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759A -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759A
KR20090070759A KR1020070138884A KR20070138884A KR20090070759A KR 20090070759 A KR20090070759 A KR 20090070759A KR 1020070138884 A KR1020070138884 A KR 1020070138884A KR 20070138884 A KR20070138884 A KR 20070138884A KR 20090070759 A KR20090070759 A KR 2009007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monitors
screen
total numb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022B1 (ko
Inventor
남원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0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중 모니터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대해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다중 모니터에 대한 출력 영상의 확장 방향을 입력받아 해당 모니터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중 모니터로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번거롭고 까다로운 디스플레이 속성 설정을 PC에서 다중 모니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출력 화면의 모니터 확장을 자동 설정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중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한다.
다중 모니터, 출력 화면

Description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 of multi-monitor display}
본 발명은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를 근거한 PC의 출력 화면의 위치 설정을 자동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중 모니터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가 많아지면서, 2개 이상의 모니터를 PC에 연결시켜 쓰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다중 모니터를 PC와 연결시켜 기본 상태로만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모니터의 실제 위치와 화면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가 직접 출력 화면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모니터의 Display 속성 창을 호출하여 위치를 재설정해 주어야 한다.
도 1(a,b)은 종래의 다중 모니터를 지원하는 PC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실제 모니터의 위치는 MNT1, MNT2, MNT3의 1,2,3 순서로 놓여있으나, 도 1b의 다중 모니터 구동 후 출력되는 모니터의 실제 화면은 모니터의 위치와 상관없이 MNT3, MNT1, MNT3의 3,1,2 순서로 PC의 기본 설정에 따라 화면 이 출력된다.
즉, 도 1과 같은 경우, 여러 개의 모니터를 PC에 연결하면서 기본적으로 다중 모니터가 항상 특정 순서로 화면이 확장되어 설정되므로, 실제 모니터의 위치와 다르게 출력 화면이 확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실제 모니터의 위치 순서로 화면을 설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다중 모니터에 대해 직접 디스플레이 속성 창을 재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모니터의 연결 시 PC에서 자동으로 모니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실제 위치에 맞게 출력화면의 모니터 확장을 설정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는 다중 모니터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대해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다중 모니터에 대한 출력 영상의 확장 방향을 입력받아 해당 모니터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중 모니터로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는 행렬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모니터는,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OSD부; 상기 입력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로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재 모니터의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의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102)를 포함한다.
상기 OSD부는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SD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에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SD부는 상기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 대해 상하, 좌우 이동 컨트롤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입력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 변경을 근거하여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다중 모니터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따른 출력 단자의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해당 모니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는 행렬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모니터와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번거롭고 까다로운 디스플레이 속성 설정을 PC에서 다중 모니터의 위치를 검출하여 출력 화면의 모니터 확장을 자동 설정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중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를 반영한 PC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실제 모니터 위치가 MNT1, MNT2, MNT3의 1, 2, 3의 순서로 놓여 진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PC로부터 출력된 모니터 화면은 실제 위치에 맞게 1, 2, 3의 순서로 자동 확장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2b는 실제 모니터의 위치가 MNT3, MNT2, MNT1의 3, 2, 1의 순서로 놓여 진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PC로부터 출력된 모니터 화면은 실제 위치에 맞게 3, 2, 1의 순서로 자동 확장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와 PC간의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전체 모니터의 개수를 2*2 행렬식(A)으로 나타냈을 때 각각의 모니터 위치는 수학식 1에 따라,
Figure 112007093892406-PAT00001
MNT11=(1,1), MNT12=(1,2), MNT21=(2,1), MNT22=(2,2)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모니터에서 OSD 방식으로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현재 해당 모니터의 위치(n,m)를 매트릭스 형태로 입력한다. 각각의 모니터 내 메모리에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해당 모니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한 후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통신으로 연결된 PC에 모니터 위치 데이터를 전송한다.
PC에는 확장 모니터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운용하여, 다중 모니터와 연결 시 DDCCI 통신을 통해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 모니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근거하여 PC 출력단자를 제어하여 각 모니터에 대응하는 화면이 출력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에 따른 화면 위치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PC와 모니터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중 모니터의 출력을 지원하는 PC와 연결되는 모 니터의 개수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PC가 지원하는 만큼의 개수이다. 실시 예에 따라, PC(200)와 연결되는 모니터는 MNT11(100), MNT12, MNT21, MNT22가 된다. 모니터 MNT11(100)와 PC(200)간의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에 따른 화면 위치 자동 설정 기능을 설명함으로써, 나머지 모니터 MNT12, MNT21, MNT22와 PC 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모니터(100) MNT11(100)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 스케일러, 메모리 및 OSD 부를 구비한다. 먼저, 모니터(100)의 OSD부(104)를 통해 모니터의 위치 값의 입력을 요청하고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해당 모니터의 위치(nxm)를 매트릭스(행렬)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이때, OSD부(104)는 전체 모니터 개수에 해당하는 매트릭스 테이블을 화면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방식, 혹은 메뉴 화면에 대해 상하, 좌우 이동 컨트롤 버튼을 이용하여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해당 모니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매트릭스 테이블을 각각 입력받는다.
메모리(103)는 입력된 행렬 데이터인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nxm)를 저장한다.
제어부(101)는 PC(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DDCDI 통신을 통해 연결된 PC로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해당 모니터의 위치(nxm)를 전송한다. 또한, PC로부터 해당 모니터의 출력 영상을 제공받아 처리한다.
스케일러(102)는 해당 모니터의 출력 영상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PC(200)는 애플리케이션부(201), 구동부(202), 통신부(203) 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부(201)는 DDCCI 통신을 통해 연결된 다중 모니터들로부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nxm)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대해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며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운용한다.
구동부(202)는 애플리케이션부(201)로부터 다중 모니터에 대한 출력 영상의 확장 방향을 제공받아 전체 모니터 개수와 해당 모니터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제공한다.
통신부(203)는 다중 모니터와 DDCCI 통신으로 연결되며,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해당 모니터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에 따른 화면 위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DDCCI 통신을 통해 PC에서 다중 모니터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501).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nxm) 정보를 수신한다(S502).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NxM)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nxm)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대해 PC 출력 단자의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한다(S503).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해당 모니터로 출력한다(S504).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a,b)은 종래의 다중 모니터를 지원하는 PC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를 반영한 PC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와 PC간의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에 따른 화면 위치 자동 설정 기능을 갖는 PC와 모니터의 구성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중 모니터의 실제 위치에 따른 화면 위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니터 101. 제어부
102. 스케일러 103. 메모리
104. OSD부 200. PC
201. 애플리케이션부 202. 구동부
203. 통신부

