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376A -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376A
KR20090064376A KR1020097004827A KR20097004827A KR20090064376A KR 20090064376 A KR20090064376 A KR 20090064376A KR 1020097004827 A KR1020097004827 A KR 1020097004827A KR 20097004827 A KR20097004827 A KR 20097004827A KR 20090064376 A KR20090064376 A KR 2009006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assembly
inductance
inductance assembly
cool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477B1 (ko
Inventor
마뗑 울
장-마크 시르
지안홍 슈
뤼셍 시
제인 라운델
조지 벌서크
프랑소와 메씨에
가브리엘 라코토니리나
Original Assignee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엠4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6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02K9/197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in which the rotor or stator space is fluid-tight, e.g. to provide for different cooling media for rotor and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계장치의 냉각 어셈블리 내측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고 구성되어 전기기계장치의 전체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인덕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계장치, 냉각 어셈블리, 인덕턴스 어셈블리, 바디부, 코일, 클립

Description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INDUCTANCE ASSEMBLY FOR AN 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전기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인덕턴스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제공된 전기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계장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전기기계장치는 통상적으로 고정된 고정자와 회전하는 회전자를 구비한다. 대체로 고정자는 외측에 있고, 회전자는 고정자와 동축으로 그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몇몇 전기기계장치에서, 고정자는 내부에 있고, 원통형 회전자는 고정자의 외측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들 전기기계장치는 이하 내부 고정자형 전기기계장치로서 칭한다.
이들 전기기계장치 중 몇몇은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얻고, 배터리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스트 회로(boost circuit)를 이용한다. 이는 예를 들면 배터리로부터의 전압이 감소하는 경우라도, 부하에 부여되는 전압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많은 응용(application)에 관계하고 있다.
이러한 부스트 회로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부스트 회로에서, 부하에 부여됨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덕턴스(inductance), 커패시터(capacitor), 두 개의 트랜지스터 및 두 개의 다이오드가 이용된다. 이러한 부스트 회로는 전기기계장치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많은 응용에서, 인덕턴스는 강 전류(strong current)를 유도하기 때문에 인덕턴스의 사이즈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턴스는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은 전기기계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서 방산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부스트 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내부 고정자형 전기기계장치의 내측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설명을 위하여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코일이 생략된 도면.
도 3은 도 2의 인덕턴스 어셈블리로 삽입되는 코일의 사시도.
도 4는 전기기계장치의 냉각 어셈블리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도 2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5는 전기기계장치의 냉각 어셈블리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도 2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유지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내부 고정자형 전기기계장치의 내측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설명을 위하여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코일이 생략된 도면.
도 8은 전기기계장치의 냉각 어셈블리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도 7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9는 전기기계장치의 냉각 어셈블리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도 7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인덕턱스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유지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인덕턴스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냉각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라인 12-12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냉각 어셈블리의 저부 사시도.
도 14는 도 7의 인덕턴스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다른 냉각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라인 15-15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원통형 내면을 갖는 냉각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inductance assembly)를 제공하며, 상기 인덕턴스 어셈블리는,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에 장착되게 구성되도록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각각 구비하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중앙 암이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제1 및 제2 헤드부 사이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레그부(leg portion)가 제공되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으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clip);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대략 원통형 내면을 갖는 내부 고정자가 제공되는 전기기계장치에 설치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상기 인덕턴스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고정자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 외면과, 대략 원통형 내면을 구비하는 냉각 어셈블리;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에 장착되게 구성되도록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각각 구비하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중앙 암이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제1 및 제2 헤드부 사이에 제공되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레그부(leg portion)가 제공되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으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clip);
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comprising)"와 결합하여 사용될 경우에서 단어 "하나의(a)"의 사용은 "하나(one)"를 의미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one or more)",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및 "하나 또는 그 이상(one or more than one)"의 의미로 사용되어도 모순은 없다. 유사하게, 단어 "또 하나(another)"는 적어도 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어 "포함하는(comprising)("이루어진다(comprise 및 comprises)" 등의 포함한다의 어떠한 형태)", "구비하는(having)("갖는다(have 및 has)" 등의 구비한다의 어떠한 형태), "포함하는(including)("포괄한다(include 및 includes)" 등의 포함한다의 어떠한 형태), 또는 함유하는(containing)("함유한다(contain 및 contains)" 등의 어떠한 형태)은 포괄적이고, 제한되지 않으며, 부가적이고, 재열거되지 않은 부재 또는 공정 단계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작용효과 및 특징은 그의 실시예들의 제한적이지 않은 다음의 설명을 이해함에 따라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만 주어진다.
대체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는 내부 고정자형 전기기계장치의 내측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확실하게 설치된다.
