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901A -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 Google Patents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901A
KR20090061901A KR1020070128906A KR20070128906A KR20090061901A KR 20090061901 A KR20090061901 A KR 20090061901A KR 1020070128906 A KR1020070128906 A KR 1020070128906A KR 20070128906 A KR20070128906 A KR 20070128906A KR 20090061901 A KR20090061901 A KR 2009006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warhead
explosive
warheads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359B1 (ko
Inventor
주 성 김
준 구 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07012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3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01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 F42B12/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for attacking land area or area targets, e.g. airbur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6Electric fuzes with time delay by electric circuitry
    • F42C11/065Programmable electronic delay initiators in projec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42C9/14Double fuzes; Multiple fuzes
    • F42C9/16Double fuzes; Multiple fuzes for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에 관한 것으로, 탄두가 두 개 이상의 다중 탄두로 제작되고, 이 다중 탄두가 탄두들의 중앙에 위치되면서 기폭 신호 및 충격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의 다방향성 전자식 신관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작되며, 기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부와, 이 전자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각 탄두에 대응 설치된 다수의 전기식 기폭관과, 이 기폭관 내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연결관 또는 도폭선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다중 탄두로 인해 탄체의 비산 각도가 확대되고, 탄두가 기폭되면서 발생하는 후폭풍에 의해 비산 거리가 확장됨은 물론, 전자식 신관에 의해 탄두가 탄착지의 상공에서 기폭되어 비산 반경이 확대되며, 또한 상기 신관의 공통된 기폭 신호에 의해 다중 탄두가 동시에 기폭되도록 하고, 신관에 충격스위치가 추가되어 기폭 신호에 의한 공중 폭발이 무산되어도 충격에 의해 폭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폭발탄, 전자식 신관, 다중 탄두, 탄체

Description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EXPLOSIVE BULLET HAVING MULTIPLE WARHEAD AND MULTI-DIRECTIONAL FUZE}
본 발명은 탄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폭발탄에 두 개 이상의 탄두가 장착되고, 이 두 개 이상의 탄두가 하나의 신관에 의해 기폭될 수 있도록 된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발탄은 장거리를 비행하여 탄착지에서 기폭되면서 탄체의 파편이 일정 반경 내의 구역으로 비산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폭발탄은 탄피에 충전된 추진제가 연소되면서 이 탄피에 결합된 탄두가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탄착지까지 비행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추진제의 연소로 발생한 고압의 연소압력이 탄두의 일부위에 전달되기 때문에 탄두의 탄체가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고, 상기 탄두의 내부에는 고폭약이 충전되어 탄두가 탄착지에 도달하면 기폭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폭발탄(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뇌관(22)이 형성되면서 추진제(24)가 충전된 탄피(20)와, 이 탄피(20)의 타단부에 일부위가 결합되면서 내부에 고폭약(32)이 충전된 탄체(30)와, 이 탄체(30)의 타측 단부에 장 착되면서 신관(42)이 내장된 오자이브(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체(30)는 추진제(24)의 연소로 발생하는 고압의 연소압력에 견디도록 제작되면서 기폭되는 순간 탄체(30)가 파열되어 비산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탄피(20)와 탄체(30)는 각각 추진제(24)와 고폭약(32)이 충진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폭발탄(10)은 방아쇠와 공이 등이 포함된 격발장치(미도시)에 의해 뇌관(22)이 타격되면 추진제(24)가 순간 점화되어 연소되면서 고압의 연소압이 발생하고, 이 연소압에 의해 탄체(30)와 오자이브(40)가 탄착지를 향해 비행한 후 최종 탄착지에 탄체(30)와 오자이브(40)가 도착하면 상기 오자이브(40)에 내장된 신관(42)이 충격에 의해 기폭되면서 탄체(30)에 내장된 고폭약(32)이 점화되어 강력한 폭발과 함께 탄체(30)가 작은 조각으로 파열되며, 이 파열된 파편들은 일정 반경 내의 구역에 비산된다.
