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549A -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549A
KR20090066549A KR1020070134145A KR20070134145A KR20090066549A KR 20090066549 A KR20090066549 A KR 20090066549A KR 1020070134145 A KR1020070134145 A KR 1020070134145A KR 20070134145 A KR20070134145 A KR 20070134145A KR 20090066549 A KR20090066549 A KR 2009006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ignal
input unit
unit
latch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50037B1 (en
Inventor
최성재
Original Assignee
용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037B1/en
Publication of KR2009006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5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0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of different systems, e.g. of parallel feede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A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is provided to drive an electronic circuit breaker by supplying power to a midnight power load or interrupting the power to the midnight power load. A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includes a first signal input unit, a second signal input unit, a set coil, a reset coil, and a control unit(30). The first signal input unit generates on/off signals of direct current.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generates on/off signals of alternating current. The set coil is excited by a set coil driver. The set coil driver is used for turning on an electronic circuit breaker by setting a latch relay. A reset coil is excited by a reset coil driver. The reset coil driver is used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circuit breaker by resetting the latch relay. The set coil driver is drive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n 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and an 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The reset coil driver is drive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by an off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and an off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Description

전자 개폐기의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Driving device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전력량계를 사용할 때 타임스위치 방식의 심야전원 개폐기의 회로 블록도이다.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time switch type midnight power switch when us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power meter.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를 사용할 때 무접점 개폐기의 심야전원 개폐기의 회로 블록도이다.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midnight power switch of a contactless switch when us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wattme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자 개폐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야전력부하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전자 개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 device for an electronic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 device for driving an electronic switch for supplying / blocking power to a late night power load.

심야 경부하 시간대에 발전설비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일러등의 부하에 심야전력을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심야전력 공급장치는 오랜시간동안 발전되어 왔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심야전력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수용가들의 심야전력 공급장치는 현대식 전자기기와 기계식 기기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power generation equipment in the light load time of the late night, the late night power is used for the load of the boiler and the like, and the night power supply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since the late night pow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e late night power supply of the consumer is a mixture of modern electronic and mechanical devices.

심야전력부하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필수장치인 개폐기 또한 표준화된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설치된 장치들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서로 다른 사양의 개폐기가 연결된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은 실정이고, 이는 수용가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종래의 대표적인 개폐기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다.Switchgear, which is an essential devic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at midnight electric power load, is also not used in standardized equipment, and is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installed devices. Since it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used, manufacturing costs are high, which adds to the burden on customers. A typical representative switch is shown in FIGS. 1 and 2.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전력량계를 사용할 때 타임스위치 방식의 심야전원 개폐기의 회로 블록도이다.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time switch type midnight power switch when us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power meter.

전원공급단의 R, S, T 삼상전원은 개폐기(12)를 통과하여 부하(13)에 공급되고, 부하(13)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은 기계식 전력량계(10)에 의하여 측정된다. 또한, R상의 전원선로에는 타임스위치(11)가 설치되고, 타임스위치(11)는 심야전력대의 온/오프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온 시간에 개폐기(12)를 온시켜 부하(13)에 심야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오프 시간이 되면 개폐기(12)를 오프시켜 부하(13)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다.R, S, T three-phase power of the power supply stage is supplied to the load 13 through the switch 12,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load 13 is measured by a mechanical power meter (10). In addition, a time switch 11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line on R, and the time switch 11 is set to turn on / off time of the midnight power band. When the off time is to turn off the switch 12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13).

이때, 타임스위치(11)에 입, 출력되는 전원은 단상 전원 220V로 개폐기(12)는 220V 전원을 입력받고, 이 전원에 의하여 각 상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작동부를 구동시킨다.At this time, the power input and output to the time switch 11 is a single-phase power 220V, the switch 12 receives 220V power, and drives the operation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each phase by this power.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를 사용할 때 무접점 개폐기의 심야전원 개폐기의 회로 블록도이다.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midnight power switch of a contactless switch when us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wattmeter.

