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439A - 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439A
KR20090060439A KR20097007650A KR20097007650A KR20090060439A KR 20090060439 A KR20090060439 A KR 20090060439A KR 20097007650 A KR20097007650 A KR 20097007650A KR 20097007650 A KR20097007650 A KR 20097007650A KR 20090060439 A KR20090060439 A KR 20090060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pilot
channel
common
precod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0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히구치
요시히사 기시야마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60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76Pilot transmitters or receiver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or for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에, 복수의 안테나와,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제1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과,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제1의 웨이트와 직교하는 제2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과, 제1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제2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합성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Figure P1020097007650
기지국장치, 파일럿 채널, 프리코딩, 웨이트, 합성

Description

기지국장치{BASE ST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술분야에 관련하며, 특히 멀티 안테나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지국장치에 관련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서는, 정보 전송의 고속화 및 고품질화 등의 관점에서, 몇 개의 멀티 안테나 시스템(multi-antenna system) 또는 멀티 안테나 전송법이 장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 제안되어 있다. 멀티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송신 및/또는 수신에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어, 주파수(frequency)나 시간(time)뿐만 아니라 공간(space)도 유효하게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멀티 안테나 전송법에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중법, MIMO 다이버시티법(MIMO diversity) 및 적응 어레이 안테나(AAA: Adaptive Array Antenna)법이 있다.
여기에서는, 본원에 관련하는 MIMO 다이버시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MIMO 다이버시티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MIMO 다이버시티법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동일 내용의 복수의 스트림(stream)을 병렬(parallel)로 전송하여, 수신측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심볼 A, B가, 한쪽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A, B의 순으로 송신 되고, 다른 쪽의 안테나로부터 ―B*, A*의 순으로 송신된다. 기호 "―"는 음의 부호를 나타내며, 위첨한 "*"은 복소공액(complex conjugation)을 나타낸다. 송신하는 심볼 A, B를 이와 같은 2 계통의 스트림(stream)으로 변환하는 기술은, 시공간 블록 부호화(STBC: Space Time Block Coding) 또는 단순히 선형 처리(linear processing)라고 불린다. 수신측에서는, A―B*와 B+A*가 순서대로 수신되고, 이들의 수신신호로부터 송신된 심볼 A, B가 추정된다.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2개의 신호는, 각각의 페이딩(fading)에 맡겨지므로, 수신측에서 적절히 합성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신뢰도가 향상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통신장치에서는, 송신되는 채널에 관계없이, 항상 양 스트림분의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이 송신된다. 때문에, MIMO 전송시의 파일럿의 오버헤드(overhead)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수가 4 개인 통신장치에 있어서,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을 송신하고 싶을 때에도, 4 스트림분의 파일럿 채널이 송신된다. 이 경우, 2 스트림의 파일럿 채널은 공통 제어 채널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낭비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파일럿 채널의 기본적인 기능, 즉 이동국장치(mobile station)에 있어서의 셀 서치(cell search), 핸드오버(handover), CQI 측정(CQI measurement), 제어 채널의 복조(control channel demodulation), 데이터 채널의 복조(data channel demodulation) 등을 할 수 있고, MIMO 전송시의 파일럿의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제1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의 웨이트와 직교하는 제2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 및, 상기 제1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상기 제2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복조되는 공통 제어 채널을, 공통 파일럿 채널과 동일한 제1의 웨이트 및 제2의 웨이트에 의해 유니터리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에서는 기지국의 안테나 수에 관계없이 2개의 공통 파일럿 채널로 복조할 수 있다.
