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101A -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101A
KR20090068101A KR1020080048821A KR20080048821A KR20090068101A KR 20090068101 A KR20090068101 A KR 20090068101A KR 1020080048821 A KR1020080048821 A KR 1020080048821A KR 20080048821 A KR20080048821 A KR 20080048821A KR 20090068101 A KR20090068101 A KR 2009006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website
time
lis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to KR102008004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101A/ko
Publication of KR2009006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사이트의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은, (a)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기초하여,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유저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유저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실시간 접속자, 목록, 웹사이트, 고유 ID, 로그 분석

Description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DISPLAYING CONNECTOR LIST CONNECTED WITH WEBSITE IN REALTI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상의 웹사이트에 현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대해 실시간으로 접속자 목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웹사이트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웹 서버의 고객 DB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웹 브라우저(11) 및 쿠키(12)를 구비하며, 웹사이트(20)는 웹 서버(21), 고객 DB(22), 로그 분석기(23) 및 로그분석 D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과 웹사이트(20)는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이 웹사이트(20)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경우(S1), 웹사이트(20)의 웹 서버(21)는 쿠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2).
여기서, 쿠키(cookie)는 인터넷 웹사이트(20)의 방문기록을 남겨 사용자 단말(10)과 웹사이트(20) 사이를 매개해 주는 정보를 말한다. 쿠키는 고객이 특정 웹사이트 또는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로 그 크기는 4KB 이하로 작은 편이다. 이러한 쿠키는 웹 서버(21)에 접속함과 동시에, 또는 인증을 거친 후에 웹 서버(21)에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데, 쿠키는 접속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쿠키의 형태는 웹 서버(21)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이 특정 웹사이트(20)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지고, 다음에 접속했을 때에는 별도의 절차 없이 사이트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쿠키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10)이 해당 웹사이트(20)에 재접속할 경우(S3), 쿠키를 참조하여 로그인 과정을 생략하고 해당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하게 된다.
후속적으로, 웹사이트(20)의 로그 분석기(23)는 사용자 단말(10)의 접속 이력에 따른 로그정보를 로그분석 DB(24)에 저장하여 활용하게 된다.
웹사이트(20) 운영자는 이러한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의 웹사이트(20)의 방문자의 수, 방문자의 관심사로부터 방문자가 웹 서버(21)에서 보이는 행태 등을 파악하여 자신의 웹사이트(2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20) 이용에 따른 이력 관리 등을 위해서는 웹 서버(21)에서 제공하는 로그정보(웹상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 상황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자료)를 로그 분석기(23)로 추출 및 분석하여, 웹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웹사이트(20) 내의 로그분석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로그 추출 및 분석은 각 웹사이트의 회원에 대한 분석과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향상된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다.
또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 혹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사이트를 방문했는지, 방문자 중에서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순수한 방문자였는지, 그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웹사이트를 방문했는지 등을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로그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또한, 포털 사이트에서의 로그 분석은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특성과 행동 양식을 파악하고,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현재 시점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많은 웹페이지 또는 컨텐츠를 보다 노출 빈도가 높은 위치로 옮기거나, 컨텐츠의 디자인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효율적으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고객 DB 상에 저장되는 로그 정보(40)는 로그인 ID(41), IP 주소(42), 접속 키워드(43), 날짜 및 시각(44)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제1 선행 기술로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2005-12355호에는 "웹사이트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웹사이트에 대한 방문자의 로그정보와 검색결과를 한 화면에 표시하여 일목요연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로그분석 정보와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의 컨텐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웹사이트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 선행 기술로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1636호에는 "웹페이지 접속 이력정보 관리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인터넷 사용자가 접속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로그데이터로 기록하고, 이러한 로그데이터의 기록을 별도의 관리 서버가 아닌 인터넷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진행함으로써, 관리 서버가 로그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하를 줄이면서도 인터넷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는 현실적인 웹페이지 이력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활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접속 이력정보 관리시스템과 이력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운영자 웹사이트의 로그분석 DB에는 접속 키워드, 접속 날짜와 시간 등이 기록됨으로써, 단지 웹사이트 전체의 접속 통계 및 과거의 접속자 목록을 분석하고 누적 통계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은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많은 접속자 목록을 표시할 경우, 접속자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기초하여,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유저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유저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 는 접속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기초하여,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Macromedia Flash)의 공유 객체(ShareObject) 클래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이 웹사이트에 접속시,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고유 유저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고,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을 갱신하는 웹 서버;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상기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재 접속 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이 웹사이트에 접속시,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고유 유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저장된 접속 이력 정보를 접속 이력 DB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상기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접속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접속자 목록을 표시할 경우, 접속자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100)과 웹사이트(200)로 구분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a~100n)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a~100n)은 웹 브라우저(110) 및 고유 ID가 삽입된 쿠키(120)와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웹사이트(200)는 웹 서버(210), 고객 DB(215), 고유 ID 생성부(220), 로그 분석기(230), 로그분석 DB(235),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 실시간 상담 서버(250), 실시간 상담 DB(255), CPC 광고 추적 서버(260) 및 CPC 광고 추적 DB(26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로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등의 다양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웹사이트 또는 포털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사용자들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된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며,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웹 브라우저(110)를 통해 인터넷상의 웹사이트(200)로 접속할 수 있고, 이때, 웹사이트(200)로부터 고유 ID가 삽입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전송받게 된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웹사이트(200)의 웹 서버(210)는 인터페이스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100)이 웹사이트(200)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각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신 규격에 맞도록 변환 처리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각 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웹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접속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처음 접속 또는 재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처음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고 유 ID가 삽입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재접속한 경우에는 고객 DB(215)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이력을 갱신한다.
