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145A -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 - Google Patents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145A
KR20090059145A KR1020097006923A KR20097006923A KR20090059145A KR 20090059145 A KR20090059145 A KR 20090059145A KR 1020097006923 A KR1020097006923 A KR 1020097006923A KR 20097006923 A KR20097006923 A KR 20097006923A KR 20090059145 A KR20090059145 A KR 2009005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oxygenate
hydrocarbon
oxygenates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878B1 (ko
Inventor
존 제이 세네타
안드레아 지 보자노
스털링 티 밀러
로렌스 더블유 밀러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엘엘씨 filed Critical 유오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5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2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starting from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xygen atoms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larg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larger number of carbon atoms by cracking a single hydrocarbon or a mixture of individually defined hydrocarbons or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fraction
    • C07C4/06Catalyt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7/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acids, acid-forming compounds or acid-containing liquids, e.g. acid sludge
    • C10G17/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acids, acid-forming compounds or acid-containing liquids, e.g. acid sludge with acids or acid-containing liquids, e.g. acid sludge
    • C10G17/04Liquid-liquid treatment forming two immiscible phases
    • C10G17/06Liquid-liquid treatment forming two immiscible phases using acids derived from sulfur or acid sludg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40Ethylene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화물 전환 및 올레핀 생성물 분해를 통합하는 것에 의하여 올레핀 분해 공급물에서 물 및/또는 산소화물의 함량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여 경질 올레핀 생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ENHANCED OXYGENATE CONVERSION AND PRODUCT CRACKING INTEGR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산소화물을 올레핀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경질 올레핀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석유화학 공업의 대부분은 경질 올레핀 물질의 제조 및 추후 중합, 소중합, 알킬화 등 널리 공지된 화학 반응에 의한 다수의 중요 화학 제품의 제조에서 이것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경질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경질 올레핀은 현대 석유화학 및 화학 공업에서 필수적인 성분이다. 오늘날 정련 분야에서 이들 물질의 주요 공급원은 석유 공급물의 증기 분해이다. 지리적, 경제적, 정치적 및 공급 감소를 비롯한 여러 이유를 고려하여, 이러한 경질 올레핀 물질의 수요 충족에 필요한 다량의 원료를 위하여 석유 이외의 공급원이 모색되어 왔다.
경질 올레핀의 제조를 위한 대체 물질 연구로 알콜과 같은 산소화물, 더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및 고급 알콜 또는 예컨대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등과 같은 이들의 유도체가 사용되게 되었다. 미세다공성 결정질 제올라이트 및 비제올라이트계 촉매, 특히 실리코알루미노포스페이트(SAPO)와 같은 분자체가 산소화물의 탄화수소 혼합물, 특히 주로 경질 올레핀으로 구성된 탄화수소 혼합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산소화물을 처리하여 경질 올레핀을 생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메탄올이 단독으로도 또는 디메틸 에테르(DME)와 같은 다른 산소화물 물질과 함께로도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소화물 물질이므로 보통 메탄올-투-올레핀(MTO) 공정으로 불린다. 이러한 공정은 일반적으로 올레핀 반응 생성물 및 미반응 산소화물과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을 생성 또는 형성한다. 일반적인 또는 통상적인 MTO 공정 도식은 순환수를 사용하여 경질 올레핀 생성물로부터 산소화물, 예컨대 메탄올 및 DME를 흡수하는 산소화물 흡수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산소화물 함유 순환수를 추후 산소화물 스트립퍼에서 스트립핑하여 메탄올 및 DME를 회수하고, 이렇게 회수된 물질은 최종적으로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로 재순환된다. 산소화물 흡수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은, 탈수된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이 부식성 용액과 접촉하여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적절한 경질 올레핀 회수 시스템을 통하여 추후 처리될 부식성의 처리된 반응기 생성물 스트림이 생성되는 CO2 제거 구역을 통과한다.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은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 유출물 중에 통상적인 미량의 산소화물이며 일반적으로 순환수에 흡수된다. MTO 유출물 중 알데히드는 예컨대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티르알데히드 및 크로톤알데히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반응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MTO 반응기 공급물 중에 존재하거나 반응기의 공정 하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산소화물의 올레핀으로의 전환 공정에서 생성되는 경질 올레핀의 양은 중질 탄화수소 생성물, 특히 C4 및 C5 올레핀과 같은 중질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으로 반응, 즉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원에 그 전체 기재가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어 있는 Marker에 일반 양도된 US 5,914,433호는 산소화물 공급 원료로부터 분자당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질 올레핀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산소화물 공급 원료를 금속 알루미노포스페이트 촉매를 함유하는 산소화물 전환 구역으로 통과시켜 경질 올레핀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필렌 스트림 및/또는 혼합 부틸렌은 상기 경질 올레핀 스트림으로부터 분류되고 분해되어 에틸렌 및 프로필렌 생성물의 수율을 증대시킨다. 