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009A -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 Google Patents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009A
KR20090065009A KR1020070132424A KR20070132424A KR20090065009A KR 20090065009 A KR20090065009 A KR 20090065009A KR 1020070132424 A KR1020070132424 A KR 1020070132424A KR 20070132424 A KR20070132424 A KR 20070132424A KR 20090065009 A KR20090065009 A KR 2009006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oil
water
trap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사라
최효승
최시온
이진옥
Original Assignee
최사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사라 filed Critical 최사라
Priority to KR102007013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009A/ko
Publication of KR2009006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을 통하여 집유되며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기름 배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이다. 상면부에 집유 트랩이 있는 밀폐형 용기는 기름의 하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집유될 뿐더러 집유된 기름이 누설되지 않아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튜브형의 경우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수작업에 의존하는 해양 기름 오염 상황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 수집용 용기의 경우 일단 수집된 물은 밀폐되어 증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이 모든 일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특별히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원격제어형 밸브가 채택되면 보다 자동화가 진전되는 효과가 있다.
기름, 오염, 해양, 환경, 재해

Description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Vessel attached trap for oil collection}
본 발명은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의 기름 유출로 인하여 해상과 해안이 기름으로 오염된 경우 재앙에 가까운 환경 재해가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외에는 양동이나 바께스를 사용하여 오염 물질을 수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해상에서의 수작업 수거 방법과 모래 사장에서의 수작업 수거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도 못하다. 그 결과 많은 인력이 투입됨에도 큰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거된 원유등은 처리 공장까지 가기 전까지는 보다 밀폐된 조건이 요구되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한 상황에 있다.
또한, 가뭄을 대비하여 저수지나 강에 댐 형태로 물을 가두어 두고 있으나 이거싱 고갈되면 특별한 대책이 없는 실정에 있다.
별도로 물을 가두어 두는 시설이 요구되나 많은 설치비가 드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출원번호/일자 10-2001-0071211 (2001.11.16) '배수트랩 (draining traps)'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관으로 하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역 류하는 하수의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의 입구에 장치되고 상면에 걸름판이 장치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배수트랩의 내측에 단턱을 가진 장치홈을 형성하여 장치홈에 연결관을 투입하되 연결관은 상측에 환형테를 형성하여 하부가 걸림턱이 형성되게 하고 연결관의 하단 외주면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비닐재로 된 압착관의 상부에 연결관을 끼우고 고무링으로 압착관의 외주에서 연결관의 요입홈에 투입되게 하여 압착관을 연결관에 고정하며 압착관의 하단에는 환형의 압착관을 눌러 일자로 형성하여 눌려진 압착관의 외주에 탄편을 부착하여서 된 구조로 되어 배수트랩의 내측으로 하수가 공급되어야만 하수의 자중에 의해 압착관의 하단이 열려서 배수되고 하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압착관이 항상 닫혀 있음으로 배수관에서 역류하여 올라오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발명은 역류 방지 기능이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배수된 하수를 수집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못하다. 