웹 서버(21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처음 접속했는지 또는 재접속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웹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쿠키를 분석하여, 이전에 접속 이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쿠키가 없는 경우에는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읽어서 이전에 접속 이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다시 말해, 웹 서버(210)는 쿠키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찾아내고, 쿠키가 없는 경우에는 고유 유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확인하거나, 또는, 이와 달리, 플래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확인한다. 또는, 웹 서버(210)가 쿠키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찾아내고, 쿠키가 없는 경우에는 고유 유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확인하고, 고유 유저 데이터도 없는 경우에는 플래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접속 이력을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달리 분석 순서를 달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이력 분석 방법은, IP 주소,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임의의 순서로 이용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유저 데이터(userData)란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쿠키와 같이 자동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 최소한의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0) 내에서 쿠키와 저장 위치가 다르며 용량이 쿠키보다 크고 쿠키보다 더 탄력적인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고유 유저 데이터란 웹 브라우저에서 쿠키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갱신할 수 있는 정보를 담은 인터넷 임시 파일의 일종으로서, 쿠키의 일반적인 크기인 1KB 보다 훨씬 큰 1MB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쿠키가 텍스트(text) 형태인데 반해, 유저 데이터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 : 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저 데이터는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가 자사의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일종의 함수인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가르키며,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msdn2.microsoft.com/en-us/library/ms531424.aspx" 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플래시 데이터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Macromedia Flash)의 공유 객체(ShareObject)라는 내장 클래스를 이용하여 로컬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플래시에는 자바 스크립트 또는 서버 사이트 스크립트(php, asp, jsp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쿠키(Cookie)가 존재하지 않으며, 다만 쿠키처럼 사용자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저장 방식으로는 플래시(Macromedia Flash)의 공유 객체(ShareObject) 클래스를 사용하여 장치를 닫을 때 플래시 SWF 파일에서 해당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장치를 다시 재생할 때 저장된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다. 플래쉬는 장치에 이름/값 쌍의 세터를 저장한다. 공유 객체(SharedObject)란 로컬 위치에 영구 저장되어 현재 클라이언트에게만 사용 가능한 공유 객체에 대한 참조이다. 플래쉬에서 공유 객체를 만들거나 찾을 수 없으면 getLocal() 함수가 널(null)을 반환한다. 저장 경로는 예를 들어, C:\Documents and Settings\Administrator\ApplicationData\Macromedia\Flash Player\#SharedObjects이며, 저장 용량은 일반 브라우저의 쿠키 저장 용량이 4KB가 최대인데 비해, 로컬 저장소의 저장 용량 기본값이 100KB로서 제한이 없고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세션(Session)을 실시간으로 읽어서 로그인 상태의 회원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해당 회원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갱신하고, 상기 회원인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로그인 없이 접속한 경우에도 상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읽어서 회원이 접속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웹사이트(200)에 접속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을 구분할 수 있도록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고유 ID를 부여하고,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레퍼(reffer) 함수의 리턴값과 로케이션(location) 함수의 리턴값을 읽어서 접속자의 각종 로그를 분석할 수 있다.
웹사이트(200)의 고객 DB(215)는 웹사이트(200)의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유 ID가 삽입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와 매칭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이력을 관리한다.