상승기 분해 구역 또는 별도의 분해 구역에서 이러한 경질 올레핀 생성물 및 프로필렌과 부틸렌 분해를 통합하면 알루미노포스페이트 촉매의 평형 한계를 극복하는 융통성을 공정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화물 전환 구역에서 촉매 수명 연장 및 촉매 안정성 증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올레핀 분해에 사용되는 실리칼라이트 촉매 물질과 같은 분자체는 바람직하게도 산소화물을 올레핀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또한 일반적으로 코크스 및 물을 생성 또는 형성한다. 코크스 형성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촉매를 비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일반적으로 코크스 연소 또는 제거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실리칼라이트 촉매 물질의 열수 탈알루미늄화의 메카니즘을 통하여 영구 촉매 비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분량의 이러한 C4+ 올레핀을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더 바람직한 프로필렌 및 에틸렌으로 전환시킴으로써 C4+ 올레핀을 유리하게 최소화하는 올레핀 분해 공정의 통합이 경제적으로 매우 주목되지만 이러한 공정 통합은 특정한 공정 한계 또는 복잡성에 부딪힐 수 있다.
예컨대, 미량의 산소화물 및 물은 통상적으로 MTO 공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C4+ 올레핀 생성물 스트림 중에 존재한다. 따라서, 올레핀 분해 반응기에서 이러한 미량의 산소화물 및 물을 함유하는 C4+ 올레핀 생성물 스트림을 처리하는 것은 올레핀 분해 촉매의 더 빠른 영구 비활성화를 초래하고 추가의 코크스 형성을 통하여 활성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유해할 수 있다. 또한, 공급물 중의 산소화물은 분해하여 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올레핀 분해 공급물 중에 존재하는 물 및 산소화물 분해로부터 발생하는 물의 축적 효과가 영구 비활성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산소화물을 올레핀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개선된 공정 및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산소화물의 전환과 올레핀 생성물의 분해를 더 효과적이거나 더 효율적으로 또는 더 효과적이면서 더 효율적으로 통합함으로써 경질 올레핀의 상대량을 증가시키는 공정 및 시스템이 필요하고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공급 원료의 경질 올레핀으로의 개선된 처리를 제공하거나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특별한 목적은 상기 개시한 하나 이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공급 원료로부터 경질 올레핀을 생성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공정은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전환시켜 경질 올레핀,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에서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에서 처리하여 경질 올레핀을 회수하고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한다.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처리하여 800 ppmw 등가 수(equivalent water) 미만의 상대량으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한다. 상기 공정은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처리된 C4+ 탄화수소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올레핀 분해 반응기에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종래 기술은 일반적으로, 산소화물 전환과 올레핀 생성물 분해의 통합에 바람직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의 올레핀으로의, 특히 경질 올레핀으로의 전환을 위한 공정 도식 및 배열을 제공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 기술에서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 중에, 따라서 하류의 올레핀 생성물 분해로의 공급물 중에 산소화물 및/또는 물이 존재하는 문제를 만족스러운 정도로 효과적이거나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로부터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은 마찬가지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경질 올레핀,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에서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에서 처리하여 경질 올레핀을 회수하고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한다.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접촉기에서 아황산염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산소화물을 6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세정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한다. 처리된 C4+ 탄화수소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올레핀 분해 반응기 내에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시킨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산소화물을 경질 올레핀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산소화물 함유 공급물 스트림을 촉매와 접촉시키고 산소화물 함유 공급물 스트림을 전환시켜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은 경질 올레핀,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경질 올레핀을 회수하고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세정 스트림으로 처리하여 산소화물을 8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처리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촉매와 접촉시키고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는 반응기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경질 올레핀"은 일반적으로 C2 및 C3 올레핀, 즉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단독으로 또는 함께 일컫는 것으로 이해된다.