그러나 상기 탄체(30)는 기폭되면서 비산되는 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음은 물론, 폭발탄(10)의 비행 방향과 파편의 비상 방향이 역행하므로 파편 위력이 감소하는 한계가 있었고, 상기 폭발탄(10)은 외부 충격에 의해 기폭되므로 특히 지면에 의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기폭 근처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의해 파편의 비산이 저해되어 궁극적으로 파편의 비산 반경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르면 탄두가 두 개 이상의 다중 탄두로 제작되고, 이 다중 탄두가 탄두들의 중앙에 위치되면서 기폭 신호 및 충격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의 다방향성 전자식 신관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작됨으로써, 다중 탄두로 인해 탄체의 비산 각도가 확대되고, 탄두가 기폭되면서 발생하는 후폭풍에 의해 비산 거리가 확장됨은 물론, 전자식 신관에 의해 탄두가 탄착지의 상공에서 기폭되어 비산 반경이 확대되도록 된 다중 탄두 및 다방향성 신관을 구비한 폭발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관의 공통된 기폭 신호에 의해 다중 탄두가 동시에 기폭되도록 하고, 기폭 신호에 의한 공중 폭발이 무산되면 신관에 내장된 충격스위치에 의해 탄두의 충격과 동시에 또는 충격 후 지연에 의한 폭발이 유도되며, 최종적으로 다양한 폭발 유도기능이 무산되면 자폭하도록 자폭 기능이 구비된 다중 탄두 및 다방향성 신관을 구비한 폭발탄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은, 탄피와, 이 탄피에 장착된 탄두와, 이 탄두의 기폭을 위해 탄두와 연계 설치된 신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폭발탄에 있어서, 상기 탄두는 신관의 주변에 둘 이상 배치되면서 신관에 의해 동시에 기폭되도록 연계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두 중 탄피에 충전된 추진제의 연소 압력이 전달되는 일부 탄두의 탄체는 추진제의 연소 압력을 견디기 위해 엠보싱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두 중 탄피에 충전된 추진제의 연소 압력이 전달되지 않는 일부 탄두의 탄체는 성형파편결합체로 이루어지고, 성형파편결합체는 내ㆍ외벽 사이에 비산체가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비산체는 그 형상에 제한이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관은 다수의 탄두 사이에 장착되고, 다수의 탄두에 기폭신호가 동시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신관은 여러 실시예로 제작될 수 있고, 이 중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관은 전자식 신관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부와, 이 전자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각 탄두에 대응 설치된 다수의 전기식 기폭관과, 기폭관 내 화약의 기폭으로 발생한 기폭 에너지에 의해 기폭되면서 각각의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연결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신관은 전자식 신관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부와, 이 전자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식 기폭관과, 이 기폭관에 의해 기폭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의 기폭으로 발생한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를 향해 분기되어 전달되도록 설치된 유연 재질의 도폭선과, 이 도폭선의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점화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신관에는 충격에 의한 기폭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충격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전자부에 의한 기폭이 실패하면 충격과 동시에 또는 충격 후 지연에 의해 폭발되고, 또한 이 신관은 상기 전자부에 의한 기폭 및 충격 폭발의 유도가 무산되면 탄두의 비행 시간을 고려한 자폭기능이 추가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관에는 탄두의 회전력과, 전기식 뇌관의 기폭에 의한 복합 장전지연기능을 갖고 폭발탄의 비행 이전 및 비행 후 일정 거리 이후에 장전이 되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전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안전장전장치는 신관에서 폭발 정렬 신호가 발생하여 작은 기폭장치인 전기식 뇌관이 작동되면 연결관 블록이 기계적으로 이동되어 정렬됨으로써 장전되는 구조로, 신관에서 정렬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식과, 기폭장치에 의해 연결관 블록이 이동되는 기계식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다중 탄두는 신관이 탄두들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원형을 비롯한 다각형으로 제작되어 기폭 시 전방위로 파편이 비산되도록 제작된다.
