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536A -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 Google Patents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536A
KR20090065536A KR1020097007949A KR20097007949A KR20090065536A KR 20090065536 A KR20090065536 A KR 20090065536A KR 1020097007949 A KR1020097007949 A KR 1020097007949A KR 20097007949 A KR20097007949 A KR 20097007949A KR 20090065536 A KR20090065536 A KR 20090065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late
beverage extraction
polyester monofilament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토히로 기타가와
가츠시 기쿠치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700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536A/en
Publication of KR20090065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5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A filter for extracting a luxury drink being composed of polyester-based monofilaments and having a woven texture or a knitted tex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omprises polyester-based monofilaments having a flat cross section shape; and a bag filter for extracting a luxury drink in which the filter for extracting a luxury drink is used.

Description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본 발명은, 녹차, 홍차, 우롱차, 보리차, 재스민차, 애플차, 국물, 커피, 코코아 등의 기호성 음료의 추출용으로서 사용되는 필터로서,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새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used for the extraction of palates such as green tea, black tea, oolong tea, barley tea, jasmine tea, apple tea, broth, coffee, cocoa,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e beverages and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es made of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s.

종래, 녹차나 홍차 등의 기호성 음료를 마실 때에 사용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종이 등으로 구성한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었다.Conventionally, as a filter for extracting a palate drink used when drinking a palate, such as green tea or black tea, the thing comprised by the nonwoven fabric, paper, etc. which consist of polyolefin fiber, polyester fiber, etc. has been mainly used.

근년에는,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여 평직 조직으로 제직한 메시 직물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메시 직물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이용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은, 백 내부의 찻잎이 외부로부터 보이기 때문에 고급감이 있고, 나아가서는 향기나 추출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proposed to construct a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rom a mesh fabric woven into plain weave tissue using nylon monofilament or polyester monofilament. The palate for extracting beverages using a filter made of such a mesh fabric has a sense of quality because the tea leaves inside the bag are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furthermore, it has a feature of excellent fragrance and extractability.

그러나,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황변, 추출시의 열탕에 의한 치 수 변화, 형상 붕괴, 기호성 음료 성분을 흡수함으로 인한 색조 변화, 사용 후에 백을 용기에서 꺼낼 때의 열악한 액 빠짐, 가벼운 나일론의 비중에 의한 열탕 중에서의 추출용 백의 열악한 침강성, 사용 후의 소각에 의한 질소 산화물의 발생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s and palate beverage extraction bags containing nylon monofilament, yellowing due to oxygen in the air, dimensional changes due to hot water during extraction, shape collapse, color tone change due to absorption of palate beverage component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oor liquid drainage when the bag was taken out of the container after use, poor sedimentation of the extraction bag in the hot water due to the specific gravity of light nyl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by incineration after use.

한편,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으로서는,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이 융착하고 있지 않은 직물을 포함하는 것이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이 융착한 직물을 포함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On the other hand,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nd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bag containing the polyester monofilament include a fabric in which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warp and the weft is not fused, or a fabric in which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warp and the weft is fused.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그러나, 추출용 필터가, 실의 교차부가 융착하고 있지 않은 직물을 포함하는 경우, 감촉은 부드럽지만, 추출용 백을 제조할 때의 백 제조성이나 보형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나아가서는, 직물의 형상 붕괴에 의한 직목(織目)이 벌어지거나 찻잎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추출용 필터가, 실의 교차부가 융착한 직물을 포함하는 경우, 추출용 백을 제조할 때의 백 제조성이나 보형성은 뛰어나지만, 감촉이 딱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이러한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최근 유행하고 있는 테트라 형상의 추출용 백을 얻은 경우에는, 외부력에 의해 추출용 백이 변형하면, 추출용 백이 변형된 채로 본디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외관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extraction filter includes a woven fabric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yarn is not fused, the texture is soft, but the bag manufacturability and shape reten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xtraction bag are not sufficient. Furth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imber due to the shape collapse of the fabric is opened or tea leaves leak.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raction filter includes a woven fabric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yarn is f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ability and shape reten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xtraction bag are excellent, but the texture is hard. Furthermore, in the case of obtaining a tetra-shaped extraction bag which has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by using such an extraction filter, when the extraction bag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extraction bag does not return to the bonded state with its deformation. There was problem that this was bad.

또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는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티탄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는 특허 문헌 4에 개 시되어 있다. 또한,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은 특허 문헌 5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polyester multi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polyester multifilament made of a polyester obtained by using a catalyst containing a titanium compound and a phosphorus compound. Moreover, the tetra-shaped palate extracting bag is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5. As shown in FIG.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제345995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459951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제345995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3459952

특허 문헌 3:국제 공개 WO2004/009889호 팸플릿Patent Document 3: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4 / 009889 Pamphlet

특허 문헌 4:국제 공개 WO2004/063435호 팸플릿Patent Document 4: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4 / 063435 Pamphlet

특허 문헌 5:일본 특개 평5-193615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93615

