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881A -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881A
KR20090064881A KR1020070132248A KR20070132248A KR20090064881A KR 20090064881 A KR20090064881 A KR 20090064881A KR 1020070132248 A KR1020070132248 A KR 1020070132248A KR 20070132248 A KR20070132248 A KR 20070132248A KR 20090064881 A KR20090064881 A KR 2009006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arl pigment
coating
fragran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남
Original Assignee
이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남 filed Critical 이영남
Priority to KR102007013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4881A/ko
Publication of KR2009006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05Compounds containing metals of Groups 1 to 3 or of Groups 11 to 13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two oxy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12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장신구 소재의 표면에 도장되는 도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에서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성향 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도료조성물은 향료조성물이 첨가되는 초도용조성물, 중도용조성물,상도용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소재의 표면에 도장을 하는 것이다.
장신구, 도장, 조성물

Description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 조성물 및 도장방법 {COATING COMPOUNDS FOR FRAGRANCE EMISSION AND COATING METHODS}
본 발명은 각종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목재 등을 소재하는 장신구에서 장시간 동안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신구 소재의 표면을 코팅하는 도장용 조성물 및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시간 지속성 향 발산 기능이라 함은 정상적인 향 발산 기능이 3~6개월간 지속 되는 것을 말한다.
다양한 패션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들이 취하고 있는 의복뿐만 아니라 신체의 여러 부위에 착용하는 장신구는 그 종류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비롯한 색상 등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장신구로는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이 가장 많으며 이와 같은 장신구들은 주로 인공가공에 의한 인조진주 또는 기타 인조보석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천연진주는 자연적 색채 발현이나 우아함 등 고급장신구로 손색이 없지만 희귀성과 가공 등으로 인하여 매우 고가이며 아울러, 소장하거나 착용하는데도 매우 조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분실 도난 등 위험도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연진주를 대체 하기 위하여 상당히 오래전부터 인조진주가 제조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고 표면에 도장 되는 도료를 이용하여 천연진주 색상에 근접하는 인조진주가 제조생산되어 각종 악세사리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공적으로 생산되는 인조진주는 소비자 입장에서 낮은 생산원가와 천연진주에 버금가는 외관 때문에 손쉽게 구입이 가능하며 내구성과 규격 및 디자인의 다양화로 인하여 선택의 폭이 매우 넓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한국특허등록 제586152호 "인조진주용 열가소성 수지비드의 도장방법"과 한국특허등록 제601154호 "인조진주 도장용 조성물 및 미국특허등록 제6,890,379호 " 인조진주 도장용 조성물"(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납성분이 거의 없는 인조진주 도장용 조성물 및 도장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진주에 버금가는 색상과 우아함을 갖는 인조진주를 제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인조진주는 천연진주가 구비하고 있는 조건을 만족할 만큼 구비하고 있으나 향 발산기능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과 생활수준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향수사용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사람의 의복이나 몸에서 향이 발산되게 하는 수단으로 주로 액체상태의 향수를 의복이나 피부에 직접 뿌리거나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향수는 향 발산기능과 휘발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순도의 알콜에 향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알콜의 휘발성 때문에 향 발산 효과는 높게되나 향 지속성은 매우 낮아서 몇 시간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액체 상태의 향수는 의복에 뿌렸을 때 그 양이 많게 되면 물에 젖은 느낌을 받게 되고 드물게는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향 발산지속이 매우 짧아서 거의 매일 같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는 것이다.또한 화학도료로 표면이 도장된 인조진주를 비롯한 각종 장신구를 착용하였때 매우 드물지만 특수 체질을 가진 사람은 장신구와 접촉하는 피부 부위에 트러블이나 가려움증 또는 반점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부이상의 대부분이 특정 비타민 부족과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에서 알려지고 있는 인조진주 도장용 조성물은 꾸준한 기술력 발전에 의하여 색감과 질감 등에서 천연진주에 손색이 없으며 납성분 함량도 거의 없는 도료로 발전하였으며 도장시간 단축이나 건조시간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도료는 주원료가 화학약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여타도료와 마찬가지로 화학약품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가 없는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인체에 크게 해롭지는 않지만 냄새로 인한 작업 환경이 쾌적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냄새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료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키거나 없애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도 있었지만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는 과제로 남아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 즉, 일반적인 향수를 사용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즐겨 착용하는 장신구에서 선호하는 향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신구 이외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화학도료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냄새를 와환시키므로써 도장작업환경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진주를 비롯한 인조진주색상발현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장신구소재의 표면에 도장 되는 도료 조성물이 장시간 향 발산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도장용 도료에 향보유물질, 향지속성과 향강화 및 피부안정기능을 갖는 물질에 임의로 선택되는 향료를 첨가하여 향료 조성물을 도장용 도료와 혼합하며 이렇게 구성된 조성물은 1차도장, 2차도장, 3차도장 또는 그 이상의 도장 공정을 거쳐서 향 지속성을 강화시키고 향 지속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도장순서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을 특정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얻고 이를 특수 방법에 의하여 도장하는 것이다.
