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550A -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550A
KR20090059550A KR1020070126450A KR20070126450A KR20090059550A KR 20090059550 A KR20090059550 A KR 20090059550A KR 1020070126450 A KR1020070126450 A KR 1020070126450A KR 20070126450 A KR20070126450 A KR 20070126450A KR 20090059550 A KR20090059550 A KR 2009005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hose
hose
flexible
pipe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274B1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cable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는 제1위치에서 연장되어 제2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유연성 호스와, 제2위치 상측으로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연결되어 파이프와 유연성 호스가 분리되더라도 유연성 호스가 지지구조체에 매달려서 현수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연성 호스를 지지하는 브랜치구조체를 포함하여, 유연성 호스를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유연성 호스 및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비상시에 유연성 호스와 파이프가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er)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단락되더라도 유연성 호스를 현수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유연성 호스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연성 호스, 손상

Description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DAMAGE-FREE STRUCTURE OF FLEXIBLE HOSE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예를 들면, 선박과 선박간, 선박과 플랫폼,선박과 육상 터미널, 또는 선박과 해상 터미널 간의 유체의 이송에 사용되는 유연성 호스(flexible hose) 및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위치에서 제2위치, 예를 들면, 선박에서 다른 선박으로, 선박에서 육상 터미널로, 또는 선박에서 해상 터미널로 유체를 이송하는 것은 육상에서의 유체 이송과는 달리 서로 이격된 위치로의 운송라인이 지면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아 육상에서의 운송라인과는 다른 운송라인이 도입되어야 한다.
특히, 원유 또는 액화천연가스 등의 시추에 있어서는 독립적인 부유식 플랫폼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를 플랫폼에서 운송선 등으로, 또는 운송선에서 해상터미널 등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더욱이, 위험물에 대한 안전상의 요구의 증가로 되도록이면 위험시설을 사람이 거주하는 육지에 두지 않고 해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원유 또는 액화천연가스 등의 유체를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상터미널로 이송하는 장치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1)에서 제2위치(3)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 현수상태로 늘어져 있는 유연성 호스(flexible hose, 5)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호스를 고무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하지 않으면, 제1위치(1) 또는 제2위치(3)가 해상에 부유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무어링 로프(Mooring Rope) 등의 계류용 장비(미도시)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제1위치(1) 또는 제2위치(3)의 위치가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아 제1위치(1)와 제2위치(3)의 이격변화에 따라서 호스 또는 호스와 연결된 구조물들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위치(1) 또는 제2위치(3)의 움직임을 완충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재질의 호스(5)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제2위치(3)에는 제2위치(3)에 마련된 카고(미도시, cargo) 등과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7)와 그 끝단에 매니폴드(미도시)가 구비되며, 유연성 호스(5)는 이 매니폴드와 결합 된다.
여기서, 종래의 경우에는, 제1위치(1)에서 제2위치(3)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5)는 고무 또는 금속 재료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유연성 호스(5)가 매니폴드로부터 단락되어 제2위치(3)의 여러 가지 구조물(11)에 부딪히는 경우 에는 유연성 호스(5)가 손상되거나, 유연성 호스(5)로 인하여 제2위치(3)의 여러 가지 구조물들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제2위치(3)의 손상되는 구조물이 선박 또는 터미널의 외판(11)인 경우에는 선박 또는 터미널의 좌초를 야기할 수 있어 그 위험성이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더욱이, 이송 유체가 원유 또는 액화천연가스 등 위험성 유체인 경우에 있어서, 비상시에 그 이송을 신속히 중단시키기 위한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e) 장치(9)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QCDC 장치(9)의 작동에 의하여 유연성 호스(5)가 제2위치(3)에서 급속히 단락되면, 매니폴드(미도시)로부터 분리되어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 유연성 호스(5)가 제2위치(3)의 설비 등의 구조물(11)에 의하여 충격을 받음으로써 유연성 호스(5) 및 제2위치(3)의 설비가 손상될 위험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도 크게 위협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가 제2위치에서 단락되어 제2위치의 구조물과 부딪혀 충격을 받는 경우에 유연성 호스 또는 제2위치의 구조물의 손상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로서, 제1위치에서 연장되어 제2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유연성 호스와, 제2위치 상측으로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지지구조체와, 지지구조체에 연결되어 파이프와 유연성 호스가 분리되더라도 유연성 호스가 지지구조체에 매달려서 현수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연성 호스를 지지하는 브랜치구조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는 