<발명의 개시><Start of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새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having a soft texture and hardly leaking palate beverage powders, and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using the palate. The above object can be attained by the palate extracting filter and palate extracting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직물 조직 또는 편물 조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이다.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mposed of a polyester monofilament and having a woven or knitted structure, and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polyester monofilament. It is a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단사 섬도가 10∼60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편평한 단면 형상의 길이 중심선 방향의 길이(B)의, 이 길이 중심선 방향에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최대폭(C1)에 대한 비(B/C1)에 의해 표시되는 단면 편평도가 2∼6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편평 단면에 있어서, 편측당 2개 이상의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의 최대값(C1)의, 최소값(C2)에 대한 비 (C1/C2)가, 1.05∼4.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고,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ngle yarn fineness of the said polyester monofilament exists in the range of 10-60 dtex. Further,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ratio of the length B i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of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o the maximum width C1 in the dir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flatness represented by (B / C1) exists in the range of 2-6. Moreover, in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the said flat cross-sectional shape, two or more narrowing parts are formed per one side, and ratio of the maximum value C1 of the width to the minimum value C2 (C1 / It is preferable that C2) exists in the range of 1.05-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the said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from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exists in the range of melting | fusing point 255-265 degreeC. Further,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s a core-sheath structure, and the core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It is preferable that the cis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in the melting point of 170 to 240 ° C.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서,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사 섬도가 10∼60dtex의 범위의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고,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constituting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sectional shape is included as another polyester monofilament.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a ring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ange of 10-60 dtex of single yarn fineness is contained.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such a ring cross-sectional shape has a core-sheath structure, and the core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while the sheath component has a melting point of 170 to 240 ° C. It is preferably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광택 제거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0.5중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monofilament does not contain a gloss remover. Moreover, in polyester monofilament, 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of true specific gravity is 0.5 weight ppm or less.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가 직물 조직을 가지고, 또한 경사 밀도가 30∼300개/2.54㎝, 또한 위사 밀도가 30∼300개/2.54㎝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가 평직물 조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가 메시 편물 조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의 개구율이 40∼7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교차부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격자 패턴으로 필라멘트의 교차부가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has a textile structure, and the warp density is in the range of 30 to 300 pieces / 2.54 cm, and the weft density is in the range of 30 to 300 pieces / 2.54 cm. Do.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alate beverage extracting filter has a plain weave texture. The filter for palate beverage extraction may have a mesh knitted structur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exists in 40 to 75% of range. In addition, in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art of the intersection part of the filament which comprises a filter is fus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filaments is fused in a lattice pattern.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은, 상기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이다. 이러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으로서는, 테트라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using the palate extracting filter. As such a palate for extracting a palate, it is preferable to have tetra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채택할 수 있는 편평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lat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can be employ | adopted in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FIG. 2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테트라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etra shape.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또한 직물 조직 또는 편물 조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로서, 그 필터가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mposed of polyester monofilament and having a woven or knitted structure, and the filter includes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는 이러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섬도의 환 단면이나 삼각 단면 등 편평 형상을 가지지 않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터와 비교하여, 편평 단면의 효과에 의해, 필터의 밀도를 높이지 않고 개구율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새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가 얻어진다.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such a flat cross-sectional shape, and thus has a flat cross section in comparison with a filter including a monofilament having no flat shape such as an annular cross section or a triangular cross section of the same fineness. By the effect of, the aperture ratio can be reduced without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filter. As a result, the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which has a soft touch and hardly leaks palate beverage powder is obtained.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단사 섬도는, 10∼60dtex(더 바람직하게는 10∼40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5dtex)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단사 섬도가 60dtex보다 크면, 필터의 두께가 커지고 소프트한 감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단사 섬도가 10dtex보다 작으면, 충분한 모노필라멘트 강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필터의 제직 혹은 제편 밀도를 상당히 높이지 않으면 기호성 음료 분말이 새기 쉬워질 우려가 있고, 밀도를 높이면 제직 혹은 제편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The single yarn fineness of the polyester monofilam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60 dtex (more preferably 10 to 40 dtex, more preferably 20 to 35 dtex). If the single yarn fineness is larger than 60 dtex, there is a fear that the thickness of the filter becomes large and the soft feel is damaged. Conversely, if the single yarn fineness is smaller than 10 dtex, there is a fear that sufficient monofilament strength cannot be obtained. In addition, if the filter weaving or shredding density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everage beverage may easily leak, and if the density is increased, the difficulty of weaving or shredding may be increased and the cost may be increased.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편 평한 단면 형상의, 길이 중심선 방향의 길이(B)의, 이 길이 중심선 방향에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최대폭(C1)에 대한 비(B/C1)에 의해 표시되는 단면 편평도가 2∼6(더 바람직하게는 3.1∼5.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단면 편평도가 2보다 작으면, 상기한 바와 같은 단면 편평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는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단면 평평도가 6보다 크면, 제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ratio of the length B i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of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o the maximum width C1 in the direction crossing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flatness represented by (B / C1) exists in the range of 2-6 (more preferably 3.1-5.0). If the cross-sectional flatness is smaller than 2,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ffect due to the cross-sectional flatness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On the contrary, when cross-sectional flatness is larger than 6,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manufacture may become difficult.

