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590A -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590A
KR20090069590A KR1020070137302A KR20070137302A KR20090069590A KR 20090069590 A KR20090069590 A KR 20090069590A KR 1020070137302 A KR1020070137302 A KR 1020070137302A KR 20070137302 A KR20070137302 A KR 20070137302A KR 20090069590 A KR20090069590 A KR 2009006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pack
skin
lips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397B1 (ko
Inventor
박성희
박신영
박창훈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3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3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보습력과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앵두 추출물이 함침되어 있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며, 이는 건조한 입술에 보습 효과와 탱탱함을 주고, 각질 제거 및 혈색 개선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하이드로겔로 인한 수분감이 있고 투명한 외관으로 팩을 할 때에 도톰하고 촉촉한 입술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건조한 입술 피부에 수분감 전달 효과를 나타낸다.
앵두, 입술, 팩, 하이드로겔, 보습, 혈행 개선, 피부색 개선, 각질 제거

Description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pack formulation for a lip skin}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국소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스테틱샵, DIY (DO-IT-YOURSELF) 등을 통해 천연 성분의 과일 팩의 화장료 조성물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팩(Pack)이란 원래 '감싸다'라는 의미로서, 작용 물질을 얼굴에 감싸 모공의 더러움을 깨끗이 제거하고 수분과 미용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피부 생리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성 화장품의 일종이다. 팩은 다양한 영양 성분을 피부에 매우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용 성분들에 의한 보습, 진정, 노화, 각질 및 노폐물 제거, 지친 피부 회복, 탄력 증진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입술은 입의 가장 바깥 부분에 노출된 신체 기관으로서, 구순이라고도 하 는데, 입의 위쪽과 아래쪽에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으며 부드럽고 움직일 수 있으며, 소화, 흡입, 발음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입술 조직은 입안 점막 상피와 피부 상피를 연결하는 부위로서 입둘레근 (orbicularisoris)이 부착되어 있어, 안쪽에는 입안 점막 상피의 특성을 갖고 바깥쪽은 피부 상피를 갖게 되고, 그 중간 부분을 홍순 (vermilion zone) 경계라고 한다. 털주머니, 기름샘 그리고 땀샘을 갖고 있는 피부는 입술에서 입안 점막과 연속되어 있으나, 홍순 경계 부위에는 주로 입 구석에 위치하는 소수의 기름샘만 있을 뿐, 침샘이 없기 때문에 쉽게 건조해져서 추운 날씨에는 종종 갈라져 아프게 된다. 홍순 부위의 상피는 각화 현상이 잘 안 일어나거나 각화되어 있더라도 매우 얇은 상피층으로 덮여 있고, 모세 혈관 고리를 가지고 있는 긴 결합 조직 유두가 있는 특수한 혈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피층에는 엘레이딘(eleidin)이 풍부하여 투명도가 높아 진피의 모세 혈관이 투시되어 붉은 색을 띈다.
얼굴 피부의 상피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각화 상피가 계속 떨어져서 상피층이 얇고, 입안 점막의 상피는 세포증식에 비하여 탈락성이 낮아서 점차 두꺼워지는데, 입안 점막 상피의 바깥 층에 있는 비각화 점막 상피세포는 타액의 단백분해 효소들에 의하여 천천히 떨어지게 된다.
건강한 입술은 윤기 있고 투명한 붉은 빛을 띄게 된다. 입술의 상태는 의학적으로도 건강 진단에 좋은 근거가 된다. 입술은 늘 물기가 마르지 않고 윤택해야 하며 붉고 도톰해야 건강한 상태이다. 그러나, 나이가 듦에 따라 입술 피부는 얇아지고 입가 잔주름도 늘어나게 되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지나치게 긴장하 면 뇌 신경에 무리를 주어 간 기능이 저하되어 입술이 바짝 마르고, 거칠어지며 트는 증상이 악화된다. 이 밖에, 위장에 열이 많으면 입술이 거칠어지고 트고, 빈혈이나 심장병을 비롯해 순환기, 소화기 계통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 입술 빛이 창백해 지거나 빛깔이 변하고 윤기를 잃는다.
