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299A -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299A
KR20090059299A KR1020070126081A KR20070126081A KR20090059299A KR 20090059299 A KR20090059299 A KR 20090059299A KR 1020070126081 A KR1020070126081 A KR 1020070126081A KR 20070126081 A KR20070126081 A KR 20070126081A KR 20090059299 A KR20090059299 A KR 20090059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test
examine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1356B1 (en
Inventor
김선민
권재영
전금선
Original Assignee
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교통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07012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356B1/en
Publication of KR2009005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356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driving an aptitude test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erform the tests for the intelligence and the sensational movement of an examinee integratedly. A computation management unit(10) is connected to a head office server(20), and the head office server stores the data related to a driving-through test, and provides various data views for the computation management unit by being physically connected to a LAN and the computation management unit. A branch office server(30) is connected to the computation management unit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25). A control management unit(50) is connected to those sever and the computation management unit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nitors the state of an integrated examination apparatus(100) by being phys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examination apparatus.

Description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Precise driving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hereto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본 발명은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검자에 대한 지각운동요인, 지적능력요인 및 적응능력요인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capable of collectively performing perceptual exercise factors, intellectual ability factors, and adaptive ability factors for examinees, and control thereof. It is about a method.

기존의 운전정밀검사는 운전자의 안전운전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교통사고에 취약한 운전자를 일차적으로 선별하여 취약분야 검출 및 교정에 활용되고 있으며, 사업용자동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자격요건의 판단척도로 참조되고 있다. Existing driving inspection checks the driver's safety driving information, selects drivers who are vulnerable to traffic accidents, and uses them to detect and correct vulnerable areas. have.

그런데 종래의 운전정밀검사는 도로환경 및 사회환경이 변화되고 기존 검사기법에 대하여 수검자인 운전자들이 익숙해지는 바, 검사의 공정성이 저하되어 개선된 운전정밀검사가 요구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the road environment and the social environment are changed, and the drivers who are examiners are familiar with the existing inspection technique, and therefore, the fairness of the inspection is reduced, and thus the improved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is required.

또한, 종래의 운전정밀검사는 필기검사와 기기검사로 이원화되어 실시되기 때문에 수검자들의 불편 정도가 높고, 검사결과에 대한 판정이 지연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운전정밀검사가 요구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riving precision test is performed by dualizing the handwriting test and the device test, the degree of inconvenience of the examinees is high,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test result is delayed, and thus the driving precision test is required to improve it.

본 발명은 수검자에 대한 지각운동요인, 지적능력요인 및 적응능력요인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inspec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collectively perform perceptual exercise factors, intellectual ability factors, and adaptive ability factors for examinees.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산관리부와, 상기 전산관리부와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본부서버와, 상기 본부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지사서버와, 상기 지사서버와 연결된 지사관리부와, 상기 지사관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관리부와, 상기 통제관리부에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수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검사기기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the headquarters server connected to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and stored a database for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the branch server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branch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Provides a driv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unit, a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branch management unit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least on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and capable of inspecting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운전정밀검사과 관련된 검사항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검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수검자의 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들과, 수검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spection item related to a driving precision test,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examinee's operation signal, a paddle for inputting an examinee's foot operation signal,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scanning the examinee's fingerprints It may include.

특히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조작신호를 디지털 신호 로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와,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ncludes a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unit into a digital signal, a dat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for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and a result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그리고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검사항목은 속도예측검사부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와, 주의전환검사부와, 주의폭검사부와, 변화탐지검사부와, 대비인식검사부와, 시각기억검사부와, 인지능력검사부와, 지각성향검사부와, 타당성척도검사부와, 현실성척도검사부와, 사회성척도검사부와, 정서성척도검사부와, 통제성척도검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pection items of the data processing section are a speed prediction inspection section, a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section, a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section, an attention span inspection section, a change detection inspection section, a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section, a visual memory inspection section, a cognitive ability inspection section, and a perception. At least one of a propensity tester, a validity tester, a reality tester, a social tester, an emotional tester, and a control teste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속도예측검사부는 소정 속도로 이동되는 차량 형태의 이동물체와,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목표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목표 및 상기 이동물체와의 이격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moving object in the form of a vehicle moving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a target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wherein the target and the targe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can be calculat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정지거리예측검사부는 운전상황을 반영하여 주행 시와 유사하게 표현된 도로와, 정지구역에 해당하는 파란색 구역과, 이동하는 적색의 정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페들을 통해 수검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감속된 상기 적색의 정지선 및 상기 파란색 구역의 이격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road, a blue zone corresponding to a stop zone, and a red stop line moving in a manner similar to a driving state in consideration of driving conditions, and through the paddle When the examinee's manipulation signal is input, the distance between the reduced red stop line and the blue zone may be calculat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주의전환검사부는 사전단서와, 상기 사전단서가 사라진 후 소정 시간동안 표시되는 목표자극 및 상기 목표자극의 구별을 방해하는 방해자극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자극이 제시된 후, 상기 조작부로부 터 상기 목표자극에 해당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계산될 수 있다. The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ctionary clue, a target stimulu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ctionary clue disappears, and a disturbing stimulus that preven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arget stimuli, and after the target stimulus is presented, The time from which the manipu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timulus is input from the manipulation unit may be calculat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주의폭검사부는 제 1 시간동안 표시되는 소정의 숫자와, 상기 제 1 시간 이후, 제 2 시간동안 표시되는 복수개로 구성된 숫자세트 및 화살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시간 이후, 상기 숫자세트에 상기 숫자가 포함되어있는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화살표의 방향을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아 판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tention check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displayed for a first time, a plurality of sets of numbers and arrows displayed for a second time after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Thereafter, whether the number is included in the number set may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may be input by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변화탐지검사부는 서로 다른 모양 및 색상을 가진 복수개의 도형으로 구성된 최초자극판과, 소정 시간 경과 후 표시되는 복수개의 도형으로 구성된 목표자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자극판의 표시 후, 상기 최초자극판 및 상기 목표자극판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initial stimulus plat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gure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colors, and a target stimulus plat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gures display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display of the plate, whether or not the first magnetic pole plate and the target magnetic pole plate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대비인식검사부는 줄무늬 형태의 배경자극과, 상기 배경자극 위로 겹쳐지는 한 쌍의 목표자극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자극의 표시 후, 상기 목표자극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ng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triped background stimulus and a pair of target stimuli overlapping the background stimulus, and after displaying the target stimulus, whether the target stimulus matches or does not match the target stimulus. It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시각기억검사부는 서로 번갈아 표시되는 숫자 및 화살표를 포함하고, 상기 숫자에 대하여 발음을 입력받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화살표의 방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sual memory check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number and an arrow displayed alternately, and receives a pronunciation of the number, and receives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지능력검사부는 일측에 회전, 대칭 또는 소멸 중 어느 하나의 상관관계가 형성된 두 개의 도형과, 타측에 표시된 다른 도형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에 표시된 도형들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타측 도형에 대한 상관관계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gnitive ability tes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two figures in which one of the correlation, rotation, symmetry, or extinc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other figures displayed on the other side, a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figures displayed on the one side. A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 figure may be receive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지각성향검사는 단순도형과, 복잡한 도형을 포함하고, 상기 복잡한 도형 안에 상기 단순도형이 포함되었는 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단순도형이 상기 복잡한 도형 안에 포함되었는 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ceptual tendency te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imple figure and a complicated figure, and whether the simple figure is included in the complicated figu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the simple figure is included in the complicated figure. Can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검사항목은 수검자의 지각운동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과, 수검자의 지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과,수검자의 적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st item of the data processor may include an item for examining the examinee's perception movement, an item for examining the examinee's intellectual ability, and an item for examining the examinee's adaptive abil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산관리부와, 상기 전산관리부와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본부서버와, 상기 본부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지사서버와, 상기 지사서버와 연결된 지사관리부와, 상기 지사관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관리부와, 상기 통제관리부에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수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검사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운전정밀검사과 관련된 검사항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검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수검자의 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들과, 수검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인식부를 포함하는 운전정밀 검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the headquarters server connected to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and stored the database for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the branch server and the branch server connected via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branch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A management unit, a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branch management uni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least on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and capable of inspecting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wherein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ncludes a driving precision In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spection items related to the inspection,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the examinee's operation signal, a paddle for inputting the examinee's foot operation signal,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scanning the examinee's fingerprints In the control method performed,

(a)상기 일체형검사기기에 배치된 지문인식부를 통해 수검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와, (b)상기 일체형검사기기를 통해 운전정밀검사에 관련된 복수개의 검 사를 실시하는 단계와, (c)상기 일체형검사기기의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상기 각 검사의 결과를 채점하는 단계와, (d)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상기 채점된 결과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 confirming the examinee's identity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b) performing a plurality of inspections related to a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through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and (c) And scoring the result of each inspection through a data processing unit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and (d) determining the scored result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속도예측검사부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와, 주의전환검사부와, 주의폭검사부와, 변화탐지검사부와, 대비인식검사부와, 시각기억검사부와, 인지능력검사부와, 지각성향검사부와, 타당성척도검사부와, 현실성척도검사부와, 사회성척도검사부와, 정서성척도검사부와, 통제성척도검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를 수검자에게 소개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를 연습되는 단계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검사 시작에 관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검사의 시작을 확인한 후 상기 검사가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step (b), the 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the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the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the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cognitive ability inspection unit, perceptual disposition Introducing the examinee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precision te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spection unit, a validity scale inspection unit, a reality scale inspection unit, a social scale inspection unit, an emotional scale inspection unit, and a control scale inspection unit.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acticing the inspection,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relating to the start of the tes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confirming the start of the tes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the test.