또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편평 단면에 있어서,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측당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3∼5개)의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의 최대값(C1)의, 최소값(C2)에 대한 비(C1/C2)가, 1.05∼4.00(더 바람직하게는 1.1∼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단면(1)에 있어서, 3개의 잘록부가 길이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잘록부는 길이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대칭이어도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이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홈이 도수홈으로 되기 때문에,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포함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온수 또는 냉수에 침지하여 사용할 때,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이 침강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모노필라멘트의 길이 방향에 홈이 생김으로써 단면 평평도가 커도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비틀림이 일어나기 어렵고, 직물의 경사나 위사에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배치하였을 때, 편평 단면의 장변에 상당하는 부분의 측면이 직물의 표면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기 쉽고,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직물의 비틀림에 의한 직물의 개구율의 편차가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효과도 있다.Moreover, in 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the said flat cross section shape, as shown typically in FIG. 1, 2 or more (preferably 3-5 pieces) narrowing parts are formed per side |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C1 / C2 of the maximum value C1 of the width to the minimum value C2 is in the range of 1.05 to 4.00 (more preferably 1.1 to 1.5). In addition, in the cross section 1 shown in FIG. 1, three narrow portion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ength center l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ric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ength centerline, but it does not interfere even if it is asymmetric. Since the groove is a frequency groove when the cutout is formed in this manner, the palate for extracting the palate is likely to settle when the palate for extracting the palate containing the palate is extracted in hot or cold water. Furthermore, when the monofilament has a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cause distortion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even when the cross-sectional flatness is large, and when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disposed on the warp or weft of the fabric, The side surfa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 side of the flat cross section tends to be disposed toward the surface of the fabric, and even when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used, variations in the aperture ratio of the fabric due to the twisting of the fabric are unlikely to occur. There is also a losing effect.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글리콜 성분으로 제조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주로 테레프탈산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 외에 제3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제3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및 알킬렌글리콜 이외의 글리콜 화합물,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술폰의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 성분이 몰비(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90/5∼85/15의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지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고, 융점이 170∼240℃(더 바람직하게는 180℃∼220℃)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이러한 융점을 가지면, 후기와 같이 모노필라멘트끼리를 융착시킬 때, 융착이 용이해져서 바람직하다.The polyester polymer forming the polyester monofilament is made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glycol component. It is preferable that mainly a terephthalic acid is used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it is preferable to use 1 or more types of alkylene glycol mainly selected from ethylene glycol, trimethylene glycol, and tetramethylene glycol as a diglycol component. Especial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the range of melting | fusing point 255-265 degreeC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polyester-based polymer may contain a third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glycol component. As the third component, dicarboxylic acids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such as isophtha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dipic acid and sebacic acid; And glycol compounds other than alkylene glycol, for example, d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bisphenol A, and one or more kinds of bisphenol sulfone can be used. Especially, an acid component consists of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of the molar ratio (terephthalic acid / isophthalic acid) 90/5-85/15, a glycol component consists of ethylene glycol, melting | fusing point 170-240 degreeC (more preferably 180)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co-polyester (degreeC-220 degreeC). If a polyester monofilament has such melting | fusing point, when fusion | melting monofilaments with each other as mentioned later, fusion becomes easy and it is preferable.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고,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더 바람직하게는 180℃∼22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시스 성분의 융점에 대해서는, 공중합시키는 이소프탈산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컨트롤할 수 있다. 여기서, 융점이 170℃보다 낮으면, 후기와 같이 모노필라멘트끼리를 융착시킬 때, 용이하게 융착시킬 수 있지만, 모노필라멘트의 섬유 강도가 저하하거나, 제사성이 나빠지거나, 제직 공정의 공정 통과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시스 성분의 융점이 240℃보다 높아지면, 융착성이 나빠지고,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코어부와 시스부의 체적비는 전자:후자로 80:20∼20: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70:30∼30:70의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60:40∼40:6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성분의 체적 비율이 50% 미만으로 되면, 모노필라멘트의 섬유 강도가 저하하거나, 제사성이 나빠지거나, 제직 공정의 공정 통과성이 나빠지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코어 성분의 체적 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Further,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s a core-cis structure and the core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while the sheath component has a melting point of 170 to 240 ° C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in the range of 180 ° C to 220 ° C. The melting point of the cis componen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isophthalic acid to be copolymerized. Here, when melting | fusing point is lower than 170 degreeC, when fusing monofilaments with each other as mentioned later, it can fuse easily, but the fiber strength of a monofilament falls, a weaving property worsens, or the process passability of a weaving process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On the contrary, when melting | fusing point of a sheath component becomes higher than 240 degreeC,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dhesiveness may worsen and sufficient adhesive force may not be obtained. In addition, the volume ratio of the core portion and the sheath portion is in the range of 80:20 to 20:80 in the former: latter,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30 to 30:7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40 to 40:60. It is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In addition, when the volume ratio of the core component is less than 50%, the fiber strength of the monofilament may decrease, the weaving properties may deteriorate, or the process passability of the weaving process may be deteriorate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keep it at 50% or more.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 있어서, 광택 제거제의 함유량이 0.1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택 제거제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 산화 티탄 등의 광택 제거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투명해지고,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 중의 찻잎 등의 기호성 음료 분말이 외부로부터 보이기 때문에, 고급감이 연출되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said polyester type polymer, 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a gloss removal agent is 0.1 weight% or les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gloss remover is not included in the polyester polymer. When the polyester-based polymer does not contain a gloss remover such as titanium oxide,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becomes transparent, and palates such as tea leaves in the palate for extracting palate beverages are visible from the outside, creating a sense of quality. desirable.

