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242A -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242A
KR20090059242A KR1020070125991A KR20070125991A KR20090059242A KR 20090059242 A KR20090059242 A KR 20090059242A KR 1020070125991 A KR1020070125991 A KR 1020070125991A KR 20070125991 A KR20070125991 A KR 20070125991A KR 20090059242 A KR20090059242 A KR 20090059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ale
sale
product
sale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이두식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먼트
Priority to KR102007012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242A/ko
Publication of KR2009005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를 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 금액, 재판매 여부, 재판매에 대한 수수료율을 입력받아서 표준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상품을 분류하여 게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게시된 판매상품 중에서 재판매가 가능한 판매상품을 재판매 하고자하는 재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표준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재판매상품을 분류하여 재게시하는 제2 단계;및 상기 재게시된 재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재판매상품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판매 대금 결제를 받아서 대응하는 재판매상품을 구매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상거래, 재판매, 컨텐츠

Description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selling image contents in on-line commercial transac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유통하는 데 있어 다른 판매자의 컨텐츠를 가져다가 재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컨텐츠의 전자상거래가 눈에 띄게 발전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디지털 컨텐츠가 인터넷이라는 도구 속에서 활성화되고 구매자로부터 인기를 얻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시장이 확대되고 디지털 컨텐츠도 구매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상품으로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이제 구매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하여 그에 걸맞는 디지털 컨텐츠 거래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터넷 상에서 유통 가능한 디지털컨텐츠는 안전 거래 및 불법 복제 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로 인해 판매자간의 판매 및 교환에 있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었다.
즉, 구매자들은 다량의 컨텐츠 속에서 믿을만한 전문가들에 의해 자신에게 적합한 맞춤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컨텐츠 판매자(셀러)와 콘텐츠 제공에 대한 개별 계약을 맺고 있는 기존의 B2C의 사업 모델에서는 서로의 이해 관계 상충 및 수익 분배, 공정한 협상 주체 부재 등의 여러 가지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타 판매자의 우수한 콘텐츠를 재판매하거나 상호교환 판매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 제공자(셀러)는 각자의 전문 영영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이러닝(E-Learning) 컨텐츠 시장(예를 들어, 영어 전문 사이트, 수학 전문 사이트 등.) 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각각의 컨텐츠 제공자들은 자신의 전문 영역 외에 타 컨텐츠 제공자의 우수한 컨텐츠를 시공간의 제약이 없고, 구매자의 이탈 가능성이 적은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원내생들에게 제공하기를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컨텐츠 오픈 마켓을 통해, 기존 B2C 이러닝 업체들과는 달리 다양한 양질의 컨텐츠 제작은 물론 타인의 컨텐츠를 재판매할 수 있는 인프라(원내생, 온라인 회원 등)를 갖춘 믿을만한 우수 판매자들(학원, 강사, 이러닝업체 등)에게 주체적인 참여의 기회를 폭넓게 제 공함으로써 디지털컨텐츠의 유통에 있어 자신의 컨텐츠만을 판매하는 단순 판매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재판매를 가능하게 하고, 표준 계약을 통해 판매자들 간의 분쟁 발생의 소지를 없애는 동시에 공정하고 투명한 수익 분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컨텐츠의 새로운 유통 및 판매, 정산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시스템상에서 컨텐츠 제공자(셀러)의 콘텐츠 등록에서부터 타 판매자(리셀러)가 해당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과정을 거쳐 컨텐츠 제공자(셀러)와 재판매자(리셀러) 간의 수익 정산 프로세스까지를 원활하게 처리 할 수 있는 재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 금액, 재판매 여부, 재판매에 대한 수수료율을 입력받아서 표준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상품을 분류하여 게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게시된 판매상품 중에서 재판매가 가능한 판매상품을 재판매 하고자하는 재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표준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재판매상품을 분류하여 재게시하는 제2 단계;및 상기 재게시된 