또, 특히 안테나 수가 4 이상인 경우, 모든 안테나의 송신전력 증폭기를 이용할 수 있어, 공통 파일럿 채널의 송신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일럿 채널의 기본적인 기능, 즉 이동국장치에 있어서의 셀 서치, 핸드오버, CQI 측정, 제어 채널의 복조, 데이터 채널의 복조 를 할 수 있고, MIMO 전송시의 파일럿의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MIMO 다이버시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프리코딩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의 파일럿 신호의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프리코딩을 적용한 경우의 파일럿 신호의 송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5는 MIMO 다이버시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공통 제어 채널과 공통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L1/L2 제어 채널과 공통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9는 CQI 측정용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11은 개별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기지국장치
102, 104, 112, 116, 120 프리코딩 처리부
1021, 1022, 1023, 1024, 1041, 1042, 1043, 1044, 1121, 1122, 1123, 1124, 1161, 1162, 1163, 1164, 1201, 1202, 1203, 1204 승산기
1061, 1062, 1063, 1064, 1141, 1142, 1143, 1144, 1181, 1182, 1183, 1184, 1221, 1222, 1223, 1224 합성부
1081, 1082, 1083, 1084 안테나
110 STBC 인코더
200 이동국장치
231-1, 231-2 공유기(Duplexer)
232-1, 232-2 RF 수신회로
233 수신 타이밍 추정부
234-1, 234-2 FFT
235 신호 검출부
236 채널 복호부
237 하향 L1/L2 제어 채널 복조부
238 공통 파일럿 채널 또는 개별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채널 추정부
239-1, 239-2 안테나
241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희망 스트림수·번호 추정부
242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희망 프리코딩 벡터 추정부
243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CQI 추정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다원입력 다원출력(MIMO) 통신시스템이며, 기지국장치(base station apparatus) 및 이동국장치(mobile station apparatus)를 구비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에 대해서 복수(NT)의 송신 안테나(NT는, NT>1의 정수) 및 복수(NR)의 수신 안테나(NR은, NR>1의 정수)를 채용 한다. NT의 송신 및 NR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min{NT, NR}를 갖는 NS의 독립된 채널로 분해될 가능성이 있다.
또,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downlink)에 대해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상향링크(uplink)에 대해서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interference)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4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2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이 송신되는 주기, 예를 들면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주기로, 2개의 고정값의 유니터리 프리코딩된(unitary pre-encoded)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한다. 유니터리 프리코딩이란, 2개의 직교하는 웨이트(weight)를 승산(multiply)하는 것을 말한다. 즉, 2개의 직교하는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two orthogonal weight-multiplied common pilot channel)을 송신한다.
유니터리 프리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특히, 안테나 수가 4 이상일 때 모든 안 테나의 송신전력 증폭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공통 파일럿 채널뿐만 아니라, 복조 대상이 되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도 동일하다. 단, 유니터리 프리코딩의 웨이트가 단위 행렬이라면, 2 안테나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채널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 이상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2개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1 및 #2로부터 송신되고, 안테나 #3 및 #4로부터는 송신되지 않는다. 파워 앰프(PA)의 출력전력에는 한도가 있기 때문에, 안테나 #1-#4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출력전력은 절반이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값의 프리코딩(pre-encoding)을 수행함으로써, 전 파워 앰프(amplifiler)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송신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출력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복조되는 공통 제어 채널은, 공통 파일럿 채널과 동일한 2개의 고정값의 유니터리 프리코딩을 수행한 후에,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를 수행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국장치는, 기지국장치의 안테나 수에 관계없이 2개의 공통 파일럿 채널로 복조할 수 있다.
또, 이동국에 있어서, 셀 서치, 핸드오버 메저먼트(HO measurement)가 수행될 때, 2개의 고정값의 유니터리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신호 전력(S) 측정 혹은 수신신호 전력 대 간섭 및 잡음전력비(SINR)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이 입력되는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으로서의 프리코딩 처리부(102)와,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가 입력되는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으로서의 프리코딩 처리부(104)와, 프리코딩 처리부(102)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04)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06(1061, 1062, 1063, 1064))와, 각 합성부(10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108(1081, 1082, 1083, 1084))를 구비한다.
공통 파일럿 신호 #1과 공통 파일럿 신호 #2는 모두 기지국장치 및 이동국장치의 쌍방에서 기지의 신호이다.
