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492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92A
KR20090061492A KR1020070128518A KR20070128518A KR20090061492A KR 20090061492 A KR20090061492 A KR 20090061492A KR 1020070128518 A KR1020070128518 A KR 1020070128518A KR 20070128518 A KR20070128518 A KR 20070128518A KR 20090061492 A KR20090061492 A KR 2009006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detergent
rinsing
washing
stroke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804B1 (ko
Inventor
고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의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의 잔류세제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헹굼행정 횟수를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 내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잔류세제측정기를 구비하고, 소정 횟수의 헹굼행정 수행 중,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헹굼행정을 추가하여 수행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세탁장치, 헹굼

Description

세탁장치{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에서 세탁조 내의 세탁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세탁물들 간의 마찰 등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수류식 세탁기와, 드럼의 회전으로 드럼에 투여된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형성된 리프터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이후 세탁물이 떨어질 때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장치를 이용해 세탁물을 충분히 세탁하기 위해서는 세제의 사용이 요구된다. 그런데, 세탁후 배수단계에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하더라도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모두 배출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세탁물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세제는 세탁물의 착용자에게 알러지를 일으키고 건강에 해를 끼쳐 그 농도를 낮추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헹굼횟수를 증가하는 것이 최선의 방 법이지만, 헹굼횟수를 무작정 증가시키는 것은 물이나 에너지 소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잔류세제량에 대응해 헹굼횟수를 능동적으로 결정하여 잔류세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 내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잔류세제측정기를 구비하고, 소정 횟수의 헹굼행정 수행 중,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헹굼행정을 추가하여 수행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탁장치는, 헹굼행정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잔류세제측정기는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확인하여, 수행되어야 할 헹굼행정의 횟수를 결정하고, 헹굼행정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된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상인 때에, 수행되어야 할 헹굼행정의 횟수가 추가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고 헹굼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에서,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잔류세제량에 따라,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를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에 수행되는 헹굼행정에서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에 섬유유연제를 혼합하고,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보다 1이 작은 횟수에서,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여,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를 추가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가 수행하는 상기 헹굼행정은,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단계 이후,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젖도록 하는 텀블링 단계; 및, 상기 텀블링 단계 이후,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잔류세제의 농도를 줄여 잔류세제로 인한 알러지나 건강문제등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헹굼횟수를 잔류세제의 농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이고,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셋째, 불필요하게 헹굼횟수를 늘리지 않아도 되므로, 세탁시간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세탁장치(W1)에 관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장치를 드럼 세탁장치를 기본 장치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이 세탁물 처리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전용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고자 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인 세탁장치는 수류식 세탁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탁장치의 일 예 대해 설명하면, 세탁장치(W1)는, 세탁장치(W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실행되고, 저수되는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잔류세제의 농도를 포함함)을 측정하는 잔류세제측정기(50)를 구비하는 세탁조(40)와, 상기 세탁조(40)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4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과,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캐비닛의 일부를 이루며, 중앙에 세탁물 출입구(8A)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8)와, 상기 캐비닛 커버(8)의 세탁물 출입구(8A)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 커버(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9)와, 세탁장치(W1)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등을 구비한다.
상기 세탁조(40)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스프링(12A)과 댐퍼(12B)에 의해 완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고, 세탁수의 잔류세제 농도를 측정하는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가 배치되는 터브(30)와, 상기 터브(30)의 내측에 상기 구동원(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고 세탁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통공(20A)이 형성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상기 드럼(20)의 내 측면에 설치된 리프터(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는 세탁수에 전류를 흘러 보내 그 저항을 측정하는 등의 전기적 방식의 측정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잔류세제측정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비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조(40)는 드럼세탁기를 예로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세탁조에 대해 드럼과 터브를 구비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타입의 세탁물 처리장치, 예를 들면, 수류식 세탁장치에서는 세탁조에 드럼이 요구되지 않고, 세탁조가 세탁물을 담는 세탁통과, 세탁통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세탁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어, 그 구조가 달라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조의 구조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세탁장치(W1)에서 어떻게 헹굼행정의 횟수를 능동적으로 결정하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세탁장치(W1)가 세탁행정을 수행(S110) 한 후에, 세탁물에 남은 세제를 제거하기 위해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세탁장치(W1)는 제1회 헹굼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제1회 헹굼행정 중 급수단계(S115)를 수행한다. 이러한 급수단계(S115)를 수행하여 세탁조(40) 내에 세탁수가 저수되는 때에,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가 상기 세탁수 내에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때, 본 단계(S120)가 상기 급수단계(S115)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드럼(20)을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세제가 세탁수로 더 잘 용해되도록 하는 텀블링단계의 수행 이후에 잔류세제를 측정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도 있고, 이러한 순서의 변화는 후술하는 기준값을 어떠한 실험조건에서 결정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지는 선택의 문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상기 잔류세제를 측정하는 단계(S120)을 수행한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는 그 측정한 잔류세제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그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세탁장치(W1)가 수행하여야 할 총 헹굼횟수를 결정하는 단계(S125)를 수행한다. 