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363A -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363A
KR20090061363A KR1020070128351A KR20070128351A KR20090061363A KR 20090061363 A KR20090061363 A KR 20090061363A KR 1020070128351 A KR1020070128351 A KR 1020070128351A KR 20070128351 A KR20070128351 A KR 20070128351A KR 20090061363 A KR20090061363 A KR 2009006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sewer
filter
manhol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수
Original Assignee
김광영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영,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영
Priority to KR102007012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363A/ko
Publication of KR2009006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의 도로변 지하에 설치되어 생활하수가 흐르게 하는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 악취를 흡입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악취 제거탑을 설치하되, 상기 악취 제거탑에는 배출팬과 악취 제거용 필터를 설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악취 제거탑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채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하수구의 맨홀에는 각각 일방향 댐퍼를 설치하되 상기 일방향 댐퍼에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통기부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하수구, 악취제거, 케미칼 필터

Description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Deodorizing system of gutter}
본 발명은 도심의 도로변 지하에 설치되어 생활하수가 흐르게 하는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일정 장소로 모아진 후 다단으로 설치된 필터를 통하여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도심의 도로변 지하에 설치되어 생활하수를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흐르게 하는 하수구에는 지표면의 우수, 청소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맨홀을 설치하고 있으나, 하수구로 유입된 생활하수가 흐르지 못하고 고여 있게 되고, 특히 고여 있는 상태에서는 여름철 부패가 진행되어 맨홀을 통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는 관광객이나 시민들에게 나쁜 인상을 심어줄 뿐 아니라 환경에도 악역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었다.
하수구 특히 맨홀을 통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맨홀에 일방향성 댐퍼 등을 설치하여 빗물이 맨홀로 유입되는 경우 댐퍼가 열리게 하고, 빗물의 유입이 없는 경우는 댐퍼가 닫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맨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지상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하수구로부터의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하수구의 일정 거리마다 악취 제거탑을 설치하고, 상기 악취 제거탑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유입되게 하여 필터를 통하여 제거되게 함으로써, 하수구의 맨홀을 통하여는 외부공기가 하수구로 유입될 뿐 하수구의 맨홀로부터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아 맨홀을 통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없어지고, 특히 하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악취 제거탑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수구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악취 제거탑을 설치하되, 상기 악취 제거탑에는 배출팬과 악취 제거용 필터를 설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악취 제거탑을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된 채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하수구의 맨홀에는 각각 일방향 댐퍼를 설치하되 상기 일방향 댐퍼에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통기부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악취 제거탑의 배출팬을 작동시켜 하수구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맨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만 될 뿐 배출은 되지 않도록 하고, 악취 제거탑에는 각기 다른 성질의 악취를 제거하는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악취가 필터를 통하여 제거된 후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구 맨홀에는 통기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일방향 댐퍼를 설치하여 악취 제거탑에서 멀어질수록 통기부를 많이 열어 하수구의 내부공기가 악취제거탑으로 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악취 제거탑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 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수구의 악취를 악취 제거탑의 배출팬으로 배출시키되 필터를 이용하여 악취가 제거된 채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기존과 다르게 하수구의 맨홀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악취가 확산되지 않고, 악취 제거탑에서 악취가 필터로 제거된 후 배출되게 되어 도심에서 하수구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도심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악취 제거탑의 외측은 광고판이나 시정 홍보탑으로 사용하여 악취 제거탑이 도심 미관을 해치는 경우를 없애는 동시에 광고판을 이용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운용비용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수구(10)의 악취가 내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악취 제거탑(100)을 설치하되 상기 악취 제거탑(100)은 수 개의 맨홀(11)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마다 설치하여 하수구(10)의 악취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악취 제거탑(100)은 하수구(10)의 상부에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몸체(110)를 갖도록 하되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는 도어(120)를 설치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필터(130) 또는 케미칼 필터(14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출팬(150)을 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조명기(111)를 설치하는 한편 몸체(110)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시켜 투명 광고판(160)을 설치하고, 몸체(110)의 상부에는 배출팬(150)을 설치하며, 몸체(110)의 내부에는 하측으로부터 집진필 터(130)와 케미칼 필터(1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는 각각 ㄷ자 형태의 끼움구(131)(141)에 끼워져 설치되게 하되 케미칼 필터(140)는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악취와 접촉하게 되는 면적을 넓이도록 하고, 상기 케미칼 필터(140)와 집진필터(130)의 설치 방식은 도어(120)를 열고 교체가 용이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상기 집진필터(130)는 끼움구(131)(141)가 고정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끼워지고 빼지도록 하거나, 끼움구(131)(141)중 하나의 끼움구(131)(141)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집진필터(130)를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집진필터(130)는 분진과 먼지가 악취 제거탑(100)으로 유입되어 케미칼 필터(140)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케미칼 필터(140)는 도 9및 도 10과 같이 사각통 형태의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45) 내부에 비드 형태의 화학흡착 소재(146)를 넣어주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45)는 악취가 화학흡착 소재(146)를 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타공망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여기서 케미칼 필터(140)는 비드 형태의 화학흡착 소재(146)를 이용하지 않고 카본 섬유상 필터나 이온교환 수지의 부직포 필터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미칼 필터(140)는 화학흡착 필터, 광촉매 필터, 자외선이나 플라즈마에 의한 오존을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수구(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착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미칼 필터(140)는 아래 표와 같이 다양한 성질을 갖도록 하여 악취의 흡착 반응이 일어나 악취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표. 하수구의 악취물질과 화학 흡착제와의 주 반응예.