공통 제어 채널 #1과, 공통 제어 채널 #2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통 제어 채널의 심볼을 S1, S2라 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BC 인코더(110)에 있어서,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의 출력은 2심볼을 쌍으로하여 시간적으로 반전하고, 공액복소로서 홀수 심볼은 극성을 반전시켜서 출력한다. 도 5에 있어서, 기호 "-"는 음의 부호를 나타내고, 위첨한 "*"은 복소공액을 나타낸다. 즉, 프리코딩 처리부(102)에는, S1, S2의 순으로 입력되고, 프리코딩 처리부(104)에는, -S2 , S1 의 순으로 입력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2)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2)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에 프리코딩 웨이트 a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a1, a2, a3 및 a4)가 각각 승산된다.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한편,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는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에 프리코딩 웨이트 b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b1, b2, b3 및 b4)가 각각 승산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웨이트 a 및 b는 서로 직교하며, 그 놈(norm)은 1이다. 즉, 프리코딩 웨이트 a=[a1, a2, a3, a4], b=[b1, b2, b3, b4]라 한 경우, a1×b* 1+a2×b* 2+a3×b* 3+a4×b* 4=0, √(|a1|2+|a2|2+|a3|2+|a4|2)=1, √(|b1|2+|b2|2+|b3|2+|b4|2)=1이다. "*"는 복소공액을 나타낸다.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서는,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값 a,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각각 다른 시간영역-주파수영역에서 다중된다. 도 6에는, 공통 제어 채널과 공통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6에서는,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고정값 a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은 띄엄띄엄한 위치에 맵핑된다.
합성된 신호는, 각각 안테나(1081, 1082, 1083 및 1084)로부터 송신된다. 즉, 합성된 공통 파일럿 채널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기지국장치가 4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2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L1/L2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주기, 예를 들면 TTI 주기로, 2개의 고정값의 유니터리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송신한다.
유니터리 프리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특히, 안테나수가 4 이상일 때 모든 안테나의 송신전력 증폭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공통 파일럿 채널뿐만 아니라, 복조 대상이 되는 제어 채널도 동일하다. 단, 유니터리 프리코딩의 웨이트가 단위 행렬이라면, 2 안테나로부터의 공통 파일럿 채널에 상당한다.
L1/L2 제어 채널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에는, 유저 공통정보, 예를 들면 멀티 유저(multi-user)인지 싱글 유저(single-user)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유저 고유정보(user-specific information), 예를 들면, 스트림수 정보(number of streams), 국재 송신(localized transmission)인지 분산 송신(distributed transmission)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고 레이어(high-layer)의 제어신호로 사전에 통지된다. 여기서, 국재 송신이란 연속하는 서브캐리어를 1블록으로서 할당하는 송신방법이며, 분산 송신이란, 대역 전체에 서브캐리어를 분산시켜서 할당하는 송신방법이다.
L1/L2 제어 채널은 이하의 정보를 포함한다.
(1) 할당된 리소스 블록 정보(allocated resource-block information).
(2) 스트림마다 이용되는 스트림수 만큼의 프리코딩 벡터(pre-encoding vector) 정보. 스트림 번호(stream number)와 프리코딩 벡터의 대응관계가 미리 1대1 대응으로 결정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하는 스트림 번호를 통지하기만 해도 좋다.
(3) 스트림마다의 MCS(변조방식(modulation scheme)과 부호화율(encoding rate)). 원칙은 스트림수 만큼 보내나, 스트림간에 공통의 변조방식과 부호화율을 이용하는 경우는, 하나만.
(4) 하이브리드 ARQ 관계의 정보. 원칙은 스트림수 만큼 보내나, 복수 스트림간에 같은 부호화 블록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는, 그 중에서 하나만.
(5) UE ID 정보.
이들 정보 중, 정보 (1)을 부호화한다(부호화 블록 1). 한편, 정보 (2)∼(5)를 모아서 부호화하고, 또한 CRC 비트는, (2)-(4)의 정보와 합쳐서 송신하며, CRC 비트에 (5)의 정보를 중첩하여 송신한다(부호화 블록 2).
