에 의해 형성된 상측유동층(36)에 양식수(38)를 차례로 통과시킴으로써 양식수(38)에 함유되는 잔류 옥시던트를 제거한다. 이로 인하여, LV값이 낮은 경우 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에 의하면, 모든 활성탄의 층을 유동층으로 했기 때문에 고정층을 채용한 종래기술에 비해 활성탄의 층 내에 발생하는 기체를 적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활성탄의 층을 파쇄탄으로 형성되는 하측유동층(35)과 구상탄으로 형성되는 상측유동층(36)을 갖는 구조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와, 활성탄의 층을 구상탄으로 형성되는 유동층만을 갖는 구조로 한 종래기술에 의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실제로 비교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 쪽이 낮은 LV값의 경우에도 양호한 잔류 옥시던트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모든 활성탄의 층을 유동층으로 함으로써, 모든 활성탄의 층을 입자직경이 작은 활성탄만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고정층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입자직경이 큰 고가의 활성탄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 나아가서는 양식수 살균 시스템(1)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양식수 살균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중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2)에 있어서, 도 1 중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양식수 살균 시스템(1)은 양식수를 직류전기분해함으로써 살균처리하는 살균장치(30)를 구비하는 데에 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인 양식수 살균 시스템(2)은 양식수를 오존에 접촉시킴으로써 살균처리하는 살균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식수 살균 시스템(2)의 살균장치(40)는 살균조(41)를 구비하고, 살균조(41)의 주입구에는 주입배관(12)이 접속되고, 살균조(41)의 인출구에는 접속배관(13)이 접속되어 있다. 또, 살균조(41) 내의 저부에는 산기판(42)이 설치되고, 산기판(42)에는 다수의 분출구(43)가 형성되어 있다.
산기판(42)의 분출구(43)로부터는 오존기포(44)가 발생되고 있다. 살균층(41)에 주입된 양식수는 오존의 기포(44)와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양식수에 대한 살군처리가 행해진다. 이 살균처리에 의해 양식수 중에는 트리할로메탄 및 잔류 옥시던트가 발생된다.
살균처리가 행해진 양식수는 제 1 실시예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폭기장치(20)에 의해 트리할로메탄이 제거되고,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에 의해 잔류 옥시던트가 제거되고, 양식조(도시생략)에 공급된다.
이러한 양식수 살균 시스템(2)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1)과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30)를 살균장치(10)(또는 살균장치(40)) 및 폭기장치(20)를 구비한 양식수 살균 시스템(1)(또는 2)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는 양식수 살균 시스템 1(또는 2)과 다른 구성을 갖는 양식수 살균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및 물의 살균 시스템은 수산증양식용의 양 식수는 아니고, 다른 피처리수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활성탄수(31)가 처리조의 구체예이며, 하측유동층(35)이 제 1 유동층의 구체예이며, 상측유동층(36)이 제 2 유동층의 구체예이다.
또,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에서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 살균 시스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식수 살균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양식수 살균 시스템(물의 살균 시스템)
10, 20 : 살균장치 11, 41 : 살균조
20 : 폭기장치 21 : 폭기조
30 :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31 : 활성탄조(처리조)
32 : 주입구 33 : 인출구
35 : 하측유동층(제 1 유동층) 35A : 파쇄탄
36 : 상측유동층(제 2 유동층) 36A : 구상탄
38 : 양식수(피처리수)

Claims (3)