이때, 상기 탄두들은 동일 크기 또는 그 크기를 달리하여 다수 제작될 수 있고, 상호 탄두 간의 인접된 측벽은 공동으로 이용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탄두의 탄체는 엠보싱 타입으로 제작되거나 내ㆍ외벽으로 제작되면서 비산체가 내장된 성형파편결합체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 탄두는 상기 다중 탄두 중 신관을 사이에 두고 전방과 후방에 탄두가 장착되는 이중 탄두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방 탄두는 탄피의 일단부에 장착되면서 추진제의 연소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엠보싱 타입이나 연소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성형파편결합체 둘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상기 전방 탄두는 상기 추진제의 연소 압력과는 무관하므로 비산이 용이한 성형파편결합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추진제의 연소 압력에 의해 전ㆍ후방 탄두가 탄피로부터 분리되어 비행된 후 탄착지 상공에서 신관의 기폭작용으로 전방 탄두와 후방 탄두가 기폭하게 되면, 상기 전방 탄두는 전방을 향해 비산체가 비산하게 되고, 상기 후방 탄두는 후방을 향해 엠보싱 타입 또는 성형 파편 결합체의 탄체가 파열되어 비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신관의 일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자부로부터 발생된 기폭 신호에 의해 각각의 탄두에 설치된 전기식 기폭관 및 연결관이 작동하여 각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이 기폭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중 탄두의 경우를 살펴보면, 하나의 전자부에서 발생된 기폭 신호가 후방 및 전방 탄두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에는 각 탄두에 설치된 후방 및 전방 전기식 기폭관과 후방 및 전방 연결관이 연계 설치된다.
이렇게 제작된 탄두는, 상기 전자부의 기폭 신호가 각 기폭관에 동시에 수신되면 기폭관에 충전된 화약이 기폭되면서 각 탄두에 연결 설치된 연결관의 연쇄 기폭을 통해 각 탄두의 고폭약이 기폭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관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자부로부터 발생된 기폭 신호에 의해 작동된 하나의 전기식 기폭관 및 하나의 연결관의 기폭 에너지가 도폭선에 의해 각 탄두에 전달되어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이 기폭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중 탄두의 경우를 보면, 하나의 전자부에서 발생된 기폭 신호가 후방 및 전방 탄두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에 하나의 전기식 기폭관과 연결관이 연계 설치되고, 이 연결관과 각 탄두 사이에는 유연성 재질의 도폭선과 점화부가 설치된다.
이렇게 제작된 탄두는, 상기 전자부에서 발생된 기폭 신호가 기폭관에 수신되면 기폭관에 충전된 화약이 기폭되면서 하나의 연결관이 연쇄 기폭되고, 이 연결관의 기폭 에너지가 각 탄두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도폭선을 통해 각 탄두로 분기되어 지속적으로 이동된 다음 각 탄두에 설치된 점화부를 통해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자부에서 출력된 기폭 신호는 각 탄두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여 각 탄두가 동시에 기폭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탄두가 동시에 기폭할 경우 발생하는 후폭풍이 파열된 탄체 및 비산체의 비산력을 배가시켜 비산 반경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신관에는 자폭 기능이 있으며, 이 자폭 기능은 충격 스위치에 의해 탄이 지면이나 목표물과 부딪치게 되면 탄이 기폭되도록 이루어지고, 탄의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비행 시간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탄이 기폭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신관에는 충격스위치가 내장되고, 전자회로에 탄의 비행 시간이 설정된다. 물론 상기 자폭 기능은 탄의 비행 시간 대신 탄의 회전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별도의 자폭 기능은 탄이 목표물 상공에서 공중 폭발되어야 하는 정상적인 기능이 수행되지 못하였을 경우, 충격 폭발, 충격 후 지연 폭발이 발생되고, 이 충격 폭발과 병행하여 탄의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기폭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불발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탄에서 오자이브가 제거되어 폭발탄의 크기에 따른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전자식 신관에 의해 다중 탄두가 탄착지의 상공에서 기폭되면서 비산되는 파편의 각도가 전방위로 확대되며, 탄두들의 기폭 시 발생하는 후폭풍의 도움에 의한 비산 파편의 비산 거리가 확장되어 비산 반경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두들의 중앙에 설치된 다방향성 신관의 기폭 신호에 의해 다중 탄두가 동시에 기폭될 수 있고, 폭발탄이 종래에는 충격에 의해서만 기폭되던 것이 충격스위치가 내장된 전자식 신관에 의해 다중 탄두가 기폭 신호에 의한 공중폭발이 가능하고, 또한 충격 및 충격 지연 및 비행 시간을 고려한 자폭 기능을 통해 불발탄의 발생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탄두 및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중 탄두가 장착된 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신관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관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발탄(100)은 다중의 탄두 중 하나인 후방 탄두(120)와 전방 탄두(130)를 갖는 이중 탄두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의 설명은 이중 탄두를 토대로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실시예일 뿐, 이중 이외의 삼중, 사중이 포함된 다중의 탄두가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중 탄두는 뇌관(112)이 형성되면서 추진제(114)가 충전된 탄피(110)와, 이 탄피(11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후방 탄두(120) 및 전방 탄두(130)와, 이 후방 및 전방 탄두(130)의 사이에 결합되어 후방 및 전방 탄두(130)를 결합시켜 주는 다방향성 신관(14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탄두(120)는 방아쇠와 공이 등이 포함된 격발장치(미도시)에 의해 뇌관(112)이 타격되면서 급속 연소된 추진제의 연소 압력을 전달받아 탄피(110)로부터 분리되어 비행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또한, 이 후방 탄두(120)의 탄체(122)는 추진제(114)의 고압의 연소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면서 향후 파열되어 파편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엠보싱 타입이나 추진제(114)의 연소 압력을 견질 수 있도록 제작된 성형 파편결합체로 제작되고, 이 탄체(122)의 내부에는 고폭약(124)이 충전된다.
