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595A -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 Google Patents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595A
KR20090068595A KR1020070136274A KR20070136274A KR20090068595A KR 20090068595 A KR20090068595 A KR 20090068595A KR 1020070136274 A KR1020070136274 A KR 1020070136274A KR 20070136274 A KR20070136274 A KR 20070136274A KR 20090068595 A KR20090068595 A KR 2009006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body
rear fender
auxiliary
wheeled vehic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부영
Original Assignee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595A/ko
Publication of KR2009006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62J15/04Mu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5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other road users, e.g. signs or flags
    • B62J50/26Numb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에 분해 결합식으로 부설하는 리어 펜더 보디의 길이 증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시에는 분리 주행하고, 우천시 등에만 부착하여 디자인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이물이 튕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조 펜더 보디(30)를 상부는 번호판(22)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리어 펜더 보디(21)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를 돌출시키는 길이로 형성하여서, 상기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부를 리어 펜더 보디(21)와 번호판(22)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좌우는 번호판 부착용 볼트(23a)(23b)에, 중앙부는 고무제 링 설치용 홀(27)에 볼트(32)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리어 펜더 보디, 번호판, 볼트(번호판 부착용), 보조 펜더 보디, 체결홀, 볼트

Description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REAR FENDER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에 분해 결합식으로 부설하는 리어 펜더 보디의 길이 증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륜 자동차는 설계시 디자인을 제일 중요 요소로 하고 있고, 리어 펜더는 후방의 디자인을 좌우하는 요소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천시 등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탑승자에게 튕기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륜 자동차의 리어 펜더(통상적으로 후방 흙받이라 칭함)는 그 형상 및 설치 구조 등이 다양하지만 그 일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후방에 리어 펜더(20)의 리어 펜더 보디(21)의 상방을 볼트 등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그 길이는 리어 휠(11)의 중심 수평면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길이로 즉 리어 펜더 보디(21)의 하단이 상기 리어 휠(11)의 중심 수평면 상방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의 중앙에는 번호판(22)의 상부 좌우를 2개의 볼트·너트(23a)(23b)[이하 볼트(23a)(23b)라고만 함]로 부착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의 상부에 테일 라이트(25)를, 하부에는 리플렉터(26)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리 리어 펜더 보디(21)의 번호판(22) 하부 중앙 위치에 홀(27)을 형성하여 상기 홀(27)에 주행시 번호판(22)이 진동할 때 그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제 링(28)을 설치한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에 번호판(22)의 상부를 부착하는 볼트(23a)(23b) 중 볼트(23b)는 분해할 수 있고, 또한 볼트(23a)는 봉인구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분해는 불가능하지만 분해하는 방향으로 2 내지 3회전은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이륜 자동차의 리어 펜더는 리어 펜더 보디(21)의 하단이 리어 휠(11)의 중심보다 상방에 위치함으로 디자인의 특성을 양호하게 구현하였으나, 우천시 리어 휠(11)의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이 상방으로 튕기고 있는바,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튕기는 이물질은 이륜 자동차의 차체를 오염시켜 미관을 해치고, 또한 탑승자에게도 튕겨 피복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심하면 특히 후방 동승자의 얼굴에도 튕겨서 동승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통상시에는 분리 주행하고, 우천시 등에만 부착하여 디자인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이물이 튕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조 펜더 보디를 상부는 번호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리어 펜더 보디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를 돌출시키는 길이로 형성하여서, 상기 보조 펜더 보디의 상부를 리어 펜더 보디와 