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365A -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365A
KR20090063365A KR1020070130688A KR20070130688A KR20090063365A KR 20090063365 A KR20090063365 A KR 20090063365A KR 1020070130688 A KR1020070130688 A KR 1020070130688A KR 20070130688 A KR20070130688 A KR 20070130688A KR 20090063365 A KR20090063365 A KR 20090063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adhesive
roll
draina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07013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365A/ko
Publication of KR2009006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P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롤을 이용하여 보드판의 융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보드판과 함께 공급되는 배수용 필터를 압착롤로 압착하여 드레인보드를 형성함으로써, 드레인보드의 생산을 자동화하여 종래보다 약 3배 이상의 생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는, 어느 하나에 접착제(130)가 도포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롤(200);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착제(130)가 도포된 보드판(11)의 융기부(12)에 배수용 필터(20)를 압착하여 부착시켜 주는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에 의해 형성된 드레인보드(10)를 권취시켜 주는 권치롤(400);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500); 및 상기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 및 구동수단(500)을 지지해 주는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30688
압착롤, 접착제롤, 간격조절장치, 드레인보드, 부직포

Description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Drain Board for the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착롤을 이용하여 융기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보드판과 배수용 필터를 압착하여 제조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속에 매설되는 외벽이나 내벽 또는 콘크리트의 바닥하부면에는 수압에 의해 구조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하게 된다.
배수처리 공법에는 보통 도 1a와 도 1b와 같이 드레인보드를 이용하는 배수처리 공법과 자갈을 이용하는 배수처리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드레인보드공법은 지면과 맞닿는 콘크리트 구조물(30)의 측면에 드레인보드(10')를 설치한 후 토사(50)를 되메꾸어서 시공하고, 자갈배수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30)의 측면에 자갈(40)을 쌓은 다음 토사(50)를 되메꾸어서 시공한다.
최근에 와서는, 자갈배수 공법의 경우, 자갈 사이로 토사라든가 잔입자가 유입되어 배수공(배수로)를 막아 버려 배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토사라든가 잔입자의 침임을 방지할 수 있는 드레인보드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레인보드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30)과 토사(50) 사이에 입체적으로 구조화된 드레인보드(10')를 이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배수 효과가 크고 특히 배수용 필터를 통해 토사라든가 잔입자의 유동을 차단하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30)에 가해지는 수압을 감소시켜 콘크리트 구조물(30)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준다.
이러한 드레인보드(10')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드판(11')에 투수성이 있는 부직포(13')를 부착하여 제작하게 된다. 보드판(11')은 플라스틱을 많이 이용하며, 일면에는 돌기 형상의 융기부(1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13')는 이 융기부(12')의 상단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드레인보드(1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보드판에 부직포를 부착함에 있어서, 부직포에 접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린 다음 이 부직포를 보드판에 부착하여 드레인보드를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2) 특히, 이러한 드레인보드의 제조는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루 생산량이 100롤 정도 밖에 생산할 수 없어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접착제롤을 이용하여 보드판의 융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보드판과 함께 공급되는 배수용 필터를 압착롤로 압착하여 드레인보드를 형성함으로써, 드레인보드의 생산을 자동화하여 종래보다 약 3배 이상의 생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는,
어느 하나에 접착제(130)가 도포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롤(200);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착제(130)가 도포된 보드판(11)의 융기부(12)에 배수용 필터(20)를 압착하여 부착시켜 주는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에 의해 형성된 드레인보드(10)를 권취시켜 주는 권치롤(400);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500); 및
상기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 및 구동수단(500)을 지지해 주는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접착제롤(10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접착제롤(100b)에는 양단에 각각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간격조절장치는 제2접착제롤(100b)이 상하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베이스(600)에 장착된 1쌍의 가이드(110)와, 1쌍의 가이드(110) 사이에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나사구조로 제2접착제롤(100b)을 가압해 주는 조절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절부(120)는 융기부(12)의 높이에 따라 8~15mm 범위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접착제롤(100a)은 일측에 제1접착제롤(100a)과의 사이에 접착제(130)를 수용하여, 제1접착제롤(100a)의 회전시 그 표면에 접착제(130)를 도포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3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착제(130)는 묽은 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드판(11)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수용 필터(20)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수단(500)은 보드판(11) 및 배수용 필터(20)를 12.5~13m/min의 속도로 이송시켜 벨트 또는 체인(510)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압착롤(30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압착제롤(300b)에는 양단에 각각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간격조절장치는 제2압착롤(300b)이 상하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베이스(600)에 장착된 1쌍의 가이드(310)와, 1쌍의 가이드(310) 사이에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나사구조로 제2압착롤(300b)을 가압해 주는 조절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는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드레인보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방법은,