전원공급단의 R, S, T 삼상전원은 개폐기(23)를 통과하여 부하(24)에 공급되고, 부하(24)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은 전자식 전력량계(10)에 의하여 측정된다. 또한, R상의 전원선로에는 직류변환부(20)가 설치되어 220V의 전원을 전자식 전력량계(21)를 구동시키는 직류전원(12V)으로 변환시켜 전자식 전력량계(21)로 공급한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21)에는 심야 전력대의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어 심야전력대의 시간이 시작되면 직류전원(12V ~ 24V)의 구동신호를 무접점스위치(SSR)(22)에 공급하게 되고, 무접점스위치(22)는 직류전원의 구동신호를 개폐기(23)에 공급하게 되고, 개폐기(23)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작동부를 작동시켜 부하(24)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시키고, 심야전력 시간대가 종료되면 전자식 전력량계(21)는 차단신호를 마찬가지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R, S, T three-phase power of the power supply stage is supplied to the load 24 through the switch 23,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load 24 is measured by the electronic power meter (10). In addition, a DC conversion unit 20 is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line of R phase, and converts 220V power into DC power supply 12V for driving the electronic power meter 21 and supplies it to the electronic power meter 21. In addition, the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21 is set in the time zone of the late-night power band, and when the time of the late-night power band starts, the driving signal of the DC power supply (12 V to 24 V) is supplied to the solid state switch (SSR) 22, and the contactless point. The switch 22 supplies the drive signal of the DC power to the switch 23, the switch 23 operates the operat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to turn on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24, the end of the late night power time zone The electronic power meter 21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by supplying a blocking signal through the same path.

이와 같이, 도 1의 기계식 전력량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동작전원은 타임스위치(11)로부터 입력되는 220V이고, 도 2의 전자식 전력량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동작전원은 SSR(22)로부터 입력되는 직류12V 내지 24V이기 때문에 개폐기(23)의 구동장치는 개폐기(12)의 구동장치와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된다. 따라서 설치되는 전력량계의 종류에 따라서 별도의 개폐기 구동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As such, when the mechanical wattmeter of FIG. 1 is used, the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switch is 220 V input from the time switch 11, and when the electronic wattmeter of FIG. 2 is used, the operating power for operating the switch is SSR ( Since the DC 12V to 24V input from 22), the drive device of the switch 23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drive device of the switch 12. Therefore, a separate switch driving device must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icity meter to be install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 device for an electronic switchgear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electricity me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식 전력량계에 설치되었던 무접점 개폐기(SSR) 없이도 운용될 수 있는 전자식 개폐기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switch driving apparatus that can be operated without a contactless switch (SSR) installed in an electronic wattme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래취 릴레이에 의하여 전원 공급측으로부터 부하측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식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직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입력부;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입력부; 상기 래취 릴레이를 셋트시켜 상기 전자식 개폐기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세트 코일 구동부와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에 의하여 여기되는 셋트 코일; 상기 래취 릴레이를 리셋트시켜 상기 전자식 개폐기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리셋트 코일 구동부와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에 의하여 여기되는 리셋트 코일;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오프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rive device of an electronic switch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witch for disconnecting the power of the load side from the power supply side by a latch relay: a first signal input unit for generating a DC on / off signal ; A second signal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on / off signal of an alternating current; A set coil driver configured to set the latch relay to turn the electronic switch on, and a set coil excited by the set coil driver; A reset coil driving unit for resetting the latch relay and switching the electronic switch to an off state and a reset coil excited by the reset coil driving unit; The set coil driving unit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and the set coil driver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FF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et coil drive uni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를 작동시킬 것을 선택하도록하는 선택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가 작동시키도록 선택되면, 상기 제1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신호입력부의 오프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o operate the latch relay b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the control unit is the When the latch relay is selected to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a first signal input unit, the set coil driver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and an off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is generated.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reset coil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를 작동시킬 것을 선택하도록하는 선택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가 작동시키도록 선택되면,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o operate the latch relay b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the control unit is the When the latch relay is selected to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from a second signal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set coil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입력부는 상기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제어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의 유무에 따라 상기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for generating the on / off signal of the alternating current in the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alternating current,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unit to the drive voltage of the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on / off signal of the AC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안정화시켜 상기 제어부의 전원 공급핀에 공급하는 전원 안정화 IC; 상기 전원 공급핀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퍼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의 출력이 없을 때 상기 캐퍼시터의 충전전압이 방전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tabilization IC for stabilizing the output of the rectifier to supply to the power supply pin of the control unit; And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pin and ground, and when the output of the rectifier is absent,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apacitor is discharged to drive the contro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자식 전력량계 신호입력부(31), 타임 스위치 신호 입력부(33), 전원공급부(32), 출력상태 표시부(34), 세트 코일 및 세트 코일 구동부(35), 리셋트 코일 및 리셋트 코일 구동부(36), 선택부(37) 및 이들을 주변회로로 하여 제어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3 shows an electronic power meter signal input unit 31, a time switch signal input unit 33, a power supply unit 32, an output state display unit 34, a set coil and a set coil driver 35, and a reset coil. And a reset coil driver 36, a selector 37, and a controller 30 for controlling them as peripheral circuits.