피부는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로, 수면 부족 및 정서적 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부 유수분 밸런스가 붕괴되고 건조, 과잉 피지, 거친 피부 등의 각종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 특히, 입술 피부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질이 얇고 피지선과 땀샘이 없어, 쉽게 영양과 수분이 부족해 건조하게 되며 각질이 일어나, 입술이 트고, 입술 화장이 잘 먹지 않는 등 입술 피부의 건강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입술에 사용하기 위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입술 피부에 보습력을 제공하고 입술의 붉은 혈색을 되찾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입술의 주름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입술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입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앵두 추출물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은 피부 혈행촉진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은 입술색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각질 박리 및 피부 혈행 개선을 통한 입술 피부 색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술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감이 우수하고 피부에 전혀 자극이 없으면서도 입술 피부의 주름 개선, 혈행 개선, 보습 등의 효과가 우수한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서의 보습력이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앵두 추출물이 함침된 투명 하이드로겔 성상의 팩 제형이다. 앵두 추출물이 함침된 하이드로겔의 팩 제형은, 입술의 근본적인 원인 및 외적인 요인으로 인한 입술의 건조함과 각질, 칙칙한 입술 색을 해소하고, 입술 본래의 붉은 혈색을 찾아 주고 입술 피부에서의 보습 효과와 탱탱함을 주며, 각질 제거 및 피부색 개선 효과로 입술 피부를 건강하게 만든다. 특히, 하이드로겔은, 수분감이 있으며, 투명한 외관으로 인해 팩을 할 때에 도톰하고 촉촉한 입술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건조한 입술 피부에 수분감 전달 효과를 준다.
앵두의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 버찌라고 하며, 우리 나라의 재배종 버찌는 흑앵 (黑櫻) 이라고 불러왔다. 앵두의 주요 성분은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소, 회분,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B1, C) 등이다. 사 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들어 있으며, 붉은 빛깔의 색소는 안토시안계로 물에 녹아 나온다. 앵두의 약리 작용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수분 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부종을 치료하는 데 좋고, 폐 기능을 도와주어 가래를 없애고 소화 기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색을 좋게 한다. 동상에 걸렸을 때 즙을 내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레드 푸드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비타민 풍부하며, 항산화 작용 및 혈행 순환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겔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여기에 앵두 추출물을 함침시켜 1일간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앵두 이미지의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 30~90중량%, 앵두 추출물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이 30중량% 미만이면 팩 제형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워지고, 90중량%를 초과하면 유효성분 및 기타 성분들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그들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앵두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으로서의 기능이 미미하며 앵두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팩 제형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기타 성분으로서, 가교제, 유화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로겔은 예컨대, 젤라틴, 수용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잔탄검, 겔랑검, 소듐알지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포름아마이드 및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드로겔은 수세성이 양호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물 또는 다른 액체에 의해 팽윤하여 어느 정도의 조도를 나 타내는 무지방성 기제로 반고형 제제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 부착력이 좋으면서도 착용 시 촉촉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입술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하이드로겔에 함유되어 있는 효능 성분은 피부에 흡수되고, 하이드로겔에 포함된 수분은 증발된다. 이에 사용자는 적정 시간동안 착용한 후 하이드로겔 팩만 간단히 떼어내는 동작으로 마스크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용 효과에 좋은 점을 부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앵두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앵두 추출물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재료인 앵두를 초순수 정제수 등을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여과 및 건조를 한다. 상기 여과의 예를 들면 약 250 메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과 후에는 다시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 후에는 추출을 수행한다. 추출의 예를 들면, 25℃의 50% 1,3-부틸렌글리콜에서 3-5일간 추출한다. 그 후 예컨대 약 250 메쉬로 여과한 후 고속 원심분리 등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후 다시 예컨대 0.5㎛로 여과하고 활성탄 등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3㎛ -> 1㎛ -> 0.5㎛의 순서로 여과를 수행한다. 그 후 다시 미생물 제균을 위하여 0.3㎛ -> 0.2㎛의 순서로 여과를 수행하여 원하는 앵두 추출물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하이드로겔 및 앵두 추출물 외에도, 가교제, 유화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글리옥살; 산화아연, 염화아연 등의 아연염;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황산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염; 염화칼슘, 산화칼슘 등의 칼슘염; 또는 염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는 구성성분들을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또는 지방산 당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중 0.1~5.0중량%일 수 있다.
