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803A -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803A
KR20090069803A KR1020070137599A KR20070137599A KR20090069803A KR 20090069803 A KR20090069803 A KR 20090069803A KR 1020070137599 A KR1020070137599 A KR 1020070137599A KR 20070137599 A KR20070137599 A KR 20070137599A KR 20090069803 A KR20090069803 A KR 20090069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signal
voltage
signal generator
signal
r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신경민
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9803A/ko
Priority to US12/318,361 priority patent/US20090174442A1/en
Publication of KR2009006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2Shaping pulses by amplifying
    • H03K5/026Shaping pulses by amplifying with a bidirection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9Circuitry for control of the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8Readout circuits for addressed sensors, e.g. output amplifiers or A/D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램프 신호 발생기가 제공된다. 램프 신호 발생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와, 램프 신호를 피드백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값으로부터 보정 전압을 생성하여 구동 전압을 보정하는 램프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고, 램프 신호 생성부는 보정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기울기가 변경된 보정 램프 신호를 생성한다.
Figure P1020070137599
램프 신호, CIS, ADC

Description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Ramp generator and image sensor includ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신호의 기울기를 자동으로 교정하여 안정적인 램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는 빛에 반응하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장치이며, 근래 들어 CMOS 기술이 발달하면서 CMOS를 이용한 CMOS 이미지 센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CMOS 이미지 센서는 상호연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방식을 채용하고, CDS 방식에 의해 샘플링 된 신호, 예컨대 리셋 신호와 영상 신호의 차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리셋 신호와 영상 신호의 차이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램프(ramp) 신호가 이용된다. 다시 말하면, CMOS 이미지 센서는 외부 빛의 조도에 따라 달라지는 영상 신호와 리셋 신호의 차이를 픽업(pick-up)하여 램프 신호의 기울기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램프 신호는 스위치드 커패시터 적분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드 커패시터 적분기는 OP-Amp, 다수의 커패시터들 및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적분기는 소자들, 예컨대 다수의 커패시터들 또는 다수의 스위치들의 특성 변화에 의해 출력되는 램프 신호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램프 신호의 기울기 변동은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변동을 야기하여 CMOS 이미지 센서의 정상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정 전압을 이용하여 기울기가 변동된 램프 신호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는 램프 신호 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램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기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와, 램프 신호를 피드백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값으로부터 보정 전압을 생성하여 구동 전압을 보정하는 램프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고, 램프 신호 생성부는 보정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기울기가 변경된 보정 램프 신호를 생성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빛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액티브 픽셀 센서(APS) 어레이와, 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와, 램프 신호를 피드백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값으로부터 보정 전압을 생성하여 구동 전압을 보정하는 램프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며, 램프 신호 생성부는 보정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기울기가 변경된 보정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와, 램프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상호 연관 이중 샘플링(CDS)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기는, 이미지 센서의 액티브 프레임 동작 전에 램프 신호 발생기를 구동하여 출력된 램프 신호를 피드백하여 보정 전압을 생성하고, 보정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신호 발생기의 입력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액티브 프레임 동작에 기울기가 조정된 램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미지센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10)는 액티브 픽셀 센서(Active Pixel Sensor; 이하 APS) 어레이(100), 로우(row) 드라이버(20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C)(300) 및 램프 신호 발생기(400)를 포함한다.
APS 어레이(100)는 다수의 광 감지 소자, 예컨대 포토(photo) 다이오드 또는 핀드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 등의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한다. APS 어레이(100)는 다수의 광 감지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로우(row) 드라이버(200)는 APS 어레이(100)를 로우(row) 단위로 구동한다. 예컨대, 로우 드라이버(200)는 행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APS 어레이(100)는 로우 드라이버(200)로부터 제공된 행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행으로부터 리셋 신호와 영상 신호를 ADC(300)로 출력한다.
ADC(300)는 램프 신호 발생기(400)로부터 제공된 램프 신호(Vramp)를 이용하여 APS 어레이(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ADC(300)는 램프 신호(Vramp)를 이용하여 APS 어레이(100)로부터 출력되는 리셋 신호와 영상 신호를 상호 연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램프 신호 발생기(400)는 램프 신호(Vramp)를 생성하여 ADC(300)로 제공한다. 램프 신호 발생기(400)는 램프 신호 생성부(410)와 램프 신호 보정부(4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신호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램프 신호 발생부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 4는 도 3의 비교부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램프 신호 보정부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 6은 보정 전압이 생성된 후, N1 노드에서의 신호 파형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램프 신호 발생기(400)는 램프 신호 생성부(410) 및 램프 신호 보정부(420)를 포함한다.