즉, L1/L2 제어 채널은, 2개의 부호화 블록 1, 2로 나누어 부호화된다. 부호화 블록 1에는, 할당 리소스 블록의 정보 (1)이 포함되어 있다. 부호화 블록 2에는, 프리코딩 정보, MCS 정보, 하이브리드 ARQ 정보, CRC 비트와 이동국 ID의 중첩((2)+(3)+(4)+(5)×CRC)가 포함되어 있다. 부호화 블록 2는, 스트림의 수에 따라서 가변 길이이다.
L1/L2 제어 채널을 이동국에서 복호할 때는, 우선 부호화 블록 1을 복호하고, 다음으로, 그 정보를 기초로 (2)-(5)를 복호한다. (2)-(5)의 정보 길이는, 스트림수에 따라 변하나, 미리 스트림수 정보를 복호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정보 길이를 가정하여 (2)-(5)의 복호를 시도할 필요가 없다.
또, 이하와 같이 L1/L2 제어 채널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동국에는, 유저 공통정보, 예를 들면 멀티 유저인지 싱글 유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유저 고유정보, 예를 들면, 국재 송신인지 분산 송신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고 레이어의 제어신호로 사전에 통지된다.
L1/L2 제어 채널은 이하의 정보를 포함한다.
(1) 할당된 리소스 블록 정보
(2) 스트림수 정보
(3) 스트림마다 이용되는 스트림수 만큼의 프리코딩 벡터 정보. 스트림 번호 와 프리코딩 벡터의 대응관계가 미리 1대1 대응으로 결정되어 있는 경우는, 사용하는 스트림 번호를 통지하기만 해도 좋다.
(4) 스트림마다의 MCS(변조방식과 부호화율). 원칙은 스트림수 만큼 보내나, 스트림간에 공통의 변조방식과 부호화율을 이용하는 경우는, 하나만.
(5) 하이브리드 ARQ 관계의 정보. 원칙은 스트림수 만큼 보내나, 복수 스트림간에 같은 부호화 블록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는, 그 중에서 하나만.
(6) UE ID 정보.
이들 정보 중, 정보 (1)과 (2)를 모아서 부호화한다(부호화 블록 1). 한편, 정보 (3)∼(5)에 CRC 비트를 더하여 하나로 모으고, CRC 비트에는 이동국 ID 정보 (6)을 중첩하여 송신한다(부호화 블록 2).
L1/L2 제어 채널은, 2개의 부호화 블록 1, 2로 나누어 부호화된다. 부호화 블록 1에는, 할당 리소스 블록과 스트림수의 정보 ((1)+(2))가 포함되어 있다. 부호화 블록 2에는, 프리코딩 정보, MCS 정보, 하이브리드 ARQ 정보, CRC 비트와 이동국 ID의 중첩((3)+(4)+(5)+(6)×CRC)가 포함되어 있다. 부호화 블록 2는, 스트림의 수에 따라서 가변 길이이다.
L1/L2 제어 채널을 이동국에서 복호할 때는, 우선 부호화 블록 1을 복호하여, 스트림수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그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블록 2를 복호한다. 부호화 블록 2의 정보 길이는, 스트림수에 따라 변하나, 미리 부호화 블록 1을 복호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정보 길이를 가정하여 부호화 블록 2의 복호를 시도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장치의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다. 프리코딩 처리부(102)에는,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L1/L2 제어 채널 #1이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4)에는,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L1/L2 제어 채널 #2가 입력된다.