번호판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좌우는 번호판 부착용 볼트에, 중앙부는 고무제 링 설치용 홀에 볼트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통상시에는 리어 펜더 보디에서 보조 펜더 보디를 분리하고 리어 펜더 보디만으로 주행함으로써 이륜 자동차의 외관을 본래의 디자인을 유지하고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기호에 맞게 사용할 수 있고, 한편 우천시 등에는 보조 펜더 보디를 상부 및 중앙부를 리어 펜더 보디와 번호판 사이로 삽입하여 번호판 부착용 볼트와 볼트로 결합함으로써 빗물 등의 이물질이 차체 및 탑승자에게 튕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쾌적한 탑승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참조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후방에 리어 펜더(20)의 리어 펜더 보디(21)를 상방을 볼트로 고정함과 아울러 그 길이는 리어 휠(11)의 중심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 중앙에는 번호판(22)의 상부 좌우를 2개의 볼트(23a)(23b)[볼트(23a)(23b)중 일측의 볼트(23a)에는 봉인구가 형성되어 있음]로 부착하며,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의 상기 볼트(23a)(23b)의 하부 중앙에는 홀(27)을 형성하여 상기 홀(27)에 번호판(22)의 내면 하부를 지지하는 고무제 링(28)을 설치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보조 펜더 보디(30)를 그 상부는 상기 번호판(22)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로, 상세하게는 리어 휠(11)의 중심 위치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거나 또는 약간 높은 위치까지의 길이로 형성하여서, 상기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부를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와 번호판(22) 사이로 삽입하여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부 좌우는 상기 번호판 부착용 볼트(23a)(23b)에 결합하고 중앙부에는 체결홀(31)을 형성하여 상기 고무제 링 설치용 홀(27)에 볼트·너트(32)(이하 볼트(32)라고만 함)로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보조 펜더 보디(30)의 중앙부에 형성한 체결홀(31)을 홀(27)에 볼트(32)로 결합할 때 고무제 링(28)의 설치 상태를 유지하면 보조 펜더 보디(30)의 진동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에는 고무제 링(28)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펜더 보디(21)의 상부에는 테일 라이트(25)를, 하부에는 리플렉터(26)를 설치할 수 있으며, 리어 펜더 보디(21)에 리플렉터(26)를 설치하였을 때에는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기 리플렉터 대응위치에 리플렉터 삽입홈(34)을 설치하여 보조 펜더 보디(30)를 리어 펜더 보디(21)에 양호하게 면 접촉시킴으로써 보조 펜더 보디(30)를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 것이다.
상기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부 양측을 볼트(23a)(23b)로 번호판(22)과 함께 결합할 때에는 일측에는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단으로 트인 L형 홈(35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공(35b)을 형성하여 L형 홈(35a)은 봉인구 부설용 볼트(23a)를 분리하지 않고(분리는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음) 회전만 시킨 후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 이동하여 지지함으로써 보조 펜더 보디(30)의 상부를 신속하게 볼트(23a)(23b)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통상시 즉 쾌청한 날씨 또는 외관을 중시하는 탑승자는 이륜 자동차에 리어 펜더(20)만이 부착된 상태로 탑승하고, 탑승자 중 신체 또는 피복의 청결을 중시하는 탑승자는 이물질이 차체 및 탑승자에 튕기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펜더 보디(30)를 선택 부품(옵션 품목)으로 구입하여 리어 펜더(20)에 부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 펜더 보디(30)를 리어 펜더(20)에 부설할 때에는 먼저 번호판(22) 부착용 타측의 볼트(23b)와 고무제 링(28)은 완전히 분리하고, 일측의 볼트(23a)는 2 내지 3 회전만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번호판(22)과 리어 펜더 보디(21)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한 후 리어 펜더 보디(21)의 하부에서 상기 간격 사이로 보조 리어 펜더(30)를 삽입하면서 상승시켜 L형 홈(35a)을 일측의 볼트(23a)에 삽입하여 상승시키고 측면으로 이동시켜 체결공(35b)을 번호판(22)의 상부 타측 체결공과 일치시킴과 아울러 체결홀(31)을 고무제 링(28) 삽입용 홀(27)에 일치시킨 후 볼트(23a)는 2 내지 3 회전하게 체결하고 체결공(35b) 및 체결홀(31)에 볼트(23b) 및 볼트(32)를 체결하면 보조 펜더 보디(3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6 참조)
상기와 같이 리어 펜더(20)에 보조 펜더 보디(30)를 부설하면 우천시 등에 이물질이 차체 및 탑승자 측으로 튕기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펜더 보디(30)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결합시의 반대 순서에 의하여 분리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륜 자동차의 리어 펜더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리어 펜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조 펜더 보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착 사용 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1: 리어 펜더 보디 22: 번호판 23a, 23b: 볼트(번호판 부착용)
30: 보조 펜더 보디 31: 체결홀 32: 볼트