악 취 물 질 주 반 응 예
염기성 계통 암모니아 NH₃ HA NH₃→ (NH₄)₂ㆍA
트리메틸아민 (CH₃)₃N HA (CH₃)₃N → {(CH₃)₃N}ㆍHA
산성 계통 유화수소 H₂S NH₃ H₂S → S, H₂SO₄
메틸메르캅탄 CH₃SH O₂ CH₃SH → (CH₃)₂S₂→ 물리흡착
중성 계통 유화메틸 (CH₃)₂S O₂ (CH₃)₂S → (CH₃)₂SO
이황화메틸 (CH₃)₂S₂ O₂ (CH₃)₂S₂→ CH₃SO₃H
아세트알데히드 CH₃CHO CH₃CHO → 물리흡착
스티렌 C8H8 C8H8 → 물리흡착
악취제거탑(100)의 케미칼 필터(140) 상부에는 악취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150)이 설치되게 되고, 상기 배출팬(150)에서 악취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때 하수구(10)가 음압이 형성되어 악취가 맨홀(11)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반대로 맨홀(11)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하수구(10)로 유입되면서 하수구(10)의 내부 악취와 함께 악취 제거탑(10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맨홀(10)에 일방향 댐퍼(20)를 설치하여 맨홀(11)을 통하여 악취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댐퍼(20)에는 구멍 조절이 가능한 통기부(22)를 형성하여 통기부(22)의 구멍크기 정도에 따라 외부공기가 맨홀(11)을 통하여 하수구(10)로 유입되는 량이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은 악취 제거탑(100)에서 배출팬(150)을 통하여 하수구(10)의 악취를 배출시킬 때 맨홀(11)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일정량 하수구(10)로 유입되어야 하므로, 맨홀(11)의 하부에 외부빗물은 유입되나 내부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댐퍼(20)를 설치하되 상기 댐퍼(20)에 형성된 통기부(22)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댐퍼(20)의 통기부(22)를 조절하여 맨홀(11)에서 하수구(10)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악취 제거탑(100)에서 멀어질수록 통기부(22)을 크게 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이 확보되게 하고, 악취 제거탑(100)에서 가까울수록 통기부(22)를 적게 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수구(10)의 맨홀(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하수구(10)의 내부 악취가 균형있게 악취 제거탑(100)으로 유입되게 한다.
즉 배출팬(150)에서 거리가 멀수록 외부공기 흡입에 의한 통기부(11)의 저항을 낮춰서 전체적으로 각각의 맨홀(11)에서 유입되는 공기 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댐퍼(20)는 두 조각으로 중앙에서 서로 접하게 하되 스프링(21)으로 탄지되게 함으로써 평상시 맨홀(11)의 하부를 막아주고, 빗물이 유입될 경우는 빗물의 무게에 의해 중앙이 접혀지면서 빗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댐퍼(20)에는 통기부(22)를 형성시키되 상기 통기부(22)는 가림판(23)으로 가려질 수 있도록 하여 가림판(23)을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통기부(22)의 크기가 되도록 하고, 상기 가림판(23)은 도시되지 않은 볼트 등을 조여 통기부(22)의 조절 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통기부(22)는 악취 제거탑(100)에서 거리가 멀수록 많이 열리게 하고, 가까울수록 적게 열리도록 하여 악취 제거탑(100)으로 일정한 량의 악취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악취 제거탑(100)에서 거리가 가까우면 하수구(10) 내의 공기 유동 저항이 낮아서 통기부(22)를 적게 하여도 충분히 외부공기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악취 제거탑(100)에서 거리가 멀면 하수구(10) 내의 공기 유동 저항이 높아져 통기부(22)를 크게 하여야 외부공기 유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3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1)에 하수구(10)의 맨홀(11)이 형성되고, 하수구(10)의 상측으로 악취 제거탑(100)이 설치되게 되나, 맨홀(11)로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악취 제거탑(100)을 인도(2)에 올려서 설치하되 상기 악취제거탑(100)으로 유도 덕트(170)를 통하여 악취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덕트(170)를 설치한다.