상기 전방 탄두(130)의 탄체(132)는 비산 능력이 최대가 되도록 성형파편결 합체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고폭약(134)이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파편결합체는 내ㆍ외벽(132a,132b)으로 이루어지면서 이 내ㆍ외벽(132a,132b) 사이에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슬형상의 비산체(136)가 다수 개재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탄두(130)의 탄체(132) 역시 후방 탄두(120)의 탄체(122)와 동일하게 엠보싱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신관(14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탄두(120)와 전방 탄두(130) 사이에 장착되는 전자식 신관의 일종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부(141)와, 이 전자부(141)의 기폭 신호에 의해 동시에 기폭되도록 상기 전자부(141)의 양측, 즉 후방 탄두(120)와 전방 탄두(130) 측으로 연계 설치된 후방 전기식 기폭관(142a) 및 전방 전기식 기폭관(142b)과, 이 후방 및 전방 전기식 기폭관(142a,142b)의 기폭으로 연쇄 기폭되면서 발생한 기폭 에너지가 고폭약(124,134)에 전달되도록 상기 후방 및 전방 전기식 기폭관(142a,142b)과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된 후방 및 전방 연결관(144a,144b)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관(140)은 상기 전자부(141)에서 발생된 기폭 신호에 의해 후방 및 전방 기폭관(142a,142b)이 기폭되면서 연결관(144a,144b) 내의 화약이 연쇄 기폭되도록 하고, 이 기폭에 의해 생성된 기폭 에너지가 각각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기폭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신관(14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탄두(120)와 전방 탄두(130) 사이에 장착되는 전자식 신관의 일종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부(141)와, 이 전자부(141)의 신호에 의해 기폭되는 전기식 기폭관(142c)과, 이 기폭관(142c)의 기폭과 더불어 연쇄 기폭되는 연결관(143)과, 이 연결관(143)의 기폭으로 발생한 기폭 에너지가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로 분기되어 전달되도록 설치된 유연 재질의 도폭선(14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관(140)은 도폭선(145)을 통해 이동된 기폭 에너지가 고폭약(124,134)에 전달되도록 상기 도폭선(145)과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 사이에 연결 설치된 점화부(146)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신관(140)에는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전자식 신관(140)에 의한 기폭이 불발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충격에 의해 기폭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식 기폭관(142a,142b,142c)과 연계 설치된 충격스위치(147)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관(140)에는 폭발탄(100)이 격발 이전 및 비행 초기에 장전이 되지 않도록 폭발탄(100)의 탄두의 회전력과, 전기식 뇌관의 기폭에 의한 복합 장전지연기능을 갖는 안전장전장치(148)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안전장전장치(148)는 신관(140)에서 폭발 정렬 신호가 발생하여 작은 기폭장치인 전기식 뇌관이 작동되면 연결관 블록이 기계적으로 이동되어 정렬됨으로써 장전되는 구조로, 신관에서 정렬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식과, 기폭장치에 의해 연결관 블록이 이동되는 기계식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탄두 및 다방향성 신관을 구비한 폭발탄의 조립순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 폭발탄의 조립 순서 역시 이중 탄두 및 양방향성 신관을 토대로 설명한다.