램프 신호 생성부(410)는 다수의 패시브(passive) 소자들을 포함하는 적분기(integrator)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램프 신호 생성부(410)는 OP-Amp(OP1), 다수의 커패시터(C1 및 C2) 및 다수의 스위치(S1, S2, S3, S4 및 S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신호 생성부(410)는 저장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15)는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램프 신호 보정부(420)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Vc)이 저장될 수 있다.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비교부(421), 카운터(423),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Analog Converter; 이하 DAC)(425) 및 스위치(S6)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램프 신호 생성부(4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램프 신호 생성부(4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바이어스 전압들, 예컨대 서로 다른 크기의 한 쌍의 직류 전압(V1 및 V2)을 구동 전압으로 제공받는다.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들(S1, S2, S3 및 S4) 각각의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 동작에 의해 램프 신호(Vramp)를 생성한다. 이때, 다수의 스위치들(S1, S2, S3 및 S4) 각각은 서로 다른 클럭(CLK1 및 CLK2)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램프 신호 생성부(410)는 다수의 스위치(S1, S2, S3 및 S4)들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부(411)를 더 포함하고, 스위치 제어부(4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서로 다른 한 쌍의 클럭(CLK1 및 CLK2)에 의해 다수의 스위치(S1, S2, S3 및 S4)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리셋(reset) 스위치(S5)에 의해 OP-Amp(OP1)가 리셋된다. 리셋 스위치(S5)는 시간축(t)상에서 시간 t0-t1동안 턴온되고, 이후 턴오프된다.
OP-Amp(OP1)가 리셋된 후, 제1 클럭(CLK1)에 의해 제1 스위치들(S1 및 S3)이 시간축(t)상에서 시간 t1-t2동안 턴온된다. 이때, 제2 스위치들(S2 및 S4)은 턴오프 상태이다.
제1 스위치들(S1 및 S3)이 턴온된 동안, OP-Amp(OP1)의 제1 입력단, 예컨대 양(+)의 입력단에는 제2 전압(V2)이 입력되고, 제1 커패시터(C1)에는 제1 전압(V1) 과 제2 전압(V2)의 차이 값(V1-V2)만큼 충전된다.
이어,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이 완료되면, 제2 클럭(CLK2)에 의해 시간축(t)상의 시간 t2에서 제1 스위치들(S1 및 S3)이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치들(S2 및 S4)이 턴온된다.
제2 스위치들(S2 및 S4)이 턴온된 동안, 제1 커패시터(C1)에 제2 전압(V2)이 제공되며, 이러한 제2 전압(V2)은 제1 커패시터(C1)에 미리 충전된 전압, 예컨대 제1 전압(V1)과 제2 전압(V2)의 차이 값(V1-V2)에 가산 충전된다. 그리고, OP-Amp(OP1)의 제2 입력단, 예컨대 음(-)의 입력단에는 가산 충전된 제1 커패시터(C1)의 전압이 입력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들의 반복을 통해 OP-Amp(OP1)는 적분기로 동작할 수 있으며, 램프 신호(Vramp)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램프 신호(Vramp)는 시간축(t)상의 시간 t2에서 발생된 계단파형이 ADC의 분해능에 해당하는 비트 수만큼 점차 증가하여 입력 전압의 차, 예컨대 제1 전압(V1)과 제2 전압(V2)의 차이 값(V1-V2)와 제1 커패시터(C1)및 제2 커패시터(C2)의 비율에 의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이산적인 램프 파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램프 신호(Vramp)는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특성 변화, 예컨대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다수의 커패시터들(C1 및 C2) 또는 다수의 스위치들(S1 내지 S5)의 특성 변화에 의해 기울기가 변동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소자들의 공정 변화에 의해 특성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OP-Amp(OP1)의 입력단 전압을 변경시킴으로써, OP-Amp(OP1)는 기울기가 변경된 비정상 램프 신호(Vramp')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 램프 신호(Vramp')는 후속 프로세서, 예컨대 도 1의 ADC(300)에서 램프 신호(Vramp)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미지 센서(10)의 비정상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신호 생성부(410)로부터 출력된 기울기가 변경된 비정상램프 신호(Vramp')는 램프 신호 보정부(420)로 피드백되고,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피드백된 비정상 램프 신호(Vramp')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보정 전압(Vc)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램프 신호 생성부(410)로 입력되는 구동 전압(V1 및 V2)을 조정함으로써, 램프 신호 생성부(410)로부터 보정된 램프 신호, 즉 정상 램프 신호(Vramp)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램프 신호 보정부(4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비교부(421), 카운터(423), DAC(425) 및 스위치(S6)를 포함한다. 