Claims (5)

  1. 보조 펜더 보디를 상부는 번호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리어 펜더 보디의 하단으로 일정 길이를 돌출시키는 길이로 형성하여서, 상기 보조 펜더 보디의 상부를 리어 펜더 보디와 번호판 사이로 삽입하여 상부 좌우는 번호판 부착용 볼트에, 중앙부는 고무제 링 설치용 홀에 볼트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여서 된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2. 제 1항에 있어서, 보조 펜더 보디의 중앙부에 형성한 체결홀을 고무제 링 설치용 홀에 볼트로 결합할 때 고무제 링의 설치 상태를 유지한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3. 제 1항에 있어서, 리어 펜더 보디의 상부는 테일 라이트를, 하부는 리플렉터를 설치한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4. 제 1항에 있어서, 보조 펜더 보디의 리플렉터 대응위치에 리플렉터 삽입홈을 설치한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5. 제 1항에 있어서, 보조 펜더 보디의 상부 일측에는 보조 펜더 보디의 상단으로 트인 L형 홈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공을 형성한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KR1020070136274A 2007-12-24 2007-12-24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KR20090068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74A KR20090068595A (ko) 2007-12-24 2007-12-24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74A KR20090068595A (ko) 2007-12-24 2007-12-24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95A true KR20090068595A (ko) 2009-06-29

Family

ID=4099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74A KR20090068595A (ko) 2007-12-24 2007-12-24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85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858A (zh) * 2015-05-26 2015-09-1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反射器支架
KR102067253B1 (ko) * 2019-04-04 2020-02-11 유재규 이륜 차량용 번호판 장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858A (zh) * 2015-05-26 2015-09-1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反射器支架
CN104908858B (zh) * 2015-05-26 2017-04-19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反射器支架
KR102067253B1 (ko) * 2019-04-04 2020-02-11 유재규 이륜 차량용 번호판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5891B (zh) 车辆挡泥板
EP2431265A2 (en) Motorcycle fairing
JP2001287670A (ja) サイドシル負荷経路イニシエータ
BR112012020868B1 (pt) Estrutura de porção traseira de motocicleta
KR20090068595A (ko) 이륜 자동차용 리어 펜더
US20120305719A1 (en) Bumper mounted plate for auxiliary lights
JP2008290605A (ja) リヤバンパカバーの構造
CN108688587B (zh) 具有集成式摄像头固持部的牌照支架
JP2001039349A (ja) 産業車両のフェンダーカバー一体ステップ
US20120096747A1 (en) License plate frame structure
US10421495B2 (en) Compressible stopper behind headlamp for protecting closures against damage during a low speed collision
US7322728B2 (en) Mounting structure for high-mounted stop lamp
EP2200889B1 (fr) Carenage sous caisse d&#39;un vehicule automobile
JP2007168620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6013936B2 (ja) 自転車
JPH0274482A (ja) フルカウル型自動二輪車におけるサイドバンパ装置
CN102653255B (zh) 车辆前部结构
KR100576135B1 (ko) 공동주택단지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과속방지구간 및설치방법
KR20050104859A (ko) 자동차용 머드 가드
JP2005343447A (ja) 車両用番号板設置構造
RU2108255C1 (ru) Передняя часть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7758740U (zh) 一种汽车前保险杠
KR100888103B1 (ko) 차량용 에어백 체결장치
KR100838187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
JP6769681B2 (ja) 装飾部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