"산소화물"은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이다. 일반적인 산소화물은 예컨대 알콜 및 에테르를 포함한다.
"CX 탄화수소"는 하첨자 "x"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의 수를 갖는 탄화수소 분자를 일컫는 것으로 이해된다. 마찬가지로, "Cx 함유 스트림"은 Cx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스트림을 의미한다. 용어 "Cx+ 탄화수소"는 하첨자 "x"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의 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탄화수소 분자를 의미한다. 예컨대, "C4+ 탄화수소"는 C4 탄화수소, C5 탄화수소 및 더 높은 탄소 수의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등가 수(equivalent water)"는 물로서 표현되는, 물과 산소화물로서 존재하는 스트림 중의 총 산소의 합으로서 정의된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산소화물 전환 및 올레핀 분해 통합 공정을 간략화한 개략적 도해이다.
도 2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산소화물 전환 및 올레핀 분해 통합 공정을 간략화한 개략적 도해이다.
도 3은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산소화물 전환 및 올레핀 분해 통합 공정을 간략화한 개략적 도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올레핀을 생성시키는 산소화물 전환 공정을 올레핀 분해 공정과 통합하여 올레핀 분해 구역으로 가는 공급물의 수분 함량 및/또는 산소화물 함량 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질 올레핀 생성물의 상대적인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다양한 공정 배열로 구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 1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10으로 표시되며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올레핀 생성의 증대를 위하여 올레핀 생성물 분해가 통합된 산소화물의 올레핀으로의 전환을 위한 공정 도식의 간략화된 개략적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공정 도식 310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경질 산소화물로 구성되는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 또는 공급물 스트림(312)을 산소화물 전환 구역 또는 반응기 구간(314)으로 도입하며, 여기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전환시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예컨대 유동상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킨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공급 원료는 상업 등급의 메탄올, 미정제 메탄올 또는 이의 임의의 배합물일 수 있다. 미정제 메탄올은 메탄올 합성 유닛으로부의 미정련 생성물일 수 있다. 본원의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개선된 촉매 안정성과 같은 요인을 위하여 더 고순도의 메탄올 공급물을 이용하는 실시양태가 바람직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적당한 공급물은 메탄올 또는 메탄올과 물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능한 이러한 공급물의 메탄올 함량은 65∼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100 중량%이고,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95∼100 중량%이다.
메탄올-투-올레핀 유닛 공급물 스트림은 0∼3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물 스트림 중 메탄올은 공급물 스트림의 70∼1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75∼95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급물 스트림 중 에탄올은 공급물 스트림의 0.01∼0.5 중량%, 더 일반적으로는 0.1∼0.2 중량%를 구성할 수 있으나 농도가 더 높은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메탄올이 공급물 스트림 중의 주요 성분일 경우, 공급물 스트림 중의 고급 알콜은 200∼2000 wppm, 더 일반적으로는 500∼1500 wppm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탄올이 공급물 스트림의 주요 성분일 경우, 공급물 스트림 중의 디메틸 에테르는 100∼20,000 wppm, 더 일반적으로는 200∼10,000 wppm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가 주로 디메틸 에테르인 실시양태를 고려하고 포함하며, 특정 실시양태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는 실질적으로 디메틸 에테르 단독이거나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비실질적인 양 이하의 다른 산소화물 물질이다.
산소화물의 경질 올레핀으로의 전환을 위한 반응 조건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반응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200∼700℃, 더 바람직하게는 300∼60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550℃의 온도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반응 조건은 일반적으로 소정 생성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생성되는 경질 올레핀은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비가 0.5∼2.0, 바람직하게는 0.75∼1.25일 수 있다.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할 경우,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프로필렌에 대한 에틸렌의 비가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경우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120∼210℃의 공급물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180∼210℃의 공급물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열분해를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온도를 21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 구간(314)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와 같은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부산물인 물, 및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잔존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또는 유출물 스트림(316)을 생산 또는 생성한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316)은 적어도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322),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323), 중질 산소화물 및 기타 중질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고부하의 물 스트림(394), 비교적 청정한 물 스트림(396) 및 순환수의 스트림(324)을 생성하는 유출물 처리 구역(320)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을 통과한다. 실제로, 이러한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322)은 하나 이상의 압축기 단계의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순환수 스트림(324)은 하나 이상의 단계간 축합에서 유래하는 물 및 예컨대 세정수 칼럼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성물 회수 유닛 또는 구역에서 유래하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C4+ 탄화수소, 물 및 잔여 산소화물은 일반적으로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322) 및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323) 양쪽에 존재한다.
