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147A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147A
KR20130106147A KR1020120027818A KR20120027818A KR20130106147A KR 20130106147 A KR20130106147 A KR 20130106147A KR 1020120027818 A KR1020120027818 A KR 1020120027818A KR 20120027818 A KR20120027818 A KR 20120027818A KR 20130106147 A KR20130106147 A KR 2013010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lication
background screen
background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홍승춘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to KR102012002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147A/ko
Publication of KR2013010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메시지 하부의 배경화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 중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에 관계없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여 메시지와 밝기 대비를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화면의 일부 영역에 배경화면과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인식부;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특성제어부; 및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하는 배경화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BACKGROUND IMAGE OF APPLICATION EXECUTED ON TOUCH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메시지 하부의 배경화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 중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에 관계없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여 메시지와 밝기 대비(contrast)를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성능 다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에 힘입어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마이피플, 네이트온톡, Line, MSN 메신저, 야후 메신저 등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배경화면 레이어 상에 메시지 레이어를 배치하고 메시지 레이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메시지와 상대방의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다기능 텔레비전 등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배경화면을 배경으로 하여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에서 문자, 기호, 이모티콘, 스티커 등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그 경우, 통상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소정 이미지의 테마를 선택하거나 앨범 사진을 선택하여 배경화면 또는 대화 스킨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243호에 개시된 바탕화면 설정방법에서는 프로그램별 바탕화면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단계와 UI상에서 선택된 사항에 따라 프로그램별로 바탕화면을 변경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프로그램별로 바탕화면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바탕화면 설정방법은 프로그램별로 바탕화면을 미리 설정해 놓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바타화면을 제어하기가 어렵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327호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주변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밝기 또는 컬러에 관련된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의 특성을 주변 조도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특정 프로그램의 이용중에 실시간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바탕화면의 상태를 간편하게 변경하거나 조정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243호(2009.04.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1327호(2011.04.21.)
전술한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메시지 자체에 투명도를 주거나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밝기를 조정할 수는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과 메시지 사이의 밝기 대비를 조정하거나 배경화면의 밝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맞춤형으로 배경화면을 제어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용자 맞춤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한계를 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과 메시지 사이의 밝기 대비를 간편하게 조정하거나 배경화면의 밝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메시지의 시인성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의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 중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에 관계없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여 메시지와 밝기 대비(contrast)를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화면의 일부 영역에 배경화면과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상기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경화면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배경화면 레이어와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밝기조정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배경화면 레이어의 이미지 밝기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의 위쪽에 위치하는 보조 레이어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경화면 제어 도구 또는 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상기 배경화면 제어 도구 또는 메뉴에서 생성되는 제2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터치는 터치 시간, 연속터치 횟수, 동시터치 개수, 터치 방향, 터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화면 밝기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종료를 인식한 시점에 표시된 배경화면 밝기의 레벨로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은, 제1 단계 이전 또는 제3 단계 이후에 배경화면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메시징 서비스의 상대방 지정 정보, 시간대, 날짜,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밝기, 해상도, 배경화면의 표시 영역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배경화면의 크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으로 표시되는 화면보다 크거나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장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화면의 일부 영역에 배경화면과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인식부;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특성제어부; 및 상기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상기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하는 배경화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장치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과 메시지 사이의 밝기 대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경화면의 밝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서비스 이외에 배경화면을 이용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의 방법이나 장치를 이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와 배경화면의 밝기 대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밝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자원은 이용하지 않으므로, 단말 화면의 밝기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외에, 뉴스, 블로그 및 웹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배경화면의 밝기를 조정하여 텍스트 등 목적물의 가시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경화면을 광고로 이용하는 경우, 광고의 밝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거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서 메시징 서비스 이용 도중 어플리케이션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장치에 채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뷰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 통신 인터페이스(13), 사용자 인터페이스(15), 운영 체계(17) 및 어플리케이션(19)를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하거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형태로 동작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9)은 인스턴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 접속 및 이용(뉴스, 블로그, 웹 등의 이용)을 위한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특성을 사용자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상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변경되거나 조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장치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벤트 인식부(12), 특성제어부(14) 및 배경화면 표시부(16)를 구비한다.
이벤트 인식부(12)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한다. 제1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시간, 연속터치 횟수, 동시터치 개수, 터치 방향, 터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성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표시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한다. 배경화면의 특성의 조정하는 것은 배경화면의 밝기(밝기 레벨), 해상도, 배경화면의 표시 영역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변경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특성제어부(14)는 이벤트 인식부(12)에 의해 인식된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배경화면을 자동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메시징 서비스의 상대방 지정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시간(시간대), 날짜,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배경화면 표시부(16)는 특성제어부(14)에 의해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의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때, 배경화면 표시부(16)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특성을 변경하여 표시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상 메시지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한 배경화면을 제외한 사용자 단말기의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크기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크기보다 크거나 패널전체화면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서 메시징 서비스 이용 도중 어플리케이션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는 메시징 서비스 도중 바탕화면을 터치하는 단계이다. 바탕화면의 이미지로 인해 문자에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바탕화면의 이미지를 강조하고자 하는 경우, 바탕화면을 터치한다.
2단계는 바탕화면을 터치하면 팝업되는 슬라이드바이다. 슬라이드바는 바탕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며, 이 밝기는 단말의 LCD 또는 LED 화면의 밝기와는 다르게, 바탕화면 이외의 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탕화면 만의 밝기를 나타낸다.
3단계는 슬라이드 바를 조절함으로써, 바탕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슬라이드바에 따라 밝기는 바로 적용되게 된다.
4단계는 밝기를 조절하고 난 마지막 단계이다. 바탕화면의 밝기를 조절하여 대화하는 메시지와 밝기 대비를 줄 수 있다.
한편, 종래에도 사용자 단말기나 어플리케이션의 바탕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는 있으나, 그것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밝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바탕화면의 밝기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의 밝기 또한 함께 변하기 때문에 밝기 대비(constrast)가 아닌 화면 자체의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편의성 또는 사용자 맞춤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퍼스널컴퓨터 어플리케이션 중에 메시지 자체에 투명도를 주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메시지 폰트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밝기 대비와는 다른 방식이며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의 밝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기술과는 다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배경화면 제어 장치에 채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뷰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화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은 4개의 레이어를 가질 수 있다.
가장 아래의 배경화면 레이어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이 이미지가 출력되는 레이어로, 가장 아래에 위치한다.
밝기조정 레이어는 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어를 나타내고, 검은색 또는 흰색 등의 단색으로 이루어진다. 본 레이어는 사용자가 조정하는 밝기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게 된다.
메시지 레이어는 레이어 중 상위에 위치하여 배경화면의 밝기에 관계 없이 메시지는 항상 보이게 된다.
보조 레이어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눈으로 볼 수 있는, 밝기 조절을 하기 위한 슬라이드바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밝기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조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배경 밝기를 가장 밝게 할 수 있다.
왼쪽은 레이어 순으로 표현하였으며, 오른쪽은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롤바를 조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배경 밝기를 가장 어둡게 할 수 있다.
밝기조정 레이어의 투명도를 0으로 하여 바탕화면이 보이지 않게 하며, 이때, 사용자는 바탕화면을 볼 수 없고, 대신 밝기조정레이어를 보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 조절을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의 밝기 조절 방법은, 배경화면 위에 밝기조정 레이어를 두지 않고, 직접 배경화면 이미지의 밝기(brightness)를 조정하여 메시지와 밝기 대비(contrast)를 주도록 구현된다. 그 경우, 이미지 자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서, 밝기조정레이어를 두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배경화면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후에 슬라이드 바를 움직여서 밝기를 조정하는 기본 방법 이외에, 예약 또는 시간 순으로 자동으로 밝기를 미리 지정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에는 밝게, 저녁에는 다소 어둡게, 밤에는 매우 어둡게 하는 식으로 변경이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12: 이벤트 인식부
14: 특성제어부 16: 배경화면 표시부