첨부 도면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20)를 설명한다.
도 2는 전기기계장치(미도시)의 내부 고정자(22) 내측에 설치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20)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덕턴스 어셈블리(20)는 대략 관형의 내부 고정자(22) 내측에 설치되는 대략 관형의 냉각 어셈블리(24)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인덕턴스 어셈블리(20)는 두 개의 바디부(26, 28), 상기 바디부(26, 28)에 삽입되는 복수의 코일(30)(도 3, 도 4 및 도 5 참조) 및 상기 냉각 어셈블리(24)에 상기 인덕턴스 어셈블리(20)를 유지시키는 두 개의 클립(32, 34)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6, 28)의 특징을 더욱 잘 나타내기 위하여 도 2에서 코일(30)은 도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디부(26, 28)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간소화를 위하여 하나의 바디부(26)만 설명된다.
도 2에서 더욱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26)는 대략 E자 형태로 되고, 냉각 어셈블리(24)의 내부 원통면(38)과 적절히 접촉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는 반-원통형 외면(36)을 갖는다. 상기 바디부(26)는 코일(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단차진 두 개의 길이방향 채널(channel)(42, 44)을 형성하는 중앙 암(arm)(40)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의 도 3을 참조하여 실례가 되는 코일(30)을 설명한다. 상기 코일(30)은 연속하는 코일을 산출하도록 헤드(50, 52)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레그부(leg portion)(46, 48)가 각각 제공되는 다수 턴(turn)의 사각형 와이어를 포함한다.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도시 예에서는 바디부(26, 28) 각각으로 삽입되는 인덕턴스를 형성하도록 다른 네 개의 코일(30)(도 3에서는 하나만 도시됨)이 이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들 네 개의 코일(30)은 서로 내측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코일(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네 개의 코일(30a, 30b, 30c, 30d)을 도시하고 있으며, 코일 30a는 가장 작게 이루어지고, 코일 30d는 가장 크게 이루어진다.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30a 내지 30d)이 길이방향 채널(42, 44)로 삽입되면, 코일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채널에서 서로 향하는 삼각형의 노치(58)(도 2 참조)에 두 개의 스토퍼(stopper)(54, 55)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바디부(26)의 외면(36)과 냉각 어셈블리의 내면(38) 사이에 키(key)(58) 및 키웨이(keyway)(60) 장치부가 제공된다. 상기 키 및 키웨이 장치부는 냉각 어셈블리(24)에서 인덕턴스 어셈블리(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조립 동안 상기 바디부(26, 28)를 정확히 위치 결정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4는 바디부(26, 28) 사이에 두 개의 클립(32, 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바디부(26, 28)의 외면(36)이 모따기 에지(chamfered edge)(62, 64)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클립(32)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클립(34)은 클립(32)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클립(32)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만곡된 스프링부(68)가 제공된 길이방향 편평한 몸체(66)를 구비한다. 따라서, 두 바디부(26, 28) 사이에서 냉각 어셈블리(24)로 삽입되면, 두 클립(32, 34)은 바디부의 외면(36)을 냉각 어셈블리(24)의 내면(38) 측으로 편향시킨다.
인덕턴스를 형성하도록 이용되는 코일(30)의 개수 및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응용에 따라 코일 사이에서의 상호 연결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바디부(26, 28)의 외면과 상기 냉각 어셈블리(24)의 내면 사이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코일(3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냉각 어셈블리(24)에 의해 집열 될 수 있으며, 전기기계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임을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첨부 도면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100)를 설명한다. 인덕턴스 어셈블리(10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여 전술한 인덕턴스 어셈블리(20)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대체로, 두 인덕턴스 어셈블리 간의 큰 차이점은 냉각 어셈블리(24) 내측에 인덕턴스 어셈블리를 설치하도록 이용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실제, 스프링부가 각각 제공되는 클립(32, 34)은 인덕턴스 어셈블리(20)용으로 이용되지만(도 6 참조), 바디부(106, 108)를 서로 멀어지게 편향시키도록 2개의 상보적 웨지형 블록(complementary wedge-shaped block)(102, 104)이 이용된다. 상기 블록(102, 104)은 열저항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인덕턴스 어셈블리에는 2세트의 상보적 웨지형 블록이 이용되지만, 바디부의 중앙 암(40) 사이에 세 번째 세트의 블록(도 11 및 도 12 참조)이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6, 108)의 외면(110)은, 두 클립(32, 34)이 그 바디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모따기 에지(62, 64)(도 4 참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 도면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한 인덕턴스가 삽입되는 두 개의 다른 냉각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냉각 어셈블리(200)를 설명한다. 상기 냉각 어셈블리(200)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냉각유체 입구(202), 냉각유체 출구(204) 및 상기 입구(202)와 출 구(204)를 서로 연결하는 냉각 채널(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각 어셈블리는 크래이들(cradle)(21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도록 내부 쇼울더(shoulder)를 형성하는 내부 돌기(208)가 제공된 대략 원통형 몸체(206)를 포함한다. 상기 크래이들(210)은 몸체(206)의 대략 원통형 내면과 합치하는 대략 원통형 외면(212)을 구비한다. 상기 내면(214)은 대략 C자형 단면을 가지며, 인덕턴스 어셈블리(1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지만 그의 코일은 크래이들(210)로부터 안전하게 멀리 있도록 하는 쇼울더(216)가 제공된다. 상기 쇼울더(216)는 인덕턴스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길이방향 스토퍼로서의 역할도 한다.