유연성 호스가 2개 이상이고, 브랜치구조체는 2개 이상의 유연성 호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호스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랜치구조체는 지지구조체와 연결되는 보와, 보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늘어지는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호스홀딩부는 연결라인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는 수평보일 수 있고, 호스홀딩부는 수평보의 하부에 등간격 또는 제2위치 파이프 끝단의 매니폴드의 간격에 맞추어 배치되어 연결라인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는 수직보일 수 있고, 호스홀딩부는 수직보의 좌우측으로 번갈아서 연장된 연결라인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 끝단인 매니폴드와 유연성 호스의 사이에는 파이프와 유연성 호스가 비상 단락될 수 있도록 하는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in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가 제2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와의 연결여부와 관계없이 유연성 호스를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유연성 호스 및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비상시에 유연성 호스와 파이프가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er)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단락되더라도 유연성 호스를 현수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유연성 호스 및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랜치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등의 제1위치(미도시)로부터 연장되어 현수되어 있는 유연성 호스(5)는 선박, 육상터미널, 또는 해상터미널 등인 제2위치(3)에서 카고(cargo) 등과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7)의 매니폴드(미도시)와 연결된다.
이 때, 제2위치에서 상측으로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지지구조체, 예를 들어 크레인(21)은 로프 또는 체인(23)을 통하여 브랜치구조체(25)를 지지하며, 브랜치구조체(25)는 유연성 호스(5)를 지탱한다.
여기서, 지지구조체의 일 실시예로서, 크레인(21)을 예시하였으나, 지지구조체는 크레인(21) 외에도 선박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직립하여 있는 모든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 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치구조체(25)는 수평보(31a)와, 연결라인(33)과 호스홀딩부(35)를 포함한다. 수평보(31a)의 하측에는 등간격 또는 제2위치 파이프 끝단의 매니폴드의 간격에 맞추어 고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32)에는 연결라인(33)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33)은 체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체인뿐만 아니라, 로프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고리(32)의 개수는 유연성 호스(5)와의 연결이 요구되는 파이프(7)의 개수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보(31a)는 단순히 막대기 형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 인(21)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안정성의 확보가 필요할 경우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라인(33)의 타측에는 호스홀딩부(35)가 연결되어 있으며, 호스홀딩부(35)는 유연성 호스(5)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37)와 연결된다.
여기서, 호스 홀딩부(35)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연성 호스(5)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37)에 러그(39)가 구비되어, 갈고리 형상의 호스 홀딩부(35)가 유연성 호스(5)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37)의 러그(39)와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7)의 매니폴드와 유연성 호스(5)의 사이에는 매니폴드와 유연성 호스(5)가 비상시에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유압 또는 기타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er) 장치(9)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QCDC 장치(9)의 작동에 의하여 파이프(7)의 매니폴드와 유연성 호스(5)가 비상 단락되어 유연성 호스(5)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더라도, 브랜치구조체(25)는 제2위치(3)의 상측에 직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크레인(21)에 연결되어 유연성 호스(5)를 제2위치(3) 상측에 소정거리 떨어져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제2위치의 여러가지 구조물들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유연성 호스(5)가 제2위치의 구조물 등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유연성 호스(5)가 제2위치의 구조물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치 구조체(25)는 수직보(31b)와, 연결라인(33)과 호스홀딩부(35)를 포함하되, 수직보(31b)의 좌우측에 번갈아가며 고리(32)가 형성되고, 이 고리(32a, 32b)에 연결라인(33)을 통하여 호스홀딩부(3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보(31b)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 고리(32a)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라인(33)과 호스홀딩부(35)의 길이가 같은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리(32b)에 닿지 않도록 제1 고리(32a)와 제2 고리(32b)는 연결라인(33)과 호스홀딩부(35)의 길이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연성 호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연성 호스의 손상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랜치구조체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랜치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위치 3: 제2위치
5: 유연성 호스 7: 파이프
9: QCDC 장치 21: 크레인
23: 로프 또는 체인 25: 브랜치구조체
31a: 수평보 31b:수직보
32: 고리 33: 연결라인
35: 호스홀딩부 37: 플랜지
39: 러그

Claims (7)