L1/L2 제어 채널 #1과, L1/L2 제어 채널 #2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통 제어 채널의 심볼을 S1, S2라 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코더(110)에 있어서,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의 출력은 2심볼을 쌍으로하여 시간적으로 반전하고, 공액복소로서 홀수 심볼은 극성을 반전시켜서 출력한다. 즉, 프리코딩 처리부(102)에는, S1, S2의 순으로 입력되고, 프리코딩 처리부(104)에는, -S2 , S1 의 순으로 입력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L1/L2 제어 채널 #1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2)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2)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L1/L2 제어 채널 #1에 프리코딩 웨이트 a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a1, a2, a3 및 a4)가 각각 승산된다.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한편,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L1/L2 제어 채널 #2는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L1/L2 제어 채널 #2에 프리코딩 웨이트 b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b1, b2, b3 및 b4)가 각각 승산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웨이트 a 및 b는 서로 직교하며, 그 놈(norm)은 1이다.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서는,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값 a,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각각 다른 시간영역 - 주파수영역에서 다중된다. 도 7에는, L1/L2 제어 채널과 공통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7에서는, L1/L2 제어 채널은 시간영역에 있어서 2심볼에 맵핑된다. 고정값 a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은, L1/L2 제어 채널이 맵핑되는 영역에서,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띄엄띄엄한 위치에 맵핑된다.
합성된 신호는, 각각 안테나(1081, 1082, 1083 및 1084)로부터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4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서 설명하나, 2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CQI 측정(CQI measurement)을 수행하는 주기에서만, 나머지 유니터리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도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2개의 공통 파일럿 채널이 추가된다. 이들 추가된 제2의 공통 파일럿 채널로서의 공통 파일럿 채널은, CQI 측정에 필요한 최저한의 심볼수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그 밀도를, 2개의 기본 (제1의) 공통 파일럿 채널보다도 작게 한다.
CQI 측정에서는, 이동국장치는 전 안테나에 대해서 CQI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 CQI 측정은 상시 수행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기지국장치(100)는, CQI의 측정이 수행되는 타이밍만, CQI 측정용의 제2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추가한다.
기지국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이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02)와, 공통 파일럿 채널 #2 및 공통 제어 채널 #2가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04)와, 프리코딩 처리부(102)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04)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06(1061, 1062, 1063, 1064))와, 공통 파일럿 신호 #3이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12)와, 공통 파일럿 신호 #4가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16)와, 합성부(106)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12)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14(1141, 1142, 1143, 1144))와, 합성부(114(1141, 1142, 1143, 1144))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16)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18(1181, 1182, 1183, 1184))와, 각 합성부(118)로부터의 출력신호 를 송신하는 안테나(108(1081, 1082, 1083, 1084))를 구비한다.
공통 파일럿 신호 #1과 공통 파일럿 신호 #2는 동일한 신호이다.
공통 파일럿 신호 #3과 공통 파일럿 신호 #4는, 공통 파일럿 신호 #1과 공통 파일럿 신호 #2와 동일한 신호이어도 좋으며, CQI 측정에 필요 최저한의 심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공통 파일럿 신호 #1과 공통 파일럿 신호 #2보다도 맵핑에 있어서의 밀도를 작게 한다.
공통 제어 채널 #1과, 공통 제어 채널 #2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2)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2)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에 프리코딩 웨이트 a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a1, a2, a3 및 a4)가 각각 승산된다.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는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에 프리코딩 웨이트 b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 부(1041, 1042, 1043 및 104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b1, b2, b3 및 b4)가 각각 승산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3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12)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12)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3에 프리코딩 웨이트 c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121, 1122, 1123 및 112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c1, c2, c3 및 c4)가 각각 승산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4는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16)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16)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4에 프리코딩 웨이트 d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161, 1162, 1163 및 116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d1, d2, d3 및 d4)가 각각 승산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웨이트 a, b, c 및 d는 서로 직교하며, 그 놈(norm)은 1이다.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서는,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141, 1142, 1143 및 1144)에 입력된다.
합성부(1141, 1142, 1143 및 1144)에서는, 합성부(106, 1062, 1063 및 106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121, 1122, 1123 및 112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합성부(1141, 1142, 1143 및 114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181, 1182, 1183 및 1184)에 입력된다.
합성부(1181, 1182, 1183 및 1184)에서는, 합성부(114, 1142, 1143 및 114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161, 1162, 1163 및 116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값 a,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에 더하여, 2개의 고정값 c, d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각각 다른 시간영역-주파수영역에서 다중된다. 도 9에는, CQI 측정용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9에는, L1/L2 제어 채널과 CQI 측정용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가 도시되나,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9에서는,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고정값 a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c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d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은 띄엄띄엄한 위치에 맵핑된다. 고정값 c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 및 고정값 d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의 밀도는, 고정값 a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 및 고정값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의 밀도보다 작아지게 된다.