상기한 조성물로 도장되는 장신구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향료가 함유된 도료로 도포되어 있어서 이를 착용할 경우 별도의 향수가 필요 없게 되고 진열이나 보관상태에서도 항시 향기를 발산하게 되므로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되다.
또한 각종 장신구소재에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장할 경우에 기존 도장용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화학약품냄새가 크게 감소되므로 작업능률향상과 작업환경개선 효과를 가져 오게 되는 것이다.
1. 도료 조성물과 혼합이용되는 향료 조성물은 이하 물질 및 혼합비로 이루워진다.
1) 향료 조성물 중
① 향 보유기능에 의한 향과다 발산 차단기능과 자정 및 유연제 기능을 갖는 물질로서 10-또는 11-또는 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10-또는 11-또는 12- OXAHEXA DECANOLIDE)와
② 향 지속성,향강화성,향보유성 및 피부안정에 의한 트러블방지 또는 알러 지 및 피부반점 억제효과를 갖는 비타민B 군의 하나인 니코틴산 아미드(-酸-NICOTINIC-ACIDAMIDE)와
③ 주향료(통상 사용되는 일반 향수원액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도장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의 혼합비는 10-또는 11-또는 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 1~25중량% 니코틴산아미드 5~35중량%, 40~60%의 순수 알콜을 함유한 주향료 40~94 중량%를 혼합하여 향료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향료 조성물 중 10-또는 11-또는12- 옥사헥사 데카놀리드는 동물성 향료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사향노루에서 채취되는 사향(ARTIFICIAL MUSK)과 흡사한 향기를 지닌 합성된 화합물 향으로써 자체의 향만으로도 고급향으로 취급되고 있지만 다른 향수와 혼합하였을 때 더욱 고급스런 향을 발산하게 되고 향 보유기능과 향과다 발산차단기능과 향자정 및 유연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11-또는12-옥사헥사 테카놀리드의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향이나 기능이 매우 흡사한 대체물로써 에틸렌브라실레이트,데카논,시클로펜타 데카놀리드, 암브레틀리드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2. 본 발명 도장용 도료로써 상기 향료 조성물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초도,중도,상도용 조성물은 아래의 물질 및 혼합비로 이루워진다.
1) 초도용 조성물.
향료조성물 1~40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3.2~87.3 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30중량%, 셀룰로이드 1~8중량%, 장뇌 0.2~0.8 중량% 진주안료 0.5~8중량 %를 혼합하여 초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2) 중도용 조성물.
향료조성물 1~30 중량% 에틸아세티이트 15~40 중량% 부틸아세티이트 13.2~82.3중량% 셀룰로이드1~8중량% , 장뇌0.2~0.8중량 진주안료 0.5~8중량% 향료 를 혼합하여 중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3. 상도용 조성물.
향료조성물 1~28 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27중량% 부틸아세테이트 28.2~92.3중량% 셀룰로이드 1-8중량% 장뇌 0.2~0.8중량% 진주안료 0.5~8중량% 향료를 혼합하여 상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조성물의 혼합과정에 특히 유의할 점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와 상기 부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할 때 향료를 같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이유는 상기 향료에 포함된 알콜이 셀룰로이드를 용해시키지 못함으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틸아세테이트 및 향료를 혼합한 다음 셀룰로이드를 첨가 용해시킨 후 투명한 도료 상태에서 진주안료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완성한다.
상기 혼합방법은 초도용, 중도용,상도용 조성물을 혼합할 때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진주안료로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가 천연진주에 버금가는 색상이나 광택발현에 매우 적합하여 이를 100%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진주안료가 고가에서 생산원가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이산화티탄피복운모로 일부 대체하여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진주안료와 이산화티탄피복운모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10:90 또는 40:60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주안료로써 비철금속분말인 놋쇠(BRAS), 알미늄(ALUMINLUM), 동(COPPER)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초도,중도,상도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 혼합비에서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초도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조성물보다 중도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을 감소시키고 중도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보다 상도용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 첨가량은 약 30%씩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이유는 향발산 지속성을 장시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많은 초도용 조성물을 도장한 다음 그 위에 향료 조성물 첨가량이 약30% 정도 적은 중도용 조성물을 도장하고 그 위에 다시 향료 조성물 첨가량이 약30%정도 적은 상도용 조성물을 도장하는 것이 향발산 지속성을 장시간 유지하는데 가장 바람직하다.
장시간 실험을 통해 연구한 결과 향료 조성물 혼합량이 가장 적은 상도용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이 초도용 보다 약 60% 적은량이며, 중도용 보다 약 30% 적은량 이기 때문에 향 발산 범위나 향의 농도가 일반향수를 사용하였을 때와 거의 일치하게 된다.