이러한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이미지 센서(도 1의 도면부호 10)의 액티브 프레임(Active Frame) 동작 구간 전에 적어도 한번 동작하여 보정 전압(Vc)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이미지 센서의 예비 프레임 동작에서 구동되어 비정상 램프 신호(Vramp')를 보정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액티브 프레임 동작에서는 정상 램프 신호(Vramp)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램프 신호 보정부(420)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이미지 센서(도1의 도면부호 10 참조)의 액티브 프레임 구간 전의 예비 프레임 구간에서 램프 신호 생 성부(410)가 동작하여 램프 신호(Vramp')를 생성한다. 여기서 램프 신호 생성부(410)로부터 출력된 램프 신호(Vram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램프 신호(Vramp)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 차이(△V)로 증가된 비정상 램프 신호(Vramp')일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 램프 신호(Vramp')는 비교부(421)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비교부(4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Amp(OP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준 전압(Vref)과 비정상 램프 신호(Vramp')를 비교하여 비교 신호(Vc)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비교부(421)의 제2 입력단, 예컨대 음(-)의 입력단에 비정상 램프 신호(Vramp')가 입력된다. 이어, 비교부(421)의 제1 입력단, 예컨대 양(+)의 입력단에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비교부(421)는 입력된 두 신호(Vref 및 Vramp')를 비교하여 비교 신호(Vc)를 생성한다. 비교 신호(V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상 램프 신호(Vramp')의 크기가 기준 전압(Vref)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신호 레벨이 트리거링(triggering)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교 신호(Vc)는 비정상 램프 신호(Vramp')가 기준 전압(Vref)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구간, 예컨대 시간축(t) 상에서 시간 0-ta 동안에는 제1 레벨, 예컨대 하이(high) 레벨로 출력된다. 그리고, 비정상 램프 신호(Vramp')가 기준 전압(Vref)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시점, 예컨대 시간축(t) 상의 시간 ta에서는 제2 레벨, 예컨대 로우(low) 레벨로 트리거링된다. 이에 따라, 비교부(421)로부터 출력되는 비교 신호(Vc)는 시간축(t) 상에서 시간 0-ta동안 하이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된 비교 신호(Vc)는 카운터(423)에 제공된다. 한편, 카운터(423)에는 기준 카운트 값(Cref)이 저장되어 있다. 기준 카운트 값(Cref)은 예컨대 정상 램프 신호(Vramp)가 비교부(421)로 입력되어 출력된 비교 신호를 카운트한 값일 수 있다.
카운터(423)는 비교 신호(Vc)를 카운팅한다. 이어, 카운팅 된 비교 신호와 기준 카운트 값(Cref)의 차이 값(Cref-Vc)을 출력한다.
예컨대, 카운터(423)에는 시간축(t) 상에서 시간 0-tb동안 카운팅 된 값이 기준 카운트 값(Cref)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입력된 비교 신호(Vc)는 카운터(423)에 의해 시간축(t) 상에서 시간 0-ta동안 카운팅된다. 이어, 카운터(423)는 저장된 기준 카운트 값(Cref)과 카운팅 된 비교 신호(Vc)의 차이 값(Cref-Vc)을 출력한다. 여기서 차이 값(Cref-Vc)은 시간축(t) 상에서 시간 ta-tb동안의 카운팅 값일 수 있다.
한편, 비교 신호(Vc)가 카운팅된 값이 저장된 기준 카운트 값(Cref)보다 작기 때문에, 카운터(423)는 양(+)의 차이 값(Cref-Vc)을 출력한다. 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비교 신호(Vc)가 카운팅된 값이 저장된 기준 카운트 값(Cref)보다 크면, 카운터(423)는 음(-)의 차이 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된 차이 값(Cref-Vc)은 DAC(425)으로 제공된다. DAC(425)는 차이 값(Cref-Vc)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이를 보정 전압(Vr)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카운터(423)로부터 DAC(425)에 제공된 차이 값(Cref-Vc)이 양(+)의 차이 값이 므로, DAC(425)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Vr) 또한 양(+)의 보정 전압(Vr)일 수 있다.