그리고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상기 일체형검사기기를 통해 교정교육이 실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정교육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검사와 관련된 삽화 또는 동영상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음성멘트가 재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fter the step (d),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calibration training through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the calibration train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n the illustration or video associated with the inspection And reproducing different voice memos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

본 발명에 따른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은 종래의 수동적인 검사방법을 개선하여 일체형 검사기기를 통해 능동적인으로 운전정밀검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수검자에 대한 검사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수검자에 따른 검사 결과에 따라 맞춤화된 교정교육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및 교정교육이 한번에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inspection precision for the examinee as well as improve the inspection precision for the examinee since it is possible to actively carry out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through the integrated inspection equipment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passive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customized calibration training can be carried ou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pection and calibra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at o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은 일체형 검사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동영상을 표시하여 수검자에 대한 화상 자극/반응/동작을 실시하기 때문에, 운전정밀검사에 관련된 전 검사항목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의 채점, 채점에 따른 판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to perform image stimulation / response / operation to the examinee, all inspection items related to the driving inspection can be performed at once. Rather, it has the effect of collectively processing the grading of inspection results and the judgment according to the gra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은 수검자에 대한 신원확인, 검사결과에 대한 채점 및 판정, 수검자의 교정, 채점결과 및 판정결과의 저장/관리를 실시간으로 한번에 처리할 수 있고, 판정결과에 따라 맞춤형 교정교육을 실기하기 때문에 수검자의 검시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the identification of the examinee, the scoring and determination of the inspection results, the examinee's correction, the scoring results and the storage / management of the determination results at onc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s By implementing customized calibration training, the cost and time for examinee's examination and management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은 각 일체형 검사기기의 검사항목, 검사상황을 관리자가 통합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검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examinee because the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inspection items, inspection status of each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nteg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정밀검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작버튼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ecise inspection of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operation button shown in FIG. 2.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2.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은 전산관리부(10)와, 상기 전산관리부(10)와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본부서버(20)와, 상기 본부서버(20)와 유/무선 통신망(25)을 통해 연결된 지사서버(30)와, 상기 지사서버(30)와 연결된 지사관리부(40)와, 상기 지사관리부(4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관리부(50)와, 상기 통제관리부(5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검사기기(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puter management unit 10, a headquarter server 20 connected to the computer management unit 10, and a database for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is stored, and the headquarters server. The branch server 30 connected to the branch office 2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 the branch management unit 40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30, and the branch management unit 40 connected to the branch office server 4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anagement unit 50, and at least on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

상기 전산관리부(10)는 상기 본부서버(20)에 연결된 PC로서, 상기 본부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하여 운전 정밀검사와 관련된 검색, 수정 또는 삭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자료를 추출, 정렬 또는 취합할 수 있다. The computer management unit 10 is a PC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server 20, and accesses a database of the headquarters server 20 to perform a search, correction or deletion related to a driving inspection, and extract and sort data. Or aggregate.

상기 본부서버(20)는 운전정밀검사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고, 상기 전산관리부(10)와 랜(lan)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산관리부(10)에 다양한 데이터 뷰(view)를 제공한다. The headquarters server 20 stores a database related to a driving precision test, and is phys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mputer management unit 10 and a LAN to provide various data views to the computer management unit 10. do.

그리고 상기 본부서버(20)와 상기 지사서버(30)는 유/무선 통신망(25)을 통해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인터넷(25)을 통해 연결된다. The headquarter server 20 and the branch server 3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5,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rnet 25.

상기 지사서버(30)는 상기 본부서버(20)와 연결되어 운전정밀검사와 관련된 자료를 저장하고, 수검자에 대한 검사결과 및 검사이력을 저장하며,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와 운영자료를 관리하고, 이를 상기 본부서버(2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지사서버(30)에는 수검자의 신원확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검자의 지문데이터 및 수검자 정보가 저장된다. The branch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server 20 to store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and to store the test results and inspection history for the examinee, and the data generated from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and Manage the operation data, and delivers it to the headquarters server (20). In addition, the branch server 3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examinee's identity,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aminee's fingerprint data and the examinee's information are stored.

여기서 상기 지사서버(30)는 상기 지사관리부(40)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지사의 운영자는 상기 지사관리부(40)를 통해 상기 지사서버(30)를 관리한다.Here, the branch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branch management unit 40 and controlled, and the operator of the branch manages the branch server 30 through the branch management unit 40.

그리고 상기 지사서버(30)는 상기 지사서버(30)에 랜 등을 통해 연결된 PC이고, 상기 통제관리부(50)와 유/무선 통신망(35)을 통해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35)은 건물 내의 유/무선 랜(lan)이다. The branch server 30 is a PC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30 through a LAN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5, and the wired / wireles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network 35 is a wired / wireless LAN in a building.

상기 통제관리부(50)는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test device 100 to monitor the state of the integrated test device 100.

여기서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에서 수행되는 운전정밀검사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통제관리부(50)에서 전달되고,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에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지사통신망(35)을 거쳐 상기 지사서버(30)에 직접 전달된다. Here, the data related to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performed by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 and the data input to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passes through the branch communication network 35 to the branch office. It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server 30.

한편, 상기 수검자는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를 조작하여 운전 정밀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xaminee to operate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to perform a precise inspection of the opera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검사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수검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20)와, 수검자의 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들(130)과, 수검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지문인식부(140)를 포함한다. 2 to 5,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 operation unit 120 for inputting an examinee's manipulation signal, and an examinee's foot manipulation signal. The paddle 130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40 for checking the examinee's identity.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속도예측검사, 장지거리예측검사, 주의전환검사, 주의폭검사, 변화탐지검사, 대비인식검사, 시각기억검사, 인지능력검사, 지각성향검사, 타당성척도 검사, 현실성척도 검사, 사회성척도 검사, 정서성척도 검사, 통제성척도 검사 등을 위한 것으로서, 수검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한다. The display unit 110 is a speed prediction test, long distance prediction test, attention switching test, attention span test, change detection test, contrast recognition test, visual memory test, cognitive ability test, perceptual orientation test, validity scale test, reality scale It is for examination, social scale test, emotional scale test, control scale test, etc. and delivers visual information to examinee.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속도예측검사, 장지거리예측검사, 주의전환검사, 주의폭검사, 변화탐지검사, 대비인식검사, 시각기억검사, 인지능력검사, 지각성향검사, 타당성척도 검사, 현실성척도 검사, 사회성척도 검사, 정서성척도 검사, 통제성척도 검사 등에 대한 수검자의 결과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버튼(122)이 배치된다.The operation unit 120 is the speed prediction test, long distance prediction test, attention switching test, attention span test, change detection test, contrast recognition test, visual memory test, cognitive ability test, perceptual orientation test, validity scale test, reality scale In order to receive the examinee's results for the test, the social scale test, the emotional scale test, the control scale test, etc., a plurality of buttons 122 are arranged.

그래서 상기 조작부(120)는 복수개의 버튼(122)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122)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 이전 또는 다음을 선택하기 위한 것과, 수검자의 왼속 또는 오른손으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과, 시작/속도를 입력받기 위한 것 및 방향을 입력받기 위한 것을 포함한다. Thus, the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122, the button 122 is for inputting a number, for selecting the previous or next, and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examinee's left or right hand And for receiving a start / speed and for receiving a direction.

특히, 상기 지문인식부(140)는 상기 조작부(120)에 배치되어 수검자의 신체정보를 입력받고, 지사서버(30)는 이를 통해 수검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In particular,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40 is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120 receives the examinee's body information, the branch server 30 confirms the examinee's identity through this.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검사기기(100)는 수검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20)와, 상기 조작부(120)에 입력된 조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150)와,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160)와, 상기 데이터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는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unit 120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an examinee, and a data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an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unit 120 into a digital signal. 150, a data processor 160 for processing data for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and a display unit 170 for displaying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60 on the display 110.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60)에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기 통제관리부(50)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160)와 상기 통제컴퓨터(162)를 연결시키는 허브(164) 및 통신카드(166)가 연결된다. Here, the data processing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5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the hub 164 and the communication card 166 connecting the data processing unit 160 and the control computer 162.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60)에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운드카 드(168)와 스피커(미도시) 또는 헤드폰(169)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data processor 160 is connected to a sound card 168 and a speaker (not shown) or headphones 169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60)는 상기 지문인식부(140)에서 입력된 신호를 통해 수검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수검자확인부(160a) 및 속도예측검사부(160b)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160c)와, 주의전환검사부(160d)와, 주의폭검사부(160e)와, 변화탐지검사부(160f)와, 대비인식검사부(160g)와, 시각기억검사부(160h)와, 인지능력검사부(160i)와, 지각성향검사부(160j)와, 타당성척도검사부(160k)와, 현실성척도검사부(160l)와, 사회성척도검사부(160m)와, 정서성척도검사부(160n)와, 통제성척도검사부(160p)를 포함한다. The data processor 160 for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includes a examinee confirming unit 160a and a speed predicting inspector 160b for checking the identity of the examinee through a signal input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40, and a stop distance predicting inspecting unit. 160c,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160d,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160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160f,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160g,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160h, cognitive ability inspection unit 160i ), Perceptual propensity tester 160j, feasibility tester 160k, reality tester 160l, social scale tester 160m, emotional tester 160n, control scale tester 160p ).