제어부(30)는 외부에 다수의 입력핀과 출력핀이 설치되고, 내부에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입력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에 설정된 수순에 따라 출력핀에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콤이나, 논리회로와 증폭회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IC 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pins and output pins on the outside, the program is embedded therein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to the output pin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set 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pin, or logic It is preferably made of an IC chip which performs functions such as a circuit and an amplifier circuit.

제어부(30)의 신호입력핀(P1)에는 전자식 전력량계 신호입력부(31)가 연결되며, 신호입력핀(P2)에는 타임 스위치 신호 입력부(33)가 연결되고, 출력상태 표시핀(P3)에는 출력상태 표시부(34)가 연결된다.An electronic power meter signal input unit 31 is connected to the signal input pin P1 of the controller 30, a time switch signal input unit 33 is connected to the signal input pin P2, and an output to the output state display pin P3. The status display unit 34 is connected.

또한, 제어부(30)의 선택 입력핀(P4)에는 선택부(37)가 연결된다. 선택부(37)는 스위치(SW1)에 의하여 타임스위치와 전자식 전력량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위치(SW1)를 Vcc에 연결하면 타임 스위치의 출력단자(L1), (L2)로부터 신호 입력에 따라서 제어부(30)가 동작되도록 하고, 스위치(SW1)가 접지에 연결되면 전자식 전력량계의 출력단자(s1), (s2)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서 제어부(30)가 동작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lector 37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input pin P4 of the controller 30. The selector 37 allows the switch SW1 to select the time switch and the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That is, when the switch SW1 is connected to Vcc, the control unit 30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L1 and L2 of the time switch, and when the switch SW1 is connected to the ground, the output of the electronic power meter The control unit 3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 from the terminals s1 and s2.

또한, 리셋트 핀(P5)에는 리셋트 코일 및 리셋트 코일 구동부(36)가 연결되고, 셋트 핀(P6)에는 세트 코일 및 세트 코일 구동부(35)가 연결된다.In addition, a reset coil and a reset coil driver 36 are connected to the reset pin P5, and a set coil and a set coil driver 35 are connected to the set pin P6.