총 헹굼횟수가 결정된 이후, 상기 세탁장치(W1)는 제1회 헹굼행정 중 수행하지 않은 단계, 예를 들면 텀블링 단계 및 배수단계 등을 수행(S130)하여, 제1회 헹굼행정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세탁장치(W1)는 제2회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 동 헹굼행정 중 급수단계를 수행한다(S135). 동 단계(S135)의 수행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는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이후, 그 측정치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는 그 측정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S145)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준값은, 소정의 조건에서 반복된 실험을 통해 결정되는 실험치이다. 이후, 동 비교단계(S145)에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미 결정한 총헹굼횟수에 헹굼횟수를 1회 추가시켜, 총헹굼횟수를 늘 린(S150) 후 제2회 헹굼행정의 나머지 단계인 텀블링 단계 및 배수단계등을 수행한다(S155). 반면에,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총헹굼횟수를 늘리지 않고 바로 제2회 헹굼행정의 나머지 단계를 수행한다(S155). 이후, 상기 제어부는 수행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동 단계(S160)를 수행하여,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다시 헹굼행정중 급수단계를 수행(S135)하여 다시 수행한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에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보다 적지 않다고 판단되면 기타단계, 예를 들면, 탈수행정, 건조행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의 수행을 통해,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헹굼횟수를 결정할 수 있어, 잔류세제로 인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헹굼행정을 수행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낭비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세탁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는 그 헹굼행정의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세탁장치와 구분될 뿐, 기타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탁행정을 수행(S210) 한 후에, 제1회 헹굼행정 중 급수단계(S215)를 수행한다. 급수단계(S215)를 수행하여 세탁조(40) 내에 세탁수가 저수되는 때에, 세탁수 내에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상기 잔류세제를 측정하는 단계(S120)을 수행한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는 그 측정한 잔류세제량에 대 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그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세탁장치가 수행하여야 할 총 헹굼횟수를 결정하는 단계(S225)를 수행한다. 총 헹굼횟수가 결정된 이후, 상기 세탁장치(W1)는 제1회 헹굼행정 중 수행하지 않은 단계, 예를 들면 텀블링 단계 및 배수단계등을 수행(S230)하여, 제1회 헹굼행정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수행한 헹굼횟수와 충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을 비교하는 단계(S235)를 수행한다. 동 단계(S235)에서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헹굼행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후(S240) 다시 동 비교단계(S235)를 반복한다. 반면에,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시 헹굼행정중 급수단계(S245)를 수행한 이후,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250)를 수행한다. 이때, 반드시 급수단계 후에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55)를 상기 제어부가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크다고 확인하면, 총헹굼횟수를 1회 증가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 후, 이미 시작한 헹굼행정 중 나머지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S265)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가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작다고 확인하면 총헹굼횟수의 증가 없이 바로 이미 시작한 헹굼행정 중 나머지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S265)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와 같은지를 확인하는 단계(S270)를 수행한다. 이 단계(270)에서 수행한 헹굼횟수와 총헹굼횟수가 같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시 추가적으 로 헹굼행정을 수행(S275)한 후 탈수행정이나 건조행정등의 기타행정을 수행한다(S280). 반면에, 상기 확인단계(S270)에서, 수행한 헹굼횟수와 총헹굼횟수가 같다고 판단되면, 헹굼행정의 추가적 수행 없이 기타단계를 수행한다(S270).
본 실시에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총헹굼횟수의 추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총헹굼횟수의 마지막 단계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마지막 남은 잔류세제량에 대응하여 헹굼행정의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에인 세탁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는 그 헹굼행정의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세탁장치와 구분될 뿐, 기타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탁행정을 수행(S310) 한 후에, 제1회 헹굼행정 중 급수단계(S315)를 수행한다. 급수단계(S315)를 수행하여 세탁조(40) 내에 세탁수가 저수되는 때에, 세탁수 내에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320)를 수행한다. 상기 잔류세제를 측정하는 단계(S320)을 수행한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50)는 그 측정한 잔류세제량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인가하고, 제어부는 그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세탁장치가 수행하여야 할 총 헹굼횟수를 결정하는 단계(S325)를 수행한다. 총 헹굼횟수가 결정된 이후, 상기 세탁장치(W1)는 제1회 헹굼행정 중 수행하지 않은 단계, 예를 들면 텀블링 단계 및 배수단계등을 수행(S330)하여, 제1회 헹굼행정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수행한 헹굼횟수와 충헹굼횟수에서 2를 뺀 값을 비교하는 단계(S340)를 수행한다. 동 단계(S340)에서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에서 2를 뺀 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헹굼행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후(S335) 다시 동 비교단계(S340)를 반복한다. 반면에,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에서 2를 뺀 값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시 헹굼행정중 급수단계(S345)를 수행한 이후,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단계(S347)를 수행한다. 이때, 반드시 급수단계 후에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50)를 상기 제어부가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가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크다고 확인하면, 총헹굼횟수를 1회 추가하는 단계(S355)를 수행한 후, 이미 시작한 헹굼행정 중 나머지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어부가 잔류세제량이 기준값보다 작다고 확인하면 총헹굼횟수의 증가 없이 바로 이미 시작한 헹굼행정 중 나머지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수행한 헹굼횟수가 총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과 같은지를 확인하는 단계(S365)를 수행한다. 이 단계(365)에서 수행한 헹굼횟수와 총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이 같지 않다고 판단되면 다시 추가적으로 헹굼행정을 수행(S370)한 후, 상기 세탁조(40)에 섬유유연제를 추가하여 헹굼행정을 하는 단계(S373)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확인단계(S270)에서, 수행한 헹굼횟수와 총헹굼횟수에서 1을 뺀 값이 같다고 판단되면, 추가적인 헹굼행정을 수행(S370)하지 않고, 상기 세탁조(40)에 섬유유연제를 추가하여 헹굼행정을 하는 단계(S375)를 수행한다. 이후, 탈수행정이나 건조행정등 기 타단계를 수행한다(S380)
본 실시예에서는 마지막 헹굼단계에서 섬유유연제를 투입하여 헹굼행정을 수행하는데, 섬유유연제의 투여로 잔류세제량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섬유유연제 투입 이전의 단계에서 헹굼행정의 추가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잔류세제량을 능동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류식 세탁기, 드럼 세탁기 등과 같은 각종 세탁장치에 사용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세탁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세탁장치에서 어떻게 헹굼행정의 횟수가 결정되어 각종 행정이 수행되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세탁장치에서 어떻게 헹굼행정의 횟수가 결정되어 각종 행정이 수행되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세탁장치에서 어떻게 헹굼행정의 횟수가 결정되어 각종 행정이 수행되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1: 세탁장치 40: 세탁조
50: 잔류세제측정기