여기서 운전정밀검사는 지각운동요인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 지적능력요인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 및 적응능력요인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으로 구분된다. Here, the driving precision test is classified into the items for examining the perceptual motor factors, the items for the intellectual ability factors, and the items for the adaptive ability factors.

특히, 상기 지각운동요인에 관한 항목은 상기 속도예측검사부(160b)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160c)와, 주의전환검사부(160d)와, 주의폭검사부(160e)와, 변화탐지검사부(160f)와, 대비인식검사부(160g) 및 시각기억검사부(160h)이다. In particular, the items relating to the perceptual motion factors include the 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160b,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160c, the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160d, the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160e, and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160f. And a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160g and a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160h.

그리고, 지적능력요인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은 인지능력검사부(160i) 및 지각성향검사부(160j)이다. In addition, items for examining the intellectual ability factors are the cognitive ability test unit 160i and the perceptual tendency test unit 160j.

또한, 적응능력요인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은 타당성척도검사부(160k)와, 현실성척도검사부(160l)와, 사회성척도검사부(160m)와, 정서성척도검사부(160n) 및 통제성척도검사부(160p)이다. In addition, the items for testing the adaptive ability factors are validity scale test unit 160k, reality scale test unit 160l, social scale test unit 160m, emotional scale test unit 160n and control scale test unit 160p to be.

특히, 상기 대비인식검사부(160g), 시각기억검사부(160h), 주의폭검사부(160e) 및 변화탐지검사부(160f)는 고령자를 위해 배치된 검사항목이다. In particular,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160g, the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160h, the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160e and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160f are inspection items arranged for the elderly.

상기 속도예측검사부(160b)는 도 6을 참조하면, 운전 중 나타나는 차량이나 보행자 등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속도예측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peed predicting inspection unit 160b processes data for measuring a speed predicting capability of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or a pedestrian that appears while driving.

여기서 속도를 예측해야 할 이동물체는 차량(45pixel ㅧ 32pixel)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나타나며, 측정 자극은 출현조건(2조건, 좌측 또는 우측), 터널길이 조건(2조건, 294pixel/441pixel), 이동 속도 조건(3조건, 512pixel/sec, 341pixel/sec, 256pixel/sec)으로 제시된다. 화면 구성은 수검자의 차량이 도로 위를 주행하고 있고, 전방에 교차로가 있으며 교차로의 한 가운데에는 터널 모양의 엄폐물이 있다. 왼쪽이나 오른쪽에서 다양한 속도를 가진 차량이 나타나 터널을 통과하여 반대방향으로 주행한다. 목표의 한 가운데에는 수검자가 차량 통과를 예측해야 할 지점이 빨간 화살표로 표시된다. 수검자는 엄폐물 가운데에 제시되어 있는 빨간 화살표 위치에 차량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해당 버튼(122)을 누르면 된다. 채점 포인트는 목표지점(회색박스)과 속도 버튼을 눌렀을 때의 차량위치(앞부분)와의 이격거리이다. Here, the moving object to predict the spe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the form of a vehicle (45 pixels ㅧ 32 pixels), and the measurement stimulus is an appearance condition (2 conditions, left or right), a tunnel length condition (2 conditions, 294 pixels / 441 pixels). ), Moving speed conditions (3 conditions, 512pixel / sec, 341pixel / sec, 256pixel / sec). The screen configuration shows that the examinee's vehicle is traveling on the road, the intersection is in front and the tunnel-shaped cover is in the middle of the intersection. Vehicles of various speeds appear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travel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tunnel. In the center of the target is a red arrow indicating where the examinee should predict the passage of the vehicle. The examinee may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122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expected to pass to the red arrow position shown in the cover. The scoring poin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arget point (gray box) and the vehicle position (front) when the speed button is pressed.

그래서 상기 속도예측검사부(160b)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차량과 목표지점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수검자의 속도예측에 대한 반응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160b may measu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target poi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thereby more accurately measuring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to the speed prediction.

특히, 평가기준은 화면 중앙의 빨간 화살표로부터 수검자가 예측한 위치까지의 거리(pixel)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평가에 반영하고, 평균이 음수인 경우에는 조반응, 양수인 경우에는 지연반응으로 분류하여 평가하며, 터널 통과시점 이후 반응은 오반응으로 평가한다(오반응은 편차거리 및 표준편차 계산에서 제외).In particular, the evaluation criteria ar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us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ixels from the red arrow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he position predicted by the examinee. Classification is assessed, and after the tunnel is passed, the response is evaluated as an incorrect reaction (the wrong response is excluded from the calculation of deviation distance and standard deviation).

그리고 "속도예측 능력 = 평균 편차거리 + 반응 표준편차"And "velocity prediction ability = mean deviation distance + response standard deviation."

의 식으로 계산된다. Calculated by

이하, 상기 데이터처리부(160)에서 언급되는 차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가상의 차량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vehicle referred to in the data processor 160 represents a virtual vehicl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상기 정지거리예측검사부(160c)는, 도 7을 참조하면, 운전상황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와 가속도를 고려하여 목표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예측하여 반응하는 능력을 측정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160c measures an ability to predict and react to stop at a target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a moving speed and an acceleration of a vehicle in a driving situation.

화면은 운전상황을 반영하여 주행 시와 유사하게 상하로 도로가 제시되어 있으며 도로 상단의 폭은 24pixel, 하단은 690pixel이다. 화면 하단에는 정지구역에 해당하는 파란색 구역(높이 62pixel)이 화면 하단에서 77pixel 위에 있다. 이동하는 적색의 정지선(높이 8pixel)은 초기 속도 3조건(12pixel/sec, 16pixel/sec, 20pixel/sec)과 가속도 3조건(20msec마다 1%/2%/3% 증가)으로 구성되어 자극이 제시되며, 수검자가 브레이크 페달(130)을 밟으면 적색의 이동선은 20msec당 4%의 속도가 감소된다. 화면 상단에서 적색의 이동선이 3조건의 초기 속도와 3조건의 가속도로 무선적으로 화면 하단으로 내려온다. 수검자는 적색의 이동선이 파란색의 정지구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예측하고 반응해야 하는데, 적색의 이동선은 이동선의 가속도를 반영하여 미끄러지면서 정지한다. 수검자는 적색의 이동선이 파란색의 정지구역에 멈출 수 있도록 미리 예측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한다. 표시된 이 동선은 이동 속도를 반영하여 미끄러지면서 정지되고, 채점 포인트는 적색의 이동선(미도시)과 파란색 정지구역(미도시)의 이탈거리이다. The screen shows the road up and down similarly to driving, reflecting the driving situation. The width of the top of the road is 24 pixels and the bottom is 690 pixels.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re is a blue area (62 pixels high) corresponding to the still area, 77 pixels above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moving red stop line (height 8 pixels) consists of three initial speed conditions (12pixel / sec, 16pixel / sec, 20pixel / sec) and three acceleration conditions (1% / 2% / 3% increase every 20msec). When the examinee presses the brake pedal 130, the moving line of red is reduced by 4% per 20msec. At the top of the screen, the red moving line wirelessly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screen with an initial velocity of 3 conditions and an acceleration of 3 conditions. The examiner must predict and react so that the red moving line can be located in the blue stop zone, and the red moving line stops by sliding to reflect the acceleration of the moving line. The examiner must predict in advance that the red travel line will stop at the blue stop zone and press the brake pedal. The marked movement line is stopped and slides to reflect the movement speed, and the scoring point is the departure distance of the red movement line (not shown) and the blue stop zone (not shown).

평가기준은 기준선인 파란색 정지구역(상단 끝선)을 중심으로 이동선과의 편차거리를 계산하고, 정지구역을 지나친 경우 오반응으로 처리하며, 편차거리 및 표준편차 계산에서 제외한다. The evaluation standard calculates the deviation distance from the moving line centered on the blue stop zone (upper end line), which is the baseline, and treats it as an erroneous reaction when it passes the stop zone, and excludes it from calculating the deviation distance and standard deviation.

그래서 "정지거리예측능력 = 평균편차거리 + 반응 표준편차"의 식으로 계산되며, 상기 정지거리예측검사부(160c)는 페달(130)의 작동에 따른 정지구역의 이탈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수검자의 감속능력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of "stopping distance prediction ability = mean deviation distance + reaction standard deviation", the stopping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160c by measuring the deviation distance of the stop zon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dal 130, the examinee's deceleration capacity Can be measured more precisely.