만약, 중도용 조성물로 표면도장이 됐을 경우 향발산 범위가 너무 넓고 향농도도 짙게되며 초도용 조성물로 도장을 할 경우 향발산 범위는 더욱 넓고 향농도도 매우 짙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초도,중도,상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소재의 표면에 도장을 진행하는 것으로 먼저 초도용 조성물에 장신구소재를 침지하여 1차 도장을 한 다음 상온(18~25℃)에서 약20~30분간 건조(재도장이 가능한 상태)한다.
다시 중도용 조성물에 침지하여 2차 도장을 한 다음 상온(18~25℃)에서 약20~30분간 건조(재도장이 가능한 상태)한다.
다시 상도용 조성물에 침지하여 3차 도장을 한 다음 상온(18~25℃)에서 약20~30분간 건조하여 장신구소재의 도장 공정을 완료한다.
18~25℃의 상온에서 건조는 인공건조(예:섭씨45℃) 조건보다 건조시간이 길지만 인공건조에서의 건조는 향이 내열성에 다소 약하기 때문에 상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 설명한다.
<실시예1>(향료조성물)
10-또는 11-또는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 1.5kg과 니코틴산아미드 2kg과 40~60중량%의 알콜을 함유한 주향료 6.5kg을 용기에 넣고 혼합 교반하여 향료 조성물을 얻는다.
<실시예2>(초도용 조성물)
에틸아세테이트 6kg과 부틸아세테이트 3kg과 셀룰로이드0.5kg과 장뇌0.06kg과 진주안료1.3kg을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향료 조성물 3kg을 넣고 혼합하여 초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실시예3>(중도용 조성물)
에틸아세테이트 5kg과 부틸아세테이트 6kg과 셀룰로이드 0.5kg과 장뇌 0.06kg과 진주안료 0.7kg을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향료 조성물 2.5kg을 넣고 혼합하여 중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실시예4>(상도용 조성물)
에틸아세테이트 3kg과 부틸아세테이트 8kg과 셀룰로이드0.5kg과 장뇌 0.06kg과 진주안료 0.5kg을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향료 조성물 2kg을 넣고 혼합하여 상도용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초도용,중도용,상도용 조성물에 혼합되는 진주안료는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진주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가 15~50중량% 함유된 액체 진주안료가 매우 고가여서 생산단가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일부 대체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탄피복운모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진주안료10~40중량% 이산화티탄피복운모 60~9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물질의 진주안료로 비철금속분말인 놋쇠, 알미늄, 동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상기 초도용, 중도용, 상도용 조성물에 혼합되는 진주안료 혼합비와 동일하게 한다.
<실시예5>(도장순서)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된 장신구소재를 상기 초도용 조성물에 침지시켜 도장한 다음 상온 또는 인공건조 조건하에서 건조한다.
상기 초도용 조성물로 1차 도장된 장신구소재를 상기 중도용 조성물에 침지시켜 도장한 다음 상온 또는 인공건조 조건하에서 건조한다.
상기 중도용 조성물로 2차 도장된 장신구소재를 상기 상도용 조성물에 침지시켜 도장한 다음 상온 또는 인공건조 조건하에서 건조한다.
상당 기간 동안의 실험결과 상기 초,중,상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3차 도장까지 완료된 장신구에서 향 발산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초도용,중도용,상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초도용 조성물로 2회 도장한 다음 상도용 조성물로 1회 도장할 수도 있으며, 중도용 조성물로 2회 도장한 다음 상도용 조성물로 1회 도장할 수도 있으며, 초도용 조성물,중도용 조성물, 상도용 조성물로만 1회 이상 도장할 수가 있으나 이럴 경우 향발산 지속성과 향발산 농도에 큰 차이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초도용 조성물로만 1~3회 도장하여 장신구를 완성하게되면 향발산 농도가 너무 높아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중도용 조성물로 1~3회 도장할 경우도 향발산농도가 상당히 높게 된다.
상도용 조성물로만 1~3회 도장할 경우 향발산 농도는 적합하나 향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초도,중도,상도용 조성물에 혼합되는 향료 조성물의 농도를 점 차 낮게 하기 위하여 향료 조성물에 혼합되는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을 초도에서 중도, 중도에서 상도용 조성물로 갈수록 30중량%정도 감량하는 이유는 비드의 맨 안쪽에 도장층을 이루게 되는 초도용은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가장 많고 그 위에 중도용 조성물의 도장층이 감싸고 있으며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초도용 보다 적은 중도용 조성물의 도장층은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가장 적은 상도용 조성물이 감싸고 있어서 향발산이 억제되고 향료 조성물에 첨가된 10-또는 11-또는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에 의한 향보유기능과 향유연제의 기능에 의한 과다 발산 차단효과와 향자정 기능을 갖게 되므로 향지속이 매우 길어지며 향지속성, 향강화성, 향보유성 및 피부안전기능을 갖는 니코틴산아미드에 의하여 향지속성 강화나 보유 및 피부에 발생되는 이상을 방지 방지하여 상피조직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다.