압축된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322)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를 예컨대 하나 이상의 흡수 장치 칼럼 형태인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326)으로 도입한다.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326)에서, 내재할 수 있는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의 적어도 일부는 순환수[여기서는 유동 스트림(328)으로 표시됨]에 흡수될 수 있으므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로부터 분리된다.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326)은 예컨대 이러한 수중 산소화물 물질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풍부 물 스트림(336) 및 예컨대 이러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을 포함하는 스트림(340)을 형성 또는 생성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개시하는 바와 같이,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스트림(340)은 추가로 약간의 잔여량의 산소화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스트림(340)은 필요에 따라 더 처리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식성 스크러버 구역(344)에 도입되어 적절히 처리되거나, 라인(346)을 통하여 도입되는 부식성 용액으로 종래와 같이 세정되어 산 기체를 중화시키고 건조되어 퍼지 스트림(347) 및 처리된 스트림(348)을 형성한다.
이후 처리된 스트림(348)을 소정 기체 농축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350)으로 적절히 도입할 수 있다. 산소화물 전환 공정으로부터 생성되는 유출물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더 광범위한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기체 농축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350)에서, 잔존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을 처리하여 예컨대 소정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350)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기체 스트림(352), 에틸렌 스트림(354), 프로필렌 스트림(356) 및 예컨대 일반적으로 부틸렌 및 더 중질의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358)을 형성할 수 있고, 일부 미량 또는 소량의 산소화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323)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재순환수(364)의 세정액과의 역류 접촉에 의하여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323)을 적절히 처리하여 적절히 세정된 스트림(366) 및 재순환수 스트림(368)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세정 칼럼을 포함하는 세정 구역(362)에 통과시켜 더 처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는,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358) 및 세정된 스트림(366)을 통합하여 스트림(374)을 형성하고, 이것을 참조 번호 376으로 표시된 처리 구역으로 도입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그리고 이하에서 더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처리 구역(376)에서는, 통합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74)을 처리하여 상대량이 적절히 감소되거나 최소화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80)을 형성한다.
처리 구역(376)에서, 공정 도식(310)은 바람직하게는 아황산염 함유 저장기(384)로부터 라인(38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구역(376)으로 도입되는 아황산염 함유 물질의 세정액으로 통합 공급물 스트림(374)을 처리하여 상대량이 적절히 감소 또는 최소화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80)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아황산염 함유 물질"이란 아황산염 화합물, 중아황산염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중아황산나트륨은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실시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아황산염 함유 물질"의 예이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이러한 아황산염 함유 물질을 사용하여 이러한 C4+ 함유 공급물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아황산염 세정 칼럼과 같은 요소 내에서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아황산염 화합물의 용액으로 상기 통합 스트림(374)을 세정하거나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적당한 이러한 양이온 물질의 예에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이 포함된다.
요망 또는 필요에 따라, 이후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80)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건조기 구간(370)에 도입하여, 여기서 이러한 스트림 물질을 예컨대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적절히 건조시켜 이의 물 또는 수분 함량을 제거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예컨대 건조된 처리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7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건조된 처리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372)의 적어도 일부를 올레핀 분해 반응기 구간(386)에 적절히 도입하여, 여기서 공정 스트림(372)의 적어도 일부를,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388)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올레핀 분해 반응기로의 공급물은 산소화물을 8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이러한 올레핀 분해 반응기로의 공급물이 산소화물을 6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의 더욱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이러한 올레핀 분해 반응기로의 공급물이 산소화물을 2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388) 또는 이의 선택된 부분을 이후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또는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388) 또는 이의 선택된 부분을 이후 하나 이상의 냉각기 구간을 통하여 적절히 처리하여 스트림 내용물을 적절히 냉각시킬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생성물 분리 구간을 통하여 함유된 생성물 물질을 적절히 분리할 수 있으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생성물 회수 구간을 통하여 선택된 생성물을 적절히 회수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후속 공정은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388) 또는 이의 선택된 부분을 탄화수소 회수 구간(318) 또는 적어도 이의 선택된 부분, 예컨대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350)을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산소화물 함량 감소 또는 최소화를 위한 이러한 아황산염 처리의 대안으로서, 세정 구역(362)의 수세정 칼럼의 설계 또는 조작의 개량을 고려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수세정 칼럼에서 물의 유속과 단수를 적절히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처리 스트림 중의 잔존 산소화물 함량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세정된 스트림을 건조기 구간(370)에 도입하여, 여기서 예컨대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세정된 스트림을 적절히 건조시켜 이의 물 또는 수분 함량을 제거 또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건조된 스트림(372)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된 물질을 탈프로판기 칼럼 또는 다른 적당한 건조 칼럼으로 이송시켜 의도하는 물 제거를 실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공급물 건조기 및 산소화물 회수 유닛(ORU)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수세정 칼럼을 변형하지 않고도 산소화물 전환 및 후속되는 생성물 처리에 의하여 세정 구역으로부터 생성되는 공정 스트림 중에, 예컨대 수세정 칼럼 탑상 스트림 중에 존재하는 다량의 산소화물이 일반적으로 생성됨을 일반적으로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도 2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410으로 표시되며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경질 올레핀 생성의 증대를 위하여 올레핀 생성물 분해를 통합한 산소화물의 올레핀으로의 전환을 위한 공정 도식의 간략화된 개략적 공정 흐름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세정 구역으로부터 생성되는 공정 스트림은 산소화물 함량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황산염 함유 물질로 단독 처리한다.