여기서 유도덕트(170)는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하에 설치되거나에 관계없이 맨홀(11)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악취가 유도덕트(170)를 통하여 악취 제거탑(10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악취 제거탑(100)은 인도(2)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구(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하수구(1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필터(130)(140)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악취 제거탑(100)을 설치하고, 하수구(10)의 맨홀(11)에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통기부(22)가 형성된 댐퍼(20)를 설치하되 상기 댐퍼(20)는 평상시 맨홀(11)의 하부 를 가려주고,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만 하부로 펼쳐져 열리게 된다.
그리고 악취 제거탑(100)은 외측으로 조명기(111)를 설치하는 한편 일정 거리를 이격시켜 광고판(160)을 설치하고, 한 쪽으로는 도어(120)를 설치하여 조명기(111)및 광고판(160)의 광고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몸체(110) 내부의 필터(130)(140)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ㄷ자형 끼움구(131)(141)에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가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130)(140)는 도어(120)를 열고 측방향으로 교체시키거나, 끼움구(131)(141) 중 하나를 착탈시켜 케미칼 필터(140)를 교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악취 제거를 위하여 배출팬(150)을 작동시키면, 하수구(10)의 내부에 채워진 악취가 배출팬(150)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되며, 이때 맨홀(11)에 설치된 댐퍼(20)의 통기부(22)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하수구(10)로 적정량 유입되어야만 하수구(10) 내부의 악취가 원활하게 배출팬(150)에 의해 배출되게 된다.
댐퍼(20)의 통기부(22)는 차단판(23)을 이용하여 적정 크기로 개방되게 하되 악취 제거탑(100)에서 멀어질수록 통기부(22)를 많이 열어 필요로 하는 량의 외부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배출팬(150)을 작동시키면 하수구(10)에 음압이 걸리게 되고, 맨홀(11)을 통하여 소량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하수구(10)의 내부공기는 정체되지 않고 배출팬(150)을 통하여 원활히 배출되게 된다.
상기 악취 제거탑(100)에는 하부에 집진필터(130)가 설치되어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집진필터(130)를 통과한 악취는 케미칼 필터(140)를 통하여 악취가 제거된 후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케미칼 필터(140)는 악취가 염기성일 경우와 산성일 경우 그리고 중성일 경우 모두 제거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성질의 필터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필터 면적을 넓힘으로써 필터를 통과하는 풍속을 낮춰서 악취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효과적인 악취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케미칼 필터(140)의 효능이 저감되거나 집진필터(130)가 막혀 성능이 저하될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몸체(110)에는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광고판(160)을 설치함으로써 시정홍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품 광고를 허가하여 광고비용으로 악취 제거탑(100) 운용에 따른 비용을 충당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는 조명기(111)를 설치하여 광고판(160)이 야간에 잘 보이도록 하고, 몸체(110)의 일측에는 도어(120)를 설치하여 조명기(111)나 광고판(160)의 광고지 교체 또는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악취 제거탑(100)이 하수구(1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도, 외관상 눈에 거슬리지 않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운용비용을 광고로 충당할 수 있으며, 특히 하수구(10)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어 쾌적한 도심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악취 제거탑(100)을 하수구(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차량 통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악취 제거탑(100)을 인도(2)에 설치하여 차량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후 맨홀(11)의 악취가 악취 제거탑(100)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덕트(170)를 설치하되 상기 유도덕트(170)는 맨홀(11)과 악취제거탑(100) 사이를 도 13및 도 14와 같이 지상 또는 지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도덕트(170)는 하수구(10)의 악취가 악취 제거탑(1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하수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악취 제거탑이 설치된 상태의 하수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댐퍼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댐퍼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악취 제거탑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악취 제거탑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악취 제거탑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필터와 끼움구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필터조립 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필터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필터 분해 사시도
도 13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수구 11 : 맨홀
20 : 댐퍼 22 : 통기부
100 : 악취 제거탑 110 : 몸체
111 : 조명기 120 : 도어
130 : 집진필터 140 : 케미칼 필터
150 : 배출팬 160 : 광고판
170 : 유도덕트

Claims (7)