먼저, 방아쇠, 공이 등이 포함된 격발장치에 의해 타격이 가해지는 뇌관(112)이 일단부에 장착되면서 뇌관(112)이 타격되면 1차 점화되는 추진제(114)가 충전된 탄피(110)와, 전자부(141)에 전기식 기폭관(142a,142b,142c)이 연계 설치되면서 이 기폭관(142a,142b,142c)과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 사이에 연결관(144a,144b)설치된 양방향성 신관(140)이 각각 별도로 준비된다.
상기 양방향성 신관(140)에는 제작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관(144a,144b)과 고폭약(124,134) 사이에 순차적으로 도폭선(145) 및 점화부(146)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ㆍ외벽(132a,132b) 사이에 비산체(136)가 삽입된 성형파편결합체로 제작되면서 내부에 고폭약(134)이 충전된 전방 탄두(130)와, 상기 추진제(114)의 연소 압력을 견디도록 엠보싱 타입으로 제작되거나 성형파편결합체로 제작되면서 내부에 고폭약(124)이 충전된 후방 탄두(120)가 각각 별도로 준비된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탄피(110), 양방향성 신관(140), 후방 탄두(120), 전방 탄두(130)가 조립라인에서 조립 순서에 의해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탄피(110)에는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분리되어 비행될 수 있도록 후방 탄두(120)의 탄체(122)가 체결되고, 이 후방 탄두(120)의 자유단부에는 양방향성 신관(140)이 개재되면서 전방 탄두(130)가 체결 된다.
여기서, 상기 양방향성 신관(140)이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에 결합될 때, 상기 양방향성 신관(140)에 의해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기폭되도록 조립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탄두 및 다방향성 신관을 구비한 폭발탄을 작동 순서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또한, 이 폭발탄의 작동 순서 역시 이중 탄두 및 양방향상 신관을 토대로 설명한다.
먼저, 방아쇠와 공이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격발장치에 의해 탄피(110)의 뇌관(112)이 타격되면, 탄피(110)의 내부에 충전된 추진제(114)가 순간 연소되고, 이때 발생된 고압의 연소압력에 의해 상기 탄피(110)에 장착된 후방 탄두(120)가 분리되어 비행되며, 이때 후방 탄두(120)와 결합된 양방향성 전자식 신관(140) 및 전방 탄두(130)가 함께 비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탄착지의 상공에 도달하면, 상기 신관(140)이 기설정된 시간, 탄속, 탄의 회전수 등의 조건에 의해 기폭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가 기폭된다.
이때, 상기 후방 탄두(120)는 엠보싱 타입의 탄체(122)가 파열되면서 발생한 파편이 비산되고, 전방 탄두(130)는 구슬형상의 비산체(136)가 외벽(132b)을 뚫고 비산된다.
또한, 상기 신관(140)에서는 전자부(141)에서 기설정된 조건과 부합되면 기폭 신호를 발생시켜 전기식 기폭관(142a,412b,142c)의 화약이 기폭되면서 연결 관(144a,144b)이 연쇄 기폭되고, 도 3에 도시된 신관(140)의 일실시예처럼 상기 연결관(144a,144b)의 기폭 에너지가 직접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에 전달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신관(140)의 다른 실시예처럼 상기 연결관(143)의 기폭 에너지가 도폭선(145)과 점화부(146)를 거쳐 후방 및 전방 탄두(120,130)의 고폭약(124,134)에 전달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일 탄두가 장착된 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중 탄두가 장착된 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관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신관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참조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폭발탄 120 … 후방 탄두,
130 … 전방 탄두 140 … 신관,
141 … 전자부 142a,142b,142c … 전기식 기폭관,
143,144a,144b … 연결관 145 … 도폭선,
146 … 점화부 147 … 충격스위치,
148 … 안전장전장치.