권취된 보드판(11)의 융기부(12)에 접착제(120)를 도포하여 보드판(11)을 공급하는 단계(S100);
보드판(11)과 동시에 권취된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단계(S200);
융기부(12)의 상단에 배수용 필터(20)를 포갬과 동시에 압착하여 드레인보드(10)를 형성하는 단계(S300); 및
드레인보드(10)를 권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단계(S100,S200)는 보드판(11) 및 배수용 필터(20)를 12.5~13m/min의 속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드판 공급단계(S100)는 보드판(11)의 융기부(12) 높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레인보드 형성단계(S300)은 보드판(11)의 융기부(12) 높이와 배수용 필터(20)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보드의 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스프레이로 접착제를 분사하는 제조방법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드레인보드를, 11은 보드판을, 20은 배수용 필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과, 배수용 필터롤(200)과,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와, 권취롤(400)과, 구동수단(500)과,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이들 각 롤(100a,100b,200,300a,300b)은 각각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베이스(600)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은 보드판(11)이 소정의 가압을 받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베이스(600)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 중에서 아랫쪽에 설치된 제1접착제롤(100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블레이드(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131)는 도 2에서는 미도시되었으나 제1접착 제롤(100a)과 맞닿는 테두리에 고무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블레이드(131)는 고무패드가 제1접착제롤(100a)에 맞닿으면서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이 블레이드(131)와 제1접착제롤(100a) 사이에는 접착제(130)가 공급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130)는 보드판(11)과 배수용 필터(20)를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묽은 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게가 가벼운 배수용 필터(20)가 보드판(11)에 부착되어 있을 정도의 접착력만 가지고 있을 정도면 되고, 특히 많은 양의 드레인보드 제조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접착제롤(100a)은 베이스(6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양단이 베어링지지되어 설치되며, 제2접착제롤(100b)은 제1접착제롤(100a)의 상부에서 간격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장치를 매개로 베이스(600)에 설치된다.
간격조절장치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착제롤(100a)의 상부에 제2접착제롤(100b)가 위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600)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110)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제2접착제롤(100b)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조절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조절부(120)는 제2접착제롤(100b)의 회전지지 및 한쌍의 가이드(110)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회전지지부(121)와, 한쌍의 가이드(11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스프링(123)의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지지부(121)를 상하로 이송시켜 주는 나사구조로 이루어진 조절부재(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격조절장치는 제1접착제롤(100a)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1쌍이 베이스(6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간격조절장치는 조절부재(122)를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구조로 치합된 회전지지부(121)가 수직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한쌍의 가이드(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절부(120)는 보드판(11)에 형성된 융기부(12)의 높이에 따라 8~15mm 범위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1접착제롤(100a)에 도포된 접착제(130)가 융기부(12)에 충분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로 공급되는 보드판(11)은 접착제(130)가 융기부(12)의 상면에 도포되기 때문에 융기부(12)가 위로 향하도록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급되는 보드판(11)으로는 묽은 본드에 의해 배수용 필터(20)와 접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은 그 사이로 보드판롤(700)로부터 보드판(11)을 공급받아 융기부(12)에 접착제(130)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보드판(11)은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를 통과했을 때 융기부(12)가 위로 향하도록 공급한다.
필터롤(200)은 후술하게 될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의 상부에 위치하도 록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용 필터(20)가 권취되어 있는 롤이다.
여기서, 배수용 필터(20)는 토사에 흡수된 수분이나 빗물을 걸러 보드판(11)의 융기부(12) 사이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필터(20)로, 빗물이나 잔입자를 걸러 낼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가능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롤(200)은 베이스(6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데, 후술하게 될 제1 및 2압착롤(300a,300b)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는 접착제(130)가 도포된 융기부(12)가 윗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이 융기부(130)에 배수용 필터(20)가 덮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및 2압착롤(300a,300b)은 한쌍의 접착제롤(100a,100b)과 수평을 이루고 필터롤(2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특히, 제1압착롤(300a)은 베이스(600)에 베어링 지지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압착롤(300b)은 제1압착롤(300b)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간격조절장치를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
간격조절장치는,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10)와 조절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제2접착제롤(100b)의 간격조절장치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간격조절장치는 제2압착롤(300b)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 및 2압착롤(300a,300b)은 그 사이로 융기부(12)에 접착제(130)가 도포된 보드판(11)과 이 보드판(11) 위로 배수용 필터(20)를 공급받으면서 동시에 압착하여 드레인보드(10)를 제조한다.