도 13은 돌기(208)는 연속적이지 않고, 패스너(fastener)(218)가 크래이들(210)을 바디에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냉각 어셈블리(300)를 설명한다. 냉각 어셈블리(300)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냉각유체 입구(302), 냉각유체 출구(304) 및 입구(302)와 출구(304)를 서로 연결하는 냉각 채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어셈블리(300)는 전술한 냉각 어셈블리(200)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들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에 더욱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각 어셈블리(300)의 몸체(306)는 도 12의 분리된 크래이들(210)과 형태상 유사한 크래이들부를 포함하는 단일체 몰딩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쇼울더(308)는 인덕턴스 어셈블리(100)에 대한 길이방향 스토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쇼울더(308)는 인덕턴스 어셈블리(100)를 적절한 위치에서 수용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코일(30)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각형 와이어가 이용되지만, 다른 단면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덕턴스 어셈블리의 조립 동안, 바디부는 코일(30)이 그 내부에 삽입되면 수지로 독립되게 함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바디 모두는 동시에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인덕턴스 어셈블리는 두 개의 바디부를 포함하지만, 해당 분야의 당업자는 두 개보다 많은 바디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인덕턴스 어셈블리를 디자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코일과 바디부 사이에 절연 필름(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적절한 절연 필름을 결정하는 위치에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바디부와 냉각 어셈블리 사이에 접착제(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적절한 접착제를 결정하는 위치에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그의 응용에 있어 첨부되는 도면에서 설명되고 전술된 상세한 구성과 구성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또는 전문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전술되었지만, 대상 발명의 사상, 범위 및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5)

  1. 대략 원통형 내면을 갖는 냉각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로서,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에 장착되게 구성되도록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각각 구비하며, 제1 길이방향 채널과 제2 길이방향 채널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중앙 암이 각각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 사이에 제공되는 제1 길이방향 레그부 및 제2 길이방향 레그부가 제공되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으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을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중앙 암은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과 제2 길이방향 채널은 단차진 채널인
    인덕턴스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서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네 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각각 상기 바디부의 단차진 채널의 대응하는 하나의 단차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복수의 턴의 사각형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각각 복수의 턴의 사각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서로 삽입되기 위한 사이즈를 갖고 구성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양단에 만곡된 스프링부가 제공된 길이방향 편평한 몸체를 구비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 각각은 상보적 웨지형 블록(complementary wedge shaped block)을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과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은 상보적 키 및 키웨이 장치부(complementary key and keyway arrangement)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과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제공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2. 대략 원통형 내면을 갖는 내부 고정자가 제공되는 전기기계장치에 설치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로서,
    상기 내부 고정자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 외면과 대략 원통형 내면을 구비하는 냉각 어셈블리;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에 장착되게 구성되도록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각각 구비하며, 제1 길이방향 채널과 제2 길이방향 채널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중앙 암이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제1 헤드부와 제2 헤드부 사이에 제공되는 제1 길이방향 레그부 및 제2 길이방향 레그부가 제공되며, 제1 레그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채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을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으로 편향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을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어셈블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에 대한 길이방향 스토퍼를 제공하도록 내부면에 제공되는 쇼울더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는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내면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쇼울더는 상기 냉각 어셈블리에 삽입 가능한 크래이들 부재(cradle element)에 의해 제공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중앙 암은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채널과 제2 길이방향 채널은 단차진 채널인
    인덕턴스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서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네 개의 코일을 포함 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각각 상기 바디부의 단차진 채널의 대응하는 하나의 단차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복수의 턴의 사각형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각각 복수의 턴의 사각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서로 삽입되기 위한 사이즈를 갖고 구성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양단에 만곡된 스프링부가 제공된 길이방향 편평한 몸체를 구비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립 각각은 상보적 웨지형 블록(complementary wedge shaped block)을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과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은 상보적 키 및 키웨이 장치부(complementary key and keyway arrangement)를 포함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바디부의 대략 반-원통형 외면과 상기 냉각 어셈블리의 대략 원통형 내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제공되는
    인덕턴스 어셈블리.