공정 도식(410)은 일반적으로 상기 개시한 공정 도식(310)과 유사하다. 예컨대, 공정 도식(410)에서는,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 또는 공급물 스트림(412)을 산소화물 전환 구역 또는 반응기 구간(414)에 도입하여, 여기서 예컨대 유동상 반응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전환시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킨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 구간(414)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와 같은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부산물인 물, 및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잔존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또는 유출물 스트림(416)을 생산 또는 생성한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416)은 적어도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422),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423), 중질 산소화물 및 기타 중질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고부하의 물 스트림(494), 비교적 청정한 물 스트림(496) 및 순환수의 스트림(424)을 생성하는 유출물 처리 구역(420)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을 통과한다.
상기 확인한 바와 같이, C4+ 탄화수소, 물 및 잔여 산소화물은 일반적으로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422) 및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423) 모두에 존재한다.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422)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흡수 장치 칼럼의 형태인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426)에 도입된다.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426)에서는, 여기에 존재할 수 있는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잔존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수[여기서는 유동 스트림(428)로 표시됨]에 흡수되므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426)은 예컨대 수중에 이러한 산소화물 물질을 포함하는 산소화물이 풍부한 물 스트림(436) 및 예컨대 이러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을 포함하는 스트림(440)을 형성 또는 생성한다.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스트림(440)은 필요에 따라 및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더 처리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식성 스크러버 구역(444)에 도입되어 적절히 처리되거나, 예컨대 라인(446)을 통하여 제공되는 부식성 용액으로 종래와 같이 세정되어 산 기체를 중화시키고 적절히 건조되어 퍼지 스트림(447) 및 처리된 스트림(448)을 형성한다.
이후 처리된 스트림(448)은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소정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450)으로 적절히 도입되어 예컨대 소정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450)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기체 스트림(452), 에틸렌 스트림(454), 프로필렌 스트림(456) 및 일반적으로 부틸렌 및 중질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458)을 형성할 수 있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423)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423)이 예컨대 순환수의 세정액(464)과의 역류 접촉을 통하여 적절히 처리되어 적절히 세정된 스트림(466) 및 재순환수 스트림(468)을 형성할 수 있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세정 칼럼을 포함하는 세정 구역(462)에 통과되어 더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확인한 바와 같이, 이러한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458) 및 이러한 세정 스트림(466) 사이에서, 다량의 산소화물은 일반적으로 세정된 스트림(466) 중에 존재하며, 이 실시양태는 이러한 탄화수소 함유 스트림을 아황산염 함유 저장기(484)로부터 라인(48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구역(476)으로 도입되는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아황산염 함유 물질을 사용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구역(476)으로 도입하여 상대량이 적절히 감소되거나 최소화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477)을 형성한다.