허베이 스피리트호(號) 기름 유출 후 씨프린스 사고 백서(白書)를 구해 읽어봤다. 읽고 나니 그때 정말 운이 좋았다는 걸 알게 됐다. 운이 조금만 삐끗했다면 한반도 바다엔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이 닥쳤을 것이다. 씨프린스는 갑판에 축구장 세 개가 들어갈 수 있는 유조선이다. 기름탱크가 중앙에 6개, 좌우에 5개씩 16개가 있다. 씨프린스가 중동에서 원유 26만6852t을 싣고 여수 앞바다로 온 게 1995년 7월 18일 밤이다. 선원은 20명, 선장은 41세 임모씨였다. 바다에서 사흘을 대기한 씨프린스는 21일 오후 여수 삼일항 원유 부두에 들어가 기름 하역작업을 벌였다. 태풍 페이가 올라온다는 소식에 22일 오후 하역을 중단하고 30㎞ 떨어진 먼 바다로 나왔다. 기름은 7개 탱크에 8만6886t 남아 있었다. 선장 임씨는 태풍이 올라오다가 세력이 약해지면서 부산 쪽으로 진로를 꺾지 않겠느냐고 봤다. 반대로 페이는 B급에서 A급으로 힘이 더 세졌다. 방향도 여수로 곧장 향했다. 23일 오전 10시 태풍주의보가 경보로 바뀌었다. 다음 신문기사를 참조한다. 선장은 배를 제주 쪽으로 대피시키기로 했다. 15톤 닻을 끌어올리는 데 한 시간이 걸렸다. 배가 움직이기 시작한 건 23일 오전 11시50분. 파도는 8~10m, 바람은 초속 45m였다. 왼쪽 옆구리로 태풍을 받은 씨프린스는 바람에 자꾸 떠밀렸다. 배는 오후 2시5분 여수 남쪽 32㎞ 작도에서 수중 암초에 걸렸다. 배 밑 철판이 밀려들어오면서 기관실에 화재가 발생했다. 통신이 끊기고 동력을 상실한 배는 오후 2시30분 암초에서 떨어져 나와 8㎞를 표류하다가 오후 5시 소리도 암초에 다시 걸렸다. 15.7m, 5.6m짜리 두 개 암초가 배 밑바닥을 뚫고 들어왔다. 저녁 8시26분 기관실에서 세 차례 폭발이 일어났다. 기관장은 갑판을 덮친 파도에 쓸려갔다. 선장과 나머지 선원 19명은 23일 새벽 5시30분 배를 탈출했다. 소방함들이 물을 뿌리기 시작한 것은 24일 오후 4시나 돼서였다. 불길은 25일 오전 10시 완전히 잡혔다. 배에서 기름을 빼내는 데 한달 보름이 걸렸다. 배 밑바닥으로 뚫고 들어온 암초가 배를 못박아 고정시켰던 것이 행운이었다. 배가 풍랑에 이리저리 떠밀렸으면 선체가 동강 날 수 있었다. 불이 기름탱크로 번지지 않은 것도 천운이었다. 구난 과정도 조마조마했다. 선체 중앙에서 선미까지 모든 탱크가 금이 가거나 구멍이 뚫린 상태였다.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선체는 언제라도 깨질 수 있었다. 실제 8월 27일 7호 태풍 재니스가 덮쳤을 때 선체 손상은 가중됐다. 씨프린스는 선박 해체업자에 1달러에 팔려 필리핀으로 예인되다가 12월 24일 수비크만 근처에서 돌풍을 만나 침몰해버렸다. 백서는 씨프 린스 사고가 태풍을 가볍게 보고 대피를 늦게 한 선장의 판단 착오 때문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씨프린스 유출 기름 5035t은 울산·포항까지 흘러갔다. 만일 싣고 있던 8만6000t이 모두 새나왔다면 어떤 결과가 왔을까. 씨프린스가 애당초 적재했던 26만t과 함께 침몰됐다면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이번에 태안을 오염시킨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유출 기름은 8000t이다. 우리나라엔 울산·여수·대산·인천에 정유시설이 있다. 기름 10만~30만t을 실은 유조선이 한해 600척 서·남해를 오간다. 유조선이 한반도 근해에 들어왔다가 떠날 때까지 5일 걸린다고 치면 한반도 바다엔 늘 8~9척의 유조선이 떠 있는 셈이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오가는 유조선도 남해를 지난다. 서·남해는 연간 2~3개 태풍도 지나간다. 씨프린스 때처럼 언제나 운이 좋을 것이라고 믿고 있을 수만은 없다. 우리는 이와 같이 불안한 상태에서 살고 있고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발명가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면부에는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있고 하면부에는 집유된 것을 추출하는 마개부가 형성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면부에 집유 트랩이 있는 밀폐형 용기는 기름의 하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집유될 뿐더러 집유된 기름이 누설되지 않아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튜브형의 경우 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수작업에 의존하는 해양 기름 오염 상황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 수집용 용기의 경우 일단 수집된 물은 밀폐되어 증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이 모든 일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특별히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원격제어형 밸브가 채택되면 보다 자동화가 진전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을 통하여 집유되도록 하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을 통하여 집유되며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기름 배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공기 주입식 튜브 방식인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이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투명체인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이다.