상기한 바와 같은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 는,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국제 공개 WO2004/009889호의 팸플릿에 개시된 방사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때, 모노필라멘트로서 방사·연신하여도 되고, 멀티필라멘트로서 방사·연신한 후, 모노필라멘트로 분섬하여도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 있어서,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0.5중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진비중 5.0g/㎤ 이상의 안티몬이나 게르마늄 등의 금속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중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중에 포함되어 있으면,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사용할 때, 이러한 금속 원소가 용출할 우려가 있다. 또한, 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는, 국제 공개 WO2004/063435호 팸플릿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티탄 화합물과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obtained using the polyester polym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by the spinning method disclosed in the pamphlet of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4 / 009889. . In that case, you may spin and stretch as a monofilament, and you may split into a monofilament after spinning and extending as a multifilament. Moreover, in a polyester polymer, 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of true specific gravity is 0.5 weight ppm or les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metals, such as antimony and germanium, of a specific gravity of 5.0 g / cm <3> or more are not contained in a polyester-type polymer. If the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of true specific gravity is contained in a polyester-type polymer, when using the filter for palate extraction, such a metal element may elute. In addition, the polyester-based polymer can be obtained using a catalyst containing a titanium compound and a phosphorus compound, as disclosed in the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4 / 063435 pamphlet.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혼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혼율이 높을수록,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새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가 얻어져서 바람직하다. 그 혼율로서는, 3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중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00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eading ratio of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the higher the kneading ratio, the palatability of the palate and the palatability of the palate powder. A filter for beverage extraction is obtained and preferable. As the mixing ratio, 30 weight% or more is preferable, 50 weight% or more is more preferable, and 100 weight% is the most preferable.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환 단면이나 삼각 단면 등 편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다른 모노필라멘트로서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서는,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단사 섬도가 10∼60dtex의 범위인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서는,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모노필라멘트로서 이러한 모노필라멘트를 채택하면, 모노필라멘트끼리를 융착시키는 경우, 융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른 모노필라멘트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도, 전술과 동일한 이유에서 광택 제거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다른 모노필라멘트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에 포함되는,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0.5중량ppm 이하인 것이, 전술과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부와 시스부의 체적비는 전자:후자로 80:20∼20:8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70:30∼30:70의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60:40∼40:6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성분의 체적 비율이 50% 미만으로 되면, 모노필라멘트의 섬유 강도가 저하하거나, 제사성이 나빠지거나, 제직 공정의 공정 통과성이 나빠지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코어 성분의 체적 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on-flat polyester monofilament such as a ring cross section or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included as another monofilament, as another polyester monofilament, a polyester having a ring cross-sectional shape Preference is given to system monofilament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ring cross-sectional shape whose single yarn fineness is the range of 10-60 dtex is contained. As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such a ring cross-sectional shape, the core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while the cis component copolymerizes isophthalic acid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40 ° C. It is preferably formed of o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dopting such monofilament as another monofilament can facilitate the fusion when the monofilaments are fused together.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polymer which forms such another monofilament also does not contain the gloss removal agent for the same reason as mentioned abov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of true specific gravity contained in the polyester polymer which forms another monofilament is 0.5 weight ppm or less for the same reason a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e volume ratio of the core portion and the sheath portion is in the range of 80:20 to 20:80 in the former: the latter,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30 to 30:7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40 to 40:60. It is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In addition, when the volume ratio of the core component is less than 50%, the fiber strength of the monofilament may decrease, the weaving properties may deteriorate, or the process passability of the weaving process may be deteriorate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o keep it at 50% or more.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가 직물 조직 또는 편물 조직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그 직편 조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직물 조직을 채택하고, 직물의 경사 및 위사에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배치한 직물, 직물의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배치하고 다른 쪽에 편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배치한 직물, 직물의 경사 및/또는 위사에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와 편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번갈아 배치한 직물 등이 바람직하다. 직물의 직 조직으로서는 평직 조직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물의 편 조직으로서는 메시 편물 조직이 바람직하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ay have a woven fabric or a knitted fabric, and the straight tiss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woven fabric in which a fabric structure is adopted and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disposed on the warp and weft of the fabric, and the polyester mono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n either of the warp and weft of the fabric. A fabric in which a filament is disposed and a non-flat polyester monofilamen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alternately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and a non-flat polyester monofilament on the warp and / or weft of the fabric One fabric and the like are preferred. As the woven fabric of the woven fabric, a plain weave tissue is preferable. Moreover, as knitted fabric of a knitted fabric, mesh knitted fabric is preferable.

또한, 직편 조직의 밀도로서는, 경사 밀도가 30∼300개/2.54㎝(바람직하게는 60∼180개/2.54㎝, 더 바람직하게는 80∼130개/2.54㎝), 또한 위사 밀도가 30∼300개/2.54㎝(바람직하게는 50∼170개/2.54㎝, 더 바람직하게는 60∼120개/2.54㎝)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러한 범위보다 크면, 소프트한 감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밀도가 이러한 범위보다 작으면, 기호성 음료 분말이 새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knitted fabric is 30 to 300 pieces / 2.54 cm (preferably 60 to 180 pieces / 2.54 cm, more preferably 80 to 130 pieces / 2.54 cm), and the weft density is 30 to 300. It is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of 2 / 2.54 cm (preferably 50-170 piece / 2.54 cm, More preferably, 60-120 piece / 2.54 cm). If the density is larger than this range, the soft texture may be damaged. On the contrary, when the density is smaller than this range, there is a fear that the palate is liable to leak.

또한, 필터의 개구율로서는, 40∼7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개구율이 75%보다 크면, 기호성 음료 분말이 새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그 개구율이 40%보다 작으면, 소프트한 감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Moreover, as an opening ratio of a filter, it is preferable to exist in 40 to 75% of range. When the opening ratio is larger than 75%, there is a fear that the palate is liable to leak. On the contrary, when the opening ratio is smaller than 40%, the soft texture may be damaged.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는, 적어도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편평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여, 통상의 직기 또는 편기에 의해 용이하게 제편직할 수 있다.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of this invention uses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which has the said flat cross-sectional shape at least, and uses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which is not flat as needed, and it is easy by a conventional loom or knitting machine. You can knit.

또한, 제편직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를 구성하는 필라멘 트의 교차부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필터가 직물 조직을 가지고 있는 경우, 경사와 위사의 교점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가 편물 조직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인접하는 루프끼리가 적어도 일부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필라멘트의 교차부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하고 있으면,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제조할 때, 백 제조성이나 보형성이 향상되고, 또한, 절단된 단면에서 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In the knitted knitted palate extrac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section of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filter is fused. For example, when the filter has a woven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part of the intersection of the warp yarn and the weft yarn is fused. In addition, when the filter has a knitte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part of adjacent loops are fused. Thus, if at least a part of the intersections of the filaments are fused, the manufacture of 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using 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improves the bag manufacturability and shape retention, and also causes loosening in the cut section. It is difficult to do so it is preferable.

이와 같은 필라멘트의 교차부에서의 융착은, 모든 교차부가 융착하여도 되고, 종횡 격자, 경사 격자, 줄무늬 등 소정의 패턴으로 융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더 소프트한 감촉을 얻는 데 있어서, 격자상의 패턴으로 융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는, 상기 편평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교차부가 융착하고 있어도 소프트한 감촉이 손상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모든 교차부를 융착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가열 공기 중에서 필터를 열 처리하면 된다. 또한, 소정의 패턴으로 교차부를 융착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패턴 무늬를 가지는 열 롤에 의해 필터를 가열하면 된다.The fusion at the intersection of such filaments may be fused at all intersections, or may be fu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a longitudinal grid, an inclined grid, or a stripe. Especially, in obtaining a softer feel, it is preferable to fuse | melt in a grid | lattice-like pattern. Moreover, since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which has the said flat shape is contained 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is invention, even if all the intersection parts are fusion | melted, the soft touch is not impaired. In addition, in order to fuse all the intersection part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eat-process a filter in the heating air heated at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heat a filter with the heat roll which has a predetermined pattern pattern, in order to fuse an intersection part by a predetermined pattern.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는 상기와 같은 편평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 단면의 효과에 의해, 필터의 밀도를 높이지 않고 개구율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는, 소프트한 감촉과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새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서는, 필라멘트끼리의 교차점을 융착시킬 경우에는, 그 교차점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융착이 용이해진다.Since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polyester-type monofilament which has the above flat shape, the opening ratio can be made small without increasing the density of a filter by the effect of a flat cross section. As a result,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oft texture and palate powder are hard to leak. Furthermore, when fusing the intersection of filaments,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intersection becomes large, welding becomes easy.

