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081A -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081A
KR20090062081A KR1020070129180A KR20070129180A KR20090062081A KR 20090062081 A KR20090062081 A KR 20090062081A KR 1020070129180 A KR1020070129180 A KR 1020070129180A KR 20070129180 A KR20070129180 A KR 20070129180A KR 20090062081 A KR20090062081 A KR 2009006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ternet protocol
network
call forwarding
public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081B1 (ko
Inventor
이왕봉
강경순
전기철
정해원
정부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호 전달 장치는, 공중교환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착신 호 전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유선전화로 호출이 있음을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voice call}
본 발명은 전화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교환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한 음성 호(voice call) 연결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61-02, IPv6기반의 QoS 서비스 및 단말 이동성 지원 라우터 기술]
공중교환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은 실시간 음성 통신을 위해 최적화된 기존의 회선 교환 네트워크이다.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전화를 걸면, 스위치가 닫히게 되고 다른 대상에 회로가 설정된다. 공중교환통신망은 통화가 계속되는 동안 회선을 호출에 전용시킴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보장한다. 그러나 공중교환통신망은 고정된 가정이나 사무실에 고정 설치된 유선전화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그 특성상 이동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지에 위치해 있다면 유선전화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가 없다.
한편, 최근 인터넷과 이동 전화의 도입으로 공중교환통신망 기반의 유선전화는 초기에 비해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한 유선 전화 서비스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VoIP는 기본적으로 통신 채널이 전부 인터넷 라인이기 때문에, 이 경우 인터넷의 혼잡이 발생하면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 착신되는 음성 호(call)를 원격지의 통신 단말로 전달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공중교환통신망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원격지의 통신 단말에서 공중교환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되, 기존 VoIP 통신 서비스에 비해 통화 품질을 개선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는, 공중교환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착신 호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호 전달 장치는, 상기 지정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발신 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 전달하는 발신 호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호 전달 방법은, 자신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 및 입력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서버에 의해 사용자 인증된 결과로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발신 호(call)를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착신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시스템은, 수신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등록하며, 통신 단말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된 상기 등록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호 전달 서비스 서버; 및 자신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상기 호 전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등록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상기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호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IP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 단말로 전달하므로, 사용자는 원격지에서도 자신의 유선전화로 호출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발신자 표시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발신자가 누구인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 단말에서 착신 호에 응답하여 호가 연결되면, 연결된 호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서 IP 네트워크 및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통화 시도 및 연결된 호를 통해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은 통신 채널의 일부 구간에 대해서 IP 네트워크를 이용하므로, 인터넷의 혼잡이 발생하면 통신 채널의 전부에 대해 IP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기존 유선전화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유지하여 사용함으로써 통신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공중교환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01)은 실시간 음성 통신을 위한 기존의 유선전화망이다. 이 공중교환통신망(101)은 한국의 한국통신(Korea Telecom), 미국의 AT&T와 같은 유선 통신망 서비스 회사에서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일반 사용자는 공중교환통신망(101)에 연결된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공중교환통신망에 연결된 전세계 사용자와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근간으로 한 인터넷망이다. IP 네트워크(102)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예로, 한국의 하나로통신, 미국의 Sprint 사가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특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WWW(World Wide Web),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공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Call Splitter)(105)는 공중교환통신망(101)과 IP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가정 혹은 사무실에 설치되는 유선 전화기(106)와 연결되며, 나아가 허브의 역할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랩탑 퍼스널 컴퓨터(107)와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9)는 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셀룰러 폰(Cell Phone)(111), PDA(112), 랩탑(113) 등 다양한 통신 단말들이 무선으로 IP 네트워크(102)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9)를 이용하지 않고 유선으로 IP 네트워크(102)에 접속할 수 있으며, 도시된 랩탑(110)의 연결을 예로 들 수 있다.
호 전달 서비스 서버(Call Splitter Server)(114)는 호 전달 장치(105)로부터 전달된 정보들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정보들은 장치(105)의 식별정보, IP 주소 정보,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서비스 인증를 위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된다.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자신에게 접속된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단 말들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호 전달 장치(105)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 정보를 제공한다.