Claims (8)

  1. 탄피와, 이 탄피에 장착된 탄두와, 이 탄두의 기폭을 위해 연계 설치된 신관을 포함하는 폭발탄에 있어서,
    상기 탄두는 신관의 주변에 다수 배치되면서 신관에 의해 기폭되도록 연계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는 기폭되면서 파편이 비산되는 엠보싱 타입의 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는 내ㆍ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이 내ㆍ외벽 사이에 비산체가 내장되어 이루어진 성형파편결합체 타입의 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관은 다수의 탄두 사이에 장착되어 탄두들 각각에 기폭신호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관은 다수의 탄두 각각에 연계 설치된 전자식 신관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부와, 이 전자부의 신호에 의해 기폭되도록 설 치된 탄두와 동일한 수의 전기식 기폭관과, 이 기폭관의 기폭에 의해 연쇄 기폭되고 이 기폭으로 발생하는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연결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관은 다수의 탄두 각각에 연계 설치된 전자식 신관으로, 기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부와, 이 전자부의 신호에 의해 기폭되는 하나의 전기식 기폭관과, 이 기폭관의 기폭에 의해 연쇄 기폭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의 기폭으로 발생하는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로 분기되도록 설치된 유연 재질의 도폭선과, 이 도폭선의 기폭 에너지가 각각의 탄두에 충전된 고폭약에 전달되도록 설치된 점화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관에는 충격에 의한 기폭이 발생하도록 설치된 충격스위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관에는 탄의 회전력과, 전기식 뇌관의 기폭에 의한 복합 장전지연기능을 갖는 안전장전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KR1020070128906A 2007-12-12 2007-12-12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KR10095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06A KR100959359B1 (ko) 2007-12-12 2007-12-12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06A KR100959359B1 (ko) 2007-12-12 2007-12-12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901A true KR20090061901A (ko) 2009-06-17
KR100959359B1 KR100959359B1 (ko) 2010-05-20

Family

ID=4099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906A KR100959359B1 (ko) 2007-12-12 2007-12-12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16B1 (ko) * 2009-12-18 2012-04-12 주식회사 풍산 추진부 조립체 분리기구가 구비된 포 발사식 탄약
KR101249770B1 (ko) * 2012-01-20 2013-04-02 주식회사 한화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5302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한화 이중목적 분산자탄 및 이중목적 분산자탄의 파편 부착 방법
CN114993118A (zh) * 2022-06-14 2022-09-02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用于压制剂的均匀抛撒装置及其抛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0084A1 (de) * 1992-11-28 1994-06-01 Dynamit Nobel Ag Tandemgefechtskopf mit piezoelektrischen Aufschlagzündern
DE19534215A1 (de) 1995-09-15 1997-03-20 Diehl Gmbh & Co Splitterhülle eines Sekundärgeschosses eines Tandemgefechtskopf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316B1 (ko) * 2009-12-18 2012-04-12 주식회사 풍산 추진부 조립체 분리기구가 구비된 포 발사식 탄약
KR101249770B1 (ko) * 2012-01-20 2013-04-02 주식회사 한화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5302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한화 이중목적 분산자탄 및 이중목적 분산자탄의 파편 부착 방법
CN114993118A (zh) * 2022-06-14 2022-09-02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用于压制剂的均匀抛撒装置及其抛撒方法
CN114993118B (zh) * 2022-06-14 2024-05-10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用于压制剂的均匀抛撒装置及其抛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359B1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70B1 (ko)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01675A (ko) 장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로켓탄
US8413586B2 (en)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KR100959359B1 (ko) 다중 탄두와 다방향성 신관이 구비된 폭발탄
ES2700838T3 (es) Ojiva para generar una explosión en una región extendida de una superficie objetivo
KR20070101676A (ko) 중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탄
JPH0210099A (ja) 爆弾弾丸
US7152532B2 (en) Projectile with a sub-caliber penetrator core
RU140656U1 (ru) Ручная граната
BR112020017204A2 (pt) Projétil com carga ativa pirotécnica
KR101381978B1 (ko)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CN205245907U (zh) 延时爆炸弹筒
CN205373548U (zh) 一种二次杀伤箭装置
RU2327948C2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34;отроч&#34;
RU2309371C2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34;ратибор&#34;
KR102106402B1 (ko) 전차 사격 훈련용 연습탄
KR101210583B1 (ko) 155mm 연습탄
KR101098114B1 (ko) 이중 탄두형 폭발탄
RU2363920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34;вертязин&#34;
RU2309373C2 (ru) Снаряд с готовыми пораж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34;твердислав&#34;
KR101519782B1 (ko) 회수 및 불발률 확인 기능이 구비된 시험용 자탄
CN220764683U (zh) 一种投放装置
CN2532446Y (zh) 爆炸式灭火弹
KR20140040959A (ko) 파편 발생용 발사체
RU2768210C1 (ru) Зажигательно-осколочный боеприпа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