권취롤(400)은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에 의해 제조된 드레인보드(10)를 권취시켜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권취롤(400)에는 드레인보드(10)가 직접 권취되는 롤 뿐만 아니라 드레인보드(10)의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수단(500)은 상술한 각각의 롤(100a,100b,200,300a,300b,400)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수단(500)은 모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롤(100a,100b,200,300a,300b,400)은 벨트 또는 체인(510)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때, 벨트 또는 체인(510)은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아이들 풀리(520)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수단(500)은 쌍으로 이루어진 롤(100a와 100b, 300a와 300b)인 경우 2개 중 어느 하나의 롤, 예를 들어 제1접착제롤(100a)과 제1압착롤(300a)만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벨트 또는 체인(500)을 연결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수단(500)은 보드판(11) 및 배수용 필터(20)를 12.5~13m/min로 이송시켜 드레인보드(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속도가 12.5m/min 미만이면 접착성을 조금 높일 수 있으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송속도가 13m/min보다 빠르면 생산성은 높아지나 접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속도로 드레인보드(10)를 생산하는 경우 하루에 약 300롤의 드레 인보드(10)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 생산량은 배수용 필터(20)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보드판(11)을 접착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하루 생산량 약 100롤에 비해 3배 정도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먼저, 보드판(11) 및 배수용 필터(20)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S100,S200)를 거친다. 보드판(11)은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로 공급하고, 배수용 필터(20)는 필터롤(200)를 통해 공급한다.
이때, 보드판(11)은 융기부(12)가 위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로 공급한다. 이는 제1접착제롤(100a)에는 블레이드(131)와의 사이에 접착제(130)를 함께 공급하여, 보드판(11)의 융기부(12)가 제1접착제롤(100a)에 도포된 접착제(13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드판(11)을 공급하기에 앞서 간격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10) 를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드판(11)의 종류에 따라서 융기부(12)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보드판(11)이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를 통과하면서 융기부(12)의 높이에 따라 융기부(12)의 상단에 적정량의 접착제(130)가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간격조절단계(S110)는 융기부(12)의 높이가 다른 보드판(11)을 이용하지 않는 한 번만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이어, 드레인보드(1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거친다. 이 단계(S300)는 접착제(130)가 도포된 융기부(12)가 위로 향하도록 이송되는 보드판(11)과 권취된 상태에서 보드판(11) 위로 배수용 필터(20)가 겹쳐지도록 이송하여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 사이에 공급하여 압착하여 드레인보드(10)를 형성한다.
특히, 드레인보드(10) 형성단계(S300)에서도 간격조절장치를 통해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간격조절은 상술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의 조절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나, 여기서는 보드판(11) 뿐만 아니라 배수용 필터(20)의 두께를 더 고려하여 그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의 간격 조절단계(S310)는 보드판(11)이나 배수용 필터(20)의 종류가 달라지지 않는 한 한번만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과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의 각 간격 조절이 각각의 단계(S100,S30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처리 단계에서 보드판(11)과 배수용 필터(20)의 두께를 고려하여 미리 간격을 조절하고 보드판(11)과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조된 드레인보드(10)를 권취하는 단계(S400)를 거친다. 이 단계(S400)에서는 권취롤(400)을 이용하여 운반이 용이한 길이만큼 권취하거나, 초기에 공급되는 보드판(11)의 롤에 감긴 길이만큼씩 권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드레인보드(10)를 권취하여 본 발명의 제조를 끝내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배수처리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롤용 간격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확대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롤용 간격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드레인보드
11, 11' : 보드판
12, 12' : 융기부
13' : 부직포
20 : 배수용 필터
30 : 콘크리트 구조물
40 : 자갈
50 : 토사
100a, 100b : 제1 및 제2접착제롤
110 : 가이드
120 : 조절부
121 : 회전지지부
122 : 조절부재
123 : 탄성스프링
130 : 접착제
131 : 블레이드
200 : 필터롤
300a, 300b : 제1 및 제2압착롤
310 : 가이드
320 : 조절부재
400 : 권취롤
410 : 이송롤
500 : 구동수단
510 : 벨트 또는 체인
520 : 아이들 풀리
600 : 베이스
700 : 보드판롤

Claims (14)

  1. 어느 하나에 접착제(130)가 도포된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필터롤(200);
    상기 제1 및 제2접착제롤(100a,100b)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접착제(130)가 도포된 보드판(11)의 융기부(12)에 상기 배수용 필터(20)를 압착하여 부착시켜 주는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
