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810A -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810A
KR20090068810A KR1020070136574A KR20070136574A KR20090068810A KR 20090068810 A KR20090068810 A KR 20090068810A KR 1020070136574 A KR1020070136574 A KR 1020070136574A KR 20070136574 A KR20070136574 A KR 20070136574A KR 20090068810 A KR20090068810 A KR 2009006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limit
air
lower limit
fuel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039B1 (ko
Inventor
김영일
강덕홍
김기홍
정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0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900/05001Measuring CO content in flue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로의 배가스의 산소농도 측정치(O2PV)를 제어하기 위하여 산소농도 측정치(O2PV)와 목표설정치(O2SV)의 비율값(βR)의 출력제한 상,하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 계측치(COPV)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계측치(COPV)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계측치(COPV)와 상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이용하여 상한 비교설정값(rH) 및 하한 비교설정값(rL)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상한 비교설정값(rH)을 1과 비교하여 큰 값을 상한 출력설정값(RH)으로 취하고, 상기 하한 비교설정값(rL)을 1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하한 출력설정값(RL)으로 취하는 단계; (e) 상기 상,하한 출력설정값(RH,RL)과 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한 한계 상,하한값(βH,AL,A)을 이용하여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농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이 최적의 연소구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증기발생기에 공급할 공급 공기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증기 발생기의 열효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70136574
가열로, 연소, 열효율, 일산화탄소, 산소, 공연비, 제어방법

Description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fuel ratio in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로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된 후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가열로에 공급되는 산소량을 제어함으로서, 가열로에서 최적의 공기량을 산정하여 최적의 열효율을 유지시키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와 같은 가열로에 있어서는 적정 연소를 위하여 그 연료에 가장 적정한 비율의 연소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 연소 공기가 연료에 비하여 부족하면 불완전 연소에 의한 매연이나 환경 유해물질이 다량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과잉이면 백연이나 연료 소비량이 많아져서 자원낭비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SAMA(Scientific Apparatus Makers Association)기호법에 따라 구성한 것이다.
먼저, 상기 산소 센서가 없는 기존의 방식에서는 상기 도 1 및 아래의 식 (1)에서와 같이, 이론 공연비(Basic Air/Fuel Ratio: AFR(B))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여기에 고정 과잉 공기비(exAir: α)를 곱하여 구해진 값이 실질 공연비(Real AFR: AFR)가 되어, 일반적인 공기유량 결정루프를 통해 공기와 연료비를 조절하였다.
AFR=AFR(B)×α ------ 식(1)
한편, 상기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주로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배가스 중의 산소농도를 검출함으로서 공기와 연료비를 조절하였다. 상기 산소 센서를 이용한 공연비 제어방법은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배가스의 산소농도 측정치(O2PV)와 사용자의 목표 설정치(O2SV)가 산소농도 제어부(C)에 입력되면, 상기 산소농도 제어부(C)는 상기 측정치(O2PV)가 상기 설정치(O2SV)의 범위 내에서 작동되어 통상적으로 1.0 근처의 출력 비율값(βa)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상기 출력 비율값(βa)은 자동/수동전환부(T)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대로 사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 비율값(βU)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 기 자동/수동전환부(T)로부터 출력된 비율값(βaU)이 너무 작거나(βL) 너무 크면(βH) 불완전연소를 초래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상하한 제한부(L)를 거친다. 이러한 상기 과정을 통해 실질 보정 비율값(βR)이 구해진다.
이렇게 구해진 상기 실질 보정 비율값(βR)에 상기 실질 공연비(AFR)를 곱해진 값이 실질 공연비(AFR(R))로 갱신된다.
따라서, 아래의 식 (2)에서와 같이, 상기 실질 공연비(AFR)에 산소센서로부터 얻은 실질 보정 비율값(βR)을 곱하면, 이론 공연비를 한정하는 실질 공연비 (AFR(R))를 얻을 수 있다.
AFR(R)=AFR×βR ------ 식(2)
이상에서와 같이, 실질 공연비(AFR(R))가 구해지면 아래의 식 (3)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증기발생기에 공급할 공급 공기유량을 구할 수 있었다.