이어서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477)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458)과 적절히 통합하여 예컨대 산소화물 함량이 적절히 감소된 통합 스트림(478)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통합 스트림(478) 또는 이의 일부를 이러한 스트림 물질이 적절히 건조될 수 있는 건조기 구간(470)에 도입하여 예컨대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이의 물 또는 수분 함량을 제거 또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예컨대 건조된 스트림(47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건조된 공정 스트림(472)의 적어도 일부를 올레핀 분해 반응기 구간(486)에 도입하여 여기서 상기 공정 스트림(472)의 적어도 일부를,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488)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시키고 원하는 대로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올레핀 분해 반응기로의 공급물은 산소화물을 바람직하게는 8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6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2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기 구간(470)이 통합 스트림(478) 또는 이의 일부에 작용하는 실시양태를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도 2의 실시양태를 개시하였으나,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요망되거나 바람직한 경우 예컨대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477)을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458)과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통합 전에 건조시키도록 이러한 건조기 구간을 다르게 적절히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510으로 표시되며,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경질 올레핀 생성의 증대를 위해 올레핀 생성물 분해가 통합된 산소화물의 올레핀으로의 전환을 위한 공정 도식의 간략화된 개략적 공정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정 도식(510)은,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 또는 공급물 스트림(512)을 산소화물 전환 구역 또는 반응기 구간(514)에 도입하여 여기서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전환시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킨다는 점에서 상기 개시한 공정 도식(310)과 유사하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 구간(514)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연료 기체 탄화수소, 경질 올레핀 및 C4+ 탄화수소와 같은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부산물인 물, 및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잔존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또는 유출물 스트림(516)을 생산 또는 생성한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516)은 적어도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522),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523), 중질 산소화물 및 다른 중질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고부하의 물 스트림(594), 비교적 청정한 물 스트림(596) 및 순환수의 스트림(524)을 생성하는 유출물 처리 구역(520)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을 통과한다.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522)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흡수 장치 칼럼의 형태인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526)으로 도입된다.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526)에서는, 여기에 존재할 수 있는 메탄올, 디메틸 에테르(DME)과 같은 잔존 산소화물 및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카르보닐을 포함하는 다른 미량의 산소화물과 같은 산소화물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수[여기서는 유동 스트림(528)로 표시됨]에 흡수될 수 있으므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로부터 분리된다.
산소화물 흡수 장치 구역(526)은 예컨대 수중에 이러한 산소화물 물질을 포함하는 산소화물이 풍부한 물 스트림(536) 및 예컨대 이러한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을 포함하는 스트림(540)을 형성 또는 생성한다.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스트림(540)은 일부 잔여량의 산소화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탄화수소 생성물 물질 스트림(540)은 필요에 따라 및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더 처리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식성 스크러버 구역(544)에 도입되어 적절히 처리되거나, 예컨대 라인(546)을 통하여 도입되는 부식성 용액으로 종래와 같이 세정되어 산 기체를 중화시키고 건조되어 퍼지 스트림(547) 및 처리된 스트림(548)을 형성한다.
이후 처리된 스트림(548)은 소정 기체 농축물 및 생성물 회수 시스템(550)으로 적절히 도입되어 예컨대 소정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 예컨대, 연료 기체 스트림(552), 에틸렌 스트림(554), 프로필렌 스트림(556) 및 일반적으로 부틸렌 및 중질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558)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부 미량 또는 소량의 산소화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523) 또는 적어도 이의 일부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523)이 예컨대 순환수의 세정액(564)과의 역류 접촉을 통하여 적절히 처리되어 적절히 세정된 스트림(566) 및 재순환수 스트림(568)을 형성할 수 있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세정 칼럼을 포함하는 세정 구역(562)에 통과되어 더 처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혼합 C4+ 탄화수소 스트림(558) 및 세정된 스트림(566)은 통합되어 예컨대 탈부탄기 칼럼의 형태인 적절한 분류 구역(577)으로 도입되는 스트림(574)을 형성한다. 상기 분류 구역(577)은 예컨대 이러한 분류 구역 탈부탄기 칼럼으로부터의 탑저 스트림의 형태이며 고농도의 중질 산소화물을 갖는 제1 스트림(579) 및 예컨대 이러한 분류 구역 탈부탄기 칼럼으로부터의 탑상 스트림의 형태이며 고농도의 경질 산소화물(예컨대, 메탄올 및 DME)을 갖는 제2 스트림(581)을 형성 또는 생성한다.
스트림(579) 중에 농축된 중질 산소화물은 아황산염 처리 구역(576)을 통하여 처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상기 아황산염 처리 구역에서 물질은 아황산염 함유 저장기(584)로부터 라인(582)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 구역(576)으로 도입되는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아황산염 함유 물질로 처리되어 예컨대 처리된 스트림(583)을 생성한다.