상기 주의전환검사부(160d)는,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상황에서 특정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기본적인 인식능력 및 변화하는 자극에 대해 빠르게 주의를 돌려 이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attention switching test unit 160d processes the ability to quickly recognize the basic cognitive ability and the changing stimul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specific object in a driving situation.

검사자극은 크게 사전단서(# 형태, 가로: 128pixelㅧ세로: 102pixel, 제시시간 500msec)와 8개의 자극으로 구성된 동심원 형태의 본 검사자극(1개의 목표자극(화살표, → 또는 ← )과 7개의 방해자극(화살표와 유사한 자극, Z 형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크기는 모두 가로 131pixel, 세로 55pixel이다. 8개의 자극으로 이뤄지는 본 검사자극의 동심원 지름은 2조건(460pixel, 614pixe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살표의 방향은 2조건, 제시위치는 8조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전단서의 위치에 목표자극(→/←)이 나타날 확률은 75%이다. 화면에 상기 사전단서가 600㎳ 동안 먼저 제시되고 사라진다. 사전단서가 사라지고 500㎳ 후에 1 개의 화살표와 7개의 방해자극으로 구성된 본 검사 자극세트가 동심원 형태로 나타난다. 목표자극과 방해자극들이 나타나는 동심원의 크기는 좁은 조건, 가까운 조건 등 두 가지이고, 수검자는 사전단서에 주목한 후, 본 검사자극 중 목표자극의 화살표 방향을 파악하여 해당 버튼(122)을 누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해당버튼은 왼손 버튼 또는 오른손 버튼이다. 채점 포인트는 목표자극을 찾아 버튼을 누르기까지의 시간이다. The test stimulus is composed of preliminary clues (# form, width: 128 pixels, length: 102 pixels, presentation time 500msec) and concentric circles of 8 stimuli (1 target stimulus (arrow, → or ←) and 7 disturbances). It consists of stimulus (arrow like stimulus, Z type) The target stimulus and disturbance stimulus are both 131 pixels wide and 55 pixels 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consists of 2 conditions and the presented position is 8 conditions The probability of the target stimulus (→ / ←) appears at the position of the dictionary clue is 75%. The preliminary clue disappears, and after 500 본 the main test stimulus set consisting of one arrow and seven disturbances appears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There are two sizes of the circle: a narrow condition and a close condition, and the examinee pays attention to the prior clue, and then grasps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target stimulus and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122. 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button Is the left hand button or the right hand button The scoring point is the time to find the target stimulus and press the button.

평가기준은 사전단서와 화살표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타당 조건)와 그렇지 않은 경우(비타당 조건)의 각각의 정반응에 대한 반응시간과 정반응률이 평가에 반영된다. 반응시간이 250msec 이내이거나 2,500msec 이상이면 오반응으로 처리된다.The evaluation criteria reflect the reaction time and the positive reaction rate for each positive reaction, where the prior clues and the arrow positions coincide (valid conditions) and when not (non-validated conditions). If the reaction time is within 250 msec or more than 2,500 msec, it is treated as an incorrect reaction.

"주의전환 능력 = 비타당조건 평균 반응시간 + 타당조건 평균 반응시간""Attention Conversion Ability = Non-validated Average Response Time + Validated Average Response Time"

이와 같이, 주의전환검사부(160d)는 목표자극 제시 후 반응시간을 측정함으로서, 수검자가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지를 판단한다. As such, the attention switching test unit 160d determines how quickly the examinee responds by measuring the reaction time after the target stimulus is presented.

상기 주의폭검사부(160e)는,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전방, 측방, 후방 등 운전장면에 대한 주의분산(주의배분) 능력과 주변 탐지 능력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160e processes measurement data about attention dispersion (attention distribution) capability and peripheral detection capability of a driver's front, side, and rear driving scenes.

상기 검사는 이중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1차 과제에 사용되는 자극은 단단위의 1개의 숫자와 4-5개로 구성된 숫자 세트이다. 2차 과제에서 사용되는 자극은 한 개의 화살표(⇒)와 7개의 유사 자극으로 구성되는 원형의 자극세트이다. 사전에 제시되는 숫자 및 1차 과제에 제시되는 숫자의 크기는 100pixel이며, 2차 과제에 사 용되는 화살표 및 유사 자극의 크기는 128pixelㅧ102pixel이다. 2차 자극이 제시되는 동심원의 지름은 2종류이며, 각각 460pixel, 614pixel이다. The test consists of a double task. The stimulus used for the first task is a set of numbers consisting of one unit and four or five units of units. The stimulus used in the secondary task is a circular stimulus set consisting of one arrow (⇒) and seven similar stimuli. The number presented in advance and the number presented in the first task are 100 pixels, and the size of the arrow and similar stimulus used in the second task is 128 pixels by 102 pixels. The diameters of the concentric circles in which the secondary stimulus is presented are two types, 460 pixels and 614 pixels, respectively.

1차 과제의 자극은 검사 시작 시 처음 하나의 숫자가 0.5초 동안 제시되었다 사라지며, 0.5초 후에 4-5개로 구성된 숫자세트가 나타난다. 각 숫자는 1에서 9까지 이며 랜덤하게 제시된다. 2차 과제의 자극은 1차 과제의 숫자세트와 동심원으로 구성된 2차 자극세트가 1초 동안 동시에 제시된다. 0.5초 후 단단위의 1차 자극과 Y/N 자극 세트가 제시되고, 수검자가 반응한 후 좌우로 구성된 화살표 세트가 제시된다. 수검자는 우선 제일 처음 제시된 1개의 숫자가 4-5개로 구성된 숫자세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보고, 주변에 나타난 목표자극(화살표의 방향)에 반응하여야 한다. 처음 제시된 숫자가 이후에 제시된 숫자세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예’ 버튼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아니오’ 버튼을 누른다. 이후 화살표의 방향에 맞게 왼쪽이면 ‘왼손’ 버튼을, 오른쪽이면 ‘오른손’ 버튼을 누르면 된다. 반응시간이 250msec 이내이거나 2,500msec 이상이면 오반응으로 처리된다. 채점 포인트는 1차 과제(숫자의 포함여부)와 2차 과제(화살표의 방향)에 대한 반응의 정확성(두 가지 과제를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의 수)이다. The stimulus for the first task is that the first one number is presented for 0.5 seconds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and then disappears. After 0.5 seconds, a set of numbers of 4-5 is shown. Each number is 1 to 9 and is presented randomly. The stimulus of the secondary task is presented simultaneously for 1 second with a set of numbers of the primary task and a secondary stimulus set consisting of concentric circles. After 0.5 seconds, a single unit of primary stimulus and a set of Y / N stimuli are presented, and an arrow set consisting of left and right after the responder responds is presented. The examiner must first respond to the target stimulus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indicated by whether the first number presented is included in a set of 4-5 numbers. Press the 'yes' button if the first number is included in a later set, or the 'no' button if not. Then press the 'left hand' button on the left and the 'right hand' button on the right. If the reaction time is within 250 msec or more than 2,500 msec, it is treated as an incorrect reaction. The scoring point is the accuracy of the response to the first task (including numbers) and the second task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number of successful completion of both tasks).

평가기준은 1차 과제(숫자의 포함여부)와 2차 과제(화살표의 방향)에 대한 반응의 정확성이고, 상기 1, 2차 과제를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의 수이다. The evaluation criteria are the accuracy of the response to the primary task (including numbers) and the secondary task (arrow direction), an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primary and secondary tasks are successfully performed.

그래서 본 상기 주의폭검사부는 1, 2차과제에 따른 반응을 측정하여 실제 운전 시, 차량의 전방, 측방, 후방 등 운전장면에 대한 주의분산(주의배분) 능력과 주변 탐지 능력을 검사한다. Thus, the attention inspection unit measures the respons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asks and examines the ability to distract (attention distribution) and the surrounding detection ability of the driving scene such as front,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during actual driving.

상기 변화탐지검사부(160f)는, 도 10을 참조하면, 운전 중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 운전장면의 순간적인 변화를 탐지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160f measures and processes an ability to detect an instant change in a driving scene in a complicated traffic situation while driving.

검사자극은 3-5개의 도형과 4종류의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전체에 3개에서 5개의 서로 다른 모양과 색상을 가진 도형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데, 도형의 모양은 원, 네모, 세모, 십자가, 마름모 등 5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극으로 사용된 도형의 크기는 78pixel ㅧ 77pixel이다. 사용 색상은 4종으로 빨강, 녹색, 파랑, 분홍이다. The test stimulus consists of 3-5 figures and 4 colors. Shapes with three to five different shapes and colors appear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shape consists of five types: circles, squares, triangles, crosses, and rhombuses. 78pixel is 77pixel. Four colors are available: red, green, blue, and pink.