전자식 전력량계 신호입력부(31)는 전자식 전력량계 출력단자(s1), (s2)로부터 출력전압(DC 12~24V)을 입력받는 정류부(BD2)와 정류부(BD2)에 출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광을 출력하는 포토 다이오드(PD2)와, 포토 다이오드(PD2)의 광을 수광하여 신호입력핀(P1)의 전위를 로우(Low)로 만드는 포토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진다. 포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는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되거나 R, S, T 상 중의 한 상의 전원을 변환하여 정류한 직류전원 Vcc1과, 신호입력핀(P1)이 연결되고, 포토 다이오드(PD2)의 광에 의하여 포토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게 되면 신호입력핀(P1)은 저전위(Low)를 이루게 된다.The electronic wattmeter signal input unit 31 outputs light by the voltage output to the rectifying unit BD2 and the rectifying unit BD2, which receive the output voltages DC 12 to 24V from the electronic wattmeter output terminals s1 and s2. The photodiode PD2 and the phototransistor Q2 which receive the light of the photodiode PD2 and make the potential of the signal input pin P1 low. The collector of the photo transistor Q2 is connected to the DC power supply Vcc1 output from the wattmeter or the rectified power of one of the R, S, and T phases and rectified, and the signal input pin P1 is connected to the light of the photodiode PD2. When the photo transistor Q2 is turned on, the signal input pin P1 has a low potential.

또한, 타임 스위치 신호 입력부(33)는 타임 스위치의 출력단자(L1), (L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AC 220V)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트랜스(T1)와 트랜스 출력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BD1)와 정류부(BD1)의 전압에 의하여 발광되는 포토 다이오드(PD1)와, 포토 다이오드(PD1)의 광에 의하여 신호입력핀(P2)의 전위를 저전위(Low)로 만드는 포트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다. 포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전원(Vcc2)과 신호입력핀(P2)이 연결되고, 포토 다이오드(PD1)의 광에 의하여 포트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게 되면 신호입력핀(P2)의 전위는 저전위(Low)로 된다.In addition, the time switch signal input unit 33 includes a transformer T1 for converting the output voltage AC 220V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L1 and L2 of the time switch to low voltage and a rectifier BD1 for rectifying the transformer output voltage. Photodiode PD1 emitted by the voltage of the rectifier BD1 and the port transistor Q1 which makes the potential of the signal input pin P2 low by the light of the photodiode PD1. Is done. The power supply Vcc2 and the signal input pin P2 are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photo transistor Q1, and when the port transistor Q1 is conducted by light of the photodiode PD1, the potential of the signal input pin P2 is It becomes low potential.

제어부(30)의 전원 공급핀(미도시)에는 전원 공급부(32)가 연결되고, 전원공급부(32)는 정류부(BD1)의 전원을 입력받고, 출력단이 다이오드를 통하여 전원 공급핀에 Vcc2의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 IC(U1)와, 전원 공급핀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퍼시터(C2)로 이루어진다. 이때, 캐퍼시터(C2)는 정류부(BD1)에 연결된 정전압 IC(U1)로부터 전원 공급핀에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면, 캐퍼시터(C2)의 방전전압에 의하여 일정 시간(30msec) 동안 제어부(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A power supply unit 32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pin (not shown) of the controller 30, and the power supply unit 32 receives power from the rectifier BD1,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of Vcc2 through a diode. It consists of a constant voltage IC (U1) for supplying a, and a capacitor (C2)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pin and ground. At this tim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pin is stopped from the constant voltage IC U1 connected to the rectifying unit BD1, the capacitor C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 for a predetermined time (30 msec) by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capacitor C2. Allow power to be supplied.

또한, 출력상태 표시부(34)는 애노오드가 정류부(BD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Q3)에 연결된 포토 다이오드(PD3)를 포함하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출력상태 표시핀(P3)에 연결된다. 이때, 출력상태 표시핀(P3)은 신호입력핀(P1)이 저전위(Low)일 때 고전위(High)로 정해지기 때문에 타임 스위치의 출력단자(L1), (L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AC 220V)이 존재할 때는 트랜지스터(Q3)는 동작되게 되고, 포토 다이오드(PD3)는 발광되어 외부에 타임 스위치로부터 전원이 입력되고 있음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output state display unit 34 includes a photodiode PD3 having an an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ctifying unit BD1 and a cathode connected to the collector Q3 of the transistor Q3, and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Is connected to the output status indicator pin (P3).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state display pin P3 is set to high potential when the signal input pin P1 is low, the output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L1 and L2 of the time switch is high. When AC 220V is present, transistor Q3 is operated and photodiode PD3 emits light to indicate that power is being input from the time switch to the outside.