안정화제는 유효성분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연산, 호박산, 옥살산 또는 개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일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유효성분들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손(B.H.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겔을 지지체로 하여 효능 성분을 하이드로겔에 포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을 중화제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고분자 화합물인 아가(agar) 고분자를 약 80 ~ 120℃까지 가온하여 끓이고 폴리아크릴산과 아가를 교반시켜 혼합 한다. 상기 교반한 용액을 60~70℃까지 냉각시키고 유연제인 오일(oil) 성분을 첨가한 후, 여기에 활성 성분인 앵두 추출물을 50℃ 이하의 온도에서 배합한다. 상기 앵두 추출물이 함침되면 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이를 35~45℃에서 2~3일간 숙성 후 커팅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층이 적층된 시트 형태의 화장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한 하이드로겔과 앵두 추출물, 기타 색소, 향료, 산화방지제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층 외에도 화장료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출 부위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출 부위 보호층으로서는 일반적인 경피 투여형 패취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직포나 부직포 또는 폴리머 필름을 노출 부위 보호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위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경피 투여형 패취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불소나 실리콘으로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시트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한국 특허 제0535261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앵두 추출물의 제조
원재료인 앵두 1 kg을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 250 메쉬로 여과하고 다시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그 후 25℃의 50% 1,3-부틸렌글리콜 5 kg 에서 4일간 추출시켰다. 그 후 250 메쉬로 여과한 후 15,000 rpm 에서 고속 원심분리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후 다시 0.5㎛로 여과하고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3㎛ -> 1㎛ -> 0.5㎛의 순서로 여과를 수행하였고, 다시 미생물 제균을 위하여 0.3㎛ -> 0.2㎛의 순서로 여과를 수행하여 원하는 앵두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일본 순약, JURYMER) 45.6 중량%를 NaOH 1.85 중량%를 사용하여 중화시켰다. 고분자 화합물인 아가(agar) 파우더(Kisan Bio, TC Agar) 0.61 중량%를 120℃까지 가온하여 끓였다. 상기 준비된 폴리아크릴산과 아가를 교반시켜 혼합하였다. 여기에 오일(White Mineral Oil Carnation) 4.3 중량%를 가한 후 계면활성제(Tween 60) 0.87 중량%로 유화시켰다. 그런 다음,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Aluminum Glycinate) 0.3 중량%로 가교 시키고, 타르타르산(Tartaric acid)으로 가교 속도를 제어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용액에 상기 제조예 1과 같이 제조한 앵두 추출물 46.47 중량%을 50℃ 이하에서 배합하였다. 상기 앵두 추출물이 함침되면 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고, 이를 35~45℃에서 2~3일간 숙성 후 커팅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예 1) 인체 입술의 수분량 증가 효과
5명의 건강한 25~30대 남,여를 대상으로 입술을 깨끗이 씻은 후, 항온 항습 조건 (24 ±1 ℃, 40~50 %)에서 15분간 대기시키고 시료 도포 전 피시험자의 입술 피부 표면의 하이드레이션 수준(hydration level)을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는, Corneometer CM825(Courage + Khazaka, Germany) 로, measuring area: 49 mm2 10-20 ㎛ of the stratum corneum, frequency 0.9-1.2 MHz 의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 시험자들의 입술 에 도포한 후 15분간 대기 시키고, 다시 입술 피부 표면의 하이드레이션 수준을 측정하고 각 결과 값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대비 사용 후에 유의하게 수분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 도포 전 도포 후
수분량 (A.U.) 19.4 ±4.9 41.8 ±7.6
(시험예 2) 인체 입술 색 개선 효과
5명의 건강한 25~30대 남, 여를 대상으로. 입술을 깨끗이 씻은 후, 항온 항습 조건 (24 ±1 ℃, 40~50 %)에서 15분간 대기시키고 시료 도포 전 피시험자의 입술 피부 표면의 색을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는, Spectrophotometer CM2006d (MINOLTA,JAPAN)로, L* 값은 명도 (lightness : L*=0;black, L*=100;white) , a* 값은 positive value;red, negative value;green , b* 값은 positive value;yellow, negative value;blue 로 분석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15분간 대기시키고, 다시 입술 피부 표면의 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의 평균치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대비 사용 후에 유의하게 입술 색이 밝아지고 빨갛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 도포 전 도포 후
Redness (A.U.) 16.75 ±2.7 19.41 ±1.7
시간 ±도포 전 도포 후
Lightness (A.U.) 50.16 ±5.1 54.03 ±4.7
(시험예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혈행 촉진 작용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소 입술이 건조하다고 느끼는 25~30세 남, 여 5명을 대상으로 실제 팩 사용 전 후의 입술 피부 온도 및 혈류 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온도 측정 장비는 Thermacam PM575 (FLIR Systems AB, Sweden)를, 혈류량 측정 장비는 LDPI(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 Perimed AB, Sweden)를 이용하였다. 세안 후 항온 항습실(온도 21 ± 2 ℃, 상대습도 40 ± 2 %)에서 피험자들이 10분 적응한 뒤 피부 온도 측정을 위한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 촬영과 입술 부위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피험자들의 얼굴에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팩을 얼굴에 도포한 후 15분 건조 후 세안하고 다시 항온 항습실에서 10분 적응한 뒤 상기 측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의 평균치를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 사용 전 후 입술 부위 혈류량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팩 사용 후 혈류량 증가로 인한 피부온도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 설문 결과 전반적으로 입술 피부결이 부드럽고 말랑말랑해진 느낌이며, 매끈해졌고 입술 색도 붉어진 느낌이 든다는 의견을 확인하였다.