이 같이 구성되는 호 전달 시스템에서의 호 전달 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부터 유선전화(106)로의 착신 호를 수신한 호 전달 장치(105)는 자신에게 접속한 통신 단말로 착신 호를 전달하고 호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신 단말로부터 IP 네트워크(102)를 통해 발신 호를 수신한 호 전달 장치(105)는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 발신 호를 전달하고 호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전달 장치(105)는 제1인터페이스부(210), 제2인터페이스부(220), 및 착신 호 전달부(230)를 포함한다. 제1인터페이스부(210)는 공중교환통신망(101)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써, 그 물리계층 인터페이스로는 전화용 인터페이스인 RJ11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제2인터페이스부(220)는 IP 네트워크(102)로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써, 그 물리계층 인터페이스는 이더넷(ethernet)과 와이파이(WiFi) 무선 모뎀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착신 호 전달부(230)는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부터 유선전화(106)로의 착신 호(call)를 IP 네트워크(102)를 통해 호 전달 장치(105)에 접속된 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착신 호 전달부(230)는 착신 호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을 수행하고, TCP/IP를 이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IP 네트워크(102)로 전송 처리한다.
발신 호 전달부(240)는 IP 네트워크(102)를 통해 호 전달 장치(105)에 접속된 통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호(call)를 공중교환통신망(101)을 통해 착신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발신 호 전달부(240)는 착신지 전화번호를 담고 있는 발신 호 IP 패킷을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1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 전송 처리한다.
통화 처리부(250)는 착신 호 전달부(230) 혹은 발신 호 전달부(240)의 호 전달 이후에 연결된 호를 통해 상호 간에 전달되는 통화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통화 처리부(250)는 제1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코딩을 수행하고 TCP/IP를 이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IP 네트워크(102)로 송신하고, 제2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IP 패킷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제1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 송신한다.
도 3은 호 전달 장치가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사용자 ID(User ID), 패스워드(Password), 호 전달 장치(105)의 ID,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의 IP 주소를 입력한 후 확인(OK)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을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에 등록시키거나, 취소(CANCEL)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정보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일 예로, 호 전달 장치(105)의 ID 및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의 IP 주소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호 전달 서비스를 위해 호 전달 장치가 호 전달 서비스 서버로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절차도이다.
호 전달 장치(105)는 자신의 ID인 “00-11-22-33-44-55-66-77”를 이용하여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에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410). ID 등록 요청을 받은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요청에 대한 확인 응답을 한다(단계 S420). 요청에 대한 확인 응답을 받은 호 전달 장치(105)는 도 3의 GUI를 통해 입력된 자신의 ID와 IP 주소 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한다(단계 S430). 이에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정보들을 수신하고, 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단계 S440).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등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호 전달 장치(105)로 알린다(단계 S450).
도 5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호 전달 장치의 IP 주소 정보 획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은 GUI를 통해 사용자 ID, 패스워드,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의 IP 주소를 입력한 후 확인(OK)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접속된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거나, 취소(CANCEL)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취소할 수 있다. 이에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통신 단말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를 조회하여, 일치하면 그에 매핑된 호 전달 장치(105)의 IP 주소 정보를 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도 6은 통신 단말이 호 전달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통신 단말에서 실행된 웹 어플리케이션은 도 5의 G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하여 호 전달 장치(105)의 IP 주소를 요청한다(단계 S610). 이에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수신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인증한다(단계 S620). 인증에 성공하면,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는 호 전달 장치(105)의 ID 및 IP 주소 정보를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S630). 그리고 이를 수신한 통신 단말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호 전달 장치(105)의 ID 및 IP 주소 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에 알린다(단계 S640).
도 7은 통신 단말에 탑재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호 전달 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GUI의 실행에 의해 통신 단말은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로부터 전달된 호 전달 장치(105)의 ID 및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전달 장치(105)로 접속한다. 호 전달 장치(105)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호 전달 장치(105)로부터 전달된 유선전화(106)로의 착신 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Answer a Call’ 버튼을 클릭하여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숫자 버튼을 클릭하여‘Calling Number’에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Call’버튼을 클림함에 의해 호 전달 장치(105)를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Cancel’버튼을 클릭하여 통화 연결을 취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단말에 탑재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은 GUI 제공뿐만 아니라, IP 네트워크 방식에 맞는 데이터 변환은 물론 전화통화 지원을 위해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IP 패킷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되는 호 전달 방법의 흐름도이다.