도면을 보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단면도이다.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02)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02)을 통하여 집유되도록 하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01)인 것이다.
상기 집유 트랩은 평상시는 공기나 액체등의 유통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며 기름등이 부어져 하중이 작용하면 집유 트랩 입구(03)가 벌어져 기름이 하강하게 된다. 기름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집유 트랩 입구가 닫혀져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설사 기름이 넘치는 상황이 되어도 원웨이 벨브 특성상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기름 배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수집된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으로 일부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공기 주입 꼭지가 구비된 공기 주입식 튜브 방식인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해상에서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용기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활도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투명체인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내부에 기름뿐만 아니라 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물만 제거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02)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상면부의 집유 트랩으로 기름(04, 04')이 수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때 집유 트랩 입구(03)는 기름의 자중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에 기름(04')이 수집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수집이 완료된 기름은 원웨이 벨브 특성상 누출되지 않고 밀폐된 용기내에 저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수 트랩(14)과 집수 받이(13)가 부착된 집수 용기(11)의 단면도이다.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우산을 뒤집어 놓은 형태의 집수받이(11)가 상기 상면부상에 구비되고 집수받이에 물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수 트랩(14)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내리는 비등 물이 부어지면 물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수 트랩을 통하여 집수되는 물 수집용 용기를 나타낸다.
상기 집수 트랩은 원웨이 밸브 형태로서 집수가 끝나면 자동적으로 닫혀 밀폐시키는 역활을 수행하여 장기간 물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수집된 물은 적절한 용수(15)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수 받이는 기계적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전체 혹은 일부가 에어 충진식 튜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의 상면부, 하면부, 측면부등은 에어 튜브 형식으로 구성되어 기계적 강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를 공기 대신 담아 놓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며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물 배 출 마개부 혹은 끝단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물 배출용 호수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물 수집용 용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 수집 용기는 다른 모든 액체 수집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고 분말 수집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마개부를 측면부 혹은 하면부에 형성시켜 기름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마개부 이외에 호수가 연결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주로 기름 수집에 관해서 언급했지만 상기 용기는 물 저장 용기로 활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물 수집이 용이하고 밀폐 저장 상태를 오랬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가뭄에 대비하는 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산이나 건물 화재 발생시 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산의 특정 개소에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물을 부어 넣을 수도 있고 비가 내리면 자연적으로 물이 채워지는 것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연간 1000미리의 비가 내린다면 그리고 상기 집수 받이 직경이 상기 집수 용기 직경 대비 4배가 크다면 250미리 강수량만으로 전부 채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집수 용기를 세워 놓는 것 자체만으로 물이 채워져 가뭄이나 산불 발생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산불 발생시 불이 상기 집수 용기에 닿으면 주로 프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집수 용기가 녹아 버리므로 자동적으로 물이 살포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집유 용기 혹은 집수 용기는 배출 마개부 혹은 끝단에 잠금 수단이 구비된 호스에 원격 제어형 밸브가 구비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물이 오랫동안 저장된 상태에서는 부패가 되므로 새로운 물이 채워지도록 안을 비워야 하는데 산과 같은 곳에 설치된 경우 일일이 사람이 그 작업을 실행하기가 곤란할 것이다.
또한, 산불 발생시 적정 시기에 안에 있는 물을 배출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단면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상면부의 집유 트랩으로 기름이 수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에 기름이 수집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집수 트랩과 집수 받이가 부착된 집수 용기의 단면도이다.