다음에, 본 발명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은,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이다. 이러한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에는, 온수나 냉수에 침지시켜 사용하는 백이나 드립식의 백이 포함된다. 특히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을 가지는 백이 바람직하다.Next, the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 made using a palate extracting filter. Such palate beverage extraction bags include bags or drip bags used by being immersed in hot or cold water. In particular, a bag having a tetra shape as shown in Fig. 3 is preferable.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측정 항목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Next, although the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In addition, each measurement item in the Exampl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감촉의 소프트성(1) softness of texture

시험자 3명이 관능 평가에 의해, (4급) 매우 소프트함, (3급) 소프트함, (2급) 보통임, (1급) 딱딱함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Three investigators evaluated sensory evaluation in four stages: (grade 4) very soft, (grade 3) soft, (grade 2) moderate, and (grade 1) hardness.

(2)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2) Leakage of palate beverage powder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기호성 음료 분말로 선정하여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 내부에 일정량 넣고, 그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분말의 누출성을 (4급) 분말이 거의 누출되지 않음(누출 0∼10%), (3급) 약간 누출됨(10∼25%), (2급) 누출됨(25∼50%), (1급) 상 당히 누출됨(50% 이상)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A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leakiness of palatable beverage powders, a powder for palatability beverage extraction was selected by selecting a palate (powder compose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μm)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nufactured by Sansho Abrasives Co., Ltd.) as palatable beverage powder. A certain amount is put inside, and the bag is immersed in warm water, and the leakage of powder (class 4) hardly leaks powder (leakage 0-10%), (class 3) slightly leaks (10-25%), (Level 2) Leakage (25-50%), (Level 1) Significant leakage (at least 50%) was evaluated in four stages.

(3) 필터의 개구율(%)(3) Opening ratio of filter (%)

필터의 개구율(%)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또한, 개구부 면적이란 경사와 위사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총 면적이다.The opening ratio (%) of the filter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e opening area is the total area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warp and the weft.

개구율(%)=개구부 면적(㎟)/시료 총 면적(㎟)×100Opening ratio (%) = opening area (mm2) / sample total area (mm2) * 100

(4) 융점(4) melting point

Du Pont사제 열시차 분석계 990형을 사용하고, 승온 20□/분으로 융해 피크를 측정하여 융점을 구하였다.The melting point was calculated | required by measuring the melting peak at the temperature of 20 (square) / min using the Du Pont company thermal difference analyzer 990 type | mold.

(5) 보형성(5) prosthesis

필터에 힘을 가하였을 때, 직목이 벌어지는 것이 일어나기 쉬운지 아닌지에 따라 (3급) 직목이 벌어지는 것이 일어나기 어렵고 보형성이 양호함, (2급) 보통, (1급) 직목이 벌어지는 것이 일어나기 쉽고 보형성이 불량함의 3단계로 보형성을 평가하였다.When the filter is applied, it is difficult for the (class 3) job to open and the shape retention is goo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easy to open the job. Prosthesis was evaluated in three stages.

(6) 백 제조성(6) bag manufacturability

필터를 이용하여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을 때, 필터가 변형하기 쉬운지 아닌지에 따라 (3급) 필터가 변형하기 어렵고 백 제조성이 양호함, (2급) 보통, (1급) 필터가 변형하기 쉽고 백 제조성이 불량함의 3단계로 보형성을 평가하였다.When using a filter to obtain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depending on whether the filter is easy to deform, the (Class 3) filter is difficult to deform and the bag manufacturability is good, (Class 2) Normal, the (Class 1) filter Prosthesis was evaluated in three stages: easy to deform and poor in bag manufacturability.

[실시예 1]Example 1

우선, 국제 공개 WO2004/063435호 팸플릿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중합 촉매로서, 트리메리트산티탄(티탄 화합물) 5mmol%, 및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인 화합물) 30mmol%를 이용하여, 광택 제거제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57℃,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 0ppm)를 얻었다. 또한, 중합 촉매로서, 트리메리트산티탄(티탄 화합물) 5mmol%, 및 트리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인 화합물) 30mmol%를 이용하여, 산 성분이 몰비 93/7의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으로 이루어지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광택 제거제를 포함하지 않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융점 217℃,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 0ppm)를 얻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부에 배치하고, 한편, 상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시스부에 배치하고, 코어-시스형 복합 용융 방사 장치에 공급하고, 방사 온도 290℃에서 방사한 후에 연신함으로써,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코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시스부에 배치된, 단사 섬도 27dtex의 환 단면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코어부와 시스부의 체적비 80:20)를 얻었다.First, according to the method disclosed in the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4 / 063435 pamphlet, a gloss removal agent was used as a polymerization catalyst by using 5 mmol% of titanium trimellitate (titanium compound) and 30 mmol% of triethylphosphonoacetate (phosphorus compou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lting point 257 degreeC, content of the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of true specific gravity 0 ppm) which was not obtained was obtained. In addition, using 5 mmol% of titanium trimerate (titanium compound) and 30 mmol% of triethyl phosphonoacetate (phosphorus compound) as a polymerization catalyst, an acid component consists of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of the molar ratio 93/7, and glycol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ent of 0 ppm of metal elements of 5.0 g / cm <3> or more of melting | fusing point 217 degreeC, specific gravity of more than 5.0 ppm) which component does not contain the gloss remover was obtained. And the said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arrange | positioned at a core part, Meanwhile, the said copolymeriza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arrange | positioned at a sheath part, it supplies to a core-cis type | mold composite melt spinning apparatus, and it extends | stretches after spinning at the spinning temperature of 290 degreeC,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 section of single yarn fineness 27 dtex in which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disposed in the core portion and the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disposed in the sheath portion (volume ratio of core portion and sheath portion 80:20 )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여, 방사 구금에 천공되고,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필라멘트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1개의 용융 방사 구멍(길이 중심선의 양측에, 편측당 4개의 원호상 팽출부와, 그 사이에 형성된 3개의 잘록부를 가짐)을 통과시켜, 방사 온도 300℃에서 방사한 후에 연신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측당 3개의 잘록부를 가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 단면 편평도가 3.2이고, 필라멘트 단면 폭에 있어서의 비(C1/C2)의 값이 1.2이고, 단사 섬도 27dtex의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 필라멘트를 얻었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one molten spinning hole (four circular arcs per side on each side of the length center line) which is punched into the spinneret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ament cross-sectional shape shown in FIG.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ich has three narrow parts per side as shown in FIG. 1 by extending | stretching and extending after passing through an exit part and three narrow parts formed between them, and spinning at a spinning temperature of 300 degreeC, The cross-sectional flatness Is 3.2, the value of the ratio (C1 / C2) in the filament cross section width is 1.2, and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with a single yarn fineness of 27 dtex is obtained.