재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재판매상품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판매 대금 결제를 받아서 대응하는 재판매상품을 구매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 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허용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불가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 판매존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수강권 적용 여부 및 그 할인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매자가 지불한 판매 대금 중 소정의 운영수수료를 제한 판매 금액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및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상품을 전국판매가 가능한 전국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원생 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상품을 원생에게만 판매하는 학원존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를 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 금액, 재판매 여부, 재판매에 대한 수수료율을 입력받아서 표준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상품을 분류하여 게시하고, 상기 게시된 판매상품 중에서 재판매가 가능한 판매상품을 재판매 하고자하는 재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재판매상품을 분류하여 재게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재판매 서버와; 상기 재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판매상품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판매 대금 결제를 받고,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정산서버; 및 상기 표준계약정보, 판매 상품 및 재판매 상품을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판매 서버는, 상기 표준 계약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허용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컨텐츠를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 계약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불가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컨텐츠를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 판매존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수강권 적용 여부 및 그 할인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산서버는, 기 구매자가 지불한 판매 대금 중 소정의 운영수수료를 제 한 판매 금액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재판매 서버는,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컨텐츠를 전국판매가 가능한 전국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원생 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컨텐츠를 원생에게만 판매하는 학원존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와 재판매자가 직접 대면하고 수수료를 흥정하지 않고도 인터넷 시스템상에서 표준 계약에 따라 쉽게 컨텐츠를 재판매할 수 있으므로 시공간적인 제약을 줄이고 거래의 효율을 높이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된 수수료율에 따라 수익이 판매자와 재판매자에게 자동 정산되므로 수익 분배에 따른 분쟁 발생 가능성이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재판매되는 상품을 부가서비스나 우수한 여러 판매자의 상품들을 묶어 패키지 형태로 재구성하여 판매함으로써, 또 판매자는 다른 우수 상품들과 자신의 상품이 패키지되어 그 가치가 더욱 부각됨으로서 판매를 촉진시켜 부가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 매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온라인상의 전자상거래에 관련한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판매 시스템은 전자상거래를 관리하는 재판매서버(30), 판매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판매하기위해 판매상품으로 등록하는 판매자단말(20), 재판매자가 컨텐츠을 재판매 하고자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는 재판매단말(10),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판매계약정보 등이 저장되는 DB(40), 구매자가 재판매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자단말(50) 들이 통신망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판매자단말(20)은 디지털 컨테츠를 제작하거나 중계하여 판매하고자하는 판매자(제공자)와 재판매서버(30)와 연결되는 단말이다. 재판매자단말(10)은 디지털 컨테츠를 제작하거나 중계하여 판매하고자하는 판매자(제공자) 및 재판매서버(30)와 연결되어 재판매 가능하게 게시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판매 할 수 있는 단말이다.
여기서, 재판매(크로스셀링; cross-selling)는 인터넷 상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이트에서 판매자가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가져다가 그대로 판매하거나 여러 상품과 함께 패키지로 묶어서 파는 크로스셀링에 해당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여기서, 판매자단말(20) 및 재판매자단말(10)은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판매자와 재판매자가 동일할 경우 판매자 단말(20)과 재판매자단말(10)이 동일 할 수도 있다.
재판매서버(30)는 인터넷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로서, 전자상거래를 위한 온라인상의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고 판매 할 수 있다.