01 :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02 : 집유 트랩
04, 04' : 기름
11. 집수 용기

Claims (7)

  1.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을 통하여 집유되도록 하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2.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기름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유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유 트랩을 통하여 집유되며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기름 배출 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3.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우산을 뒤집어 놓은 형태의 집수받이가 상기 상면부상에 구비되고 집수받이에 물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수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물이 부어지면 물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수 트랩을 통하여 집수되는 물 수집용 용기.
  4. 측면부와 하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우산을 뒤집어 놓은 형 태의 집수받이가 상기 상면부상에 구비되고 집수받이에 물이 부어지면 움푹 파이게 되는 상면부에 원웨이벨브 기능의 집수 트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면부에 물이 부어지면 물의 자중에 의해 상면부가 움푹 파임과 동시에 상기 집수 트랩을 통하여 집수되며 상면부 혹은 하면부 혹은 측면부에 물 배출 마개부 혹은 끝단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물 배출용 호수가 연결 형성되어 있는 물 수집용 용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공기 주입 꼭지가 구비된 공기 주입식 튜브 방식인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혹은 상면부 혹은 하면부중 일부 혹은 전부가 투명체인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 혹은 끝단에 잠금 장치가 있는 호스에 원격 제어형 밸브가 구비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혹은 물 수집 용기.
KR1020070132424A 2007-12-17 2007-12-17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KR20090065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24A KR20090065009A (ko) 2007-12-17 2007-12-17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424A KR20090065009A (ko) 2007-12-17 2007-12-17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009A true KR20090065009A (ko) 2009-06-22

Family

ID=4099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424A KR20090065009A (ko) 2007-12-17 2007-12-17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0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5719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沉浮式漂浮物打捞装置
CN112695721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深水域漂浮物打捞装置
CN112695720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漂浮物打捞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5719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沉浮式漂浮物打捞装置
CN112695721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深水域漂浮物打捞装置
CN112695720A (zh) * 2021-01-31 2021-04-23 李菊菊 一种漂浮物打捞装置
CN112695719B (zh) * 2021-01-31 2022-06-21 广东襄绿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沉浮式漂浮物打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6596A (ko) 해양재난방지 및 해양환경산업발전을 위한 유해적조구제장비 및 종합재난 방지시스템.
US3502046A (en) Method of transporting and storing large quantities of water
KR20090065009A (ko) 집유 트랩이 부착된 해양 오염 기름 수거용 용기
RU2382150C2 (ru) Подвод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воды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KR101471139B1 (ko) 선체 파공으로부터의 기름유출방지 매니폴드
DE10323556B4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uffangen von unter Wasser austretenden Medien
FR3022534B1 (fr) Groupe de securite pour le remplissage et la vidange d'une cuve de stockage de produit chimique tel que de l'engrais liquide azote, et cuve a double paroi equipee
Hänninen et al. Acute oil spills in arctic waters–oil combating in ice
CN209535379U (zh) 船舶排水舷口
CN215708811U (zh) 一种危化品储罐覆土顶部种植排水结构
CN214580416U (zh) 一种新型的低温液化烃事故收集池
Nuckols et al. Maryland
CN215105172U (zh) 可通航截污装置
Olson et al. Runaway barges damage Marseilles Lock and Dam during 2013 flood on the Illinois River
KR100503511B1 (ko) 유류 및 화학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저장탱크용 안전밸브의밸브와 밸브 시트의 결빙 또는 동파 방지장치
Farrell A Wetland Functions Approach to Applying the Opinions from the Rapanos Decision
Middelmann et al. Flood risks
Jansson et al. Sweden seeking new technology to combat oil spills
Card et al. Response to the American Trader oil spill
Burton et al. Oil spill training handbook
Hong The optimization of emergency response for oil spill in Wusongkou waters
Okolo Oil Spill Preparedness in Kenya
Alexopoulos Problems encountered when Tankers lie at Ports. The Case of Pylos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ne Protection Zones
CLARK Major Baltic Study Under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