이어서, 상기 환 단면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경사에 배치하고, 한편,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위사에 배치하여 평직물 조직의 직물을 제직한 후, 그 직물을, 탄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온도 80℃의 온욕 중에서 침지 처리에 의해 정련한 후, 수세, 건조하였다.Subsequently, the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annular cross section is disposed on the slope, and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disposed on the weft yarn to weave the fabric of the plain weave tissue. The fabric was refined by dipping in a warm bath at a temperature of 80 ° C. containing sodium carbonate, and the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이어서, 가열 공기 중에서, 그 직물에 텐션을 가한 채로 열 처리(215℃)함으로써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을 모두 융착시킴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 밀도 113개/2.54㎝, 위 밀도 80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로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었다.Subsequently, heat treatment (215 ° C) is performed in the heated air with tension applied to the fabric to fuse all intersections of the warp and the weft of the fabric, thereby exhibiting 113 diameters / 2.54 cm and stomach density 80 as shown in FIG.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nsisting of a plain tissue fabric having a density of 2.54 cm was obtained.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56%, 감촉의 소프트성은 3급으로 소프트성이 뛰어난 것이었다.In the thus-obtained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e opening ratio was 56% and the softness of the texture was third grade and was excellent in softness.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4급으로 분말이 거의 새지 않았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alat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palate for extracting the palate which has a tetra shape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size of 250 to 355 μ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to prevent leakage of the palate.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powder was hardly leaked to the fourth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 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bag.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부에,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시스부에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나 있는 필라멘트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1개의 용융 방사 구멍(길이 중심선의 양측에, 편측당 4개의 원호상 팽출부와, 그 사이에 형성된 3개의 잘록부를 가짐)이 천공된 방사 구금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복합 용융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90℃에서 방사한 후에 연신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 단면 편평도가 3.2이고, 필라멘트 단면 폭에 있어서의 비(C1/C2)의 값이 1.2이고, 단사 섬도 27dtex의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코어부와 시스부의 체적비 80:20)를 얻었다. 그 편평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경사와 위사에 배치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직물 조직의 직물을 제직한 후, 그 직물을 탄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온도 80℃의 온욕 중에서 침지 처리에 의해 정련한 후, 수세·건조하였다.One melt spinning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ament shown in Fig. 1 using the sam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in Example 1 in the core portion and the same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in Example 1 in the sheath portion (length Spinning at a spinning temperature of 290 ° C., using a core-sheath type composite melt spinning apparatus having spinnerets punch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line with four circular arc bulges per side and three cuts formed therebetween) After stretching, the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1 has a cross-sectional flatness of 3.2, a value of ratio (C1 / C2) in the filament cross-sectional width is 1.2, and a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single yarn fineness 27dtex. Branches obtained a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volume ratio 80:20 of the core part and the sheath part). The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disposed on the warp and the weft yarn, and similarly to Example 1, after weaving a woven fabric of plain weave tissue, the woven fabric is a temperature containing sodium carbonate at 80 ° C. After refine | purifying by immersion treatment in the warm bath, it washed with water and dried.

이어서, 가열 공기 중에서, 그 직물에 텐션을 가한 채로 열 처리(215℃)함으로써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을 모두 융착시킴으로써, 경 밀도 97개/2.54㎝, 위 밀도 88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로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었다.Subsequently, heat treatment (215 ° C.) with the tension applied to the fabric in the heated air to fuse both intersections of the warp and the weft of the fabric to obtain a density of 97 density / 2.54 cm and 88 density / 2.54 cm stomach density. Eggplant was obtained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nsisting of a plain tissue fabric.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46%, 감촉의 소프트성은 4급으로 매우 소프트성이 뛰어난 것이었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us obtained, the opening ratio was 46% and the softness of the texture was fourth grade and was very excellent in softness.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4급으로 분말이 거의 새지 않았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alat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palate for extracting the palate which has a tetra shape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µ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and the leakiness of the palate is reduced.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powder was hardly leaked to the fourth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하여, 통상의 용융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방사 온도 300℃에서 방사한 후에 연신함으로써, 단사 섬도 27dtex의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얻었다.By using the sam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in Example 1 and stretching after spinning at a spin temperature of 300 ° C. using an ordinary melt spinning apparatus,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sectional shape of single yarn fineness of 27 dtex was obtained.