합성된 신호는, 각각 안테나(1081, 1082, 1083 및 1084)로부터 송신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4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2개 이상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프리코딩된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 상술한 부호화 블록 2를 복조하기 위해서, 개별의 파일럿 채널을 송신한다. 개별 파일럿 채널은, 유저마다 송신되고,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리소스 블록으로부터만 송신된다. 또,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과 동일한 프리코딩이 수행된다.
기지국장치(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이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02)와,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가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04)와, 프리코딩 처리부(102)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04)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06(1061, 1062, 1063, 1064))와, 개별 파일럿 채널,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이 입력되는 프리코딩 처리부(120)와, 합성부(106)의 출력신호와 프리코딩 처리부(120)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122(1221, 1222, 1223, 1224))와, 각 합성부(12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108(1081, 1082, 1083, 1084))를 구비한다.
공통 파일럿 신호 #1과 공통 파일럿 신호 #2는 동일한 신호이다.
공통 제어 채널 #1과, 공통 제어 채널 #2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2)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2)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1 및 공통 제어 채널 #1에 프리코딩 웨이트 a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a1, a2, a3 및 a4)가 각각 승산된다.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는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각 공통 파일럿 신호 #2 및 공통 제어 채널 #2에 프리코딩 웨이트 b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b1, b2, b3 및 b4)가 각각 승산된다.
개별 파일럿 채널,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은 4 안테나로 분기되어, 프리코딩 처리부(120)에 입력된다. 프리코딩 처리부(120)에서는, 입력된 개별 파일럿 채널, 데이터 채널 및 L1/L2 제어 채널에 프리코딩 웨이트 e가 승산된다. 예를 들면, 승산부(1201, 1202, 1203 및 1204)에 있어서, 프리코딩 웨이트(e1, e2, e3 및 e4)가 각각 승산된다.
여기서, 프리코딩 웨이트 a 및 b는 서로 직교하며, 그 놈(norm)은 1이다. 프리코딩 웨이트 e는, 고정값이 아니며, 유저에 따라서 결정된다.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 입력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에서는, 승산부(1021, 1022, 1023 및 102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041, 1042, 1043 및 104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합성부(1061, 1062, 1063 및 1064)의 출력신호는, 각각, 합성부(1221, 1222, 1223 및 1224)에 입력된다.
합성부(1221, 1222, 1223 및 1224)에서는, 합성부(106, 1062, 1063 및 1064)의 출력신호와, 승산부(1201, 1202, 1203 및 1204)의 출력신호를 각각 합성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값 a,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이, 각각 다른 시간영역-주파수영역에서 다중된다. 도 11에는, 개별 파일럿 채널의 맵핑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11에서는,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고정값 a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고정값 b로 프리코딩된 공통 파일럿 채널은 띄엄띄엄한 위치에 맵핑된다. 또, 개별 파일럿 채널은, 데이터 채널 및/또는 L1/L2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리소스 블록에 맵핑된다.
합성된 신호는, 각각 안테나(1081, 1082, 1083 및 1084)로부터 송신된다. 데이터 채널이 송신되는 리소스 블록으로부터만 개별 파일럿 채널은 송신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장치(200)의 복수의 안테나(239-1, 239-2)의 각각에서 수신된 신호는, 공유기(duplexer)(231)에서 송신신호와 분리되어, RF 수신회로(232)에서 베이스밴드 신호(baseband signal)로 변환되고, FFT부(234)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받는다. FFT부(234)에는, 수신 타이밍 추정부(233)에서 추정된 추정값이 입력된다. 공유 데이터 채널은 신호 검출부(235)에 입력된다. 한편, 공유 데이터 채널에 부수하여 보내져 오는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하향 L1/L2 제어 채널 복조부(237)에서 복조된다.