Claims (12)

  1. 다중 모니터와 연결되어 통신하며,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대해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부로부터 상기 다중 모니터에 대한 출력 영상의 확장 방향을 입력받아 해당 모니터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중 모니터로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의 위치 정보는 행렬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니터는,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 위치의 입력을 요청하는 OSD부;
    상기 입력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로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재 모니터의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의 비디오 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러(102)를 포함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OSD부는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SD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에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OSD부는 상기 매트릭스 테이블의 화면 대해 상하, 좌우 이동 컨트롤 버 튼을 이용하여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입력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현재 모니터의 위치 변경을 근거하여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모니터의 전체 개수는 상기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가 지원하는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10. 다중 모니터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다중 모니터로부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출력 영상의 화면 분배에 따른 출력 단자의 확장 모니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분배된 출력 영상을 해당 모니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모니터 개수 및 각각의 모니터 현재 위치 정보는 행렬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방법.
  12. 제 10항 있어서,
    상기 다중 모니터와 DDCCI(Display Data Channel Command Interface)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방법.
KR1020070138884A 2007-12-27 2007-12-27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51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84A KR1015130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84A KR1015130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759A true KR20090070759A (ko) 2009-07-01
KR101513022B1 KR101513022B1 (ko) 2015-04-17

Family

ID=413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884A KR101513022B1 (ko) 2007-12-27 2007-12-27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668A (ko) * 2015-02-27 2017-11-08 구글 엘엘씨 컴퓨터의 다중 기능 포트
KR20180136174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에이텍 Osd를 이용한 모니터 색상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2168654B1 (ko) * 2020-06-04 2020-10-21 최훈권 스케일링 기반 고화소 영상분석을 통한 다중 모니터 출력제어 컴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913B1 (ko) 2016-06-07 2023-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305B2 (ja) 1999-04-12 2007-07-11 富士通株式会社 複数ディスプレイ構成に対応したウィンドウ配置管理システム
KR100662450B1 (ko) * 2005-01-14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668A (ko) * 2015-02-27 2017-11-08 구글 엘엘씨 컴퓨터의 다중 기능 포트
KR20190015570A (ko) * 2015-02-27 2019-02-13 구글 엘엘씨 컴퓨터의 다중 기능 포트
KR20180136174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에이텍 Osd를 이용한 모니터 색상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2168654B1 (ko) * 2020-06-04 2020-10-21 최훈권 스케일링 기반 고화소 영상분석을 통한 다중 모니터 출력제어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022B1 (ko) 201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7310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상크기조절방법 및 그화상크기조절시스템과 화상크기조절방법을 수행하는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60064900A (ko) 비디오 월 제어 장치 및 비디오 월 제어 방법
US20080239149A1 (en) OSD system having colorful and dynamic OSD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462273B2 (en) Image display device,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1724672A3 (en) Data processing sett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setting method, data processing set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EP2824936B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KR20160098964A (ko)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TW201915708A (zh) 智慧型延伸顯示器識別資料模擬器
JP2007316492A (ja) 表示装置
KR20090070759A (ko) 다중 모니터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EP2827590B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KR20120002838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077540B2 (ja) 端末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20130106147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07851B2 (en) Air-conditioning remote controller
KR101042134B1 (ko) 패널 스위치 장치
US10498911B2 (en)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N100384235C (zh) 存储显示环境的计算机系统
KR10073441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85500A (ko) 컴퓨터를 이용한 모니터의 제어방법
JP2007156973A (ja) 商品登録処理装置
KR100494169B1 (ko) 듀얼 모니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70028148A (ko) 컴퓨터 및 컴퓨터시스템
KR100512739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21992A (ko)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부입력키의 크기 조정이 가능한 웰패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