A=G×AFR(R) ------ 식 (3)
이때, A=공급 공기유량이며, G=연료유량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산소 센서를 이용한 공연비 제어방법은 공기유량이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유량보다 항상 크게 유지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연소 상황을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용자 설정의 산소 농도 설정치가 일정 이상의 값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열손실이 많아지는 문제를 야기하였 다.
또한, 상기 종래와 같은 산소센서는 응답속도가 산소이온의 고체 전해질내 확산 때문에 30초 이상 느리며, 측정센서의 동작온도가 약 600~800℃정도로 높아서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측정가스 중에 미연 가연성가스 성분이 남아 있거나, 혹은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저공연비일 경우 연소에 의한 산소농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열효율이 높은 최적의 연소 구간 내에서 공기유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가열로의 배가스의 산소농도 측정치(O2PV)를 제어하기 위하여 산소농도 측정치(O2PV)와 목표설정치(O2SV)의 비율값(βR)의 출력제한 상,하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 계측치(COPV)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계측치(COPV)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계측치(COPV)와 상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이용하여 상한 비교설정값(rH) 및 하한 비교설정값(rL)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상한 비교설정값(rH)을 1과 비교하여 큰 값을 상한 출력설정값(RH)으로 취하고, 상기 하한 비교설정값(rL)을 1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하한 출력설정값(RL)으로 취하는 단계; (e) 상기 상,하한 출력설정값(RH,RL)과 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한 한계 상,하한값(βH,AL,A)을 이용하여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f) 상기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과 상기 상,하한 출력설정값(RH,RL)을 이용하여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g) 상기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과 상기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은 상기 한계 하한값(βL,A) 및 상기 한계 상한값(βH,A)으로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계 하한값(βL,A)은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한계 상한값(βH,A)은 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계측치(COPV)는 상기 가열로의 배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최근 3회 이상 측정한 평균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산소농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이 최적의 연소구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증기발생기에 공급할 공급 공기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증기발생기의 열효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산화탄소 및 산소 농도의 관계에 따른 열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SAMA 기호법에 따라 구성한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열손실이 최저가 되는 연소 구간 내에서 일산화탄소 농도의 상,하한 한계치(COH,COL)가 유지되도록 산소센서의 보정 비율값(βR)의 출력제한 상,하한값을 자동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이론 공연비보다 높은 구간에서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급격히 감 소하고, 특정점 이후는 산소 농도의 비례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우 완만하게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소하는 특성에 의하여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은 상기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기존의 산소 센서에 일산화탄소 센서를 추가하여 공연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3은 일반적인 공기유량 결정루프를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가열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 중 일산화탄소 농도의 계측치(COPV)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계측치(COPV)는 상기 가열로의 배가스로부터 최근 3회 이상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의 평균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일산화탄소 농도의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입력받는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계측치(COPV)와 상,하한 한계치(COH,COL)의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CO 계측치(COPV) 상한 한계치(COH) 하한 한계치(COL)
7000ppm 5000ppm 80ppm
log(COPV)=3.8 log(COH)=3.7 log(COL)=1.9
전술한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 농도의 계측치(COPV)와, 사용자로부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입력받아 상호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일산화탄소 농도의 계측치(COPV)가 상한 한계치(COH)의 치수보다 큰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 후, 상기 계측치(COPV)와 상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상,하한 비교설정값(rH,rL)을 구한다. 상기 상,하한 비교설정값(rH,rL)은 아래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1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계측치(COPV)와 상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이용하여 구해진 상한 비교설정값(rH)은 약 1.03이며, 하한 비교설정값(rL)은 2이다.
이와 같이, 구해진 상,하한 비교설정값(rH,rL)을 이용하여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한 비교설정값(rH)을 1과 비교하여 큰 값을 상한 출력설정값(RH)으로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한 비교설정값(rH)이 1.03으로 1보다 큰 값이므로 상한 비교설정값(rH)을 상한 출력설정값(RH)으로 취한다. 또한, 상기 하한 비교설정값(rL)을 1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하한 출력 설정값(RL)으로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 비교설정값(rL)이 2이므로 1을 하한 출력설정값(RL)으로 취한다.
