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352A -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352A
KR20090063352A KR1020070130666A KR20070130666A KR20090063352A KR 20090063352 A KR20090063352 A KR 20090063352A KR 1020070130666 A KR1020070130666 A KR 1020070130666A KR 20070130666 A KR20070130666 A KR 20070130666A KR 20090063352 A KR20090063352 A KR 20090063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device
traveling
traveling device
automatic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411B1 (ko
Inventor
전형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4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주행을 위한 주행 장치; 청소를 위한 청소 장치; 및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의 이동시 상기 주행 장치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청소기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utomatic cleaner}
본 실시예는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자동 청소기는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는,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모터 등이 구비되는 본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바닥면의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청소기에 의하면, 주행과 청소를 하기 위한 구동 모터와 흡입 모터가 본체에 함께 구비되므로, 상기 본체의 크고 무거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 청소기의 기능은 제품의 제작 시에 정해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기능이 구비된 자동 청소기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일 례로 스팀 등의 기능이 추가된 자동 청소기의 경우, 상기 자동 청소기는 스팀 등의 기능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크기가 더 커지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주행 장치와 청소 장치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자동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청소 장치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소 공간에 적합한 청소가 가능한 있는 자동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주행을 위한 주행 장치; 청소를 위한 청소 장치; 및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의 이동시 상기 주행 장치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바퀴와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포함되는 주행 장치; 및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상기 주행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 장치가 주행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상호 연결 가능하므로, 상기 청소 장치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기능)의 청소 장치를 상기 주행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각 장치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주행 장치 및 청소 장치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각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기존의 자동 청소기에 비하여 각 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좁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1)는, 주행을 위한 주행 장치(10)와 청소를 위한 청소 장치(20)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는 연결 유닛(3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주행 장치(10)에는 자동 청소기(1)가 스스로 주행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하측에 한 쌍의 메인 바퀴(11)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바퀴(11)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행 장치(10)의 하측에는 상기 주행 장치(10)가 균형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장치(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 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3)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서는 상기 주행 장치(10)의 주행 모드, 배터리의 잔량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 장치(20)는 바닥면을 청소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주행 장치(1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청소 장치(20)의 하측에는 상기 청소 장치(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이동 바퀴(22)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바퀴(22)는 상기 주행 장치(10)의 주행 시 바닥면과 마찰하면서 회전된다.
즉, 상기 이동 바퀴(22)는 구동 모터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주행 장치(10)의 견인력에 의해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견인력은 상기 주행 장치의 전진 시 상기 주행 장치가 당기는 힘 및 상기 주행 장치의 후진 시 상기 주행 장치가 미는 힘을 의미한다.
상기 청소 장치(20)의 저면에는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2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의 일측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26)가 형성된다.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연결 유닛(3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행 장치(10)에 회전 가능하다.
상기 연결 유닛(30)의 구조와, 상기 연결 유닛(30)과 상기 주행 장치(10) 및 주행 장치(20)의 연결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유닛(30)은,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기 주행 장치(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연결 유닛(30)에는 상기 주행 장치(10)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31)과, 상기 청소 장치(20)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6)는 상기 제 1 연결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부(31)의 일측은 상기 주행 장치(10)에 형성되는 결합부(18)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결합부(31)는 일 례로,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결합부(18)의 상호 접촉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연결부(31)와 상기 결합부(18)의 결합 방식은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 1 연결부(31)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연결부(36)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부(3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커버(3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커버(34)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커버(34)에는 상기 제 2 연결부(36)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부(3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6)는 상기 개구부(34a)의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커버(34)는 상기 제 2 연결부(36)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제 2 연결부(36)는 상기 개구부(34a)를 관통한다.