시간 도포 전 도포 후
혈류량 Perfusion Index (A.U.) 1.80 ±0.6 1.99 ±0.5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좌측)과 후(우측)의 입술의 온도 변화를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5)

  1. 유효성분으로서 앵두 추출물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젤라틴, 수용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잔탄검, 겔랑검, 소듐알지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포름아마이드 및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혈행촉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술색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입술 팩 조성물.
KR1020070137302A 2007-12-26 2007-12-26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384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02A KR101384397B1 (ko) 2007-12-26 2007-12-26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02A KR101384397B1 (ko) 2007-12-26 2007-12-26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590A true KR20090069590A (ko) 2009-07-01
KR101384397B1 KR101384397B1 (ko) 2014-04-11

Family

ID=4132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02A KR101384397B1 (ko) 2007-12-26 2007-12-26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879A1 (en) * 2011-08-16 2013-02-21 Thienna Ho Lip enhancement and enlargement device
CN110354033A (zh) * 2019-07-18 2019-10-22 广州静美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可吃的红樱桃变色千变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30001779A (ko) * 2021-06-29 2023-0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28817A (en) 1999-01-28 2007-02-2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Sheet-shaped pack agent
KR20040025293A (ko) * 2002-09-19 2004-03-24 구미이화공업 주식회사 일회용 피부미백 및 보습 마스크 팩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20043A (ja) 2003-10-17 2005-05-12 Daiya Seiyaku Kk 口唇パック
KR101456061B1 (ko) * 2007-07-02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879A1 (en) * 2011-08-16 2013-02-21 Thienna Ho Lip enhancement and enlargement device
US9119758B2 (en) 2011-08-16 2015-09-01 Thienna Ho Lip enhancement and enlargement device
US9549868B2 (en) 2011-08-16 2017-01-24 Thienna Ho Lip enhancement and enlargement device
US10682278B2 (en) 2011-08-16 2020-06-16 Thienna Ho Lip enhancement and enlargement device
CN110354033A (zh) * 2019-07-18 2019-10-22 广州静美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可吃的红樱桃变色千变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30001779A (ko) * 2021-06-29 2023-01-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397B1 (ko) 201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1337A (zh) 一种含神经酰胺的润肤保湿乳及其制备方法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CN104922000A (zh) 一种防晒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CN110772463A (zh) 眼部肌肤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4051627A (ja) ビタミンk等を有効成分とするくすみ、くま、目下のたるみ、紫斑、打撲によるあざ、レーザー治療後の紫斑等の改善化粧料、全身化粧料、パック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773122A (zh) 一种具有滋润功效的发热面膜及其制备方法
US20060222689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193712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5254B2 (ja) 皮溝密度を改良する化粧品用配合剤及び化粧品
KR20220111928A (ko) 화장료 조성물
CN104490713A (zh) 一种具有排浊紧致和抗皱活化肌肤功能的超软活泉护肤品
CN109044941A (zh) 一种皮肤紧致滋养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4397B1 (ko) 입술용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N111956520A (zh) 一种具有细致毛孔功效的护肤组合物
CN108542851A (zh) 一种中药保湿防皲裂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CN110859758A (zh) 一种美白抗衰老修复型医用冷敷贴及其制备方法
CN109771349A (zh) 富含天然产物提取成分的美白抗敏隔离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47011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nd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CN114344191A (zh) 一种保湿面膜液和面膜
JPS5913709A (ja) モイスチヤライザ−
CN111529460A (zh) 一种面膜组合物、面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