정산서버(60)는 DB(40)에 저장된 판매계약정보에 따라 판매상품 또는 재판매상품의 판매대금을 구매자로부터 결제받아 판매자 또는 재판매자에게 송금해주는 정산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판매자가 컨텐츠(예를 들어, 인터넷 동영상, mp3, 텍스트 문서, 사진 등), 특히, 학원 등에서 제작되는 교육관련 컨텐츠를 판매자단말(20)를 이용하여 재판매서버(30)상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면, 재판매 서버(30)는 판매자와 표준계약(예를 들어, 판매가격, 재판매 여부, 수수료율)을 체결하여 그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등록된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호,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하는 자료, 정보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입에서 결제, 이용까지 모두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재판매자가 재판매자단말(10)를 이용하여 재판매 가능하도록 온라인상에 등록된 판매 상품을 선택하고, 판매자가 그 판매상품을 교육 관련 컨텐츠를 수강하고자 하는 학원 등의 원생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재판매할 수 있도록 재판매 서버(30)에 등록하면, 재판매 서버(30)는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이를 온라인상(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이트 등)에 게시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판매 및 재판매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구매자(예를 들어, 학원생 또는 일반인 등)가 구매자 단말(50)를 통해 온라인상에 등록되어 있는 판매상품 또는 재판매상품을 차시(하나의 판매상품을 구성하는 개별 컨텐츠) 또는 단품(하나의 차시 상품 또는 하나의 컨텐츠)으로 구입하게 된다. 그러면 재판매 서버(30)는 그에 판매 상품 또는 재판매 상품의 판매가격에 대한 대금을 결제를 받고 DB(40)에 저장된 판매계약정보의 수수료율을 토대로 구매자가 입금한 금액을 정산서버(60)를 거쳐 판매자와 재판매자에게 공정하게 자동으로 분배하여 송금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계약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이다. 표준계약정보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한 판매상품 또는 재판매상품에 관한 판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표준계약정보는 DB(40)상에 저장되어 재판매서버(30)를 통해 게시, 판매, 정산 등에 사용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준계약정보(400)는 판매자정보(401), 재판매자정보(402), 판매가격(404), 재판매 여부(403), 수수료율(405), 온라인 수강권 가능여부(406), 할인율(407), 패키지등록 여부(408), 판매범위(전국 판매 또는 원내생 판매)(409) 등의 DB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매자정보(401)는 해당 컨텐츠를 판매하고자하는 회원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D,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재판매자정보(402)는 해당 컨텐츠를 재판매하고자하는 회원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D, 주소 등)를 저장하고, 재판매 여부(403)는 해당 컨텐츠의 재판매를 허용하는 지의 여부를 저장하고, 판매가격(404)은 해당 컨텐츠의 실제 판매되는 가격을 저장하고, 수수료율(405)은 판매컨텐츠를 재판매 컨텐츠로 등록하여 재판매 되었을때 판매자와 재판매자 간의 대금 배분 비율을 저장하고, 온라인수강권 가능여부(406)는 원내생들에게 무료로 또는 일정한 금액을 받고 학원에서 온오프라인 상으로 발행하는 단위 수강이 가능한 할인 쿠폰 의 사용 여부를 저장하고, 할인율(407)은 구매자가 온라인 수강권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때 판매가격의 할인 비율을 저장하고, 패키지 등록여부(408)은 여러개의 재판매상품 또는 판매 상품을 묶어서 판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저장하고, 판매범위(409)는 판매상품의 전국판매 여부 또는 원내생 판매 여부를 저장한다.
또, 재판매여부(403)가 재판매허용 상태일때는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존에 게시하고, 재판매불가 상태일때는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판매존에 게시할 수 있다.
또한, 판매범위(409)가 전국판매 상태일 때는, 재판매서버(30)는 재판매상품을 게시할 때 재판매상품을 일반인에게 판매가 가능한 전국판매존에 게시하고, 원내생 판매 상태일 때는 재판매서버(30)는 재판매상품을 게시할 때 재판매자의 학원생게만 판매할 수 있는 학원존에 게시하게 할 수 있다. 학원존은 사이트 내에 가입한 판매자가 해당하는 학원, 업체, 강사 들이 만들어 관리하는 블로그 형식의 홈페이지로 상품의 판매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온라인 수강권 가능여부(406)가 온라인 수강권 허용 상태일 때, 구매자는 온라인 수강권 상의 구매가능 차시 또는 단품 만큼 구매할 수 있고 그 판매 가격은 할인율(407) 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수강권은 전국판매존 및 학원존 중에서 하나 이상에서 선택적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패키지등록여부(408)가 패키지등록 허용 상태일때, 재판매자는 판매상품 및 재판매상품을 하나 이상 묶어서 판매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처리절차도이다.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은 판매상품 등록과정(S10~S32)과, 재판매상품 등록과정(S40~S48)과, 재판매상품 판매 과정(S50~S54)과, 판매대금 정산과정(S60~S66)을 포함한다. 즉, 소정의 컨텐츠를 제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판매자단말(20)을 이용하여 재판매서버(30)에 접속하여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판매상품의 판매를 위한 표준계약을 체결하여 그 표준계약에 따라 판매상품을 온라인상에 게시되도록 한다(S10~S32). 이후, 재판매자가 재판매자단말(10)을 이용하여 재판매서버(30)에 접속하여 게시된 판매상품들 중에서 재판매 하고자 하는 판매 상품을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기설정된 표준계약에 따라 판매상품을 온라인상에 게시되도록 한다(S40~S48). 그러면 재판매서버(30)는 재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하는 구매자의 구매자단말(50)을 이용한 구매요청을 받고, 그 재판매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가 완료되면 재판매상품을 구매자단말(50)로 제공하여 판매처리 한다(S50~S54). 이후, 정산서버(60)는 재판매서버(30)로부터 재판매상품의 판매 결과를 전달 받고, DB(40)에 저장된 수수료율에 따라 판매 대금을 분류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고 그 결과를 각 단말(10, 20)에게 전달하여 정산을 완료한다(S60~S66).