요망 또는 요구되는 경우, 상기 처리된 스트림(583)은 이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처리된 스트림이 적절히 건조될 수 있는 건조기 구간(570)에 도입되어 예컨대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이의 물 또는 수분 함량을 제거 또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예컨대 건조된 처리된 스트림(572)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림(581) 중에 농축된 경질 산소화물은 업계에 공지되고 여기서는 참조 번호 585로 표시된 바와 같은 산소화물 회수 유닛(ORU)을 통과하고 적절히 건조되어 처리된 스트림(58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처리된 스트림(583) 및 건조된 처리된 스트림(572)은 적절히 낮은 산소화물 함량을 갖는 스트림(589)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또는 분리되어 올레핀 분해 반응기 구간(586)으로 도입되며, 여기서 상기 공정 스트림(589)의 적어도 일부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588)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중질 산소화물을 C5+ 물질로 농축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필요한 아황산염 세정 유닛의 크기 및 이를 통한 물질 유속을 감소 또는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교시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라면,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산소화물 전환 공정으로부터 생성되거나 얻어지는 올레핀 분해 공급물을 적절히 전처리함으로써 올레핀 분해 촉매 활성의 과도한 손실 및 치환 빈도를 바람직하게 적절히 회피 또는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예시적으로 설명된 발명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임의의 소자, 파트, 단계, 부품 또는 성분 없이 적절히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이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개시되었으며 다수의 상세 사항은 예시의 목적으로 기재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추가의 실시양태가 가능하며 본원에 개시된 어떤 상세 사항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상당히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경질 올레핀,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를 산소화물 전환 반응기에서 산소화물 전환 촉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350, 450, 550)에서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여 경질 올레핀을 회수하고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처리하여 800 ppmw 등가 수(equivalent water)미만의 상대량으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처리된 C4+ 탄화수소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기에 효과적인 반응 조건에서 올레핀 분해 반응기(386, 486, 586)에서 올레핀 분해 촉매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소화물 함유 공급 원료로부터 경질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처리는 6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처리는 200 ppmw 등가 수 이하의 상대량으로 산소화물을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처리는 접촉기(362, 462, 562)에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물을 포함하는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처리는 접촉기(376, 476, 576)에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아황산염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액으로 세정하여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황산염 함유 물질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아황산염 화합물의 용액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화물 전환 생성물 스트림을 처리하여 적어도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 및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아황산염 함유 물질로 세정하여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화물 전환 유출액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 및 압축 산소화물 전환 유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아황산염 함유 물질로 세정하여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처리하는 것은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분류(分溜)하여 C4- 스트림 및 C5+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C5+ 스트림은 아황산염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액으로 세정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산소화물 함유 공급물 스트림을 촉매와 접촉시키고 산소화물 함유 공급물 스트림을 전환시켜 경질 올레핀,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물 전환 유출물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기(314, 414, 514);
    경질 올레핀을 회수하고 C4+ 탄화수소 및 산소화물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는 탄화수소 회수 시스템(350, 450, 550);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세정 스트림으로 처리하여 산소화물을 800 ppmw 등가 수 미만의 상대량으로 함유하는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 시스템(376, 476, 576); 및
    처리된 C4+ 탄화수소 유분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촉매와 접촉시키고 여기에 함유된 C4 및 C5 올레핀을 경질 올레핀을 포함하는 분해 올레핀 유출물 스트림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반응기(386, 486, 586)
    를 포함하는 산소화물을 경질 올레핀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시스템(310, 410, 510).