Claims (6)

  1.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 내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는 잔류세제측정기를 구비하고,
    소정 횟수의 헹굼행정 수행 중,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헹굼행정을 추가하여 수행하는 세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의 헹굼행정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잔류세제측정기는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확인하여, 수행되어야 할 헹굼행정의 횟수를 결정하고,
    헹굼행정이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된 이후,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상인 때에, 수행되어야 할 헹굼행정의 횟수가 추가되는 세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세제측정기가 측정한 잔류세제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고 헹굼행정을 종료하는 세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세제측정기는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에서,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여,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를 추가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세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에 수행되는 헹굼행정에는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에 섬유유연제가 혼합되고,
    상기 잔류세제측정기는,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의 마지막 횟수보다 1이 작은 횟수에서, 상기 세탁조에 저수된 세탁수의 잔류세제량을 측정하여, 상기 헹굼행정의 횟수를 추가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세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은,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에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단계 이후,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수에 충분히 젖도록 하는 텀블링 단계; 및,
    상기 텀블링 단계 이후, 저수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KR1020070128518A 2007-12-11 2007-12-11 세탁장치 KR10145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18A KR101455804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518A KR101455804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92A true KR20090061492A (ko) 2009-06-16
KR101455804B1 KR101455804B1 (ko) 2014-10-28

Family

ID=4099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18A KR101455804B1 (ko) 2007-12-11 2007-12-11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5502A (zh) * 2020-11-02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涤剂残留量过多的处理方法及装置
CN112813646A (zh) * 2019-11-18 2021-05-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374A (ko) * 1996-06-29 1998-03-30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물 헹굼방법
KR20040011222A (ko) * 2002-07-29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517599B1 (ko) * 2002-11-28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헹굼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95064B1 (ko) * 2002-11-28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류세제 감지형 세탁기의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3646A (zh) * 2019-11-18 2021-05-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涤设备的控制方法
CN112575502A (zh) * 2020-11-02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涤剂残留量过多的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804B1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90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rculating cleaning water for drum washing machine
CN107059354A (zh) 一种检测及消除泡沫的方法及采用该方法的洗衣机
KR101957955B1 (ko) 세탁기
KR20070117677A (ko) 세탁기 조세정 방법 및 세탁조 세척코스가 구비된 세탁기
RU2006119615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варианты)
US9121122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121898A (ja) 洗濯機
KR20090061492A (ko) 세탁장치
KR20150073394A (ko) 헹굼 향상을 위한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36451B1 (ko) 드럼 세탁기 거품 제거 방법
JP2018114212A (ja) 洗濯機
JP2018121899A (ja) 洗濯機
KR1014875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20154378A1 (en) A method for washing laundry in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971016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방법
KR20040011222A (ko) 드럼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211263B1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200121643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11955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방법
KR100495063B1 (ko) 드럼세탁기의 애벌세탁방법
KR20090120575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CN113474506B (zh) 用于在洗衣机中洗涤衣物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洗衣机
KR100479096B1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CN113802322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6065338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排水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