  1. 처리조와,
    잔류 옥시던트를 함유하는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구와,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피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1 유동층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2 유동층과,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2. 잔류 옥시던트를 함유하는 피처리수를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공정과,
    상기 주입공정에서 상기 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1 유동층에 통과시키는 제 1 처리공정과,
    상기 제 1 처리공정에서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된 제 2 유동층을 통과시키는 제 2 처리공정과,
    상기 제 2 처리공정에서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3. 살균조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하고 또는 오존접촉시킴으로써 해당 피처리수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행하는 살균장치와,
    폭기조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처리된 피처리수를 상기 폭기조에 주입하고, 상기 폭기조에 주입된 피처리수에 대하여 폭기처리를 행하는 폭기장치와,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폭기처리가 행해진 피처리수에 대하여 잔류 옥시던트의 제거처리를 행하는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는,
    처리조와,
    상기 폭기장치에 의해 폭기처리가 행해진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 주입하는 주입구와,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파쇄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처리조에 주입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1 유동층과,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구상의 활성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통과시키는 제 2 유동층과,
    상기 제 2 유동층을 통과한 피처리수를 상기 처리조에서 인출하는 인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살균 시스템.
KR1020080010965A 2007-12-27 2008-02-04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살균 시스템 KR20090071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36019 2007-12-27
JP2007336019A JP4913718B2 (ja) 2007-12-27 2007-12-27 残留オキシダント除去装置、残留オキシダント除去方法および水殺菌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300A true KR20090071300A (ko) 2009-07-01

Family

ID=4095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965A KR20090071300A (ko) 2007-12-27 2008-02-04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살균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13718B2 (ko)
KR (1) KR20090071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06B1 (ko) * 2013-02-08 2014-11-25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CN111087117A (zh) * 2018-10-23 2020-05-01 浙江海洋大学 一种对虾养殖水源沉淀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8683A (zh) * 2022-03-15 2022-05-27 旭彤环保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地埋式一体化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616B2 (ja) * 1990-02-28 1997-12-24 阪神水道企業団 上水の高度処理方法
JP3205888B2 (ja) * 1993-12-24 2001-09-04 荏原実業株式会社 残留オキシダン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3160829B2 (ja) * 1993-12-24 2001-04-25 荏原実業株式会社 残留オキシダン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56280A (ja) * 1994-03-24 1995-10-09 Ebara Jitsugyo Kk オゾン殺菌装置
JP3583608B2 (ja) * 1998-03-10 2004-11-04 荏原実業株式会社 電気分解殺菌装置及び電気分解殺菌方法
JP2000135492A (ja) * 1998-10-30 2000-05-16 Asahi Eng Co Ltd 過酸化水素の分解処理方法
JP4511881B2 (ja) * 2004-06-21 2010-07-28 オルガノ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06B1 (ko) * 2013-02-08 2014-11-25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CN111087117A (zh) * 2018-10-23 2020-05-01 浙江海洋大学 一种对虾养殖水源沉淀池
CN111087117B (zh) * 2018-10-23 2022-01-11 浙江海洋大学 一种对虾养殖水源沉淀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13718B2 (ja) 2012-04-11
JP2009154109A (ja)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61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AU773613B2 (en) Method for improving conditions in closed circuit fish farming
JP3769680B2 (ja)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CN109310958B (zh) 养殖用或排水处理用超微细气泡产生装置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JP2006263505A (ja) 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106927616A (zh) 曝气生物滤池处理污水一体装置及其处理方法
CN205368033U (zh) 曝气生物滤池处理污水一体装置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JP5275121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有する排ガス処理装置
US6638434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in water based on a pressure tank system equipped with sterilizer
KR101171854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
CN204162499U (zh) 一种一体式臭氧曝气生物滤池
KR20090071300A (ko) 잔류 옥시던트 제거장치, 잔류 옥시던트 제거방법 및 물의살균 시스템
CN206188442U (zh) 基于纳米光电催化技术的循环海水养殖水处理系统
KR100941191B1 (ko) 어류 양식수 산소공급 및 수질개선 장치
KR20110111126A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KR20140066073A (ko) 가압형 오존 용해 처리 장치
KR101499675B1 (ko) 다양한 규모와 모양의 생물여과조 디자인이 가능한 양식장 사육수의 생물여과장치 및 생물여과시스템
KR100254136B1 (ko) 생물막여과 및 오존탈질법에 의한 육상수조직 해산어류 양식시설의 순환여과시스템
JP6092454B1 (ja) 閉鎖循環式養殖システム
KR101539348B1 (ko) 물질전달반응을 이용한 어류 양식장 오존처리장치
JP4608765B2 (ja) Toc成分の生物分解方法
JP3191503U (ja) 曝気装置
JP4611963B2 (ja) 排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