검사시작과 동시에 1초간의 준비시행과 최초자극판이 1초간 제시된다. 이어서 0.9초 후 목표자극판이 제시된다. 제시되는 도형의 개수와 모양, 색상은 랜덤이며, 최초자극판과 목표자극판의 도형의 개수에는 변화가 없으나 색상이나 위치, 모양의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 수검자는 처음 제시된 도형들과 이후 제시된 도형들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여,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왼손 버튼,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면 오른손 버튼을 누르면 되고, 반응시간이 250msec 이내이거나 2,500msec 이상이면 오반응으로 처리된다. 채점 포인트는 최초자극판과 목표자극판의 동일/상이 판단에 대한 정반응수이다. At the beginning of the examination, one second of preparation and the first stimulus plate are presented for one second. The target magnetic pole plate is then presented after 0.9 seconds. The number, shape, and color of the figures presented are random,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number of figures of the initial stimulus plate and the target stimulus plate, but there may be a change in color, position, or shape. The examiner judges whether the first presented figures and later presented figures change, and if there is no change, they press the left hand button, and if there is a change, the examiner presses the right hand button. do. The scoring point is the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for the same / differential judgment between the initial stimulus plate and the target stimulus plate.

그래서 변화탐지검사부(160f)는 복잡한 교통상황에서 수검자의 순간적인 변화사항을 검사할 수 있다. Thus,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160f may examine the examinee's instant changes in a complicated traffic situation.

상기 대비인식검사부(160g)는, 도 11을 참조하면, 야간운전 또는 운중운행 등과 같이 대상과 배경간의 식별이 어려운 상황에서 대상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상간의 차이를 변별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160g measures the ability to quickly detect the object and discr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such as at night driving or during a driving operation. Process.

먼저, 디스플레이부(110)의 배경 위로 2개의 자극이 제시된다. 배경과 자극(도형) 모두 정현파(sine wave)로 화면상에서는 수직 띠로 보인다. 비교해야 할 과제로 제시되는 두 개의 정현파 자극의 크기는 256pixel ㅧ 308pixel이다. 정현파의 자극은 배경 및 목표자극 모두 시각 1도당 1, 2, 4의 3종의 주기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상에서 3종의 정현파로 구성된 배경 자극이 먼저 제시되고, 상기 배경 자극 위로 겹쳐져서 2개의 비교해야 할 정현파 목표자극이 제시된다. 자극제시 조건은 배경 정현파 3종, 왼쪽 정현파 3종, 오른쪽 정현파 3종, 밝기 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검자는 제시된 자극의 두 비교 패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2개 자극이 같으면 왼손 버튼을, 다르면 오른손 버튼을 누르면 된다. 자극은 수검자가 해당 버튼을 누를 때까지 제시되며, 반응시간이 250ms 이내이거나 2,500ms 이상인 경우 오반응으로 처리된다. 채점 포인트는 목표자극(두 개의 비교 패턴)의 동일 여부에 대한 반응시간이다.First, two stimuli are presented on the background of the display 110. Both the background and the stimulus (shape) are sinusoidal waves that appear as vertical bands on the screen. Two sinusoidal stimuli presented as a challenge to compare are 256 pixels x 308 pixels. The sine wave stimulus is composed of three cycles of 1, 2, and 4 per degree of vision for both the background and the target stimulus. On the screen, a background stimulus consisting of three kinds of sinusoids is presented first, and two sine wave target stimuli to be compared are presented overlying the background stimulus. Stimulus presentation conditions consist of three background sinusoids, three left sinusoids, three right sinusoids and two brightness. The examinee determines whether the two comparison patterns of the presented stimuli are the same and presses the left hand button if the two stimuli are the same and the right hand button if the two stimuli are the same. The stimulus is presented until the examinee presses the corresponding button. If the response time is within 250 ms or more than 2,500 ms, the stimulus is treated as an erroneous response. The scoring point is the response time for whether the target stimulus (two comparison patterns) is equal.

그래서 상기 대비인식검사부(160g)는 야간운전 상황 등과 같이 대상과 배경의 식별능력을 측정한다. Thus,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160g measures the ability to identify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such as a night driving situation.

상기 시각기억검사부(160h)는, 도 12를 참조하면, 운전 상황에서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자극에 대한 기억능력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visual memory test unit 160h processes memory capacity measurement data for a stimulus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in a driving situation.

여기서 자극은 디스플레이부(110) 화면 중앙에 숫자와 화살표가 번갈아 제시 되는데 수검자가 다음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는 바뀌지 않는다. 숫자의 크기는 100pixel ㅧ 100pixel이고 화살표의 크기는 96pixel ㅧ 102pixel이다. 화면에 초록색 화살표가 나타나며 이때 화살표의 방향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의 네 가지 중 하나이다. 화살표 방향에 대해 해당 버튼을 누르면 화살표가 사라지고 숫자가 나타난다. 숫자를 읽고 다시 방향 버튼을 누르는 과정이 몇 차례 반복되는데, 검사 중간에 화살표가 제시된 순서대로 그 방향을 기억하여 입력하도록 요청 받는다. '입력 하십시오'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방향키를 눌러 나타난 순서대로 화살표를 입력한다. 수검자는 제시된 화살표의 방향에 대해 해당 버튼을 누르고 순서대로 그 방향을 기억해야 하며, 제시된 숫자는 간섭자극으로서 수검자는 소리내어 따라 읽어야 한다. 그리고 화살표 방향에 대해 순서대로 입력할 것을 요청받으면 순서대로 방향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정반응시 기억해야 할 화살표 개수가 하나씩 증가하며 오반응 발생시까지 계속된다. 반응입력 요구 후 3초 이내에 반응하지 않으면 오반응으로 처리한다. 채점 포인트는 제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기억하는 것이고, 가장 많이 기억한 정반응수를 채점한다. Here, the stimulus is presented alternately with a number and an arrow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110, the screen does not change until the examinee presses the next button. The size of the number is 100pixel x 100pixel and the size of the arrow is 96pixel x 102pixel. A green arrow appears on the screen, where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one of four: up, down, left, and right. Press the button for the arrow direction and the arrow disappears and a number appears. The process of reading the number and pressing the direction button again is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middle of the test, the arrow is asked to remember and enter the direction in the order presented. When the message 'Enter' appears, press the arrow keys to enter the arrows in the order shown. The examinee must press the corresponding button for the direction of the arrow presented and remember the direction in order. The number presented is the interference stimulus and the examinee should read aloud. If you are asked to input the direction of the arrow, press the direction button in order. The number of arrows to remember in a positive reaction increases by one and continues until a false positive occurs. If it does not respond within 3 seconds after the request for response input, it is treated as a misreaction. The scoring point accurately remembers the direction of the presented arrows in order, and scores the most memorized positive reaction number.

그래서 상기 시각기억검사부(160h)는 운전 상황 시 노출되는 자극들의 인식용량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Therefore, the visual memory test unit 160h is for examining the recognition capacity of the stimuli exposed during the driving situation.

다음으로, 지적능력요인 검사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intellectual ability factor test will be described.

지적능력요인 검사는 흔히 말하는 지능검사와는 구분되어야 하고, 일반적인 지능 검사의 경우에는 언어능력, 추리능력, 수리능력, 공간능력 등을 포함하여 종 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인데 반해, 운전정밀검사에서 사용하는 지적능력검사는 운전행동 및 교통사고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 중에 변별력이 높은 검사들을 선별하고 검사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Intellectual competence factor tes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commonly used intelligence test, and general intelligence test is used in the driving precision test, whereas comprehensive test including language ability, reasoning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spatial ability. Intellectual competency test was composed of screening tests with high discrimination among factors related to driving behavior and traffic accident,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test.

상기 지적능력검사는 검사자 및 수검자 요인에 의한 검사결과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컴퓨터 기반의 검사(CBT, Computer Based Testing)로 구성하였으며, 문제은행 개념을 도입하여 각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반영하여 매 시행마다 상이한 문항세트가 수검자에게 제시된다.In order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test result by the examiner and examinee factors, the intellectual ability test consisted of computer based testing (CBT) and introduced the problem bank concept to reflect the difficulty and distinction of each question. Different sets of questions are presented to examinees for each trial.

권장하는 검사시행 방법은 CBT를 우선하며, 컴퓨터에 의한 검사시행이 곤란한 경우 책자형태의 검사로 시행하여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책자형태의 검사시행시, OMR 답안작성이 불가한 수검자에 대해서는 검사지 복사 등을 통하여 검사지에 답안을 표기하게 하는 등 검사도구에 의한 검사결과 왜곡을 차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The recommended method of testing is to give priority to CBT, and if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test by comput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test in book form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In addition, when conducting a booklet type test, it is necessary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test result by the test tool such as marking the answer on the test paper by copying the test paper for those who cannot write an OMR answer.

상기 인지능력검사부(160i)는, 도 13을 참조하면, 운전자의 상황 유동성 등 복잡한 상황에서의 상황인식 및 판단능력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cognitive ability test unit 160i processes measurement data on situation recognition and judgment ability in a complicated situation such as situation fluidity of the driver.