이어, 스위치(S6)가 턴온되고, 생성된 보정 전압(Vr)은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저장부(415)로 제공된다. 여기서, 램프 신호 보정부(420)의 스위치(S6)는 이미지 센서(도 1의 도면부호 10)의 액티브 프레임 동작 구간 전에 적어도 한 번 턴온될 수 있다. 즉, 스위치(S6)는 이미지 센서의 액티브 프레임 동작 구간 전에서는 턴온되고, 액티브 프레임 동작 구간에서는 턴오프 된다.
이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415)에 저장된 보정 전압(Vr)은 제1 전압(V1)에 가산되어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OP-Amp(OP1)의 입력 전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램프 신호 보정부(420)로부터 출력된 보정 전압(Vr)은 램프 신호 생성부(410)로 입력되는 한 쌍의 구동 전압(V1 및 V2) 중 하나의 구동 전압(V1)을 가산 또는 감산할 수 있다. 이는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OP-Amp(OP1)에 입력되는 구동 전압(V1 및 V2)의 차이를 변경함으로써, 출력되는 램프 신호(Vramp)의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램프 신호 보정부(420)로부터 양의 보정 전압(Vr)이 출력되면, 출력된 양의 보정 전압(Vr)은 제1 구동 전압(V1)을 가산 보정하게 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산 보정된 제1 구동 전압(V1+Vr)은 원래의 제1 구동 전압(V1)에 비하여 크기가 증가되며,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OP-Amp(OP1)의 음(-)의 입력단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OP-Amp(OP1)의 음(-)의 입력단의 전압이 커지게 되며, 출력되는 램프 신호(Vramp)의 기울기는 작아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대의 경우를 예를 들어, 램프 신호 보정부(420)로부터 음(-)의 보정 전압이 출력되면, 출력된 음의 보정 전압은 제1 구동 전압(V1)을 감산 보정하게 된다. 또, 감산 보정된 제1 구동 전압은 원래의 제1 구동 전압(V1)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지게 되며,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OP-Amp(OP1)의 음(-)의 입력단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OP-Amp(OP1)의 음(-)의 입력단의 전압이 작아지게 되며, 출력되는 램프 신호(Vramp)의 기울기는 커지게 된다.
즉, 램프 신호 보정부(420)는 보정 전압(Vr)을 생성하여 램프 신호 생성부(410)의 입력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램프 신호(Vramp)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신호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램프 신호 발생부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비교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램프 신호 보정부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보정 전압이 생성된 후, N1 노드에서의 신호 파형도이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입력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램프 신호를 피드백하여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값으로부터 보정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보정하는 램프 신호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신호 생성부는 보정된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기울기가 변경된 보정 램프 신호를 생성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보정부는,
    상기 램프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기준 카운트 값이 저장되며, 상기 기준 카운팅 값과 상기 비교 신호의 레벨이 트리거링되는 시점까지 카운팅 된 카운팅 값의 차이 값을 출력하는 카운터; 및
    상기 차이 값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DAC는 상기 차이 값이 음(-)이면 음(-)의 보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차이 값이 양(+)이면 양(+)의 보정 전압을 출력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보정 전압은 상기 구동 전압을 감산 보정하고, 상기 양의 보정 전압은 상기 구동 전압을 가산 보정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보정부는 액티브 프레임 구간 전에 적어도 한번 동작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생성부의 입력단과 상기 램프 신호 보정부의 출력단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액티브 프레임 구간 전에 적어도 한번 턴-온되고, 상기 액티브 프레임 구간 동안 턴-오프되는 램프 신호 발생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보정 전압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생성부는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구동 전압을 입력으로 제 공받으며,
    상기 보정 전압은 상기 한 쌍의 구동 전압 중 하나의 구동 전압에 가산 또는 감산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 전압의 차이를 제어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OP-Amp 및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적분기인 램프 신호 발생기.