이렇게 구해진 상기 상한 출력설정값(RH)과 하한 출력설정값(RL)에 초기에 설정된 한계 하한값(βL,A)과 한계 상한값(βH,A)을 각각 곱하여 출력제한 하한값(βL)과 출력제한 상한값(βH)을 얻을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상기 한계 하한값(βL,A)과 한계 상한값(βH,A)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사용자는 상기 한계 하한값(βL,A)을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한계 상한값(βH,A)을 1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
한계 하한값(βL,A) 한계 상한값(βH,A)
0.8 1.2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3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4
따라서, 상기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출력제한 하한값(βL)은 0.824가 되며, 출력제한 상한값(βH)은 1.2가 된다.
이때, 상기 출력제한 하한값(βL)과, 상기 출력제한 상한값(βH)에 각각 상기 하한 출력설정값(RL)과, 상기 상한 출력설정값(RH)을 곱하여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 및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래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은 상기 출력제한 하한값(βL)인 0.824에 상기 하한 출력설정값(RL)인 1을 곱하여 0.824이며,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은 상기 출력제한 상한값(βH)인 1.2에 상기 상한 출력설정값(RH)인 1.03을 곱하여 1.236이 된다.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5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6
이와 같이, 최종적으로 구해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은 자동/수동전환부(T')를 거친다. 여기서, 자동일 경우에는 상기 구해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이 상하한 제한부(L)에 입력되어 상기 산소농도 제어부(C)로부터 출력된 출력 비율값(βa)을 제한하며, 수동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출력제한 상,하한값(βH,UL,U)에 의해 상기 출력 비율값(βa)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과 상기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은 통상적으로 동일 연료에서 구성 성분의 조성비가 바뀌는 경우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나, 상기 증기발생기에 유입되는 연료가 바뀌는 경우에는 상기 도 2의 점선에서와 같이, 상기 한계 하한값(βL,A) 및 상기 한계 상한값(βH,A)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표 3 및 표 4는 최초 입력된 한계 상,하한값(βH,AL,A)과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을 비교한 것이다.
한계 하한값(βL,A) 최종 출력제한 하한치(βL') 증감
0.8 0.824 (+)0.024
한계 상한값(βH,A) 최종 출력제한 상한치(βH') 증감
1.2 1.236 (+)0.036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공연비 제어방법은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이 최초의 한계 하한값(βL,A)인 0.8보다 0.024 증가한 0.824이며,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이 최초의 한계 상한값(βH,A)인 1.2보다 0.036 증가한 1.236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초 입력된 계측치(COPV)가 불완전연소를 발생하는 상황이므로 공기를 더 공급하도록 한계 상,하한값(βH,AL,A)의 범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공기가 많아서 일산화탄소가 하한 한계치(COL)인 80ppm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전술한 상기 방법을 통해 산소농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을 구하게 되면, 공기의 공급량을 감소하도록 한계 상,하한값(βH,AL,A)의 범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계 상,하한값(βH,AL,A)이 고정되어 최적의 연소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산소농도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이 최적의 연소구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증기발생기에 공급할 공급 공기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SAMA 기호법에 따라 구성한 구성도이며,
도 2는 일산화탄소 및 산소 농도의 관계에 따른 열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을 SAMA 기호법에 따라 구성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OPV: 계측치 COH: 상한 한계치
COL: 하한 한계치 rH: 상한 비교설정값
rL: 하한 비교설정값 RH: 상한 출력설정값
RL: 하한 출력설정값 βL,A: 한계 하한값
βH,A: 한계 상한값 βL: 출력제한 하한값
βH: 출력제한 상한값 βL':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
βH':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

Claims (5)

  1. 가열로의 배가스의 산소농도 측정치(O2PV)를 제어하기 위하여 산소농도 측정치(O2PV)와 목표설정치(O2SV)의 비율값(βR)의 출력제한 상,하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가열로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 계측치(COPV)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계측치(COPV)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계측치(COPV)와 상기 상하한 한계치(COH,COL)를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한 비교설정값(rH) 및 하한 비교설정값(rL)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상한 비교설정값(rH)을 1과 비교하여 큰 값을 상한 출력설정값(RH)으로 취하고, 상기 하한 비교설정값(rL)을 1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하한 출력설정값(RL)으로 취하는 단계;
    (e) 상기 상,하한 출력설정값(RH,RL)과 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한 한계 상,하한값(βH,AL,A)을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7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8
    [수학식 2]
    Figure 112007092683650-PAT00009
    Figure 112007092683650-PAT00010
  2.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출력제한 상,하한값(βHL)과 상기 상,하한 출력설정값(RH,RL)을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최종 출력제한 상,하한값(βH',βL')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07092683650-PAT00011
    Figure 112007092683650-PAT00012
  3. 제 2항에 있어서,