이어서,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와, 실시예 1과 동일한 환 단면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코어부와 시스부의 체적비 80:20)를, 1대1의 교호 배열로 경사에 배치하고, 한편, 실시예 1과 동일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위사에 배치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직물 조직의 직물을 제직한 후, 그 직물을, 탄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온도 80℃의 온욕 중에서 침지 처리에 의해 정련한 후, 수세·건조하 였다.Next, the polyester monofilament which has a ring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volume ratio 80:20 of a core part and a sheath part) which have the same ring cross section as Example 1 are alternately 1: 1. Arranged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array, while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having the same flat cross-sectional shape as in Example 1 was placed in the weft yarn, and weaving the fabric of the plain weave tissue, as in Example 1, the fabric, After scouring by dipping in a warm bath at a temperature of 80 ° C. containing sodium carbonate, it wa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이어서, 가열 공기 중에서, 그 직물에 텐션을 가한 채로 열 처리(215℃)함으로써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을 일부분 융착시킴으로써, 경 밀도 113개/2.54㎝, 위 밀도 80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로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었다.Subsequently, heat treatment (215 ° C.) with the tension applied to the fabric in the heated air to partially fuse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warp and the weft of the fabric to obtain a density of 113 density / 2.54 cm and 80 density / 2.54 cm stomach density. Eggplant was obtained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nsisting of a plain tissue fabric.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56%, 감촉의 소프트성은 4급으로 매우 소프트성이 뛰어난 것이었다.In the thus-obtained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e opening ratio was 56% and the softness of the texture was fourth grade and was very excellent in softness.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4급으로 분말이 거의 새지 않았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tetra-shaped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bag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µ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and the leakiness of the palate is reduced.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powder was hardly leaked to the fourth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 있어서, 열 처리의 온도를 190℃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이 융착하고 있지 않은, 경 밀도 113개/2.54㎝, 위 밀도 80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을 얻었다.Example 1 WHEREIN: Except changing the temperature of a heat processing to 190 degreeC,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it is 113 diameter / 2.54cm and 80 density of the density where the intersection of the warp and weft of a fabric is not fused. A plain tissue fabric having a density of 2.55 cm was obtained.

이어서, 그 평조직 직물을, 경사 격자상의 무늬를 새긴 열 롤에 의해 220℃에서 열 프레스하고, 열 롤의 무늬 부분만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을 부분적으로 융착시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었다.Subsequently, the plain fabric was heat-pressed at 220 ° C. with a heat roll engraved with an oblique lattice pattern, and only the pattern part of the heat roll was partially fus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warp and the weft to obtain a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48%, 감촉의 소프트성은 4급으로 매우 소프트성이 뛰어난 것이었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us obtained, the opening ratio was 48% and the softness of the texture was fourth grade and was very excellent in softness.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4급으로 분말이 거의 새지 않았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tetra-shaped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bag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µ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and the leakiness of the palate is reduced.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powder was hardly leaked to the fourth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열 공기 중에서의 열 처리 온도를 190℃로 변경함으로써,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을 융착시키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었다.In Example 1, by changing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heating air to 190 degreeC,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not fused the intersection of inclination and weft, and obtained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56%, 감촉의 소프트성은 3급으로 소프트성이 뛰어난 것이었다.In the thus-obtained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e opening ratio was 56% and the softness of the texture was third grade and was excellent in softness.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4급으로 분말이 거의 새지 않는 것이었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tetra-shaped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bag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µ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and the leakiness of the palate is reduced.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powder was little leaked in the fourth grade.

그러나, 직물에 힘이 가해지면 직목이 벌어지는 것을 일으키기 쉬워 보형성(1급)이 약간 떨어졌다. 또한,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을 때,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이 융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바이어스 방향(경사 방향)의 일그러짐,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백 제조성(1급)이 약간 불충분했다. 나아가서는, 절단된 단면에 있어서, 풀림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fabric, it is easy to cause the job to open, and the shape retention (class 1) is slightly decreased. In addition, when the tetra-shaped beverage extraction bag is obtained,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warp and the weft is not fused, so that distortion and deformation in the bias direction (inclination direction) are likely to occur, and the bag manufacturability (grade 1) is slightly insufficient. did. Further, loosening occurred in the cut sec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 있어서, 환 단면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의 모두에 배치하고, 경 밀도 97개/2.54㎝, 위 밀도 88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로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In Example 1, a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 section is disposed on both warp yarns and weft yarns, and has a density of 97 densities / 2.54 cm in diameter and 88 densities / 2.54 cm in stomach density.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obtained the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which consists of a cloth.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67%, 감촉의 소프트성은 1급으로 소프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us obtained, the softness of the opening ratio of 67% and the texture were inferior to the first grade.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 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3급으로 분말의 누출이 약간 보였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tetra-shaped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bag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size of 250 to 355 μ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to prevent leakage of the palate.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re was a slight leakage of the powder in the third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에 있어서, 환 단면을 가지는 코어-시스형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의 모두에 배치하고, 경 밀도 70개/2.54㎝, 위 밀도 65개/2.54㎝의 밀도를 가지는 평조직 직물로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얻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In Example 1, a core-sheath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 section is disposed on both warp yarns and weft yarns, and has a density of 70 density / 2.54 cm and 65 density / 2.54 cm stomach density.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except having obtained the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which consists of a cloth.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개구율 76%, 감촉의 소프트성은 1급으로 소프트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thus obtained, the softness of the opening ratio of 76% and the texture were inferior to the first grade.

이어서,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시일법으로 용착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트라 형상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을 얻었다. 그리고, 기호성 음료 분말로서 입경이 250∼355㎛인 Al2O3로 이루어지는 분말(산쇼연마재주식회사제 세라믹계 연마재 WHITE ARANDOM WAF54)을 내부에 넣은 백을 온수에 침지시키고, 기호성 음료 분말의 누출성을 평가한 결과 1급으로 분말이 상당히 누출되었다.Subsequently, it welded by the ultrasonic sealing method using 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nd obtained the tetra-shaped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bag as shown in FIG. Then, the bag containing the powder (ceramic abrasive WHITE ARANDOM WAF54 made by Sansho Abrasives Co., Ltd.) of Al 2 O 3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0 to 355 µm as a palate is immersed in hot water, and the leakiness of the palate is reduc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powder was leaked to the first grade.