셋트 코일 및 셋트 코일 구동부(35)는 셋트 핀(P6)의 고전위(high)에 의하여 발광되는 포토 다이오드(PD4)와 포토 다이오드(PD4)의 광에 의하여 도통되는 트랜시스터(Q4)와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됨으로써 300V DC(VDD)에 의하여 여기되는 셋트 코일(RC1)을 포함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저항(R8)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저항(R9)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는 셋트 코일(RC1)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며, 에미터는 접지된다. 이때, 셋트 코일(RC1)에 의하여 동작되는 작동부는 래취 릴레이(latch relay)로 이루어진다. 또한, 세트 핀(P6)의 출력은 신호 입력핀(P1), (P2)이 저전위(Low)로 된 후 30msec 동안 고전위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셋트 코일(RC1)에는 30msec 동안 VDD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시간 동안에 래취 릴레이는 셋트 동작, 즉 온(ON) 동작을 수행하 게 되고, 이 이후에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set coil and the set coil driver 35 include a transistor Q4 and a transistor conducting by light of the photodiode PD4 and the photodiode PD4 that are emitted by the high potential of the set pin P6. Q4) includes a set coil RC1 excited by 300V DC (VDD). At this time,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4 is connected to VDD through resistor R8,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5,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5 is connected to VDD through resistor R9,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6,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6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7,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7, and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7 is a set coil. It is connected to VDD via RC1 and the emitter is ground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operated by the set coil (RC1) is made of a latch relay (latch relay). Also, the output of the set pin P6 maintains the high potential for 30 msec after the signal input pins P1 and P2 become low potential, and therefore, the set coil RC1 is held by VDD for 30 msec. The current flows, and during this time the latch relay performs a set operation, that is, an ON operation. After that, the latch relay keeps the ON state even when the current is cut off so that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또한, 리셋트 코일 및 리셋트 코일 구동부(35)는 리셋트 핀(P5)의 고전위(high)에 의하여 발광되는 포토 다이오드(PD5)와 포토 다이오드(PD5)의 광에 의하여 도통되는 트랜시스터(Q8)와 트랜지스터(Q8)가 도통됨으로써 300V DC(VDD)에 의하여 여기되는 리셋트 코일(RC2)을 포함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는 저항(R11)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는 저항(R12)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셋트 코일(RC1)을 통하여 VDD에 연결되며, 에미터는 접지된다. 이때, 리셋트 코일(RC2)에 의하여 동작되는 작동부는 래취 릴레이(latch relay)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세트 핀(P5)의 출력은 신호 입력핀(P1), (P2)이 저전위(Low)로 된 후 30msec 동안 고전위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리셋트 코일(RC2)에는 30msec 동안 VDD에 의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시간 동안에 래취 릴레이는 리셋트 동작, 즉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 이후에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set coil and the reset coil driver 35 may include a photodiode PD5 that emits light by the high potential of the reset pin P5 and a transistor that is turned on by light of the photodiode PD5. Q8) and a transistor Q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 a reset coil RC2 excited by 300V DC (VDD). At this time,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8 is connected to VDD through resistor R11,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9,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9 is connected to VDD through resistor R12,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10,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10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11, the emitter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11, and the collector of transistor Q11 is a set coil. It is connected to VDD via RC1 and the emitter is ground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operated by the reset coil (RC2) is made of a latch relay (latch relay).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reset pin P5 maintains a high potential for 30 msec after the signal input pins P1 and P2 become low potential, so that the reset coil RC2 has VDD for 30 msec. Current flows through the latch, and during this time, the latch relay performs a reset operation, that is, an OFF operation. d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선택부(37)의 스위치(SW1)를 VCC에 접속시켜, 타임 스위치 출력단의 전원이 입력된 후(S1), (S2), 타임 스위치의 출력전압에 변동이 없으면 셋트 코일(RC1), (RC2)는 여기 되지 않기 때문에 래취 릴레이는 동작하지 않고 래취 상태를 유지한다(S3), (S4). 그러나, 타임 스위치의 출력이 없던 상태에서 220V의 출력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정류부(BD1)로부터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VCC2가 발생되게 되고, 포토 다이오드(PD1)로부터 광이 발산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게 되어 신호 입력핀(P2)이 저전위(Low)로 되게 되고, 셋트 핀(P5)은 30msec 동안 고전위(high)를 발생시킨다(S5), (S6), (S7), (S8). 셋트 핀(P5)이 고전위인 상태에서는 포토 다이오드(PD4)는 광을 발산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4)를 도통시킨다.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게 되면, 트랜지스터(Q5), (Q6), (Q7)에 의하여 증폭된 전류가 셋트 코일(RC1)에 흐르게 되어 래취 릴레이를 셋트 상태로 변환시킨다. 또한, 래취 릴레이는 셋트 핀(P5)이 고전위가 발생된 후 30msec가 경과되어도 래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하측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S9), (S10).After the switch SW1 of the selector 37 is connected to the VCC and the power supply of the time switch output terminal is input (S1), (S2),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output voltage of the time switch, the set coils RC1 and (RC2). ) Is not excited, the latch relay does not operate and maintains the latch state (S3) and (S4). However, if the output voltage of 220V is generated in the state where there is no output of the time switch, VCC2 is generated because the voltage is generated from the rectifying part BD1, and light is emitted from the photodiode PD1, so that the transistor Q1 is generated. Becomes conductive so that the signal input pin P2 becomes low potential, and the set pin P5 generates high potential for 30 msec (S5), (S6), (S7) and (S8). ). In the state where the set pin P5 is at a high potential, the photodiode PD4 emits light and causes the transistor Q4 to conduct. When the transistor Q4 becomes conductive, current amplified by the transistors Q5, Q6, and Q7 flows in the set coil RC1 to convert the latch relay to the set state. In addition, the latch relay maintains the latch state even after 30 msec after the set pin P5 has generated the high potential,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side (S9) and (S10).