  10. 빛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액티브 픽셀 센서(APS) 어레이;
    램프 신호를 출력하는 램프 신호 발생기로서,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램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상호 연관 이중 샘플링(CDS)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0070137599A 2007-12-26 2007-12-26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20090069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99A KR20090069803A (ko) 2007-12-26 2007-12-26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2/318,361 US20090174442A1 (en) 2007-12-26 2008-12-29 Ramp generator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99A KR20090069803A (ko) 2007-12-26 2007-12-26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03A true KR20090069803A (ko) 2009-07-01

Family

ID=4084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99A KR20090069803A (ko) 2007-12-26 2007-12-26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74442A1 (ko)
KR (1) KR2009006980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94B1 (ko) * 2008-12-18 2010-10-07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기울기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11016657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 지안 램프 신호의 보정 기능을 갖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8748791B2 (en) 2010-08-13 2014-06-10 SK Hynix Inc. Image sensor
US8841594B2 (en) 2010-06-30 2014-09-23 SK Hynix Inc. Ramp signal generator and image sensor
US9070608B2 (en) 2012-04-03 2015-06-30 SK Hynix Inc. Image sensor
KR20170049143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전압 제너레이터, 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 이미지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80048033A (ko) * 2016-11-02 2018-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90119192A (ko) 2018-03-29 2019-10-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싱글 슬로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CN114640811A (zh) * 2020-11-30 2022-06-17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斜坡电压发生器和图像传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372A (ja) * 2008-12-25 2010-07-08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ad変換方法
KR20110130189A (ko) * 2010-05-27 2011-12-0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램프 파형 생성 장치 및 방법
JP6478488B2 (ja) * 2014-06-18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Ad変換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
US9319033B1 (en) * 2015-06-22 2016-04-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amp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for test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EP3439182B1 (en) * 2017-07-31 2023-03-01 ams International AG Analog-to-digital converter circuit and method for analog-to-digital conversion
KR102507628B1 (ko) * 2018-04-24 2023-03-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 신호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US11057041B1 (en) * 2020-09-30 2021-07-06 Nxp B.V. Self-calibrating single slope analog-to-digital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69B1 (ko) * 2005-08-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개선을 위하여 자동 교정된 램프 신호를 이용한이미지 센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094B1 (ko) * 2008-12-18 2010-10-07 한국과학기술원 듀얼 기울기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11016657A2 (ko) * 2009-08-06 2011-02-10 주식회사 지안 램프 신호의 보정 기능을 갖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WO2011016657A3 (ko) * 2009-08-06 2011-06-03 주식회사 지안 램프 신호의 보정 기능을 갖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1232620B1 (ko) * 2009-08-06 2013-02-13 정태송 램프 신호의 보정 기능을 갖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8841594B2 (en) 2010-06-30 2014-09-23 SK Hynix Inc. Ramp signal generator and image sensor
US8748791B2 (en) 2010-08-13 2014-06-10 SK Hynix Inc. Image sensor
US9070608B2 (en) 2012-04-03 2015-06-30 SK Hynix Inc. Image sensor
KR20170049143A (ko) *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램프전압 제너레이터, 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싱 장치 및 그 이미지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80048033A (ko) * 2016-11-02 2018-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90119192A (ko) 2018-03-29 2019-10-22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싱글 슬로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CN114640811A (zh) * 2020-11-30 2022-06-17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斜坡电压发生器和图像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4442A1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9803A (ko)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20190036540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system
JP5524028B2 (ja) 固体撮像装置
US8390486B2 (en) Automatic offset adjustment for digital calibration of column parallel single-slope ADCs for image sensors
US9232166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system using first and second analog-to-digital converters to convert analog signal from respective plural electrical signal supply units based on signal change
KR100284309B1 (ko) 이미지 센서에서의 리셋 전압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리셋전압 조절 장치
US858176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de correction for hybrid analog-to-digital converters in imaging devices
WO2011021320A1 (ja) 電圧発生回路、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ランプ波発生回路、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イメージセンサシステム及び電圧発生方法
US8969771B2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device
KR101566003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20130300906A1 (en) Imaging systems with per-column analog-to-digital converter non-linearity correction capabilities
US8659465B2 (en) Analog to digital ramp converter
JP6998995B2 (ja) 固体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カメラ
US879741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pickup apparatus
US929470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pickup system
KR20120002274A (ko)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미지 센서
US9071778B2 (en) Ad converting circuit, photoelectric converting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driving method for ad converting circuit
CN114503545B (zh) 双斜坡像素读出
US11032505B2 (en) Ramp signal generator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US9325923B2 (en) Systems and methods to mitigate transient current for sensors
US11616510B2 (en) Ramp voltage generator and image sensor
JP2017055241A (ja) 増幅器、電気回路、及びイメージセンサ
KR101232620B1 (ko) 램프 신호의 보정 기능을 갖는 램프 신호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553395B1 (ko) Ts-ss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