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090A -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090A
KR20090062090A KR1020070129191A KR20070129191A KR20090062090A KR 20090062090 A KR20090062090 A KR 20090062090A KR 1020070129191 A KR1020070129191 A KR 1020070129191A KR 20070129191 A KR20070129191 A KR 20070129191A KR 20090062090 A KR20090062090 A KR 2009006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il
piston rod
permanent magnet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학근
정남조
김강출
한수빈
박석인
송유진
정봉만
김규덕
유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090A/ko
Publication of KR2009006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02K41/03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with armature and magnets on one member, the other member being a flux distribu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터(stator)에 코일과 영구자석을 고정시키고 액츄에이터(actuator)에는 아무런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는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리니어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 상기 액츄에이터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에 영구자석과 코일이 설치된 스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리니어 발전, 스테이터, 액츄에이터, 단순화, 소형

Description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portable mini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테이터(stator)에 코일과 영구자석을 고정시키고 액츄에이터(actuator)에는 아무런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류의 발전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왕복운동형 내연기관을 이용한 것이 있으나, 이는 크랭크 기구가 사용됨으로서 기계적 손실과 팽창 행정의 제약에 따라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것이 리니어 발전 장치이다.
리니어 발전장치란 크랭크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얻어진 동력으로 전기를 얻는 장치로서 그 일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니어 발전 장치는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100)과,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수평 이동하며 중간에 코일 또는 영구자석(210)(통상적으로 운동의 원활함을 위해 영구자석을 설치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영구자석으로 통칭한다. 이 설치된 액츄에이터(200)와, 액츄에이터의 왕복운동에 의한 영구자석의 간섭에 의해 기전력이 유기하는 코일(310)이 설치된 스테이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리니어 발전장치는 왕복 운동하는 액츄에이터(200)에 영구자석(21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잦은 왕복 운동에 의해 영구자석(210)이 파손될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액츄에이터에 코일을 감아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권취된 코일이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분해 조립이 더욱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소형화가 용이한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영구자석과 코일을 모두 스테이터에 설치하여 액츄에이터에는 아무런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고장을 줄이고,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는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리니어 발 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에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 상기 액츄에이터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에 영구자석과 코일이 설치된 스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소형화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구자석과 코일을 모두 스테이터에 설치하여 액츄에이터에는 아무런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고장을 줄이고,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는 동력발생장치(100)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로드(11)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와, 상기 액츄에이터(1)를 감싸도록 설치된 스테이터(2)에 영구자석(21)과 코일(22)을 모두 설치하여 구성되어 액츄에이터(1)에는 아무런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판상형 구조의 스테이터(2) 내벽에 영구자석(21)과 코일(22)을 모두 설치하고 피스톤 로드(11)의 중간에는 액츄에이터(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는 철 또는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磁性)의 재질로 만들어 상기 영구자석(21)에서 발생되어 코일(22)로 유도되는 자속에 영향을 변화시켜서 코일(22)에 기전력이 유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피스톤로드(11)는 비도전성의 세라믹으로 구성함으로서 피스톤로드(11) 자체가 액츄에이터 역할을 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영구자석(21)은 상기 코일(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22)은 두 영구자석(21) 사이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테이터(2)에 고정 설치된 영구자석(21)과 코일(22) 및 피스톤로드(11)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가 한 쌍의 발전 수단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이루어진 한 쌍의 발전 수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1)는 하나 이상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액츄에이터에 대향되도록 영구자석(21)과 코일(22)이 다수 설치하여 하나의 동력발생수단(100)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로드(11)의 작동시 많은 발전수단 쌍이 작동되고 이에 따라 발전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의 길이는 피스톤로드(11)가 어느 한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한 상태에서 그 끝부분이 두 영구자석(21) 중 어느 하나의 영구자석의 코일(22)을 향한 끝 부분에 미치지 못하는 길이 를 갖는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100)에 의해 어느 일측 (도면상 좌측)으로 피스톤로드(11)가 밀린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영구자석(21)과 겹쳐지지 않은 상태가 되고, 반대로 피스톤로드(11)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1)의 좌측 단부가 좌측의 영구자석(21)과 겹쳐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전장치는 액츄에이터(1)가 좌우로 왕복 운동함에 의해 영구자석(21)들에 의해 코일(22)로 유기되는 자력이 액츄에이터(1)에 의해 간섭을 받아 자속의 변화에 의해 코일(22)에 기전력이 유도되어 발전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리니어 발전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액추에이터
11 : 피스톤로드
2 : 스테이터
21 : 영구자석
22 : 코일