상기 제 2 연결부(36)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 커버(34)에 대해서 상대 운동하는 회전 가이드(37)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37)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37) 및 가이드 커버(34)가 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 가이드(37)가 상기 가이드 커버(3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커버(34)와 상기 회전 가이드(34)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37)는 상기 가이드 커버(34)에 대해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커버(34)의 내부에 상기 회전 가이드(37)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부(31)는 상부 바디(32)와 하부 바디(33)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가이드(37)에는 상기 주행 장치(10)에 연결된 전선(35)이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3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36)에는 상기 전선(35)과 연결되는 제 1 단자(3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전선(35)은 상기 제 1 연결부(31) 및 제 2 연결부(32)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단자(38)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의 외측에는 상기 청소 장치(20) 내부의 전선(28)이 연결된 제 2 단자(29)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36)가 상기 청소 장치(20)에 연결되면, 상기 제 1 단자(38)와 상기 제 2 단자(29)가 접촉되어 상기 주행 장치(10)에서 상기 청소 장치(20)로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선(35)이 상기 연결 유닛(30)의 내부에 제공되므로, 상기 전선(35)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36)는 일 례로 상기 청소 장치(20)에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연결부(36)와 상기 청소 장치(20)의 결합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2 연결부(36)에 상기 청소 장치(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청소 장치(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청소 장치(20)를 상기 제 2 연결부(36)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유닛(30)은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기 주행 장치(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는 구성이므로,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면 상기 연결 유닛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유닛은 상호 간의 일방향 회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연결부(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제 1 연결부가 상기 주행 장치(10)에 연결되고, 제 2 연결부가 상기 청소 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가 제 3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연결부에 수직 회전(상하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3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제 2 연결부에 수평 회전(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주행 장치에서 상기 청소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전선은 상기 연결 유닛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 장치(10)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와, 상기 주행 장치(10)의 주행 시 장애물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16)와, 상기 주행 장치(10) 및 청소 장치(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7)와, 상기 메인 바퀴(1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5)와, 상기 주행 장치(10) 및 청소 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가 포함된다.
상기 청소 장치(2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24)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 브러쉬(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쉬 모터(2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장치(10)의 온/오프, 청소 모드, 주행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청소 모드로는 브러쉬 모터(25)가 작동하지 않고 흡입 모터(24) 만이 작동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브러쉬 모터(25)와 흡입 모터(24)가 동시에 작동하는 제 2 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6)는, 바닥면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낭떠러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구동 모터(15), 상기 흡입 모터(24) 및 브러쉬 모터(25)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상기 구동 모터(15), 상기 흡입 모터(24) 및 브러쉬 모터(25)를 제어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3)를 통하여 특정 청소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구동 모터(15), 상기 흡입 모터(24), 브러쉬 모터(25)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주행 장치(10)에 의해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동 모터(15)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바퀴(11)와 연결되는 좌륜 모터 및 우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 장치(20)가 상기 연결 유닛(30)에 결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38)와 상기 제 2 단자(29)가 접촉되어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주행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 장치(10)가 작동하면, 상기 주행 장치(1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20)는 상기 주행 장치(10)에 의해서 견인되어 이동하게 되며, 상기 주행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소 장치(20)에 흡입 모터(24)와 브러시 모터(25)가 동시에 구비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청소 장치에 흡입 모터(24) 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청소 장치(20)는 흡입 모터(24) 만이 구비되거나, 상기 흡입 모터(24)와 브러시 모터(25)가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브러시 모터가 구비되거나 또는 구비되지 않은 청소 장치(20)를 상기 연결 유닛(3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각 장치(10, 20)의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주행 장치(10) 및 청소 장치(2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각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 장치(10)와 상기 청소 장치(20)가 분리되는 경우, 기존의 자동 청소기에 비하여 각 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좁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청소 장치의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40)는, 바닥면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42)가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는 스팀발생기능이 구비 되는 청소 장치(40)가 상기 주행 장치(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스팀발생장치(42)가 구비된 청소 장치(4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흡입 모터가 구비된 청소 장치(제 1 실시예)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 장치(40)가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42)는 상기 주행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제 3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주행 장치 및 청소 장치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 장치(50)는, 사용자가 상기 주행 장치(50) 및 청소 장치(6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54)와, 메인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53)와, 상기 구동 모터(5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전원 공급부(52)와, 상기 주행 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주행 제어부(51)가 포함된다.