상술한 처리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 단말(10)은 재판매서버(30)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판매상품 정보를 전송하여 판매상품 등록을 요청한다(S10). 판매자서버(30)는 판매자단말로(10)부터 요청된 판매상품을 입력받아 DB(40)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판매자단말(20)로부터 입력된 정보외에 판매상품 등록을 위한 표준계약정보를 요구하고 필요한 정보를 받아서 판매자단말(10)과 표준계약을 체결한다(S22, S24). 재판매서버(30)는 표준계약정보를 DB(40)에 저장한다(S30). 즉, 표준계약정보는 판매가격, 재판매 여부, 수수료율, 전국 판매 또는 원내생 판매, 온라인 수강권 가능 여부, 할인율, 패키지등록 여부 등의 정보들을 판매자단말(20)로 입력받아서 DB(4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재판매서버(30)는 등록된 판매상품을 온라인 상(예를 들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홈페이지, 포탈 사이트 등)에 게시한다(S32).
이때,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가 재판매 허용일 때는 재 판매 존에 게시하고, 재판매 불가일 때는 일반 상품존에 게시한다. 재판매단말(10)은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 존에 게시된 판매상품을 선택하여 재판매서버(30)로 재판매 등록을 요청한다(S40). 재판매서버(30)는 재판매단말(10)로부터 요청된 판매상품을 DB(40)에 재판매상품으로 재등록하고, 재판매서버(30)는 미리 등록된 표준계약정보를 재판매자단말(10)로부터 동의을 얻어 표준계약을 체결한다(S44, S46).
이때, 재판매서버(30)는 표준계약정보를 재판매상품과 연동시켜 DB(40)에 저장한다(S30). 즉, 재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는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인 판매가격, 재판매 여부, 수수료율, 전국 판매 또는 원내생 판매, 온라인 수강권 가능 여부, 할인율, 패키지등록 여부가 재판매자단말의 동의에 따라 동일하게 또는 일부 수정되어 DB(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 재판매서버(30)는 재등록된 재판매상품을 온라인 상(예를 들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홈페이지, 포탈 사이트 등)에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게시한다(S32).
이때, DB(40)에 저장된 재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가 전국판매 일때는 전국판매 존에 게시되고, 원내생 판매 일때는 학원존에 게시될 수 있다. 즉, 재판매상품이 전국판매 존에 게시될 때는 일반인이 구매할 수 있도록 일반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게시되고, 재판매상품이 원내생 판매일 때는 재판매자가 운영하는 자체 사이트인 학원존에만 게시되어 재판매자의 학원 원생에게만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단말(50)은 게시된 재판매 상품을 선택하여 재판매서버(30)로 구매 요청을 한다(S50).
재판매서버(30)는 구매자단말(50)로부터 구매 요청된 재판매 상품의 표준계약정보를 DB(40)에서 로딩하여 재판매 상품의 판매가격에 대한 대금 결제를 요청하여 판매대금 결제를 받는다(S52, S54).