또한, 보형성 3급, 백 제조성 3급으로 보형성 및 백 제조성이 모두 양호하였다.In addition, both the shape retention and bag manufacturability were good in the third grade and the manufactur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기호성 음료 분말이 잘 누출되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 및 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이 제공되고, 이들은 높은 실용성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having a soft texture and hardly leaking palate beverage powders, and 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using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which have high practicality.

Claims (18)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고, 직물 조직 또는 편물 조직을 가지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A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comprising a polyester monofilament, and having a woven or knitted structure,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단사 섬도가 10∼60dtex의 범위 내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ngle yarn fineness of the polyester monofilament is in the range of 10 to 60 dte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편평한 단면 형상의 길이 중심선 방향의 길이(B)의, 이 길이 중심선 방향에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최대폭(C1)에 대한 비(B/C1)에 의해 표시되는 단면 편평도가 2∼6의 범위 내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olyester monofila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maximum width C1 of the length B i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of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and intersecting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direction (C1). A filter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latness represented by the ratio (B / C1) to) is in the range of 2 to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의 편평 단면에 있어서, 편측당 2개 이상의 잘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의 최대값(C1)의 최소값(C2)에 대한 비(C1/C2)가 1.05∼4.00의 범위 내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flat cross section of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having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or more convex portions are formed per one side, and the ratio to the minimum value C2 of the maximum value C1 of the width is defined. A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in which (C1 / C2) is in the range of 1.05 to 4.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 멘트가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고,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2. The polyester monofila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s a core-sheath structure and the core component i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캜. And a cis component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having a melting point of 170 to 24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다른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로서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포함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comprises a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a ring cross-sectional shape as another polyester monofila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코어-시스 구조를 가지고, 코어 성분이 융점 255∼265℃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한편, 시스 성분이 융점 170∼240℃의 범위에 있는 이소프탈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8.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ving the ring cross-sectional shape has a core-sheath structure, and the core component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melting point of 255 to 265 ° C, while the sheath component has a melting point. A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with isophthalic acid in the range of 170 to 24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가 광택 제거제를 함유하 지 않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based monofilament does not contain a gloss rem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모노필라멘트에 있어서, 진비중 5.0g/㎤ 이상의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0.5중량ppm 이하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monofilament has a content of a metal element of 5.0 g / cm 3 or more in true specific gravity of 0.5 ppm by weight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직물 조직을 가지고, 또한 경사 밀도가 30∼300개/2.54㎝, 또한 위사 밀도가 30∼300개/2.54㎝의 범위 내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has a textile structure and has a warp density in the range of 30 to 300 pieces / 2.54 cm and a weft density in the range of 30 to 300 pieces / 2.54 cm. 제1항에 있어서, 평직물 조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palate has a plain weave texture. 제1항에 있어서, 메시 편물 조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filter for preference beverage extra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has a mesh knitted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개구율이 40∼75%의 범위 내인,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erture ratio is in the range of 40 to 75%. 제1항에 있어서,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교차부의 적어도 일부가 융착되어 있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filter is fused in the palate beverage extraction filter. 제15항에 있어서, 필라멘트의 교차부가 격자 패턴으로 융착되어 있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16. 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f claim 15, wherein the intersections of the filaments are fused in a lattice pattern.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기호성 음료 추출용 필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A palate for extracting palatable beverages prepared using the palate extracting fil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제17항에 있어서, 테트라 형상을 가지는 기호성 음료 추출용 백.18. The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bag of claim 17, having a tetra shape.
KR1020097007949A 2009-04-17 2006-09-20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KR200900655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7949A KR20090065536A (en) 2009-04-17 2006-09-20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7949A KR20090065536A (en) 2009-04-17 2006-09-20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536A true KR20090065536A (en) 2009-06-22

Family

ID=4099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949A KR20090065536A (en) 2009-04-17 2006-09-20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5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326A (en) * 2017-07-05 2020-03-16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Filament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nd fabric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326A (en) * 2017-07-05 2020-03-16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Filament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and fabric for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0686C (en) Soft stretch yarns and their method of production
RU2493964C2 (en) Fibrous sheet material
US20090241783A1 (en) Filter for extracting one&#39;s favorite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one&#39;s favorite drink
KR102575874B1 (en) Core-sheath conjugated fiber, slit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se fibers
KR20190087462A (en) Eccentric core-sheath composite fiber and horn
JP7206192B2 (en) Filament for fabric for palatability beverage extraction filter and fabric for palatability beverage extraction filter comprising the same
KR20140040265A (en) Islands-in-sea fiber
JP7281174B2 (en) Sheath-core composite thermoadhesive fiber
JP2009005911A (en) Polyester filament for beverage extraction filter
EP1524349B1 (en) Flat multifilament yarn knit fabric
JP2008163485A (en) Woven fabric for beverage extraction filter
JP2009202932A (en)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beverag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bag for extraction
JP4705797B2 (en) Method for producing heat fusion split fiber parent yarn
KR20090065536A (en) Filter for extracting luxury drink and bag for extracting luxury drink
JP2004149964A (en) Fusible yarn and defective-stitch-proof fabric
JP4852374B2 (en) Separating polyester filament and palatable beverage extraction filter obtained therefrom
JP4602856B2 (en) Latent crimped polyester composite fiber
JP5616610B2 (en) fabric
JP7063037B2 (en) Bulky and lightweight multifilament
JP2011157647A (en) Wiping cloth
JP5523270B2 (en) Fused mixed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woven or knitted fabric using the fused mixed yarn
JP2007046212A (en) Conjugate yarn and fabric product containing the same
JP4822779B2 (en) Unfused yarn with thickness spots
JP4395948B2 (en) Low shrinkage polyester yarn and polyester blended yarn comprising the same
JP7283995B2 (en) Wove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