    상기 제1 및 제2압착롤(300a,300b)에 의해 형성된 드레인보드(10)를 권취시켜 주는 권치롤(400);
    상기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을 동시에 구동시켜 주는 구동수단(500); 및
    상기 각 롤(100a,100b,200,300a,300b,400) 및 구동수단(500)을 지지해 주는 베이스(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롤(10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접착제롤(100b)에는 양단에 각각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2접착제롤(100b)이 상하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600)에 장착된 1쌍의 가이드(110)와, 상기 1쌍의 가이드(110) 사이에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나사구조로 상기 제2접착제롤(100b)을 가압해 주는 조절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드레인보드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융기부(12)의 높이에 따라 8~15mm 범위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롤(100a)은 일측에 상기 제1접착제롤(100a)과의 사이에 상기 접착제(130)를 수용하여, 상기 제1접착제롤(100a)의 회전시 그 표면에 상기 접착제(130)를 도포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3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30)는 묽은 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11)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필터(20)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롤(30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압착제롤(300b)에는 양단에 각각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제2압착롤(300b)이 상하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600)에 장착된 1쌍의 가이드(310)와, 상기 1쌍의 가이드(310) 사이에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나사구조로 상기 제2압착롤(300b)을 가압해 주는 조절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드레인보드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보드판(11) 및 상기 배수용 필터(20)를 12.5~13m/min의 속도로 이송시켜 벨트 또는 체인(510)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로 제조된 토목건축용 드레인 보드.
  11. 권취된 보드판(11)의 융기부(12)에 접착제(120)를 도포하여 상기 보드판(11)을 공급하는 단계(S100);
    상기 보드판(11)과 동시에 권취된 배수용 필터(20)를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융기부(12)의 상단에 상기 배수용 필터(20)를 포갬과 동시에 압착하여 드레인보드(10)를 형성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드레인보드(10)를 권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S100,S200)는 상기 보드판(11) 및 상기 배수용 필터(20)를 12.5~13m/min의 속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 공급단계(S100)는 상기 보드판(11)의 융기부(12) 높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보드 형성단계(S300)은 상기 보드판(11)의 융기부(12) 높이와 상기 배수용 필터(20)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방법.
KR1020070130688A 2007-12-14 2007-12-14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90063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88A KR20090063365A (ko) 2007-12-14 2007-12-14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88A KR20090063365A (ko) 2007-12-14 2007-12-14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65A true KR20090063365A (ko) 2009-06-18

Family

ID=4099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88A KR20090063365A (ko) 2007-12-14 2007-12-14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486A (zh) * 2013-12-04 2015-06-10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地下室顶板聚氯乙烯耐根刺防水卷材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486A (zh) * 2013-12-04 2015-06-10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地下室顶板聚氯乙烯耐根刺防水卷材施工方法
CN104695486B (zh) * 2013-12-04 2017-02-0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地下室顶板聚氯乙烯耐根刺防水卷材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04B1 (ko)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0052362A (zh) 一种用于反光膜生产的涂胶复合装置
CN111421943A (zh) 一种防水卷材生产用覆膜装置
CN212742123U (zh) 一种道路工程管理养护装置
CN108867275B (zh) 一种水泥铺设及养护装置
CN205462999U (zh) Pir产品涂胶设备
CN106400525A (zh) 有胎沥青防水卷材生产线
KR20090063365A (ko)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09334367U (zh) 一种辊式背光板半成品清洁装置
CN111573378B (zh) 一种改性沥青防水卷材生产工艺
CN210759688U (zh) 一种自粘式钢板止水带的涂胶复合设备
WO2017211043A1 (zh) 一种防水型排水结构及排水系统
CN206157447U (zh) 有胎沥青防水卷材生产线
CN215482967U (zh) 一种水利工程施工混凝土用养护装置
KR100812466B1 (ko) 부직포 부설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05835647U (zh) 一种铺网机及预制件生产用铺网系统
CN213618427U (zh) 海绵工程用虹吸排水板三辊复合无纺布系统
CN214508574U (zh) 一种湿地公园草坪喷灌设备
CN212493698U (zh) 一种胶带生产用涂胶装置
CN209191337U (zh) 防水卷材生产线的上料系统
CN110948891B (zh) 一种复合土工排水网自动成型装置
CN217476638U (zh) 一种复合土工排水网自动成型装置
CN211341471U (zh) 一种防水材料铺设施工装置
CN116638802B (zh) 一种高强pp透水管的制备工艺
CN206722355U (zh) 磨石系统平摊填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