이때, 재판매 서버(30)는 구매자단말(50)로부터의 대금 결제는 현금 또는 카드 결제가 가능하고 일정시간 대금결제에 대한 취소 여부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재판매상품의 판매를 승인하고 그 재판매상품을 구매자단말(50)로 제공하여 최종 완료한다(S60).
이후, 정산서버(60)는 재판매서버(30)로부터 재판매상품의 최종 판매완료 결과를 전달 받고, DB(40)에 저장된 수수료율에 따라 판매 대금을 연산하여 개별 송금하고 그 정산 결과를 각 단말(10, 20)에게 전달하여 정산을 완료한다(S64, S66).
예를 들어,구매자가 온라인 수강권이 아닌 일반 결제를 이용해서 재판매 상품을 구매할 경우,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가 판매가격 : \10000, 재판매 가능, 수수료율 30% 일 때, 판매자서버(30)는 \10000을 구매자로터 대금 결제를 받고, 판매자에게는 수수료율에 따라 \3000을 송금하고, 재판매자에게는 수수료율에 따라 \7000을 송금하게 된다.
또한, 단계 S54에서 구매자단말(50)는 온라인 수강권을 보유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재판매 서버(30)로 대금결제를 요청할 수 있고 재판매 서버(30)는 일정시간 대금결제에 대한 취소 여부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재판매상품의 판매를 승인하고 그 재판매상품을 구매자단말(50)로 제공하여 최종 완료할 수도 있다. 물론, 정산서버(60)는 재판매서버(30)로부터 재판매상품의 최종 판매완료 결과를 전달 받고, DB(40)에 저장된 수수료율에 따라 판매 대금을 연산하여 개별 송금하고 그 정산 결과를 각 단말(10, 20)에게 전달하여 정산을 완료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온라인 수강권을 이용하여 재판매 상품을 구매할 경우,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가 판매가격 : \10000, 재판매 가능, 수수료율 30%, 온라인 수강권 사용 가능, 할인율 10% 일 때, 판매자서버(30)는 판매 가격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9000을 구매자로터 대금 결제를 받고, 판매자에게는 수수료율에 따라 \2700을 송금하고, 재판매자에게는 수수료율에 따라 \6300을 송금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재판매에 의하여 판매 및 구매가 완료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는 통신 거래가 가능한 모든 디지털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이 판매자서버(30)에 판매자로 가입한 후 판매자단말(20)로 로그인을 한다(S110). 여기서 판매자서버(30)는 회원의 사용자 정보 등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 판매자단말(20)은 자신의 컨텐츠를 재판매서버(30)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S111). 이때, 판매자단말(20)은 디지털콘텐츠 상품을 등록할 때 전국 판매 또는 원내생 판매만 할 것인지를 설정한 후 재판매 허용 및 온라인 수강권 적용 여부를 설정하여 입력한다.
이때, 상품의 재판매 시의 할인율 및 리셀러에게 줄 수수료율도 함께 설정하며, 온라인 수강권을 적용할 경우에는 기존 상품가와는 무관하게 차시당 판매 가격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시당 가격은 1000원 이상으로 설정 가능하며, 1000원 단위로 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재판매서버(30)는 판매자단말(10)의 입력정보를 통해 표준계약을 체결하고 그 표준계약정보를 DB(4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재판매서버(30)는 재판매허용 여부에 따라 판매상품에 대한 표준계약정보를 분류하여 DB(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재판매서버(30)는 DB(40)에 저장된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재판매 여부를 판단해서, 재판매 허용 상태일 때는 재판매용으로 재판매존에 판매상품을 등록하게 된다(S113). 물론,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판매상품을 재판매존에 디스플레이된다(S114).
이후, 회원이 재판매서버(30)에 재판매자단말(10)을 통해 로그인하고 디스플레이된 재판매용 판매상품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S115). 이때, 전자상거래용 사이트에 디스플레이된 판매상품은 검색도 가능하며 재판매자는 선택한 상품 하나를 단품으로 재판매 상품 등록을 완료하거나 자신의 상품들 또는 다른 판매자(셀 러)들의 상품들과 묶어서 패키지 상품으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S116).