Claims (14)

  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화면의 일부 영역에 배경화면과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하는 제1 단계;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상기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경화면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배경화면 레이어와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밝기조정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배경화면 레이어의 이미지 밝기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레이어의 위쪽에 위치하는 보조 레이어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배경화면 제어 도구 또는 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서 확장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배경화면 제어 도구 또는 메뉴에서 생성되는 제2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는 터치 시간, 연속터치 횟수, 동시터치 개수, 터치 방향, 터치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배경화면 밝기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종료를 인식한 시점에 표시된 배경화면 밝기의 레벨로 상기 배경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3 단계 이후에 상기 배경화면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메시징 서비스의 상대방 지정 정보, 시간대, 날짜, 요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밝기, 해상도, 배경화면의 표시 영역 또는 이들의 조합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의 크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으로 표시되는 화면보다 크거나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방법.
  14.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전체화면의 일부 영역에 배경화면과 메시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에 대한 사용자 측의 제1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인식부;
    상기 패널전체화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경화면의 특성을 제어하는 특성제어부; 및
    상기 특성이 제어된 배경화면을 상기 패널전체화면 상에 표시하는 배경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 제어 장치.
KR1020120027818A 2012-03-19 2012-03-1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10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18A KR20130106147A (ko) 2012-03-19 2012-03-1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18A KR20130106147A (ko) 2012-03-19 2012-03-1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47A true KR20130106147A (ko) 2013-09-27

Family

ID=4945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18A KR20130106147A (ko) 2012-03-19 2012-03-19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1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145A (ko) 2014-06-16 2015-12-2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N105278910A (zh) * 2015-11-24 2016-01-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05577891A (zh) * 2014-10-11 2016-05-11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手机屏幕设置方法及装置
KR20190136264A (ko) 2018-05-30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위치 선정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145A (ko) 2014-06-16 2015-12-2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N105577891A (zh) * 2014-10-11 2016-05-11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手机屏幕设置方法及装置
CN105577891B (zh) * 2014-10-11 2018-12-21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手机屏幕设置方法、装置及手机终端
CN105278910A (zh) * 2015-11-24 2016-01-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05278910B (zh) * 2015-11-24 2019-07-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KR20190136264A (ko) 2018-05-30 2019-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위치 선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419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appearance of a control
US20200159406A1 (en) Portable Computing Input Devices and Methods
CN10530241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7865215B2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KR20190035800A (ko) 워치 극장 모드
EP2280342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6919301B (zh) 壁纸预览方法和系统以及壁纸更换方法和系统
CN109508128B (zh) 搜索控件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142798A (zh) 启动应用程序的方法及触摸屏智能终端设备
KR20150049045A (ko) 휴대단말에서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685373A (zh) 多重视窗画面的产生方法与其电子装置
CN101882049A (zh) 创建屏幕子窗口的方法及其终端
KR2020010249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WO20141697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xtended function information area
KR20130106147A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경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618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notifications for a long scrollable canvas
KR20080096255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280738B1 (ko) 색 변화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EP1679582B1 (en) Magnification of currently selected menu item
KR101342016B1 (ko) 연락처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말기 및 이의 방법
CN113721828B (zh) 一种虚拟键盘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597431A (zh) 一种显示功能呈现方法及装置
KR201300473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리스트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