고유 ID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웹사이트(200)에 처음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에 삽입할 고유 ID를 생성하여 웹 서버(210)로 전송한다.
로그 분석기(2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이력에 따라 로그 정보를 분석하고, 로그분석 DB(235)는 상기 로그 분석기(230)에 의해 분석된 로그분석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로그 분석기(2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에 접속한 경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과 레퍼(reffer) 함수의 리턴값과 로케이션(location) 함수의 리턴값을 읽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로그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이때, 레퍼(reffer) 함수의 리턴값에는 이전 사이트 주소 및 종량제(CPC) 광고 업체 정보, 예를 들면, 오버추어, 네이버 등의 광고업체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로케이션(location) 함수의 리턴값에는 키워드 정보, 예를 들면, 접속자가 검색 엔진에서 검색한 "꽃배달업체", "특허사무소" 등의 키워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웹 서버(210)는 웹사이트(200)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세션(Session)을 실시간으로 읽어서, 해당 사용자 단 말(100)의 로그인 상태를 인식하고, 회원의 이름과 아이디 등의 고유 정보를 고객 DB(2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가 해당 회원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 추후 해당 웹사이트에 로그인 없이 단순 접속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 및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회원이 접속하였음을 인식하여, 접속자 개개인의 로그 분석 화면에 회원 고유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 실시간으로 접속자들의 접속과 접속종료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웹사이트(200) 운영자의 단말기에 상기 접속자 목록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는,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가 상기 웹사이트의 어떤 웹페이지를 보고 있는지 상기 접속자의 현재 주소가 있는 세션값을 실시간으로 읽어 와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는, 상기 접속자수가 많아서 상기 접속자 목록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접속자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실시간 상담 서버(25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웹사이트(200)간의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시간 상담 DB(255)는 상기 실시간 상담 서버(250)에 의해 상담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 되도록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웹사이트(200)의 운영자와 회원 가입이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채팅 상담을 한 경우, 상기 실시간 상담 서버(250)는 상기 실시간 상담 DB(255)에 상담 내용을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재접속시 이전 상담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추후 상담시 상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는, 상기 접속자가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와 실시간 채팅 상담을 했던 기록이 있는지를 접속자 개개인의 로그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과거의 상담 횟수를 현재 접속자 목록에 개개인 접속자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CPC 광고 추적 서버(26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상기 웹사이트(200)간의 CPC 광고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CPC 광고 추적 DB(255)는 상기 CPC 광고 추적 서버(260)에 의해 추적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도록 저장한다. 이때,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240)는, 접속자 개개인에 대하여 상기 CPC 광고를 클릭하여 접속하였다는 표시와 함께 조회하여 클릭한 키워드를 함께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쿠키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웹 서버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도면부호 A로 도시된 쿠키는 웹사이트에서 고유 ID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의 쿠키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B로 도시된 쿠키는 웹사이트에서 고유 ID를 생성하여 쿠키에 삽입한 것을 나타낸다. 이때, 도면부호 C의 mapsip(AAA)가 고유 ID에 해당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쿠키에 고유 ID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각각의 로그정보에 대한 통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고유 ID는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b는 웹 서버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300)로서, 예를 들어, 고유 ID(310),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320),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ID(330), 사용자 단말의 웹사이트 방문 횟수(340), 사용자 단말이 웹사이트 운영자와 상담한 상담 횟수(350) 및 고객 DB 내에 저장된 상담 파일(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300)는 종래의 로그정보에 비해 고유 ID(310)가 추가됨으로써, 접속자 개개인에 대한 개인 통계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화면(400)에는 실시간 접속자 수(410), 화면당 출력되는 접속자수(420), 로그분석 정보를 포함한 접속자 목록(430) 및 페이지 구분(44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종료되거나 추가된 접속자가 있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접속자 목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접속자 수(410)가 999명이고, 화면당 출력되는 접속자수(420)가 20인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자 수가 많아서 접속자 목록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할 경우, 스크롤이 생기고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한 화면에 표시되는 접속자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시간이 경과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접속자 수(410)가 1010명으로 변경된 경우, 페이지 구분(440)이 50에서 51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고유 ID가 BBB인 접속자가 접속을 종료하고, 새로운 접속자들이 접속한 경우, 실시간 접속자 목록 화면(400)에는 고유 ID가 BBB인 접속자가 사라지게 되고, 추가된 접속자들이 표시되게 된다.
