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818A -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818A
KR20090061818A KR1020070128777A KR20070128777A KR20090061818A KR 20090061818 A KR20090061818 A KR 20090061818A KR 1020070128777 A KR1020070128777 A KR 1020070128777A KR 20070128777 A KR20070128777 A KR 20070128777A KR 20090061818 A KR20090061818 A KR 2009006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short
cal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162B1 (ko
Inventor
성정식
허재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1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장비나 홈게이트웨이 장비 또는 매달 경비가 소요되는 별도의 RF 모듈 없이, 집 외부에서 일반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방문자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여 집 안 내부에서도 직접 도어폰으로 가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예 : 지그비 기반)으로 방문자 확인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실외도어폰과의 음성 및 영상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공중전화망 처리수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 도어록을 설정/해제하기 위한 도어 관리수단; 및 기 설정된 모드 정보에 따라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관리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홈네트워크, 도어폰,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방문자 관리, 근거리 무선통신, 지그비, 휴대폰, 공중전화망

Description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sitor-care service based on dual mode}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장비나 홈게이트웨이 장비 또는 매달 경비가 소요되는 별도의 RF 모듈 없이, 집 외부에서 일반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방문자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여 집 안 내부에서도 직접 도어폰으로 가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예 : 지그비 기반)으로 방문자 확인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7-S-047-01, 과제명 : 무선 홈네트워크 기반 HD급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발].
일반적으로, 도어폰은 집안에 사람이 없으면 방문자의 호출에 대하여 직접 응답을 할 수 없다. 특히, 중요한 방문자가 불시에 방문하는 경우 이를 집주인에게 알릴 수 있어야 하며, 집주인이 방문자를 위하여 원격 조정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집주인이 부재 시 도어폰을 통제하여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비상 시 미리 입력된 집주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여 방문자와 집주인 사이의 원격 통화를 제공하고, 도어록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
일예로,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도어폰 시스템(공개특허: 10-2003-82672)"은 홈게이트웨이 기능이 통합된 도어폰을 이용하여 도어폰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 또는 화상통화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외부의 집주인이 자신의 집을 방문한 방문객을 원격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또는 홈게이트웨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및 그 제어방법(공개특허: 10-2001-0035246)"은, 고유번호가 할당된 휴대폰용 RF 모듈을 도어폰에 구비하여 휴대폰과 직접 연결하여 집주인이 휴대폰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및 그 제어방법은, 고유번호가 할당된 휴대폰용 RF 모듈을 구비하여 휴대폰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하고, 통화까지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호 인식부를 더 구비하여 휴대폰으로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나아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연결하여 가정 내 비상사태 발생 시에 휴대폰으로 이를 통보받고 또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어폰 내부에 고유번호가 할당된 RF 모듈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별도의 휴대폰 요금을 지불해야 하며, 또한 그 적용 범위가 휴대폰 기기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부재 중 방문자 확인 및 원격 잠금장치 해제만을 다루고 있으며, 집에 주인이 있는 경우 도어폰 이외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객을 확인하고 필요 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장비나 홈게이트웨이 장비 또는 매달 경비가 소요되는 별도의 RF 모듈 없이 방문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장비나 홈게이트웨이 장비 또는 매달 경비가 소요되는 별도의 RF 모듈 없이, 집 외부에서 일반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방문자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여 집 안 내부에서도 직접 도어폰으로 가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예 : 지그비 기반)으로 방문자 확인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실외도어폰과의 음성 및 영상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공중전화망 처리수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 도어록을 설정/해제하기 위한 도어 관리수단; 및 기 설정된 모드 정보에 따라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관리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실외도어폰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외출(外出) 모드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외출 모드 동작단계; 상기 확인 결과, 재실(在室) 모드인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는 재실 모드 동작단계; 및 상기 공중전화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가의 홈오토메이션 장비나 홈게이트웨이 장비 또는 매달 경비가 소요되는 별도의 RF 모듈 없이, 집 외부에서 일반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방문자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예 : 지그비 모듈)을 구비하여 집 안 내부에서도 직접 도어폰으로 가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예 : 지그비 기반)으로 방문자 확인 및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예로 도어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은 일예로 지그비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실외도어폰(11), 실내도어폰(12), 도어록(13), 지그비 통신 휴대 단말기(14), 공중전화망(PSTN)(15), 전화기(16), 이동망(17), 및 외부의 휴대 단말기(18)를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실외도어폰(11)은 호출을 위한 호출버튼, 방문자 확인용 카메라, 재실자(在室者)와의 통화를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 