한편, 단계 S112에서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이 재판매 불가 상태일 때일때는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판매존에 게시하고 일반판매용 판매상품으로 DB(40)에 등록하게 된다(S120). 물론, 재판매서버(30)는 일반판매용 판매상품을 일반판매존에 일반인이 구매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S121).
또한, 단계 S116에서 재판매상품으로 등록 완료된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범위가 전국판매 상태일 때 재판매서버(30)는 일반판매존에 함께 게시하게 된다(S121).
이후, 재판매서버(30)는 판매상품의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범위가 원생판매 상태일 때, 재판매상품을 학원존에 노출시켜 재판매자가 운영하는 학원 또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만 디스플레이하여 원생에게만 판매하게 된다(S11). 즉, 판매자가 전국 판매를 허용한 재판매상품들은 인덱스의 일반 상품 페이지 및 재판매자의 홈 페이지인 학원존에 디스플레이되고 판매자가 원내생 판매만 허용한 재판매상품은 재판매자의 홈페이지인 학원존에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후, 구매자단말(50)이 판매상품을 선택하고(S122), 상품판매 페이지에서 결제 수단을 이용해 재판매 상품의 구매기 완료되면(S124), 재판매서버(30)는 정상적인 구매 완료로 인식 하고 정산서버에 판매결과를 알린다(S124), 정산서버(60)는 판매대금 중에서 판매자 및 재판매자가 지불해야 하는 판매 수수료 및 결제 수수료, 기타 비용(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사용료, 네트워크 사용료 등)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재판매자와 판매자에게 수수료율에 따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판매대금 을 송금한다(S125).
또한, 단계 S123 내지 단계S15 에서 구매자가 온라인 수강권을 발행하는 학원의 원내생일 경우, 별도의 상품 구매 절차 없이 해당 학원존에서 온라인 수강권을 사용하여 재판매 등록된 컨텐츠 상품을 수강 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는 온라인 수강권에 입력된 차시 정보 만큼의 차시만을 수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재판매자에게는 온라인 수강권 매출액 중 리셀러 수수요율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을 정산 서버(60)에서 자동으로 송금해주고, 나머지 금앤은 원내생이 온라인 수강권을 사용하여 실제로 수강한 차시 비율을 판매자별로 정산 서버(60)에서 자동으로 체크하여 그 비율에 따라 나눈 금액을 판매자별로 자동으로 송금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일련의 재판매 과정을 통해 판매자와 재판매자가 직접 대면하고 수수료를 흥정하지 않고도 인터넷 시스템 상에서 표준 계약에 따라 쉽게 컨텐츠를 재판매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판매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수수료율에 따라 수익이 판매자와 재판매자에게 자동 정산되므로 수익 분배에 따른 분쟁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재판매 상품을 부가서비스나 우수한 여러 판매자의 상품들을 묶어 패키지 형태로 재구성하여 판매함으로써, 또 판매자는 다른 우수 상품들과 자신의 상품이 패키지되어 그 가치가 더욱 부각됨으로서 판매를 촉진시켜 부가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 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의 컨텐츠 재판매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계약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이다.