로그분석 정보를 포함한 접속자 목록(430)은,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가 상기 웹사이트의 어떤 웹페이지를 보고 있는지 상기 접속자의 현재 주소가 있는 세션값을 실시간으로 읽어 와서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은 현재 접속중인 상태의 접속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을 적용한 웹사이트에서, 회원 접속자의 로그 분석을 예시하는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접속자의 로그 분석을 예시하는 화면(500)으로서, 도면 부호 510은 출력 화면의 접속자 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한 화면에 출력되는 접속자 수를 20으로 정한 경우, 도면 부호 520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20개의 사용자 단말의 고유 ID, 총 방문수, 접속 단말의 IP 주소, 검색엔진, 검색어, 유입타입, 접속일자 등이 로그 분석 결과로서 제공되는 것을 나타 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을 적용한 웹사이트의 접속자 목록을 예시하는 화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접속자 목록 화면(600)은, 실시간 접속자 수(610), 화면당 출력되는 접속자수(620), 로그분석 정보를 포함한 접속자 목록(630) 및 페이지 구분(640) 등이 표시되는데, 전술한 도 4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접속자 목록 화면(600)은, 접속자 목록으로서, 로그인 ID, 접속 IP, 접속 경로, 방문 횟수, 상담 횟수, 상담 파일 등이 표시되며, 웹사이트 운영자에 의해 표시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경유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면(S710), 웹사이트의 웹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쿠키 또는 고유 유저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S720). 또는, 이와 달리, 웹사이트의 웹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쿠키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쿠키와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쿠키와 플래시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해당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한 것인지 재접속한 것인지를 확인하여(S730), 처음 접속한 경우에는 웹 서버는 고유 ID 생성부를 통해 고유 ID를 생성한다(S740). 이후, 웹 서버는 고유 ID가 삽입된 쿠키와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750), 고객 DB에 해당 접속자의 고유 데이터를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생성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이 해당 웹사이트에서 이동하는 경로 등에 따라, 웹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을 갱신하고(S760), 갱신된 접속 이력을 고객 DB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웹사이트 내의 로그 분석기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로그분석 DB에 저장한다(S770).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웹 서버는 웹사이트에 접속중인 사용자 단말의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세션(Session)을 실시간으로 읽어서, 해당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 상태를 인식하고, 회원의 이름과 아이디 등의 고유 정보를 고객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가 해당 회원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추후 해당 웹사이트에 로그인 없이 단순 접속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 주소 및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또는 플래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회원이 접속하였음을 인식하여, 접속자 개개인의 로그 분석 화면에 회원 고유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표시한다(S780). 구체적으로,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접속자의 수를 실시간 확인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접속자가 일정 숫자 이상일 경우, 채널 구분을 위한 요청을 웹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일정 숫자 이상의 초과 인원을 실시간 채널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자 목록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은,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S810), 해당 웹 사이트에 현재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한다(S820). 여기서, "스캐닝"이란 용어는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모두 읽어서 파악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쿠키, 고유 유저 데이터 및 플래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한다. 그 후,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여, 접속자 정보를 분석한다(S830). 이 때, 고유 유저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며, 플래시 데이터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Macromedia Flash)의 공유 객체(ShareObject) 클래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그 후,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고 표시한다(S840). 이때, 현재 접속 중인 단말이 상기 웹사이트의 어떤 웹페이지를 보고 있는지를 상기 접속 단말의 세션값을 실시간으로 읽어 와서 보여줄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표시한 후로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하여(S850),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860으로 진행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40으로 되돌아간다.