잠금을 위한 도어록(13)은 실내도어폰(12)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도어폰(12)은 집 내부에 위치하며, 외출 모드 시에는 전화망(15)과 이동망(17)을 통하여 전화기(16) 또는 휴대 단말기(17)로 방문자와 재실자 간의 통화를 연결하고, 재실 모드 시에는 구비하고 있는 송수화기를 통해 방문자와 연결하거나, 집 내부에 존재하는 지그비 휴대 단말기(14)를 통해 방문자와 재실자 간의 통화를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기 번호, 지그비(Zigbee) 통신 접속정보, 모드 설정정보, 및 도어록 비밀번호 등과 같은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 실외도어폰(11)과의 음성 및 영상 송수신을 위한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공중전화망 처리부(23), 지그비 통신(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 처리부(24), 도어록(13)을 설정/해제하기 위한 도어 관리부(25), 및 실외도어폰(11)으로부터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실외도어폰(11)의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저장부(21)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 설정정보를 확인하여 외출(外出) 모드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공중전화망 처리부(23)를 제어하고, 재실(在室) 모드인 경우 지그비 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를 제어하며, 상기 공중전화망 또는 지 그비 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13)을 설정/해제하도록 도어 관리부(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로부터의 방문자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로부터의 방문자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재실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송수화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및 전화기를 포함한다. 이때, 공중전화망 처리부(23)는 기 설정된 단말기가 전화기(16)인 경우 공중전화망(15)을 통해 곧바로 해당 전화기로 연결을 시도하고, 기 설정된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18)인 경우 공중전화망(15)과 연결된 이동망(17)을 통해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는 재실 모드로 동작 중 송수화기 후크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를 비활성화시킨 후 송수화기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26)는 외출 모드로 동작 중 송수화기 후크 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공중전화망 처리부(23)를 비활성화시킨 후 송수화기를 활성화시킨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 처리부(24)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 처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는, 실외 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 측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지그비 규격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고, 지그비 규격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실외도어폰 규격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 및 음성 변환부(31),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부(31) 측에서 변환한 지그비 신호(영상 및 음성신호)를 지그비 통신 단말기(14)로 송신하기 위한 지그비 송신부(32), 지그비 통신 단말기(14)로부터의 지그비 신호(영상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지그비 수신부(33), 및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부(31)에서 변환한 지그비 신호를 상기 지그비 송신부(32)로 전달하고, 상기 지그비 수신부(33)에서 수신한 지그비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부(31)로 전달하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지그비 제어부(34)를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외출 모드 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제어부(26)는 실외도어폰(11)으로부터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공중전화망 처리부(23)를 통해 기 설정된 전화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한다(401).
즉, 방문자가 실외도어폰(11)의 호출버튼을 누르면 호출음이 실내도어폰(12)의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26)로 전달된다. 제어부(26)는 모드가 외출 모드이므로 저장부(21)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곧바로 공중전화망 처리부(23)로 전달하여 전화 연결을 시도하도록 한다. 제어부(26)는 연결이 되면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를 제어한다.
이후, 집주인으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도어록(13)의 해제/잠금을 설정한다(402). 이때, 도어록 제어신호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달되므로 DTMF 신호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공중전화망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일반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403).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재실 모드 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제어부(26)는 실외도어폰(11)으로부터 방문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를 통해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실내 단말기(14)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한다(501).
즉, 방문자가 실외도어폰(11)의 호출버튼을 누르면 호출음이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제어부(26)로 전달된다. 제어부(26)는 모드가 재실 모드이므로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화면 출력부로 전달하여 영상을 액정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집안의 사용자가 송수화기(41)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통화하면 종래의 도어폰 방식을 그대로 지원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송수화기(41)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6)는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를 통해 집 내부에 존재하는 지그비 통신 단말기와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지시한다. 지그비 통신 처리부(24)는 가장 먼저 연결되는 지그비 통신 단말기(14)를 제어부(26)로 알리고, 제어부(26)는 지그비 통신 처리부(24)의 신호를 실 외도어폰 인터페이스(22)로 전달하여 방문자와 지그비 통신 단말기(14)의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집주인으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도어록(13)의 해제/잠금을 설정한다(502).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외출 모드 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방문자가 실외도어폰(11)의 호출 버튼을 누르면(601), 제어부(26)는 송수화기(41)를 공중전화망 처리부(23)로 연결한 후(602), 등록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603).