검사문항은 저학력자 및 문맹자 등 언어적 능력이 부족한 수검자의 도구편기(instrument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형을 이용하여 관계성을 추리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3문항 중 변별도와 난이도를 고려하여 14문항이 차별적으로 제시된다. 제한시간은 7분이다. 문항제시는 23문항 중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5문항(7, 13, 15, 18, 21)과 랜덤하게 선택되는 문항으로 구성되며 문제은행 개념을 도입하여 각 문항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를 반영하여 매 시행마다 상이한 문항세 트가 제시된다. 인지능력검사는 제시된 두 도형의 관계를 파악한 다음, 그 관계 다음에 나오는 도형에 적용시켜 괄호 안에 들어가야 하는 도형을 찾는 것이다. 처음 두 도형의 관계는 회전, 대칭, 소멸 등 여러 가지 논리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검사의 핵심사항은 왼쪽에 제시된 두 도형의 관계를 찾아서 오른쪽 도형에 적용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The test questions consist of questions that infer relations using shapes to minimize the instrument bias of examinees who have low linguistic ability, such as low-educated and illiterate persons. 14 questions are discriminated. The time limit is 7 minutes. Item presentation consists of 5 items (7, 13, 15, 18, 21) that are basically presented out of 23 items and a randomly selected item. The question bank concept is introduced to reflect the difficulty and distinction of each item. A different set of questions is presented for each. A cognitive test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resented figures and then apply them to the figure following the relationship to find the figure that must be enclosed in parenthe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wo figures consists of various logics such as rotation, symmetry, and extinction. The key point of this test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gures on the left and apply them to the figure on the right to solve the problem.

그래서 상기 인지능력검사부(160i)는 운전상황에 대한 판단, 적응 또는 대처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 Thus, the cognitive ability test unit 160i may examine the ability to judge, adapt or cope with the driving situation.

상기 지각성향검사부(160j)는, 도 14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장의존성/장독립성(시각적 변별능력)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4, the perceptual tendency inspecting unit 160j processes measurement data on intestinal dependence / independence (visual discrimination ability) of the driver.

상기 장의존성/독립성(field-dependence/independence)은 물리학 및 현상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운전 시 전체 장면에서 부분을 분리하여 지각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변별 능력이 부족하면 장의존적 성향으로, 탁월하면 장독립적 성향으로 평가하여 사고 개연성을 평가한다.The field-dependence / independence is a concept derived from physics and phenomenology, which means the ability to perceive parts separately in the whole scene during driving. Insufficient discrimination ability is judged as independence inclination and excellence as independence inclination.

지각성향검사는 도형을 이용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다. 단순도형검사(문제유형1)는 10문항, 복잡도형검사(문제유형2)는 8문항이며, 제한시간은 10분이다. 문항제시는 단순도형검사 15문항 중 10문항, 복잡도형검사 15문항 중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7문항(단순도형: 4, 6, 7, 10, 14 / 복잡도형: 17, 21)과 난이도 및 변별도를 반영하여 무선적으로 선택된다. 지각성향검사는 복잡한 도형안에 단순 도형이 포함되어 있는 지 를 식별하는 것으로 단순도형검사는 단순도형을 포함하는 복잡도형을 찾고, 복잡도형검사는 복잡도형안에 포함되어 있는 단순도형을 찾는 것이다. 본 검사의 핵심사항은 복잡한 도형안에 단순 도형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The perceptual tendency test consists of questions using figures, and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simple diagram (problem type 1) has 10 questions, the complex diagram (problem type 2) has 8 questions, and the time limit is 10 minutes. Item presentation consists of 10 items out of 15 simple diagram tests and 8 items out of 15 complex diagram tests, and 7 questions (simple diagram type: 4, 6, 7, 10, 14 / complexity type: 17, 21) and it is selected wirelessly to reflect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degree. A perceptual tendency test identifies whether a simple figure is included in a complex figure. A simple figure test looks for a complex figure that contains a simple figure, and a complex figure check looks for a simple figure included in a complexity figure. The key to this test is to identify whether a simple figure is contained within a complex figure.

그래서 상기 지각성향검사부(160j)는 운전장면에 대한 의존성 및 독립성 성향 등의 시각적 변별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 Thus, the perceptual tendency inspecting unit 160j may inspect the visual discrimination ability such as dependency on the driving scene and independence.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적응능력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운전정밀검사에 있어서 적응능력요인은 인성검사를 의미하며, 사업용운전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성격적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검사는 교통사고의 유발 및 빈번한 교통법규 위반과 관련되는 성격적 취약성을 평가함으로써 교통사고 성향자 또는 잠재적 사고운전자를 일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격이라는 용어는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인데 반해 일상에서는 인성이란 용어를 주로 사용하므로, 여기서는 인성검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Next, the adaptive capacity fac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and the adaptive capacity factor in the driving precision test means a personality test, and is intended to evaluate personality vulnerabilities that may cause traffic accidents for business drivers. . That is, this inspection is primarily intended to screen traffic accident propensity or potential accident drivers by evaluating personality vulnerabilitie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and frequent violations of traffic laws. In general, the term personality is a term used in academic fields, whereas personality is mainly used in everyday life, so the term personality test is used here.

상기 타당성척도검사부(160k)는 수검자의 수검 태도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수검자가 각 검사문항에 대하여 얼마나 성실하고 솔직하게 응답하였는지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The validity scale inspection unit 160k confirms the examinee's attitude toward the examinee and processes measurement data about how sincerely and honestly the examinee responded to each test item.

긍정왜곡척도 측면에서는 수검자가 의도적으로 자신의 반응을 긍정적으로 왜곡하여 응답할 가능성을 평가하여 재검사 또는 성격척도 결과 교정 등의 목적으로 활용하고, 반응일관성척도 측면에서는 검사문항에 성실하고 일관된 태도로 응답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이는 유사한 문항에 대하여 일관되게 반응하고 있는 지를 평가하며, 임의적 반응에 의한 결과왜곡을 차단한다.In the aspect of positive distortion, the examinee evaluates the possibility of responding by intentionally distorting his / her response positively and uses it for the purpose of retesting or correcting the result of personality scale. It evaluates whether or not it responds to similar questions consistently, and blocks the resultant distortion caused by random responses.

상기 현실성척도검사부(160l)에서는 주의집중 및 판단력의 손상, 비현실적이고 비논리적인 사고경향, 망상, 환청 등의 정신병리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처리한다. The reality scale inspection unit 160l checks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impairment of judgment, unrealistic and illogical thinking trends, delusions and hearing, and processes measured data.

비현실 성향 측정에서는 비정상적인 심리적, 신체적 경험을 확인하고 조증성향 측정에는 사고의 다양성, 비약 및 과장성, 과잉활동성, 불안정성, 흥분성, 민감성 및 기분의 고양을 측정하고, 비현실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 및 조증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된다. Unrealistic propensity measures identify abnorm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periences, and manic propensity measures measure diversity, leap and exaggeration, hyperactivity, instability, excitability, sensitivity and mood elevation, and questions and mania to measure unreality It consists of items to measure.

상기 사회성척도검사부(160m)에서는 사회적 약속이나 법규를 준수하지 않으며, 무책임하고 폭력적인 성향을 확인하고 측정데이터를 처리한다. 법규불만성측정은 사회적 가치, 법규, 규범 등을 무시하는 경향 및 타인의 존재를 무시하는 경향의 정도를 측정하고, 폭력성향측정은 내재된 분노 및 적개심, 그것을 외부환경 및 타인에게 표출하는 경향, 갈등상황에서의 행동경향을 측정하고, 무책임성향측정은 사회적 의무의 이행, 자신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에 대한 통찰력, 행동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의 판단 등을 측정하고, 자극추구성향측정은 새롭거나 강렬하고 스릴 있는 상황의 선호, 음주나 도박에 대한 태도 등을 측정한다.여기서 상기 사회성척도검사부(160m)은 법규불만, 폭력, 무책임 및 자극추구를 검사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된다. The social scale inspection unit (160m) does not comply with social commitments or laws, checks irresponsible and violent propensity and processe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s of legal complaints measure the degree of disregard of social values, laws, norms, and the tendency of disregarding the existence of others, and measures of violence propensity include inherent anger and hostility, the tendency to express it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others, Measures behavioral trends in conflict situations, measuring irresponsible tendency measures fulfillment of social obligations, insights into the consequences of one's own behavior, judgment of responsible individuals for behavioral consequences, and stimulus weighting trends are new or intense. And measures the preference of thrilling situations, attitudes to drinking or gambling, etc. Here, the social scale test unit 160m consists of items for examining legal complaints, violence, irresponsibility, and stimulation.

상기 정서성척도검사부(160n)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불안정 상태 또는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확인하고 측정데이터를 처리한다. 우울성향 측정은 일상생활에서의 무기력하고 비관적인 태도를 확인하고 불안공포 성향 측정은 예민하고 소심하며 긴장이 많은 성격적 특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정서성척도검사부(160n)는 우울 및 불안공포를 검사하기 위한 문항들을 포함한다. The emotional scale inspection unit 160n checks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due to stress or vulnerability to stress and processes the measurement data. Depression tendency checks for helpless and pessimistic attitudes in daily life, and anxiety fear tendency checks for sensitive, timid, and nervous personalities. The emotional scale test unit 160n includes items for examining depression and anxiety.