만일 타임 스위치 출력단(L1), (L2)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는 중에 중단되는 경우에는 VCC2가 제거되므로 캐퍼시터(C2)로부터 방전이 개시된다(S11). 이때, 방전시간은 리셋트 핀(P6)의 고전위 유지시간인 30msec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신호 입력핀(P2)은 S7단계와 반대로 고전위 상태를 30msec 유지하게 되고(S12), 리셋트 핀(P5)은 30msec 동안 고전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셋트 코일과 동일한 방식으로 리셋트 코일(RC2)은 여기되고, 래취릴레이는 리셋트 상태로 변환된 후 30msec가 경과되어도 리셋트 상태를 계속유지하게 된다(S14), (S15).If the voltage is interrupted while the voltage is input from the time switch output terminals L1 and L2, the discharge is started from the capacitor C2 since VCC2 is removed (S11). At this time, the discharge time is designed to maintain 30msec, which is the high potential holding time of the reset pin (P6). In this state, the signal input pin P2 maintains the high potential state 30 msec in contrast to step S7 (S12), and the reset pin P5 maintains the high potential state for 30 msec. In this state, the reset coil RC2 is exci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t coil, and the latch relay continues to maintain the reset state even after 30 msec has elapsed after being converted to the reset state (S14) (S15).