상기 판단 결과(603), 등록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송수화기(41)와 공중전화망 처리부(23)의 연결을 해제한 후 종료한다(611).
상기 판단 결과(603), 등록된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순서대로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604).
이후, 전화가 연결되면 방문자와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605, 606). 이때, 첫 번째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즉 통화중이거나 전화를 받지 않을 때에는 두 번째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 방문자와 통화 중 버튼음(DTMF톤)이 감지되는지 모니터링한다(607).
이후, 버튼음(DTMF톤)이 감지되면 버튼음(DTMF톤)과 등록된 도어의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608).
상기 확인 결과(608), 버튼음(DTMF톤)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도어록을 개방한 후(609)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610).
상기 확인 결과(608), 버튼음(DTMF톤)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610).
상기 확인 결과(610),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606" 과정으로 진행하여 방문자와 통화 중 버튼음(DTMF톤)을 감지하기 위해 모니터링한다.
상기 확인 결과(610),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송수화기(41)를 원래의 마이크, 스피커로 되돌린 후 종료한다(611). 즉, 송수화기(41)와 공중전화망 처리부(23)의 연결을 해제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재실 모드 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방문자가 실외도어폰(11)의 호출 버튼을 누르면(701), 화면 출력부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702).
이후, 등록된 지그비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703), 존재하지 않으면 "712" 과정으로 진행하고, 존재하면 등록된 지그비 통신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여 가장 먼저 응답하는 지그비 통신 단말기와 연결을 시도한다(704). 이때, 등록된 지그비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712" 과정으로 진행하여 종래의 도어폰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후, 상기 지그비 통신 단말기로부터 연결 수신 응답을 받으면 송수화기(41)를 지그비 통신 처리부(24)와 연결하여(705, 706) 방문자와 지그비 통신 단 말기 사용자가 지그비 기반으로 통화하도록 한다(707). 이때,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몇 번의 시도 후 종료한다.
이후, 방문자와 통화 중 버튼음(DTMF톤)이 감지되는지 모니터링한다(708).
이후, 버튼음(DTMF톤)이 감지되면 버튼음(DTMF톤)과 등록된 도어의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709).
상기 확인 결과(709), 버튼음(DTMF톤)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도어록을 개방한 후(710)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711).
상기 확인 결과(709), 버튼음(DTMF톤)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711).
상기 확인 결과(711),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707" 과정으로 진행하여 방문자와 통화 중 버튼음(DTMF톤)을 감지하기 위해 모니터링한다.
상기 확인 결과(711),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송수화기(41)를 원래의 마이크, 스피커로 되돌린 후 종료한다(712). 즉, 송수화기(41)와 지그비 통신 처리부(24)의 연결을 해제한다.
한편, 재실 모드로 동작 중 재실자가 송수화기(41)를 이용하여 응답하는 경우, 지그비 통신 단말기(14)와의 연결을 종료하고 일반적인 도어폰으로 동작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재실 모드로 동작 중 제어부(26)는 송수화기(4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송수화기(41)를 들어서 방문자를 확인하는지 모니터링한다.
이후, 사용자가 송수화기(41)를 들어올리는 경우, 제어부(26)는 지그비 통신 처리부(24)의 업무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송수화기(41)를 통한 방문자와의 통화를 제공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실외도어폰(11)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실외도어폰의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킨다(801).
이후, 기 설정된 모드 정보를 확인한다(802).
상기 확인 결과(802), 외출(外出) 모드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한다(803). 이때, 송수화기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중전화망과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송수화기와의 통화를 연결한다.