  1.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로서,
    상기 제1위치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와 연결되는 유연성 호스와,
    상기 제2위치 상측으로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체에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와 상기 유연성 호스가 분리되더라도 상기 유연성 호스가 상기 지지구조체에 매달려서 현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유연성 호스를 지지하는 브랜치구조체를 포함하는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호스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브랜치구조체는 상기 2개 이상의 유연성 호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호스홀딩부를 포함하는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치구조체는
    상기 지지구조체와 연결되는 보와,
    상기 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늘어지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홀딩부는 상기 연결라인 끝단에 결합된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수평보이고,
    상기 호스홀딩부는 상기 수평보의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연장된 상기 연결라인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는 수직보이고,
    상기 호스홀딩부는 상기 수직보의 좌우측으로 번갈아서 연장된 상기 연결라인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호스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상기 파이프와 상기 유연성 호스가 비상 단락될 수 있도록 하는 QCDC(Quick Connection & Disconnection Coupling) 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선박이고,
    상기 제2위치는 선박 또는 터미널인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KR1020070126450A 2007-12-06 2007-12-06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KR10094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50A KR100948274B1 (ko) 2007-12-06 2007-12-06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50A KR100948274B1 (ko) 2007-12-06 2007-12-06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50A true KR20090059550A (ko) 2009-06-11
KR100948274B1 KR100948274B1 (ko) 2010-03-19

Family

ID=4098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450A KR100948274B1 (ko) 2007-12-06 2007-12-06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2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37A (ko) * 2009-11-13 2011-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호스 랙을 구비한 해양구조물
EP2508417A3 (en) * 2011-03-11 2013-01-23 Keppel Offshore&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KR101411352B1 (ko) * 2012-08-29 2014-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엄빌리컬 호스 고정장치
KR20150011078A (ko) * 2013-07-22 2015-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 호스 비상 릴리스에 대비한 위험방지기구
NO340699B1 (no) * 2013-02-05 2017-06-06 Macgregor Norway As Fluidoverføringssystem, samt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kryogenisk hydrokarbonbasert fluid fra en forsyningsstruktur til en mottaksstruktur
KR20180077566A (ko) * 2016-12-2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 화물 이송장치
KR101884842B1 (ko) * 2017-07-28 2018-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분리장치
KR101884844B1 (ko) * 2017-07-28 2018-09-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72A (ja) 1997-06-30 1999-01-22 Funabashi Mini Pump:Kk ブーム付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用ホース保持具
JP3611273B2 (ja) * 1998-01-21 2005-0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移送用ホースの洋上連結方法および連結装置
NO304824B1 (no) * 1998-02-10 1999-02-22 Navion As Anordning for lastoverf°ring
JP4510145B2 (ja) 2004-09-30 2010-07-21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緊急離脱カップリン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37A (ko) * 2009-11-13 2011-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호스 랙을 구비한 해양구조물
EP2508417A3 (en) * 2011-03-11 2013-01-23 Keppel Offshore&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US8864420B2 (en) 2011-03-11 2014-10-21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KR101411352B1 (ko) * 2012-08-29 2014-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엄빌리컬 호스 고정장치
NO340699B1 (no) * 2013-02-05 2017-06-06 Macgregor Norway As Fluidoverføringssystem, samt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kryogenisk hydrokarbonbasert fluid fra en forsyningsstruktur til en mottaksstruktur
KR20150011078A (ko) * 2013-07-22 2015-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 호스 비상 릴리스에 대비한 위험방지기구
KR20180077566A (ko) * 2016-12-29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 화물 이송장치
KR101884842B1 (ko) * 2017-07-28 2018-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완충분리장치
KR101884844B1 (ko) * 2017-07-28 2018-09-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274B1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274B1 (ko) 유연성 호스 및 구조물의 손상방지구조
US8864420B2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AU20112267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AU2012355386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fluids transfer between ship and shore
US82402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lvaging underwater objects
US90041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US6935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uid transfer between a marine platform and a service vessel
CN111372847B (zh) 在并排布置的两艘船之间输送低温制品的系统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NO335242B1 (no) Lasteslange
US11878774B2 (en) Tie-in system and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tie-in system
WO2015197666A1 (en)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a water intake riser bundle, method of installing such a floating structure, method of producing a liquefied hydrocarbon stream and method producing a vaporous hydrocarbon stream
KR101695487B1 (ko) 구조물의 탑재 방법 및 이를 위한 크레인 결속장치
Prischi et al. SS-offshore offloading systems and operations bonded flexible oil offloading lines, a cost effe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oil offloading lines
JP2015063313A (ja) 貨物船と陸側設備との間の荷役方法、その荷役システム、及び、マリンホース展張船
Wilson et al. A Chain-Leg Installation System To Improve Safety During Installation of the World's First Offshore LNG Terminal
KR20120094271A (ko) 유체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