    (g) 상기 최종 출력제한 하한값(βL')과 상기 최종 출력제한 상한값(βH')은 상기 한계 하한값(βL,A) 및 상기 한계 상한값(βH,A)으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하한값(βL,A)은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한계 상한값(βH,A)은 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치(COPV)는 상기 가열로의 배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농도를 최근 3회 이상 측정한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KR1020070136574A 2007-12-24 2007-12-24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KR10092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574A KR100925039B1 (ko) 2007-12-24 2007-12-24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574A KR100925039B1 (ko) 2007-12-24 2007-12-24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810A true KR20090068810A (ko) 2009-06-29
KR100925039B1 KR100925039B1 (ko) 2009-11-03

Family

ID=4099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574A KR100925039B1 (ko) 2007-12-24 2007-12-24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0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5B1 (ko) * 2015-05-26 201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열효율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8117625A1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산소 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GB2576044A (en) * 2018-08-03 2020-02-05 Spirax Sarco Ltd Calibration of a boiler
KR20210078991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열로의 산소 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622A (ja) * 1991-09-18 1993-03-30 Hitachi Ltd 燃焼炉に於ける酸素濃度制御による燃焼制御方法
JPH10339420A (ja) 1997-06-04 1998-12-22 Mitsubishi Heavy Ind Ltd 燃焼炉の燃焼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200301073Y1 (ko) * 1998-12-16 2003-04-08 주식회사 포스코 열풍로의연소제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5B1 (ko) * 2015-05-26 201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열로 열효율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8117625A1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산소 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71782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산소 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088551A (zh) * 2016-12-20 2019-08-02 Posco公司 加热炉的氧浓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088551B (zh) * 2016-12-20 2020-12-22 Posco公司 加热炉的氧浓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11187463B2 (en) 2016-12-20 2021-11-30 Posc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oxygen in heating furnace
GB2576044A (en) * 2018-08-03 2020-02-05 Spirax Sarco Ltd Calibration of a boiler
GB2576044B (en) * 2018-08-03 2021-05-26 Spirax Sarco Ltd Calibration of a boiler
KR20210078991A (ko)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열로의 산소 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039B1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4129872A (ru) Контроль состава газа в газотурбин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с рециркуляцией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RU2013116449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боты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включающей рабочую среду
CN101876449A (zh) 加热炉内氧量气氛场的控制方法
KR100925039B1 (ko) 가열로의 공연비 제어방법
US20080163803A1 (en) Method and systems to control municipal solid waste density and higher heating value for improved waste-to-energy boiler operation
JP6153090B2 (ja)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方法
KR20120106965A (ko) 하나의 세트의 연소 챔버들의 연소 설정들을 수정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RU2020106916A (ru) Топоч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печи
CN104995507A (zh) 用于确定气体燃烧值的量值的装置
US20040255831A1 (en) Combustion-based emission reduction method and system
JP2019178848A (ja)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方法
JP4099195B2 (ja) ボイラ設備を持たないごみ焼却炉の燃焼制御方式
RU2027110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а горения в тепловых агрегатах
JP2019052773A (ja) ストーカ式焼却炉及びその制御方法
US11366089B2 (en) Analysis condition adjusting device of simple fuel analyzer
KR100397959B1 (ko) 폐가스를 연료로 하는 완전연소 시스템
KR950014318A (ko) 특히 야금 가열로용의, 가변특성을 갖는 가스 버너의 실시간 조절방법 및 장치
KR101143728B1 (ko) 가스터빈의 질소산화물 농도 자동 제어장치
JP5735252B2 (ja) 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ガス混合装置
KR101322902B1 (ko) 코크스 오븐 배기가스 온도를 이용한 소연도 압력 제어방법
JP4605656B2 (ja) 火力発電用ボイラと燃焼用空気供給制御方法
JP3844333B2 (ja) ボイラ設備を持たないごみ焼却炉の燃焼制御方式
KR100434650B1 (ko) 화격자식 쓰레기 소각설비의 연소제어 방법
RU2493488C1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процесса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KR101070065B1 (ko)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