선택부(37)의 스위치(SW1)를 접지에 접속시켜, 전자식 전력량계의 출력단의 전원이 입력된 후(S1), (S2), 출력전압에 변동이 없으면 셋트 코일(RC1), (RC2)은 여기 되지 않기 때문에 래취 릴레이는 동작하지 않고 래취 상태를 유지한다(S17). 그러나, 전자식 전력량계의 출력이 없던 상태에서 12V~24V DC의 출력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포토 다이오드(PD2)로부터 광이 발생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게 되어 신호입력핀(P1)이 저전위(Low)로 되게 되고, 셋트 핀(P5)은 30msec 동안 고전위(high)를 발생시킨다(S16), (S18), (S19), (S20). 셋트 핀(P5)이 고전위인 상태에서는 S 9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셋트 코일(RC1)에 흐르게 되어 래취 릴레이를 세트 상태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래취 릴레이는 셋트 핀(P5)이 고전위가 발생된 후 30msec가 경과되어도 래취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하측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S20), (S21), (S22).After the switch SW1 of the selector 37 is connected to ground and the power supply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wattmeter is input (S1), (S2),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output voltage, the set coils (RC1) and (RC2) Since it is not excited, the latch relay does not operate and maintains a latch state (S17). However, when an output voltage of 12 V to 24 V DC is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output of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light is generated from the photodiode PD2, so that the transistor Q2 is conducted so that the signal input pin P1 has a low potential. Low, and the set pin P5 generates a high potential for 30 msec (S16), (S18), (S19), and (S20). In the state in which the set pin P5 has a high potential, the set pin P5 flows through the set coil RC1 in the same process as in step S9 to convert the latch relay into the set state. In addition, the latch relay maintains the latch state even after 30 msec after the set pin P5 has generated the high potential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side (S20), (S21), and (S22).

만일 전자식 전력량계의 출력단(s1), (s2)으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는 중에 중단되는 신호입력핀(P1)의 전위는 고전위로 되고(S23), 리셋트 핀(P6)은 고전위로 되어(P24) 리셋트 코일(RC2)은 여기된다. 따라서 래취 릴레이는 리셋트 상태로 작동되게 된다. 이때, 리셋트 핀(P6)의 고전위는 30msec 동안 유지되다 저전위로 전환되지만 리셋트 코일(RC2)에 의하여 동작되는 릴레이는 래취식이기 때문에 리셋 상태를 유지한다.If the potential of the signal input pin P1 is interrupted while the voltage is input from the outputs s1 and s2 of the electronic wattmeter, the potential becomes high (S23), and the reset pin P6 becomes high (P24). The set coil RC2 is excited. The latch relay is therefore operated in a reset state. At this time, the high potential of the reset pin P6 is maintained for 30msec and switched to low potential, but the relay operated by the reset coil RC2 maintains the reset state because it is a latch type.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량계가 기계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전자개폐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자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변형없이 전자개폐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an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onic switch even when the electricity meter is configured mechanically, and can operate the electronic switch without deformation even when configured electronically.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자개폐기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종래의 무접점 개폐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된다.In addition, when operating the electronic switch by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because the conventional contactless switch is not u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전자개폐기를 래취상태를 이용하여 동작시키기 때문에 소모 전력량이 줄어든다.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ecause the electronic switch is operated using the latch state.

Claims (5)