Claims (6)

  1. 동력발생수단(100)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11)를 구비한 리니어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11)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와 ;
    상기 액츄에이터(1)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에 영구자석(21)과 코일(22)이 설치된 스테이터(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21)은 상기 코일(2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11)는 비자성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는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액츄에이터에 대향되도록 영구자석(21)과 코일(22)이 다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의 길이는 피스톤로드(11)가 어느 한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한 상태에서 그 끝부분이 두 영구자석(21) 중 어느 하나의 영구자석의 코일(22)을 향한 끝 부분에 미치지 못하는 길이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KR1020070129191A 2007-12-12 2007-12-12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KR20090062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91A KR20090062090A (ko) 2007-12-12 2007-12-12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91A KR20090062090A (ko) 2007-12-12 2007-12-12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090A true KR20090062090A (ko) 2009-06-17

Family

ID=4099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191A KR20090062090A (ko) 2007-12-12 2007-12-12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0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205A1 (en) * 2013-01-11 2014-07-17 Aktiebolaget Skf Voltage adjustment for an energy harvester
CN105089779A (zh) * 2015-07-29 2015-11-25 徐荣兰 一种直线式四冲程发动机
KR20190143779A (ko)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205A1 (en) * 2013-01-11 2014-07-17 Aktiebolaget Skf Voltage adjustment for an energy harvester
CN104854785A (zh) * 2013-01-11 2015-08-19 Skf公司 能量采集器的电压调整
CN105089779A (zh) * 2015-07-29 2015-11-25 徐荣兰 一种直线式四冲程发动机
KR20190143779A (ko) 2018-06-21 2019-12-31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WO2020022719A1 (ko) 2018-06-21 2020-01-30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US11967886B2 (en) 2018-06-21 2024-04-23 N-Rit Co., Ltd. Portable self-power-gener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708873A (en) A VCM auto-focusing device having position feedback and an auto-focusing method
US20060267415A1 (en) Dual linear electrodynamic system and method
US10855155B2 (en) Permanent magnet linear motor and linear vibrator
KR102244373B1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모터
US8310113B2 (en) Multiple armature linear motor/alternator having magnetic spring with no fringe fields and increased power output
JP2009509491A5 (ko)
JP5972876B2 (ja) リニアモータ
KR20090062090A (ko) 휴대용 소형 발전장치
JP2004088884A (ja) リニア振動電機
KR100484535B1 (ko) 선형 왕복운동 기기
US20160365759A1 (en) Magnetic energy generation device
JP2005151750A (ja) リニア型アクチュエータ
CN104319975A (zh) 单槽单极圆筒动磁直线交流发电机
KR20020035420A (ko) 조인트 구동 장치
CN101266893A (zh) 采用直线感应电机驱动高压断路器动触头的操动机构
RU2275732C2 (ru) Линей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KR101038981B1 (ko) 자계차폐판과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력전환장치
KR102393595B1 (ko) 선형 동력발생장치
JP4022140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RU135861U1 (ru) Линейный магни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с магнитными подшипниками (варианты)
CN103840634A (zh) 动磁式无内定子直线振荡电机
JP2013255313A (ja) リニアモータ
RU134369U1 (ru) Линейный генератор на постоянных магнитах
CN203734501U (zh) 动磁式无内定子直线振荡电机
RU2543512C1 (ru) Линейн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