상기 확인 결과(802), 재실(在室) 모드인 경우 지그비 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한다(804). 이때, 송수화기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송수화기와의 통화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공중전화망 또는 지그비 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13)을 설정/해제한다(8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 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도어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 처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외출 모드 시 동작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재실 모드 시 동작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외출 모드 시 동작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재실 모드 시 동작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저장부 22 : 실외도어폰 인터페이스부
23 : 공중전화망 처리부 24 : 지그비 통신 처리부
25 : 도어 관리부 26 : 제어부
31 : 영상 및 음성 변환부 32 : 지그비 송신부
33 : 지그비 수신부 34 : 지그비 제어부

Claims (12)

  1.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실외도어폰과의 음성 및 영상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공중전화망 처리수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
    도어록을 설정/해제하기 위한 도어 관리수단; 및
    기 설정된 모드 정보에 따라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관리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단말기 번호,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정보, 모드 설정정보, 및 도어록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외도어폰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 정보를 확인하여, 외출(外出) 모드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공중전화망 처리수단을 제어하고, 재실(在室) 모드인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기와 음성/영상통화가 연결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공중전화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록을 설정/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관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의 방문자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출력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의 방문자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재실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송수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재실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송수화 수단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송수화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외출 모드로 동작 중 상기 송수화 수단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중전화망 처리수단을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송수화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실외도어폰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 및 음성 변환수단;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영상 및 음성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송신수단;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영상 및 음성신 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수신수단; 및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송신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음성 변환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처리수단은,
    기 등록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수일 경우 브로드캐스트 근거리 무선통신 메시지를 송신하여 가장 먼저 응답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8. 실외도어폰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모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외출(外出) 모드인 경우 공중전화망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외출 모드 동작단계;
    상기 확인 결과, 재실(在室) 모드인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 단말 기와 음성/영상통화를 연결하는 재실 모드 동작단계; 및
    상기 공중전화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로부터의 도어록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록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모드 동작단계는,
    송수화기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실내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송수화기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모드 동작단계는,
    상기 실외도어폰으로부터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실외도어폰 규격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모드 동작단계는,
    기 등록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수일 경우 브로드캐스트 근거리 무선통신 메시지를 송신하여 가장 먼저 응답한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모드 동작단계는,
    송수화기의 후크 스위치 동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중전화망과의 통화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송수화기와 통화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28777A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77A KR100923162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777A KR100923162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818A true KR20090061818A (ko) 2009-06-17
KR100923162B1 KR100923162B1 (ko) 2009-10-23

Family

ID=4099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777A KR100923162B1 (ko) 2007-12-12 2007-12-12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884A (zh) * 2018-03-07 2019-09-17 欧阳炳宇 提高物流效率保护隐私的共享寄存方法及系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46A (ko) * 2001-01-27 2001-05-07 고성욱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및 그 제어방법
KR100559776B1 (ko) * 2004-03-25 2006-03-15 유재희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0576797B1 (ko) * 2004-04-14 2006-05-10 배주운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070008955A (ko) * 2005-07-14 2007-01-18 문규연 복합기능을 갖는 홈오토메이션 전화 시스템 본체와 무선단말기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5884A (zh) * 2018-03-07 2019-09-17 欧阳炳宇 提高物流效率保护隐私的共享寄存方法及系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162B1 (ko) 200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0752B2 (en)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JP2002125059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転送方法
WO2006137388A1 (ja) 撮像機能付き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音声端末、映像端末、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ドアホンアダプタ
KR100859756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및 그 비상 통화 방법
CN102724358B (zh) 一种门禁对讲的实现方法、移动终端及门禁对讲机
JP485812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3204398A (ja) エレベータかご内携帯電話中継システム
JP529128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13588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7526269B1 (en) Remote intercom and automatic dialing system
KR100923162B1 (ko) 듀얼 모드 방문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9901A (ko)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KR20090008017A (ko)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JP7133781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090239465A1 (en) Doorphone system
KR100764349B1 (ko)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록 제어 방법
KR2009011538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도어폰시스템과,이를 통해 거주자의 휴대폰과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서비스하는 방법
JP3029261B2 (ja) 通信システム
JPH114480A (ja) 画像通信方法
JP6941788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KR200316220Y1 (ko) 휴대폰과 연동하는 비디오 도어폰
KR100437287B1 (ko) 영상 전화기 및 일반 모뎀에 접속되는 원격 감시카메라의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4127B1 (ko) 도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