  1. 일정 간격으로 맨홀(11)이 설치되어 빗물이 유입되게 하는 하수구(10)에 일정 거리마다 하수구(10)의 악취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악취 제거탑(100)을 설치하되 상기 악취 제거탑(100)에는 악취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필터(130)와 악취를 제거하는 케미칼 필터(1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하수구(10)의 악취가 배출팬(150)에 의해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를 통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2. 일정 간격으로 맨홀(11)이 설치되어 빗물이 유입되게 하는 하수구(10)에 일정 거리마다 하수구(10)의 악취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악취 제거탑(100)을 설치하되 상기 악취 제거탑(100)에는 악취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필터(130)와 악취를 제거하는 케미칼 필터(1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하수구(10)의 악취가 배출팬(150)에 의해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를 통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맨홀(11)에는 통기부(22)가 형성되고 스프링(21)에 탄지되어 평상시 맨홀(11)의 하부를 막아주는 댐퍼(2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탑(100)은 내부가 중공 형태를 갖는 몸체(110)의 하측에 집진필터(130)가 설치되고, 집진필터(130)의 상측으로 케미칼 필터(140)가 설치되며, 케미칼 필터(140)의 상측으로 배출팬(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탑(100)의 내부에 설치된 집진필터(130)와 케미칼 필터(140)는 ㄷ자형 끼움구(131)(141)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집진필터(130)는 하수구(10)에서 악취가 유입되는 통로를 막아주게 설치되며, 케미칼 필터(140)는 상기 집진필터(130)의 상측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맨홀(11)의 하부에는 개폐되는 댐퍼(20)를 설치하여 스프링(21)의 탄성력으로 댐퍼(20)가 닫히게 하고, 상기 댐퍼(20)에는 통기부(22)를 설치하되 상기 통기부(22)는 차단판(23)을 이용하여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탑(100)에서 거리가 먼 맨홀(11)에 설치된 댐퍼(20)의 통기부(22)는 많이 열고, 악취 제거탑(100)에서 거리가 가까운 맨홀(11)에 설치된 댐퍼(20)의 통기부(22)는 적게 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악취 제거탑(100)의 몸체(110) 외측에는 조명 기(111)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몸체(110)에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광고판(1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제거 장치.
KR1020070128351A 2007-12-11 2007-12-11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KR20090061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51A KR20090061363A (ko) 2007-12-11 2007-12-11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51A KR20090061363A (ko) 2007-12-11 2007-12-11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63A true KR20090061363A (ko) 2009-06-16

Family

ID=4099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51A KR20090061363A (ko) 2007-12-11 2007-12-11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3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62A2 (ko) * 2010-10-07 2012-04-12 센텍(주) 하수관정 악취제거시스템
WO2017214664A1 (en) * 2016-06-13 2017-12-21 Thomas Cherimulla Itty Modular drainage assembly and drainage unit therefor
CN111441383A (zh) * 2020-04-10 2020-07-24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升降的综合管廊通风口结构及综合管廊
KR102513722B1 (ko) 2022-01-03 2023-03-23 정우남 오존을 이용한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62A2 (ko) * 2010-10-07 2012-04-12 센텍(주) 하수관정 악취제거시스템
WO2012047062A3 (ko) * 2010-10-07 2012-07-19 센텍(주) 하수관정 악취제거시스템
US8834613B2 (en) 2010-10-07 2014-09-16 Scentec Inc. Bad odor removal system for sewage pipe
WO2017214664A1 (en) * 2016-06-13 2017-12-21 Thomas Cherimulla Itty Modular drainage assembly and drainage unit therefor
CN111441383A (zh) * 2020-04-10 2020-07-24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可升降的综合管廊通风口结构及综合管廊
KR102513722B1 (ko) 2022-01-03 2023-03-23 정우남 오존을 이용한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338B1 (ko) 하수도 시설 내의 악취 제거 시스템
KR20090061363A (ko) 하수구의 악취 제거 장치
KR20180051527A (ko) 환경의 내외부 공기의 환기 및 생물학적 정화 모듈, 및 관련 방법
CN103154392B (zh) 用于污水管的异味去除系统
CN105201057A (zh) 一种用于公共卫生间的除臭设备
KR10192768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지능형 초기 우수 분리장치
KR101152571B1 (ko)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CN201567672U (zh) 一种下水道箅子
CN204329181U (zh) 一种吊顶式空气净化器
KR10179922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지능형 초기 우수 분리장치
KR101700168B1 (ko) 오폐수관 악취정화를 위한 전기정화시스템
KR102036655B1 (ko) 타워형 탈취장치
KR101839373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빗물받이장치
CN101565966A (zh) 下水道恶臭去除装置
CN102322098B (zh) 雨水口装置
KR20180081663A (ko) 음압방식을 이용한 하수구용 악취저감장치
CN107990447B (zh) 一种耦合式环境净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76025B1 (ko)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체형 악취방지장치
KR200384769Y1 (ko) 통풍장치
KR102586581B1 (ko)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KR102497855B1 (ko) 먼지 제거 장치
CN204806571U (zh) 一种利用单向气流实现室内空气净化的装置
KR101632919B1 (ko) 수질개선 기능과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CN219452153U (zh) 一种隧道通风净化装置
CN107514729B (zh) 一种室内新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