KR1020097006923A 2006-09-28 2007-01-26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 KR101255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111606A 2006-09-28 2006-09-28
US11/541,116 2006-09-28
PCT/US2007/060920 WO2008039552A1 (en) 2006-09-28 2007-01-26 Enhanced oxygenate conversion and product cracking integ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145A true KR20090059145A (ko) 2009-06-10
KR101255878B1 KR101255878B1 (ko) 2013-04-17

Family

ID=3923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923A KR101255878B1 (ko) 2006-09-28 2007-01-26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066602A4 (ko)
KR (1) KR101255878B1 (ko)
CN (1) CN101522593A (ko)
AU (1) AU2007300392B2 (ko)
BR (1) BRPI0717043A2 (ko)
CA (1) CA2664541C (ko)
EA (1) EA015645B1 (ko)
EG (1) EG25230A (ko)
MY (1) MY148373A (ko)
WO (1) WO2008039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2002B2 (en) 2009-03-24 2011-09-20 Uop Llc Integrated regeneration of non-noble metal catalysts
CN102666807B (zh) 2009-11-10 2016-01-20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用于生产烯烃的方法
CN102666513B (zh) 2009-11-10 2014-11-26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生产环氧乙烷的方法
CA2778362A1 (en) * 2009-11-10 2011-05-1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and integrate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a lower olefin product
EP2499219A2 (en) 2009-11-10 2012-09-1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producing olefins
US8829259B2 (en) * 2010-08-10 2014-09-09 Uop Llc Integration of a methanol-to-olefin reaction system with a hydrocarbon pyrolysis system
DE102011014892A1 (de) 2011-03-23 2012-09-27 Lurgi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niedermolekularen Olefinen
SG11201403395XA (en) * 2011-12-28 2014-10-30 Shell Int Research Oxygenate-to-olefins process and an apparatus therefor
US9878963B2 (en) 2012-12-28 2018-01-3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olefinic product from an oxygenate
WO2015089593A1 (pt) * 2013-12-17 2015-06-25 Braskem S.A. Processo de produção de hidrocarbonetos insaturados lev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433A (en) * 1997-07-22 1999-06-22 Uop Lll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grade olefins
US6037516A (en) * 1997-11-20 2000-03-14 Huntsman Ici Chemicals Llc Method for removal of oxygenate impurities from organic chemical streams
US6049017A (en) * 1998-04-13 2000-04-11 Uop Llc Enhanced light olefin production
US6303839B1 (en) * 2000-06-14 2001-10-16 Uop Llc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grade olefins
US7030284B2 (en) 2002-08-20 2006-04-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and reactor system for converting oxygenate contaminants in an MTO reactor system product effluent to hydrocarbons
US7317133B2 (en) * 2002-11-21 2008-01-08 Uop Llc Process for enhanced olefin production
US20050038304A1 (en) * 2003-08-15 2005-02-17 Van Egmond Cor F. Integrating a methanol to olefin reaction system with a steam c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970316A1 (ru) 2009-10-30
EP2066602A4 (en) 2012-11-21
EP2066602A1 (en) 2009-06-10
CA2664541C (en) 2013-04-09
AU2007300392B2 (en) 2011-09-08
EA015645B1 (ru) 2011-10-31
CN101522593A (zh) 2009-09-02
WO2008039552A1 (en) 2008-04-03
MY148373A (en) 2013-04-15
KR101255878B1 (ko) 2013-04-17
BRPI0717043A2 (pt) 2013-01-01
AU2007300392A1 (en) 2008-04-03
CA2664541A1 (en) 2008-04-03
EG25230A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878B1 (ko) 강화된 산소화물 전환 및 생성물 분해 통합 방법
RU2373257C2 (ru) Влажная промывка и рециркуляция частиц катализатора, загрязняющих поток, выходящий из процесса превращения кислородсодержащих соединений в олефины
US8603399B2 (en) Integrated oxygenate conversion and product cracking
RU239875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гких олефин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51731B1 (ko) MTO (Methanol To Olefins) 공정용 흡수제 탈메탄화기
RU2420503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переработка метанола в олефины
KR20030084618A (ko) 올레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US7935650B2 (en) Neutralization of quench stream in a process for handling catalyst from an oxygenate-to-olefin reaction
US8003841B2 (en) Integration of OTO process with direct DME synthesis
US8163967B2 (en) Oxygenate conversion to olefins with enhanced carbonyl recovery
KR20190062546A (ko) 프로필렌과 c4탄화수소류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7626067B2 (en) Process for recovering and reusing water in an oxygenate-to-olefin process
KR20090052361A (ko) Fcc로 제조되는 경질 올레핀의 흡수 회수 처리
JP2019535662A (ja) プロピレン、c4の炭化水素類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9878962B2 (en) Process and plant for producing olefins from oxygenates
CN101121621B (zh) 在经含氧物转化的烯烃制备中的甲醇-水混合物
US20100087693A1 (en) Integrated Oxygenate Conversion and Product Cracking
WO2007079324A2 (en) Methanol-water mixtures in olefin production via oxygenate conversion
CN112707776A (zh) 一种利用甲醇生产烯烃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