상기 통제성척도검사부(160p) 스트레스나 위기에 처했다 하더라도 평정심을 유지하고 생활을 지탱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고 측정데이터를 처리하고, 인내심 측정에 관련된 문항에서는 자신의 생활 주변을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는 능력을 확인하고, 감정조절능력 측정에 관련된 문항에서는 감정의 평정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감정을 다스리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한다.The control scale inspection unit (160p) checks the ability to maintain calmness and sustain life even in the face of stress or crisis, process measurement data, and clean and tidy around his / her life in questions related to patience measurement In addition,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emotion control ability identify the ability to maintain emotion and the ability to control and control emotions.

특히, 상기 타당성척도검사부(160k), 상기 현실성척도검사부(160l), 상기 사회성척도검사부(160m), 상기 정서성척도검사부(160n) 및 상기 통제성척도검사부(160p)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문제가 표시되어 예시문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CBT(Computer Based Test) 또는 PBT(Paper Based Test)로 시행된다. In particular, the validity scale inspection unit 160k, the reality scale inspection unit 160l, the social scale inspection unit 160m, the emotional scale inspection unit 160n and the controllability scale inspection unit 160p are the display unit 110. Problems are indicated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test is conducted with a Computer Based Test (CBT) or Paper Based Test (PBT) that selects at least one of the examples.

그리고 상기 데이터처리부(160)의 검사(160a~160p) 내용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 The contents of the inspections 160a to 160p of the data processor 16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정밀검사시스템의 운영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관리자는 수검자에게 검사준비사항을 숙지시키고, 수검자는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에 배치된 지문인식부(140)에 지문을 인식시키고, 상기 지사서버(30)는 수검자를 확인한다.(S10)First, the manager knows the test preparation information to the examinee, the examinee recognizes the fingerprint in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40 disposed in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the branch server 30 checks the examinee. S10)

그리고 수검자의 신원이 확인된 후, 운전정밀검사를 시작하고(S20),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운전정밀검사의 검사개요, 목적, 일체형 검사기기의 작동방법 및 검사진행을 안내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S30)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examinee is confirmed, the operation inspection is started (S20), and the display unit 110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includes a summary of the inspection of the operation inspection, the purpose, operation method and inspection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A screen is displayed to guide you through the process. (S30)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160)에서는 상기 각 검사(160a~160p)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Next, the data processing unit 160 displays the inspections 160a to 160p on the display 110 to perform the inspection.

여기서 상기 검사(160a~160p)는, 각 검사(160a~160p)에 대한 개별검사방법이 소개되고(S42), 각 개별검사방법에 대하여 수검자가 연습을 한 후(S44), 수검자가 조작부(120)에 배치된 (예) 버튼을 눌러 각 개별 검사(160a~160p) 중 하나를 실시한다. 그리고 수검자가 개별 검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검사시행을 원치않으면 (아니오) 버튼을 눌러 검사방법 소개 및 안내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S40)Here, the inspection (160a ~ 160p), the individual inspection method for each inspection (160a ~ 160p) is introduced (S42), after the examinee practice for each individual inspection method (S44), the examinee the operator 120 Press the (Yes) button located at the) to perform one of the individual tests (160a to 160p). If the examinee lacks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test or does not want to perform the test, the user may press the (No) button to resume the introduction and guidance of the test method. (S40)

다음으로, 상기 각 개별검사(160a~160p)가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처리부(160)는 수검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검사결과를 채점하고(S52),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검사결과를 판정한다.(S54)Next, when each of the individual inspection (160a ~ 160p) is completed, the data processing unit 160 scores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data input by the examinee (S52), and determines the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 (S54)

그리고 상기 판정된 검사결과에 대하여 동영상, 도표, 삽화, 음성 등을 이용한 교정교육을 시행한 후, 수검자에 대한 운전정밀검사를 종료한다. After the calibration test using the moving picture, chart, illustration, voice, etc. is performed on the determined test result, the driving inspection for the examinee is finished.

다음으로, 상기 운전정밀검사를 종료하면, 상기 일체형검사기기(100) 또는 상기 지사서버(30)에서 상기 수검자의 검사결과를 채점하여, 결과를 판단한다. Next, upon completion of the driving inspection,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or the branch server 30 scores the inspection result of the examinee to determine the result.

그리고 상기 수검자는 특정 검사항목 별로 교정교육을 실시한다. In addition, the examinee conducts calibration training for specific inspection items.

도 16을 참조하면, 수검자는 평가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채점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는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수검자에게 각기 다른 교 정교육을 실시함으로서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Referring to FIG. 16, the examinee shows different scoring resul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em, and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induces safe driving by performing different calibration education on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

예를 들어, 유사한 측정요인으로 분류하여 3가지 검사항목씩 짝을 짓고, 관련 삽화를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더불어 검사항목별로 채점결과에 대해 수검자에게 교육을 실시한다. For example, three inspection items are paired and classified into similar measurement factors, and related illustration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100. In addition, the examinee will be trained on the scoring results for each inspection item.

여기서 수검자가 거리지각검사에 대해서는 1등급, 정지거리예측검사에 대해서는 3등급, 속도예측검사에 대해서는 5등급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각 등급에 따라 각기 다른 멘트가 사용되고, 수검자는 각 등급에 따라 다른 내용의 교정교육을 받게 된다. In this case, if the examinee is judged as 1 grade for distance perception test, 3 grade for stop distance prediction test, and 5 grade for speed predictive test, different comments are used according to each grade, and examinee differs according to each grade. You will receive corrective train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is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정밀검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가 도시된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작버튼이 도시된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button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가 도시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검사기기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순서도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예측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6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speed predic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거리예측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7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전환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8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attention convers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폭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9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careful insp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화탐지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10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change detec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비인식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11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contrast recognition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기억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12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visual memory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13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cognitive ability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각성향검사 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14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perceptual tendency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능력요인이 도시된 블록도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daptive capability f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교육에 대한 예시 화면16 is an exemplary screen for calibration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산관리부 20 : 본부서버10: computerized management department 20: headquarters server

30 : 지사서버 40 : 지사관리부30: branch server 40: branch management department

50 : 통제관리부 100 : 일체형 검사기기50: control and management unit 100: integrated inspection equipment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조작부110: display unit 120: operation unit

122 : 버튼 130 ; 페들122: button 130; Paddle

140 : 지문인식부 150 : 데이터변환부140: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50: data conversion unit

160 : 데이터처리부 170 : 표시부160: data processing unit 170: display unit

Claims (18)