상기 청소 장치(60)는,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와, 상기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를 제어하기 위한 청소 제어부(61)와, 상기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전원 공급부(6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 장치(60)는 연결 유닛에 의해서 상기 주행 장치(5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 제어부(51)와 상기 청소 제어부(61)는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 제어부(51)와 상기 청소 제어부(61)의 연결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의 연결 구조(연결 유닛 및 전선에 의한 연결 구조)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 제어부(61)는 상기 주행 제어부(5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를 작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의 작동은 상기 주행 제어부(51)에 의해서 제어되나, 상기 브러쉬 모터(63) 및 흡입 모터(64)로의 전원 공급은 상기 청소 장치(6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62)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행 장치(50) 및 청소 장치(60)에 각각 전원 공급부(52, 62)가 구비되므로, 상기 전원 공급부(52, 62)를 자주 충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제 4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주행 장치와 청소 장치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 장치(50)는, 사용자가 상기 주행 장치(5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주행 조작부(55)와, 메인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53)와, 상기 구동 모터(5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전원 공급부(52)와, 상기 주행 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주행 제어부(51)가 포 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70)는, 브러쉬 모터(73) 및 흡입 모터(74)와, 상기 브러쉬 모터(73) 및 흡입 모터(74)를 제어하기 위한 청소 제어부(71)와, 상기 브러쉬 모터(73) 및 흡입 모터(7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전원 공급부(72)와, 상기 브러쉬 모터(73) 및 흡입 모터(74)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청소 조작부(75)가 포함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주행 조작부(55)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장치(5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청소 조작부(75)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 장치(7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청소 장치(70)의 이동은 상기 주행 장치(50)에 의해서 이루어지나, 상기 청소 장치(70)의 작동 및 전원 공급은 상기 주행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소 장치(70)의 이동 외의 작동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청소 장치(70)를 상기 주행 장치(50)에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청소 장치(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제 3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제 4 실시예의 따른 자동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Claims (10)

  1. 주행을 위한 주행 장치;
    청소를 위한 청소 장치; 및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의 이동시 상기 주행 장치와 함께 이동되는 자동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자동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에는,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에는 흡입 모터와 스팀 발생 장치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자동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 또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 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치에는 흡입 모터 또는 스팀 발생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포함되는 자동 청소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 또는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자동 청소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에는 상기 주행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청소 장치에는 상기 청소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청소 조작부가 구비되는 자동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주행 장치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일측이 상기 청소 장치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자동 청소기.
  9. 바퀴와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포함되는 주행 장치; 및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청소 장치가 상기 주행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주행 장치와 함께 이동하는 자동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와 상기 청소 장치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주행 장치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청소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자동 청소기.
KR1020070130666A 2007-12-14 2007-12-14 자동 청소기 KR10092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66A KR100928411B1 (ko) 2007-12-14 2007-12-14 자동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666A KR100928411B1 (ko) 2007-12-14 2007-12-14 자동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352A true KR20090063352A (ko) 2009-06-18
KR100928411B1 KR100928411B1 (ko) 2009-11-26

Family

ID=4099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666A KR100928411B1 (ko) 2007-12-14 2007-12-14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6515A1 (zh) * 2011-10-20 2013-04-25 广州市番禺区积丰电器制造有限公司 带有振动功能的蒸汽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79155B1 (en) 2001-03-16 2013-09-25 Vision Robotics Corporation Autonomous mobile canister vacuum cleaner
JP2004236733A (ja) 2003-02-04 2004-08-26 Sharp Corp 自走式掃除機
KR100631538B1 (ko) * 2004-09-23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로봇 청소기
KR20070101002A (ko) * 2006-04-10 2007-10-16 이바도 위성 방식의 청소로봇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6515A1 (zh) * 2011-10-20 2013-04-25 广州市番禺区积丰电器制造有限公司 带有振动功能的蒸汽清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411B1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8965B (zh) 可拆卸結構及自移動機器人
TWI663948B (zh) 清掃機
KR102125334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US5534762A (en) Self-propelled cleaning robot operable in a cordless mode and a cord mode
KR101199358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비움장치
KR101513827B1 (ko) 전기 청소기
JP2004267236A (ja) 自走式掃除機およびそれに用いる充電装置
KR20120083813A (ko) 로봇 청소기
KR101966083B1 (ko) 로봇 걸레청소기
WO2019044074A1 (ja) 自律走行型掃除機
KR101471322B1 (ko) 전기 청소기
JP2003052595A (ja) 掃除装置
KR100928411B1 (ko) 자동 청소기
KR100849554B1 (ko) 로봇 청소기의 먼지 비움 시스템
JPH02241423A (ja) 自走式掃除機
JP2007175196A (ja) 電気掃除機
JP6105886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947364B1 (ko) 로봇 청소기
US11638512B2 (en) Robot cleaner
KR20170096760A (ko) 로봇 청소기
JP2002321179A (ja) 移動作業ロボット
JP2020174962A (ja) 自律型掃除機
TWI768485B (zh) 清掃機器人
JP2018082990A (ja) 電気掃除機
KR101043535B1 (ko) 자동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