호 전달 장치(105)는 자신의 ID 및 IP 주소 정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810). 이후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부터 유선전화(106)로의 착신 호를 수신하면, 호 전달 장치(105)는 IP 네트워크(102)를 통해 자신에게 접속된 통신 단말로 수신된 착신 호를 전달한다(단계 S820)(단계 S830). 이를 위해 착신 호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한 후 TCP/IP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102)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은 호 전달 서비스 서버(114)에 등록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되어 그 결과로 제공된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전달 장치(105)에 접속한 단말로써, 상술한 바와 같다.
반대로 IP 네트워크(102)를 통해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호를 수신하면, 호 전달 장치(105)는 수신된 발신 호를 공중교환통신망(101)을 통해 착신지로 전달한다(단계 S840)(단계 S850).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IP 형식에 따른 발신 호의 착신지 전화번호를 DTMF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 전송한다.
이후 호가 연결되면, 호 전달 장치(105)는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연결된 호를 통해 상호 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네트워크(102)로 전달하고, IP 네트워크(102)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공중교환통신망(101)으로 전달한다(단계 S860)(단계 S87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호 전달 장치가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호 전달 서비스를 위해 호 전달 장치가 호 전달 서비스 서버로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절차도.
도 5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호 전달 장치의 IP 주소 정보 획득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
도 6은 통신 단말이 호 전달 장치의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도.
도 7은 통신 단말에 탑재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호 전달 장치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되는 호 전달 방법의 흐름도.

Claims (9)

  1. 공중교환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부;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착신 호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된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발신 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 전달하는 발신 호 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 연결된 이후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인터페이스로 출력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통화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
  4. 자신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 및 입력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서버에 의해 사용자 인증된 결과로 제공되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호 전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발신 호를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착신지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호 전달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연결된 호를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부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호 전달 방법.
  7. 수신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등록하며, 통신 단말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된 상기 등록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호 전달 서비스 서버; 및
    자신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상기 호 전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 유선전화로의 착신 호를, 상기 등록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상기 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호 전달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달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발신 호를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을 통해 착신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달 장치는, 연결된 호를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 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로부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공중교환통신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달 시스템.
KR1020070129180A 2007-12-12 2007-12-12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094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80A KR100943081B1 (ko) 2007-12-12 2007-12-12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180A KR100943081B1 (ko) 2007-12-12 2007-12-12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081A true KR20090062081A (ko) 2009-06-17
KR100943081B1 KR100943081B1 (ko) 2010-02-18

Family

ID=4099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180A KR100943081B1 (ko) 2007-12-12 2007-12-12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4524B2 (en) 2002-06-07 2005-10-11 Sbc Properties, L.P.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d accessing call forwarding services
KR20040022792A (ko) * 2002-09-07 2004-03-18 장석민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전화 수신 시스템
KR100603566B1 (ko) * 2004-09-02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4179B1 (ko) * 2005-09-07 2007-08-01 주식회사 케이티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081B1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648B2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方法
US7643498B2 (en) Private dialing plan for voice on a packet-based network
US8792479B2 (en) System and methods to route calls over a voice and data network
US20100303061A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non-specific network protocols an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8583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xed mobile convergence using a residential gateway apparatus
KR100694243B1 (ko)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통신환경에 따라 최적의 통신경로를설정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통화방법
JP2003506907A (ja) インターネット上音声プロトコルによるプロキシ・ゲートウェイ
US201702016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hone service with personal switch box
US811168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30523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osted-pbx service
KR101469575B1 (ko)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모든 단말기들에 대한 호의 분배
KR100943081B1 (ko)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0456826B1 (ko) 방문국 가입 휴대전화의 렌탈형 국제 이동통신 로밍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CN103581129A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
KR20110011407A (ko) 다중 채널 통신 전환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99478B1 (ko) VoIP 시스템용 비디오 어댑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영상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0794127B1 (ko) 발신자 부담 웹투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TWM395968U (en) Communication system encompassing audio platform
KR100438073B1 (ko) 상호 음성 응답 기능을 가지는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및 그 제어 방법
KR100735921B1 (ko) 브이.오.아이.피 폰과 그 폰에서 실행 가능한 2단계 콜라우팅 방법
TWI617174B (zh) 網路電話系統
US20080232564A1 (en) Call hunt and ringback on the phone through messenger
KR100664841B1 (ko)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JP2010252120A (ja) Ip電話接続補助装置、ip電話接続サーバ、ip電話接続方法、ip電話接続プログラム及びip電話接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