전산관리부와, Computer Management Department, 상기 전산관리부와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본부서버와, A headquarters server connected to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and storing a database for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상기 본부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지사서버와, A branch server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지사서버와 연결된 지사관리부와, Branch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상기 지사관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관리부와, A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branch management uni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제관리부에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수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검사기기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nd at least on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and capable of inspecting the driving insp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운전정밀검사과 관련된 검사항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spection items related to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수검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the examinee's operation signal; 수검자의 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들과, A paddle for inputting the examinee's foot operation signal, 수검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인식부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 driving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scanning the examinee's fingerprin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조작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데이터변환부와, A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unit into a digital signal;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A dat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data for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on the display uni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검사항목은 Inspection items of the data processing unit 속도예측검사부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와, 주의전환검사부와, 주의폭검사부와, 변화탐지검사부와, 대비인식검사부와, 시각기억검사부와, 인지능력검사부와, 지각성향검사부와, 타당성척도검사부와, 현실성척도검사부와, 사회성척도검사부와, 정서성척도검사부와, 통제성척도검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stopping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cognitive ability inspection unit, perceptual tendency inspection unit, feasibility scale inspection unit,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eality scale inspection unit, a social scale inspection unit, an emotional scale inspection unit, and a control scale inspec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속도예측검사부는The 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소정 속도로 이동되는 차량 형태의 이동물체와,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목표를 포함하고, A moving object in the form of a vehicle moving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a target disposed on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상기 조작부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목표 및 상기 이동물체와의 이격거리가 계산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nd a distance between the target and the moving objec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정지거리예측검사부는 The stop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운전상황을 반영하여 주행 시와 유사하게 표현된 도로와, 정지구역에 해당하는 파란색 구역과, 이동하는 적색의 정지선을 포함하고, A road similar to a driving situation, a blue zone corresponding to a stop zone, and a moving red stop line, reflecting driving conditions, 상기 페들을 통해 수검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감속된 상기 적색의 정지선 및 상기 파란색 구역의 이격거리가 계산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ecelerated red stop line and the blue zone is calculated when an examinee's manipul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paddl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주의전환검사부는 The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사전단서와, 상기 사전단서가 사라진 후 소정 시간동안 표시되는 목표자극 및 상기 목표자극의 구별을 방해하는 방해자극를 포함하고, And a disturbance stimulus that prevents discrimination between the target stimulus and the target stimulus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ctionary clue disappears, 상기 목표자극이 제시된 후,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목표자극에 해당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계산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 And after the target stimulus is presented, a time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stimulus from the operation unit is calculate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주의폭검사부는 The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1 시간동안 표시되는 소정의 숫자와, A predetermined number displayed during the first time period, 상기 제 1 시간 이후, 제 2 시간동안 표시되는 복수개로 구성된 숫자세트 및 화살표를 포함하고, After the first tim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ets of numbers and arrows displayed for a second time, 상기 제 2 시간 이후, 상기 숫자세트에 상기 숫자가 포함되어있는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고, After the second time, whether the number is included in the number set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상기 화살표의 방향을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아 판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receiv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변화탐지검사부는 The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서로 다른 모양 및 색상을 가진 복수개의 도형으로 구성된 최초자극판과, An initial magnetic pole plat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hapes with different shapes and colors, 소정 시간 경과 후 표시되는 복수개의 도형으로 구성된 목표자극판을 포함하고, It includes a target magnetic pole plat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gures display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목표자극판의 표시 후, 상기 최초자극판 및 상기 목표자극판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fter the display of the target magnetic pole plate, whether the first magnetic pole plate and the target magnetic pole plate whether the agreement or inconsistency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대비인식검사부는 The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줄무늬 형태의 배경자극과, 상기 배경자극 위로 겹쳐지는 한 쌍의 목표자극을 포함하고, A background stimulus in the form of a stripe, and a target stimulus overlapping the background stimulus, 상기 목표자극의 표시 후, 상기 목표자극의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fter the display of the target stimulation, the operation inspection system for receiving whether the target stimulus is matched or inconsistent through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시각기억검사부는 The visual memory tes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서로 번갈아 표시되는 숫자 및 화살표를 포함하고, Include numbers and arrows that alternate with each other, 상기 숫자에 대하여 발음을 입력받고, Input a pronunciation for the number,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화살표의 방향을 입력받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system for receivi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rough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지능력검사부는 Cognitive ability tes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일측에 회전, 대칭 또는 소멸 중 어느 하나의 상관관계가 형성된 두 개의 도 형과, 타측에 표시된 다른 도형을 포함하고, It includes two figures, one of which is correlated with one of rotation, symmetry, or extinction, and the other figure shown on the other side, 상기 일측에 표시된 도형들의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타측 도형에 대한 상관관계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figure displayed on the one side, the driving precision inspection system for receiving the correlation for the other figu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지각성향검사는 The perceptual tendency te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단순도형과, 복잡한 도형을 포함하고, Include simple shapes, complex shapes, 상기 복잡한 도형 안에 상기 단순도형이 포함되었는 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Whether the simple figure is included in the complicated figure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상기 단순도형이 상기 복잡한 도형 안에 포함되었는 지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받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A driving inspection system for receiving input whether the simple figure is included in the complex figur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검사항목은 Inspection items of the data processing unit 수검자의 지각운동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과, An item for examining the perception movement of the examinee, 수검자의 지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과,Items for examining the examinee's intellectual ability, 수검자의 적응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Operational inspection system including items for examining the examinee's adaptive ability. 전산관리부와, 상기 전산관리부와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본부서버와, 상기 본부서버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지사서버와, 상기 지사서버와 연결된 지사관리부와, 상기 지사관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관리부와, 상기 통제관리부에 연결되고, 운전정밀검사를 수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일체형 검사기기를 포함하고, The head office server connected to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the computerized management unit and the database for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the branch server connected to the headquarters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branch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branch server, and the branch management unit A control management unit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t least on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management unit and capable of inspecting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상기 일체형 검사기기는 운전정밀검사과 관련된 검사항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수검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수검자의 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페들과, 수검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인식부를 포함하는 운전정밀 검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spection item related to a driving precision test, an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n examinee's operation signal, a paddle for inputting an examinee's foot operation signal,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scanning the examinee's fingerprints In the control method performed in the operation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상기 일체형검사기기에 배치된 지문인식부를 통해 수검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와,(a) confirming the examinee's identity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disposed in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b)상기 일체형검사기기를 통해 운전정밀검사에 관련된 복수개의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와,(b) performing a plurality of inspec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through the integrated inspection apparatus; (c)상기 일체형검사기기의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상기 각 검사의 결과를 채점하는 단계와,(c) scoring the results of each inspection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of the integrated inspection apparatus; (d)상기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상기 채점된 결과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d) determining the scored result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b) 단계는 Step (b) is 속도예측검사부와, 정지거리예측검사부와, 주의전환검사부와, 주의폭검사부와, 변화탐지검사부와, 대비인식검사부와, 시각기억검사부와, 인지능력검사부와, 지각성향검사부와, 타당성척도검사부와, 현실성척도검사부와, 사회성척도검사부와, 정서성척도검사부와, 통제성척도검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를 수검자에게 소개하는 단계와,Speed prediction inspection unit, stopping distance prediction inspection unit, attention switching inspection unit, attention span inspection unit, change detection inspection unit, contrast recognition inspection unit, visual memory inspection unit, cognitive ability inspection unit, perceptual tendency inspection unit, feasibility scale inspection unit, Introducing to the examinee at least one of a driving precision tes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ality scale test unit, a social scale test unit, an emotional scale test unit, and a control scale test unit; 상기 검사를 연습되는 단계와,Practicing the test;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검사 시작에 관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starting the inspection from the operation unit; 상기 검사의 시작을 확인한 후 상기 검사가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a step of performing the inspection after confirming the start of the inspection.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d) 단계 이후에,After step (d),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상기 일체형검사기기를 통해 교정교육이 실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s, the control method of the operation precision inspec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calibration training through the integrated inspection devic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교정교육은The correction training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검사와 관련된 삽화 또는 동영상이 표시되는 단계와,Displaying an illustration or a video related to the test on the display unit; 상기 채점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음성멘트가 재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정밀검사 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reproducing different voice announcements according to the scoring results.
KR1020070126081A 2007-12-06 2007-12-06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KR100911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81A KR100911356B1 (en) 2007-12-06 2007-12-06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81A KR100911356B1 (en) 2007-12-06 2007-12-06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99A true KR20090059299A (en) 2009-06-11
KR100911356B1 KR100911356B1 (en) 2009-08-10

Family

ID=4098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81A KR100911356B1 (en) 2007-12-06 2007-12-06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35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75A1 (en)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밸런스파크 Motor ability test method and motor ability test system
KR102013142B1 (en) * 2018-07-31 2019-08-22 도로교통공단 A method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based on cognitive test using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WO2020129218A1 (en) * 2018-12-20 2020-06-25 保生 尾崎 Driving aptitude inspection device
KR20230041857A (en) * 2021-09-17 2023-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iving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information.
KR20230082952A (en) * 2021-12-02 2023-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multiple evaluation course in test si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066B2 (en) * 1991-01-31 2000-10-16 勝也 松永 Appropriate inspection equipment for car drivers
KR100384294B1 (en) * 2000-07-03 2003-05-16 주식회사 쎄스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473832B1 (en) * 2003-07-09 2005-03-1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The driving aptitude test system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KR200329035Y1 (en) * 2003-07-09 2003-10-0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The driving aptitude test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175A1 (en) * 2014-10-20 2016-04-28 주식회사 밸런스파크 Motor ability test method and motor ability test system
KR102013142B1 (en) * 2018-07-31 2019-08-22 도로교통공단 A method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based on cognitive test using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WO2020129218A1 (en) * 2018-12-20 2020-06-25 保生 尾崎 Driving aptitude inspection device
KR20230041857A (en) * 2021-09-17 2023-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iving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information.
KR20230082952A (en) * 2021-12-02 2023-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multiple evaluation course in test 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356B1 (en)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Influence of intensity on children’s sensitivity to happy, sad, and fearful facial expressions
CN103561651B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Blana Driving Simulator Validation Studies: A Literature Review.
Konkle et al. A familiar-size Stroop effect: real-world size is an automatic property of object representation.
US8016416B1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at least one of mass vision, cognition, knowledge, operation skills, and the like
US51034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perform a task
US6341267B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atching individuals with behavioral requirements and for managing providers of services to evaluate or increase individuals&#39; behavioral capabilities
US67430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elf measurement of alertness equilibrium and coordination and for ventification of the identify of the person performing tasks
EP2542144B1 (en) Adaptive visual performance testing system
US20170278417A1 (en) Evaluating test taking
KR100911356B1 (en)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Greenwald et al. Do subliminal stimuli enter the mind unnoticed? Tests with a new method
Walls et al. Util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validity scales in identifying simulate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random responding.
Luft et al. Using online cognitive tasks to predict mathematics low school achievement
KR20120107736A (en)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JP4694849B2 (en) Reaction inspection device
KR20130099714A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46629A (en)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Yang et al.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Latent class analysis of mathematical 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KR20170128919A (en) Evaluating system of safe driving efficiency for old age driver
Colwell et al. The Test of Malingered Incompetence (TOMI): A forced-choice instrument for assessing cognitive malingering in competence to stand trial evaluations
Odendaal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social desirability scales: Influence of cognitive ability
Tavakol et al. Psychometrics for physicians: everything a clinician needs to know about assessments in medical education
Williams et al. The Assessment of Basic Learning Abilities (ABLA) and its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stimulus relations in persons with autism and other intellectual disabilities
Brunner et al. How prospective teachers detect potential difficulties in mathematical tasks–an eye tracking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