도 3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의 컨텐츠 재판매 방법을 도시한 처리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의 컨텐츠 재판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재판매자단말 20 : 판매자단말
30 : 재판매서버 40 : DB
50 : 구매자단말 60 : 정산서버
400 : 표준계약정보

Claims (12)

  1.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 금액, 재판매 여부, 재판매에 대한 수수료율을 입력받아서 표준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상품을 분류하여 게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게시된 판매상품 중에서 재판매가 가능한 판매상품을 재판매 하고자하는 재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 서버에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표준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재판매상품을 분류하여 재게시하는 제2 단계;및
    상기 재게시된 재판매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재판매상품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판매 대금 결제를 받아서 대응하는 재판매상품을 구매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허용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불가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상품을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 판매존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수강권 적용 여부 및 그 할인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구매자가 지불한 판매 대금 중 소정의 운영수수료를 제한 판매 금액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및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상품을 전국판매가 가능한 전국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원생 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상품을 원생에게만 판매하는 학원존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7.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를 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 금액, 재판매 여부, 재판매에 대한 수수료율을 입력받아서 표준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표준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매상품을 분류하여 게시하고,
    상기 게시된 판매상품 중에서 재판매가 가능한 판매상품을 재판매 하고자하는 재판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재판매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재판매상품을 분류하여 재게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재판매 서버와;
    상기 재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판매상품의 판매 금액에 상응하는 판매 대금 결제를 받고, 상기 판매 대금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정산서버; 및
    상기 표준계약정보, 판매 상품 및 재판매 상품을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판매 서버는,
    상기 표준 계약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허용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컨텐츠를 재판매가 가능한 재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 계약 중에서 재판매 여부가 재판매 불가 상태일 때는 상기 판매컨텐츠를 재판매가 불가능한 일반 판매존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9.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수강권 적용 여부 및 그 할인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산서버는,
    상기 구매자가 지불한 판매 대금 중 소정의 운영수수료를 제한 판매 금액을 상기 수수료율에 따라 배분하여 판매자 및 재판매자에게 송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12.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표준계약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또는 원생 판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재판매 서버는,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전국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컨텐츠를 전국판매가 가능한 전국판매존에 게시하고, 상기 표준계약정보 중에서 판매 상품에 대한 원생 판매 상태일 때는 상기 재판매컨텐츠를 원생에게만 판매하는 학원존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시스템.
KR1020070125991A 2007-12-06 2007-12-06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90059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91A KR20090059242A (ko) 2007-12-06 2007-12-06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91A KR20090059242A (ko) 2007-12-06 2007-12-06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42A true KR20090059242A (ko) 2009-06-11

Family

ID=4098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991A KR20090059242A (ko) 2007-12-06 2007-12-06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2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02A1 (ko) * 2011-06-16 2012-12-20 주식회사 케이티 저작 서비스 시스템 및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WO2013129830A1 (ko) * 2012-02-27 2013-09-06 Shim Min Jung 미술품 및 그 파생품의 온라인 오픈 마켓 시스템
KR20210026885A (ko) * 2019-09-02 2021-03-10 (주)인스타페이 연쇄 거래 대상 책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이용한 책 거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302A1 (ko) * 2011-06-16 2012-12-20 주식회사 케이티 저작 서비스 시스템 및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US9996887B2 (en) 2011-06-16 2018-06-12 Kt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uthoring service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authoring service
WO2013129830A1 (ko) * 2012-02-27 2013-09-06 Shim Min Jung 미술품 및 그 파생품의 온라인 오픈 마켓 시스템
KR20210026885A (ko) * 2019-09-02 2021-03-10 (주)인스타페이 연쇄 거래 대상 책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이용한 책 거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790B2 (en) Methods for an alternative payment platform
US769817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bids for placement of offers in an alternative payment platform
US10296920B2 (en) Online E-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generating user requested sponsor advertisements to centralize siloed and distributed user data in the internet and business systems
US20060036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community-orien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US20090292599A1 (en) Transactional advertising
US2008007750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n alternative payment platform
KR102175778B1 (ko) 오픈 마켓의 상생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US20100057557A1 (en) Method of managing a shopping mall site
KR20190112896A (ko) 오프라인 광고 매체 커머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WO2008014226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lternative payment platform
KR20090059242A (ko)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에서 컨텐츠를 재판매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US20200334711A1 (e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an Instant Payment and Settlement Digital Currency Application for Realizing Internet of Values
WO2007094534A1 (en) Electronic commerc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star and seller
Bappy E-commerce busines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Bangladesh
US20080208700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ale, transfer and/or assign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KR2001002549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037620A (en) Billing settlement system and its method
KR100784811B1 (ko) 환금성을 가지는 통합 마일리지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마켓플레이스 서비스 시스템
JP2002133282A (ja) インターネットのホームページにおけるバナー広告の広告方法
Kineta et al. Developing the Connection of Batik Lasem's E-Commerce Platform and Metaverse
JP2023024901A (ja) Sns投稿コンテンツの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Mohd Fadzli Application of E-Auction in University's Text Book Purchasement
Consumer E-Business and E-Commerce
JP2003256682A (ja) 一般募集型販売宣伝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