래취 릴레이에 의하여 전원 공급측으로부터 부하측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식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In the drive of the electronic switchgear which operates an electronic switch which cuts off the power supply side from the power supply side by a latch relay: 직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신호입력부;A first signal input unit generating a DC on / off signal;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입력부;A second signal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on / off signal of an alternating current; 상기 래취 릴레이를 셋트시켜 상기 전자식 개폐기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세트 코일 구동부와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에 의하여 여기되는 셋트 코일;A set coil driver configured to set the latch relay to turn the electronic switch on, and a set coil excited by the set coil driver; 상기 래취 릴레이를 리셋트시켜 상기 전자식 개폐기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리셋트 코일 구동부와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에 의하여 여기되는 리셋트 코일;A reset coil driving unit for resetting the latch relay and switching the electronic switch to an off state and a reset coil excited by the reset coil driving unit;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오프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 The set coil driving unit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and the set coil driver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FF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et coil driv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를 작동시킬 것을 선택하도록하는 선택부가 연결되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o operate the latch relay b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 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가 작동시키도록 선택되면, 상기 제1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신호입력부의 오프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리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The control unit drives the set coil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N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when the latch relay is selected to operate the signal b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signal input unit. And driving the reset coil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n off signal of the first signal input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 신호입력부 또는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를 작동시킬 것을 선택하도록하는 선택부가 연결되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o operate the latch relay b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unit or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신호입력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래취 릴레이가 작동시키도록 선택되면, 상기 제2 신호입력부의 온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셋트 코일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 The control unit drives the set coil driv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ON signal of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when the latch relay is selected to operate b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Driving device of the electronic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입력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ignal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on / off signal of the alternating current 상기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을 상기 제어부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AC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to a driving voltage of the controller;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압의 유무에 따라 상기 교류의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on / off signal of the alternating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안정화시켜 상기 제어부의 전원 공급핀에 공급하는 전원 안정화 IC; 상기 전원 공급핀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퍼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의 출력이 없을 때 상기 캐퍼시터의 충전전압이 방전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개폐기의 구동장치.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comprises: a power stabilization IC that stabilizes an output of the rectifying unit and supplies the stabilized output to a power supply pin of the controller; And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pin and the ground, wherei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apacitor is discharged when the output of the rectifier is absent to drive the contro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KR1020070134145A 2007-12-20 2007-12-20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100950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45A KR100950037B1 (en) 2007-12-20 2007-12-20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45A KR100950037B1 (en) 2007-12-20 2007-12-20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49A true KR20090066549A (en) 2009-06-24
KR100950037B1 KR100950037B1 (en) 2010-03-29

Family

ID=4099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45A KR100950037B1 (en) 2007-12-20 2007-12-20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0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7736A (en) * 2017-12-27 2018-06-01 福州大学 A kind of single-pole switch break feeds back automatic correction controling method
US10553381B2 (en) 2015-01-20 2020-0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ical switchgear for overcurrent protection using critical temperat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44Y1 (en) * 1991-08-06 1993-10-09 금성산전 주식회사 Power circuit for relay
JPH06162890A (en) * 1992-11-20 1994-06-10 Fuji Electric Co Ltd Contact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of electronic time switch
KR20070095517A (en) * 2005-10-27 2007-10-01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switch on-off device at watt hour meter signal l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381B2 (en) 2015-01-20 2020-02-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ical switchgear for overcurrent protection using critical temperature device
CN108107736A (en) * 2017-12-27 2018-06-01 福州大学 A kind of single-pole switch break feeds back automatic correction controling method
CN108107736B (en) * 2017-12-27 2021-01-29 福州大学 Single-pole switch breaking time feedback self-correct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037B1 (en)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578B2 (en) State machine controlled automatic transfer switch system
KR100607565B1 (en) Induction incoming circuit of noncontact power supply facility
JPS61501245A (en) power supply device
US20030057919A1 (en) Storage/discharging device charging circuit of multi-differential source
US6608403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AC redundant power sources and DC redundant power supplies
JPH06233529A (en) Switching regulator
KR100883771B1 (en) Electronic relay for open phase and reverse voltage protection
US20070159006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013119629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BY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IN STANDBY MODE
KR100950037B1 (en) Dr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101810371B1 (en) Automatic emergency power switching device
KR101126127B1 (en) Multi-channel power supply controller
US20050030684A1 (en) Low-voltage electronic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KR102300128B1 (en) Instantaneous power failure compensation device for SMPS
US9007794B2 (en) Control system for a power supply having a first half-bridge leg and a second half-bridge leg
JPH09261958A (en) Uninterruptive switching regulator
JPH10117485A (en) Inverter for sunlight generation
KR100627398B1 (en) Power supply apparatus
TW201904160A (en) Power supply having a control module with a second state that receives the good power signal to conduct the change-over switch and to step down the backup power
JP2000241477A (en) Operation method for direct current power supply device to be tested
KR20090062919A (en)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420281B2 (en)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device
KR100371164B1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power saving mode
KR20180023375A (en) Smart power device and controling methode thereof
KR100249763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