특히 상기 10-또는 11-또는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는 동물향인 사향과 극히 흡사한 향기를 지닌 화화물로서 향 기능뿐만 아니라 여타의 향과 혼합됐을 때 오히려 고급 향기를 발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당 기간 동안의 실험결과 초도용,중도용,상도용 조성물로 도장하였을 때 주변온도나 보관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3~6개월간 향 발산효과가 지속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23)

  1. 향료 조성물, 초도용 조성물, 중도용 조성물, 상도용 조성물 이루워 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조성물.
  2. 10-또는 11-또는12-옥사헥사 데카놀리드 1~25중량%와 니코틴산아미드 5~35중량%와 주향료 40~94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향료 조성물.
  3. 향료 조성물 1~40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3.2~87.3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0~30중량% 셀룰로이드 1~8중량% 장뇌 0.2~0.8중량% 진주안료 0.5~8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와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놋쇠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알미늄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동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초도용 조성물.
  9. 향료 조성물 1~30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5~40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3.2~82.3중량% 셀룰로이드 1~8중량% 장뇌 0.2~0.8중량% 진주안료 0.5~8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중도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중도용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와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중도용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놋쇠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중도용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알미늄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중도용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동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중도용 조성물.
  15. 향료 조성물 1~28중량% 에틸아세테이트 5~27중량% 부틸아세테이트 28.2~92.3중량% 셀룰로이드1~8중량% 장뇌 0.2~0.8중량% 진주안료 0.5~8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17. 제 15항에서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비스므스옥시클로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진주안료와 이산화티탄피복운모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18. 제 15항에서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놋쇠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19. 제 15항에서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알미늄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20. 제 15항에서 있어서, 상기 진주안료는 동분말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용 상도용 조성물.
  21. 제 3항 내지 제 5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소재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다음 건조시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향 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방법.
  22. 제 3항 내지 제 5항의 조성물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소재를 도장한 다음 건조시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방법.
  23. 제 3항 내지 제5항의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장신구소재에 1회 이상 도장한 다음 건조시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송성 향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소재의 도장방법.
KR1020070132248A 2007-12-17 2007-12-17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KR20090064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48A KR20090064881A (ko) 2007-12-17 2007-12-17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48A KR20090064881A (ko) 2007-12-17 2007-12-17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881A true KR20090064881A (ko) 2009-06-22

Family

ID=4099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248A KR20090064881A (ko) 2007-12-17 2007-12-17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48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0403A (zh) 金莲花花香护肤皂及其制造工艺
CN105082290A (zh)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增韧持久百合花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US8932612B2 (en) Composition for cosmetic raw material containing cellulose dyed with natural coloring matter having improved photostability, and visual carri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90064881A (ko) 지속성 향(香) 발산 기능을 갖는 장신구 소재의 도장용조성물 및 도장방법
CN102173868A (zh) 表面喷砂雕刻的香味陶瓷首饰和饰品及其制作方法
CN101518386B (zh) 具有持续性散发香味功能的首饰品、涂层用涂料及涂层方法
CN105017950A (zh)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耐候防霉持久紫罗兰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JP2586764B2 (ja) 芳香塗料を利用してなるマニキュア製品
CN105058532A (zh) 一种用于竹编工艺品表面涂饰的抗菌柔性玫瑰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CN105086799A (zh) 一种用于竹编工艺品表面涂饰的珠光茶树花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KR20100086224A (ko) 향발산기능을 갖는 장신구 도장용 조성물
JP2020103749A (ja) 人造真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00615B2 (ja) 人造真珠の製造方法
KR101172987B1 (ko) 자외선을 이용한 색 변화 매니큐어의 제조방법
CN105434305A (zh) 一种新型多功能指甲油
CN105017951A (zh)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持久薰衣草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JPH10166799A (ja) 真珠光沢と香りを有する装飾物の製造方法
JPS5952065A (ja) 畳表の表面処理法
CN109836873A (zh) 一种安全环保家庭用漆及其应用
JP6727682B1 (ja) 液状組成物、および爪またはアクセサリー類の表面の光沢鏡面化方法
US8075822B1 (en) Stone-hard, mold-free, scented, and decorative bead and similar article, and method of fabrication
CN100460350C (zh) 一种玻璃珠及其制造方法
CN101857750A (zh) 一种红花益母草含香涂料的配制方法
TWM619142U (zh) 芳香療癒蠟燭結構
CN105058531A (zh)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阻燃持久薄荷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