일정 시간은 실시간 접속자 목록의 갱신 주기에 해당하며, 짧게 설정할수록 실시간에 가까워지지만, 웹 사이트의 부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시스템 부하 문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일정 시간을 가급적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고(S860),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여(S870), 상기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에 대응하는 정보에 따라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표시한다(S880). 이때, 상기 접속자수가 많아서 상기 접속자 목록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접속자 수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 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과 웹사이트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웹 서버의 고객 DB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쿠키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웹 서버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로그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을 적용한 웹사이트에서, 회원 접속자의 로그 분석을 예시하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을 적용한 웹사이트의 접속자 목록을 예시하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사용자 단말 110: 웹 브라우저
120: 고유 ID 쿠키 200: 웹사이트
210: 웹 서버 215: 고객 DB
220: 고유 ID 생성부 230: 로그 분석기
235: 로그 분석 DB 240: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
250: 실시간 상담 서버 255: 실시간 상담 DB
260: CPC 광고 추적 서버 265: CPC 광고 추적 DB

Claims (12)

  1. 웹사이트의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기초하여,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유저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유저 데이터는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
  2. 웹사이트의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스캐닝하는 단계;
    (b)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인 단말들의 세션값을 재 스캐닝하는 단계; 및
    (e) 상기 재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기초하여, 종료된 세션 또는 추가된 세션을 파악하고,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스캐닝된 각 세션값에 대응하는 접속자 단말에 저장된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b2) 접속 이력 DB로부터 상기 추출된 고유 ID에 해당하는 접속자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시 데이터는 매크로미디어 플래시(Macromedia Flash)의 공유 객체(ShareObject) 클래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것인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
  3. 사용자 단말이 웹사이트에 접속시,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고유 유저 데이터로부터 고유 ID를 추출하고,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을 갱신하는 웹 서버;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상기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재 접속 중인 접속자들의 목록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
    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는 접속자들의 접속과 접속 종료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의 단말기에 상기 접속자 목록을 실시간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는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는, 상기 접속자수가 많아서 상기 접속자 목록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접속자 수를 일정 숫자로 제한하여 추가된 접속자는 다음 페이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웹사이트간의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상담 서버; 및
    상기 실시간 상담 서버에 의해 상담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실시간 상담 DB
    를 추가로 포함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는, 상기 접속자가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와 실시간 채팅 상담을 한 경우, 접속자 개개인의 로그 분석을 통하여 상담을 했던 접속자인지를 확인하고, 상담 횟수를 상기 접속자 목록에 개개인 접속자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웹사이트간의 CPC 광고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CPC 광고 추적 서버; 및
    상기 CPC 광고 추적 서버에 의해 추적된 내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도록 저장하는 CPC 광고 추적 DB
    를 추가로 포함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부는, 상기 CPC 광고를 클릭하여 접속하였다는 표시와 함께 조회하여 클릭한 키워드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11. a) 사용자 단말이 웹사이트에 접속시, 유저 데이터 비헤이버(userData Behavior)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가져올 수 있게 구현한 고유 유저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고유 ID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ID와 연계하여 저장된 접속 이력 정보를 접속 이력 DB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현재 접속자들을 상기 웹사이트의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재 접속중인 접속자들의 접속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접속자의 수를 실시간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한 접속자가 일정 숫자 이상일 경우, 채널 구분을 위한 요청을 웹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일정 숫자 이상의 초과 인원을 실시간 채널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방법.
KR1020080048821A 2008-05-26 2008-05-26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68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21A KR20090068101A (ko) 2008-05-26 2008-05-26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821A KR20090068101A (ko) 2008-05-26 2008-05-26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369 Division 2008-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101A true KR20090068101A (ko) 2009-06-25

Family

ID=4099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821A KR20090068101A (ko) 2008-05-26 2008-05-26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8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66B1 (ko) * 2010-02-05 2011-06-09 주식회사 로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서버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66B1 (ko) * 2010-02-05 2011-06-09 주식회사 로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075B1 (ko) 웹사이트 접속자 개개인별 실시간 로그 분석 시스템 및 그방법
US7610276B2 (en) Internet site access monitoring
US8131799B2 (en) User-transparent system for uniquely identifying network-distributed devices without explicitly provided device or user identifying information
US9106709B2 (en) Server side mobile audience intelligence creation
KR100931328B1 (ko) 복수의 접속 통계 서버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98763B1 (en) Methods for providing a profile completion recommendation module
KR100764690B1 (ko) 웹사이트의 통합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US11966445B2 (en) Recommending contents using a base profile
US20090265374A1 (en) Method For Generating Access Statistic Data On Individual Visitor To Web Site
KR102504075B1 (ko) 사용자 디바이스 이벤트의 매칭 및 속성
CN104221006A (zh) 包括视频的网页内容的优化
BRPI0621284A2 (pt) sistema e método de apresentação de dados e método de provisão de um jogo on-line
KR20100095208A (ko) 웹 페이지 클릭 정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070053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US200702828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search terms in connection with registered user of on-line searching service
JP201701654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100938814B1 (ko) 온라인상에 노출된 광고의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30724A (ko) 온라인 쇼핑몰 기반의 타겟 광고 제공 시스템, 그의 타겟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77759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20090068101A (ko) 웹사이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825B1 (ko) 지역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지역 인기 정보제공 시스템
KR20200024536A (ko) 검색 결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US890979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command and system thereof
KR100998815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20080103618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