L1/L2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정보 중, 스트림수, 변조법, 채널 부호화율은 신호 검출부(235)에 입력되어, 수신한 공유 데이터 채널의 복조에 이용된다. 한편, 프리코딩 벡터 정보는, 개별 파일럿 혹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채널 추정부(238)에 입력된다. 신호 검출부(235)에서 검출된 공유 데이터 채널은 채널 복호부(236)에서 복호되고, 송신신호가 재생된다.
FFT부(234)의 출력은 또,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희망 스트림수·번호 추정부(241)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희망 프리코딩 벡터 추정부(242)와,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한 CQI 추정부(243)에도 입력된다. 추정된 희망 스트림수/번 호, 희망 프리코딩 벡터, CQI는, 상향링크를 통해서 기지국에 통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채널의 종별에 따라서 공통/개별 파일럿 채널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항상 모든 공통/개별 파일럿이 송신되는 종래의 기지국장치와 비교하여, MIMO 전송시의 파일럿의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공통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복조되는 공통 제어 채널을, 공통 파일럿 채널과 동일한 제1의 웨이트 및 제2의 웨이트에 의해 유니터리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에서는 기지국의 안테나수에 관계없이 2개의 공통 파일럿 채널로 복조할 수 있다.
또, 특히 안테나수가 4 이상인 경우, 모든 안테나의 송신전력 증폭기를 이용할 수 있어, 공통 파일럿 채널의 송신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을 몇 개의 실시 예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좋다. 발명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각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 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6년 10월 3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6-27234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6-272343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안테나;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제1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의 웨이트와 직교하는 제2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 및
    상기 제1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과 상기 제2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합성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된 공통 파일럿 채널을,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은,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의 웨이트를 승산하고,
    상기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은,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2의 웨이트를 승산하고,
    상기 합성수단은, 상기 제1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제어 채널과 상기 제2의 웨이트가 승산된 공통 제어 채널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파일럿 채널 및 상기 공통 제어 채널을 분기하는 분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은, 분기된 각 공통 파일럿 채널 및 상기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의 웨이트를 승산하고,
    상기 제2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은, 분기된 각 공통 파일럿 채널 및 상기 공통 제어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2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통 파일럿 채널은, 공통 제어 채널 및/또는 L1/L2 제어 채널이 송신되는 주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 및/또는 L1/L2 제어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웨이트와는 다른 제3의 웨이트에 의해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제3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은, 개별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3의 웨이트에 의해 프리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이 송신되는 리소스 블록으로부터만 개별 파일럿 채널을 송 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n개의 안테나(n은, n>1의 정수); 및
    CQI 측정에 사용되는 (n-2)의 제2의 공통 파일럿 채널에 대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웨이트와 직교하는 제n의 웨이트를 승산하는 제n의 프리코딩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단은, 상기 합성된 공통 파일럿 채널에, 상기 제n의 웨이트가 승산된 제2의 공통 파일럿 채널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QI 측정에 사용되는 (n-2)의 제2의 공통 파일럿 채널은, CQI 측정이 수행되는 주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KR20097007650A 2006-10-03 2007-10-01 기지국장치 KR20090060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72343 2006-10-03
JP2006272343A JP4855888B2 (ja) 2006-10-03 2006-10-03 基地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439A true KR20090060439A (ko) 2009-06-12

Family

ID=3926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7650A KR20090060439A (ko) 2006-10-03 2007-10-01 기지국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09718A1 (ko)
EP (1) EP2068479A4 (ko)
JP (1) JP4855888B2 (ko)
KR (1) KR20090060439A (ko)
CN (1) CN101569127B (ko)
BR (1) BRPI0719846A2 (ko)
MX (1) MX2009003517A (ko)
RU (1) RU2009114329A (ko)