KR1020097004827A 2006-09-13 2007-09-10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 KR101447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4408706P 2006-09-13 2006-09-13
US60/844,087 2006-09-13
PCT/CA2007/001587 WO2008031200A1 (en) 2006-09-13 2007-09-10 Inductance assembly for an electric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76A true KR20090064376A (ko) 2009-06-18
KR101447477B1 KR101447477B1 (ko) 2014-10-06

Family

ID=3918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827A KR101447477B1 (ko) 2006-09-13 2007-09-10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23507B2 (ko)
EP (1) EP2062273A4 (ko)
JP (1) JP4989727B2 (ko)
KR (1) KR101447477B1 (ko)
CN (1) CN101517664B (ko)
CA (1) CA2659126C (ko)
WO (1) WO2008031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2460A1 (en) * 2008-06-25 2009-12-31 Lin Hsun-I High-frequency switching-type direct-current rectifier
EP2384534B1 (en) * 2009-01-13 2020-08-05 DANA TM4 Inc. Liquid cooling arrangement for electric machines
WO2013067627A1 (en) * 2011-11-08 2013-05-16 Tm4 Inc. Cooling assembly for electric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3169A (en) * 1983-07-11 198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 type transformer having improved ducting
US4874977A (en) * 1988-05-09 1989-10-17 F & B Mfg. Co. Stator assembly having coil bobbins with retaining clips
US5910691A (en) * 1995-03-20 1999-06-08 Wavre; Nicolas Permanent-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US6593836B1 (en) * 1998-10-20 2003-07-15 Vlt Corporation Bobbins, transformers, magnetic components, and methods
US6633097B2 (en) * 2001-09-10 2003-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chanical joining for water-cooled motor frame
US6601547B2 (en) * 2001-10-15 2003-08-05 Osama M. Al-Hawaj Axial piston rotary power device
US7401124B2 (en) * 2003-09-05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to write information to two geographically separated virtual tape servers
US6960851B2 (en) * 2003-12-02 2005-11-01 Tm4 Inc. Cooling device including a biasing element
CA2452085A1 (en) 2003-12-04 2005-06-04 Tm4 Inc. Cooling assembly for electric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2273A4 (en) 2012-11-28
JP4989727B2 (ja) 2012-08-01
KR101447477B1 (ko) 2014-10-06
US7423507B2 (en) 2008-09-09
CN101517664B (zh) 2011-09-21
WO2008031200A8 (en) 2008-07-03
US20080117013A1 (en) 2008-05-22
CA2659126C (en) 2012-07-24
CA2659126A1 (en) 2008-03-20
JP2010504069A (ja) 2010-02-04
EP2062273A1 (en) 2009-05-27
WO2008031200A1 (en) 2008-03-20
CN101517664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77141A (ja) 特にオイルポンプに好適な電子整流式のdcモータ
US8299664B2 (en) Drive apparatus and semiconductor module
KR20150030627A (ko) 전기 모터
KR20090027728A (ko) 매립형 영구자석을 구비한 전기 기계
CN105703600B (zh) 具有模板的次级部分
KR20090064376A (ko) 전기기계장치용 인덕턴스 어셈블리
DE29905646U1 (de) Bürstenloser Permanentmagnet-Gleichstrommotor mit Einheiten aus gegenüberliegenden Paaren mit einem axialen Magnetfeld
HUP0500451A2 (hu) Forgórész villamos géphez
RU2641896C2 (ru) Несущая магниты подвижная часть для синхронной машины с постоянными магнитами
MXPA05012905A (e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imanes permanentes en el interior de una culata de un inductor de motor electrico.
US20170199253A1 (en) Magnetic sens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60118872A1 (en) Linear motor
KR101870450B1 (ko) 모터
US7868513B2 (en) Vehicle A.C. generator
US10498285B2 (en) Temperature calculation system of motor using thermal equivalent circuit
US9470237B2 (en) Electric fluid pump
KR101162106B1 (ko) 차량용 발전기
JP2008245492A (ja) 可動コイル型リニアモータ
US20130076173A1 (en) Alternator having a heat sink and method
JP2015061408A (ja) 車両用回転電機
BR9714009A (pt) Motor elétrico
JP2001231246A (ja) キャンド・リニアモータ
CN108028555B (zh) 马达和马达控制电路
JPH07260511A (ja) 磁気式回転位置検出器
JP2006288138A (ja) モー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