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999A -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999A
KR20090062999A KR1020070130504A KR20070130504A KR20090062999A KR 20090062999 A KR20090062999 A KR 20090062999A KR 1020070130504 A KR1020070130504 A KR 1020070130504A KR 20070130504 A KR20070130504 A KR 20070130504A KR 20090062999 A KR20090062999 A KR 2009006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poke
steering wheel
coi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999A/ko
Publication of KR2009006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혼과 에어백을 구비하는 몸체의 정면으로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림과 연결되는 스포크가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림은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림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코일이 장착되는 스포크를 장착하되, 상기 스포크의 내주면은 상기 림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운전자가 림의 회전시 스포크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티어링 휠, 림, 영구자석, 스포크, 코일, 전압구현장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조향축, 베어링.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을 구성하는 림의 둘레에 영구자석을 일정하게 장착하고 상기 림의 일측 둘레에는 내부에 코일이 장착되고 위치가 고정되는 스포크를 장착함으로써 에어백의 장착이 용이하고 전동 파워스티어링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변경해 가면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저면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허브(200)와, 상기 허브(2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림(100)과, 상기 림(100)과 허브(200)를 연결하는 스포크(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림(10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스포크(300)로 연결된 허브(200)가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허브(200)가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티어링샤프트가 일측 및 타측으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은 차량을 운행중 차량을 충돌사고등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에 신체가 접하는 경우, 상기 림이 변형되지 않는 것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가 크게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을 구성하는 림의 둘레에 영구자석을 일정하게 장착하고 상기 림의 일측 둘레에는 내부에 코일이 장착되고 위치가 고정되는 스포크를 장착함으로써 에어백의 장착이 용이하고 전동 파워스티어링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혼과 에어백을 구비하는 몸체의 정면 으로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림과 연결되는 스포크가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림은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림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코일이 장착되는 스포크를 장착하되, 상기 스포크의 내주면은 상기 림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운전자가 림의 회전시 스포크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을 구성하는 스포크가 고정됨으로써 에어백의 전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향시에도 클러스터 계기판의 시계 방해가 없어 쾌적한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조향 신호를 전달하는 스티어링 컬럼의 경량화 및 삭제가 가능하고 새로운 형태의 수축 안전장치를 고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스티어링 휠(10)은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림(20)과,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림(20)의 일측을 감싸는 스포크(30)와, 상기 스 포크(30)에 장착되는 코일과 연결되는 전압구현장치(40)와, 상기 전압구현장치(40)와 연결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와,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와 연결되는 조향축(60)으로 구성된다.
원형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림(20)은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림(20)은 상기 스포크(30)와 회전작동시 걸리지 않도록 스포크(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림(20)의 일측에 고정장착되는 스포크(30)는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림(20)과 접하는 내주면에는 코일(32)이 장착되되, 상기 코일(32)은 내주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지점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지점에 코일(32)이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32)의 내주면으로 상기 림(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70)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스포크(30)에 장착되는 코일(32)은 자속 변화를 계산하는 전압구현장치(40)연결되고, 상기 전압구현장치(40)는 조향축(60)을 작동시키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는 조향축(6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림(20)에 장착되는 영구자석(22)과 스포크(30)에 장착되는 코 일(32)은 전자기 유도 기전력에 의한 신호 검출 방식을 이용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자기장이 변하는 곳의 도체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 하는데 이를 벡터로 나타내는 맥스웰 방정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Figure 112007089864152-PAT00001
임의의 자기장에 속한 코일을 기준으로 방향성을 무시한 단순화된 스칼라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89864152-PAT00002
여기서 e는 기전력(V), N은 코일의 감긴 횟수, Ф는 자속을 뜻한다.
따라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코일을 통과할 경우, 속도에 따라 다른 파형의 전압이 코일에서 검출되고 휠 내부에 자석이 삽입될 경우 물리적인 연결 구조가 없더라도 코일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조향장치가 휠의 제어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생성되는 전압의 파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89864152-PAT0000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어링 휠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혼과 에어백을 구비하는 몸체의 정면으로 상기 림(20)은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22)이 장착되고, 상기 림(2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코일(32)이 장착되는 스포크(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스포크(30)의 코일(32)에는 자속 변화를 계산하는 전압구현장치(40)연결되고, 상기 전압구현장치(40)는 조향축(60)을 작동시키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는 조향축(60)과 연결되면 스티어링 휠(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림을 조작하면 그에 따라 유도 전압이 발생하고 발생된 전압은 유선을 통해서 전압구현장치에 전달되며 이때, 전압구현장치는 발생한 유도전압의 팩을 이어서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그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산출된 거동에 맞춰 모터를 제어하여 전압구현장치가 그린 그래프에 맞게 전압을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로 송출하면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현재 장비와 같은 방식으로 움직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티어링 휠, 20 : 림,
22 : 영구자석, 30 : 스포크,
32 : 코일, 40 : 전압구현장치,
50 :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60 : 조향축,
70 : 베어링.

Claims (3)

  1. 혼과 에어백을 구비하는 몸체의 정면으로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림(20)과 연결되는 스포크(30)가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10)에 있어서,
    상기 림(20)은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22)이 장착되고, 상기 림(2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주면에 코일(32)이 장착되는 스포크(30)를 장착하되,
    상기 스포크(30)의 내주면은 상기 림(20)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운전자가 림(20)의 회전시 스포크(30)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30)에 장착되는 코일(32)은 자속 변화를 계산하는 전압구현장치(40)연결되고, 상기 전압구현장치(40)는 조향축(60)을 작동시키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와 연결되며,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50)는 조향축(60)과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30)의 내부로 림(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다수개의 베어링(7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1020070130504A 2007-12-13 2007-12-13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KR20090062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04A KR20090062999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04A KR20090062999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999A true KR20090062999A (ko) 2009-06-17

Family

ID=409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504A KR20090062999A (ko) 2007-12-13 2007-12-13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9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789A (ko) * 2018-01-11 2020-09-02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US11140497B2 (en) 2015-08-13 2021-10-05 Shenzhen Voxtech Co., Ltd. Systems for bone conduction spea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0497B2 (en) 2015-08-13 2021-10-05 Shenzhen Voxtech Co., Ltd. Systems for bone conduction speaker
KR20200103789A (ko) * 2018-01-11 2020-09-02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코부르크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557B2 (en) Linear drive travel system and automobile
KR101531624B1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JP7007840B2 (ja) 車両
KR102023509B1 (ko) 모터 및 그의 센싱 마그네트
JP2019099148A (ja) ハブ装置および関連システム
US5343128A (en) Drive assistance device for a golf buggy
KR20140038928A (ko) 필드 약화를 가지는 영구 자석 모터
JP2014198505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20090062999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CN110024269A (zh) 盖组件、马达及包括该马达的电动转向装置
US20020100625A1 (en) Drive assembly
US20200031390A1 (en) Motor and a steer by wire handwheel actuator
JPS5777222A (en) Electric wheel driving device for automobile
JP3206460U (ja) 自転車用変速ユニット
CN111491848A (zh) 手轮致动器组件
CN110098706B (zh) 开关磁阻电动机、骑乘型车辆及动力产生装置
JP2012010421A (ja) 駆動装置
KR102566645B1 (ko) 타이어에 설치되는 발전장치
KR200353872Y1 (ko) 승용물용 전자식 발전기
KR101090527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브러시리스 모터
GB2609652A (en) A vehicle
TWM580058U (zh) Electric auxiliary device
JPH0594768U (ja) 自動車用スピードセンサー
JP2014225952A (ja) 回転電機
TW202019760A (zh) 電動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