WO (1) WO20080416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9183B2 (en) 2014-04-25 2019-09-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3850B2 (en) 2006-10-24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045127B2 (ja) * 2007-01-31 2012-10-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40108B1 (ko) * 2007-07-19 2013-12-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빔포밍 벡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90110497A (ko) * 2008-04-18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파일럿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10010966A (ja) * 2008-06-25 2010-01-14 Sumitomo Electric Ind Ltd 無線通信装置、及びmimo無線通信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
WO2010063317A1 (en) 2008-12-03 2010-06-1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GB2466070B (en) * 2008-12-12 2014-04-30 Nokia Corp An apparatus
EP2430769B1 (en) * 2009-03-16 2017-09-13 BlackBerry Limited Transmission using common and dedicated pilots
KR101263112B1 (ko) 2009-03-24 2013-05-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
KR101752327B1 (ko) * 2009-04-30 2017-07-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JP5378145B2 (ja) * 2009-10-15 2013-12-25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の通信制御方法
JP2012004609A (ja) * 2010-06-14 2012-01-05 Sharp Corp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9148204B2 (en) 2010-06-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resource block (PRB) bundling for open loop beamforming
CN103139922B (zh) * 2011-11-25 2015-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接收控制信道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JP5554799B2 (ja) * 2012-03-19 2014-07-23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124750A1 (en) * 2013-11-07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carrier modulation for uplink transmissions
US10674454B2 (en) * 2014-03-21 2020-06-02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with DCH enhancements
CN114938319B (zh) * 2022-04-02 2023-12-08 上海交通大学 多天线系统的导频信号生成和信道估计方法、系统、介质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542A (en) * 1997-07-31 2000-10-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divers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901062B2 (en) * 1999-12-01 2005-05-31 Kathrein-Werke Kg Adaptive antenna array wireless data access point
EP1720277B1 (en) * 2000-07-05 2017-09-27 Sony Deutschland Gmbh Pilot pattern design for multiple antennas in an OFDM system
US7167526B2 (en) * 2001-06-07 2007-01-23 National Univ. Of Singapor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61907C (zh) * 2001-07-20 2004-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下行反馈多天线发射方法与装置
US7447967B2 (en) * 2001-09-13 2008-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MO hybrid-ARQ using basis hopping
JP4086574B2 (ja) * 2002-04-12 2008-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スサーチ回路、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装置
JP4097129B2 (ja) * 2002-08-08 200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伝送装置および無線装置
JP2005020396A (ja) * 2003-06-26 2005-01-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送設備遠隔監視システム
GB2411327A (en) * 2004-02-20 2005-08-24 Toshiba Res Europ Ltd Training sequence for MIMO-OFDM which is suitable for use with null sub-carriers
CN106160830B (zh) * 2004-03-15 2020-02-14 苹果公司 用于具有四根发射天线的ofdm系统的导频设计
JP2006272343A (ja) 2005-03-28 2006-10-12 Jfe Steel Kk ハット型鋼矢板継手の爪曲げ方法および爪曲げ装置
KR101124932B1 (ko) * 2005-05-30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9183B2 (en) 2014-04-25 2019-09-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8479A1 (en) 2009-06-10
RU2009114329A (ru) 2010-11-10
CN101569127B (zh) 2013-08-28
JP4855888B2 (ja) 2012-01-18
US20100009718A1 (en) 2010-01-14
BRPI0719846A2 (pt) 2014-04-29
JP2008092374A (ja) 2008-04-17
CN101569127A (zh) 2009-10-28
MX2009003517A (es) 2009-06-26
WO2008041677A1 (fr) 2008-04-10
EP2068479A4 (en)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888B2 (ja) 基地局装置
US11018821B2 (en) OFDM fram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876579B2 (en) Multi-site MIMO co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TWI443993B (zh) Base station device
US8477863B2 (en) Precoded pilot transmission for multi-user and single user MIMO communications
TWI387233B (zh) 在多天線通訊系統中傳輸訊號的方法
WO2013024852A1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0523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이동국 및 기지국
US8681715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A2774725C (en) Multi-site mimo co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WO2011125994A1 (ja) 通信制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KR20150024109A (ko) 다중 안테나기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090105A1 (ja) 移動局装置、チャネル情報フィードバッ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