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764A -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764A
KR20090058764A KR1020070125510A KR20070125510A KR20090058764A KR 20090058764 A KR20090058764 A KR 20090058764A KR 1020070125510 A KR1020070125510 A KR 1020070125510A KR 20070125510 A KR20070125510 A KR 20070125510A KR 20090058764 A KR20090058764 A KR 2009005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ain
plate
bottom plate
vari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도
Priority to KR102007012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764A/ko
Publication of KR2009005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2Implements for collecting grain cr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에 의해 수확된 곡물(벼, 보리, 콩, 옥수수 등)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재된 곡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양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판을 필요에 따라 수평상태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31)의 바닥 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출안내통로(32)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안내통로에는 이송스크류(35)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본체(31)에 담겨진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곡물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양측에 축(3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닥판(37)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일단에 경첩(38)으로 연결되어 바닥판과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본체의 측벽(31a)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는 연장판(39)과, 상기 본체의 측벽에 구비되어 연장판(39)의 일단이 수직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위치하는 로드(42a)는 바닥판(37)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어 바닥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유압실린더(42)로 구성된 것이다.
트랙터, 트레일러, 적재함, 곡물, 바닥판, 연장판, 경사면

Description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Variable Device of Slant Plate of Carrying Box for Carrying Grain}
본 발명은 곡물의 수확 시 콤바인에 의해 수확된 곡물(벼, 보리, 콩, 옥수수 등)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적재된 곡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양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판을 필요에 따라 수평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수확 시 사용되는 콤바인은 자체적으로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그 용량이 적고 또한 경작면적에 따라 탈곡작업이 장시간 계속되므로 인해 탈곡작업 중 용기 내에 곡물이 가득 차면 이를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아 운반하여야 된다.
이러한 곡물의 수확에 따른 운반수단으로 경운기 또는 트랙터의 트레일러를 사용하거나, 화물자동차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적재용량이 적어 사용하지 않고 트랙터의 트레일러 또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별도로 제작된 호퍼형 적재함을 탑재시켜 곡물을 운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적재함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호퍼형태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4)과, 상기 배출관(4)을 관통하여 본체(2)의 내 측 저부에 길이방향을 설치되는 이송스크류(6)와, 상기 이송스크류(6)를 회전시켜 주는 유압모터(8)와, 상기 유압모터(8)에 차례로 연결되는 콘트롤밸브(10), 유압펌프(12), 유압탱크(14)와, 상기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주는 소형 원동기(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는 그 형태가 대략 평면 직사각형태로서, 양측 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판(2a)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판이 만나는 지점에는 단면이 원호형태인 안내로(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2)의 저부에는 앵글을 용접하여 저면이 평면을 이루는 받침틀(24)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적재함을 트랙터의 트레일러 또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배출관(4)이 후방을 향하도록 탑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콤바인으로부터 수확된 곡물을 본체(2)에 가득 담은 상태에서 이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한 다음 자체 구비한 소형 원동기(16)를 통하여 유압펌프(12)를 작동시킨 다음 작동손잡이(28)를 조작하여 콘트롤밸브(10)를 개방하면 유압모터(8)의 구동에 따라 이송스크류(6)가 회전하게 되므로 본체(2)에 담겨져 있던 곡물이 배출구(26)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체(2)에 담겨져 있던 곡물의 양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면 본체(2)의 하부 양측에 이송스크류(6) 측을 향해 경사판(2a)이 구비되어 있어 본체(2)에 담겨져 있던 곡물의 전량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적재함은 트랙터의 트레일러 또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탑재되는 적재함의 하부 양측에 하향 경사진 경사판을 구비하고 있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본체 내에 담겨진 곡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경사판의 경사각도를 45°이상으로 설정하므로 인해 트레일러의 무게중심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로상태가 불량한 농로 등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담겨진 적재함이 전도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둘째, 본체의 하부 양측에 경사진 경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곡물의 수집 외에는 경사판으로 인해 다른 물건의 적재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적재함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었다.
셋째, 곡물 수집용도로만 사용하므로 인해 수확 철 외의 계절에는 트레일러 또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으로부터 적재함을 분리하여 보관하지만, 그 크기가 워낙 커 실내에서 안전한 보관이 거의 불가능하여 실외에 방치하므로 부식 등으로 인해 적재함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에 담겨진 곡물이 이송스크류 측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는 경사판을 각각 2개로 분할하여 곡물의 운반 또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적재함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운반된 곡물의 배출 시에만 이송스크류 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므로써, 적재함의 주행 안정성은 물론이고 활용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바닥 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출안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안내통로에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본체에 담겨진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곡물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통로의 양측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일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바닥판과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본체의 측벽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는 연장판과, 상기 본체의 측벽에 구비되어 연장판의 일단이 수직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배출안내통로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위치하는 로드는 바닥판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어 바닥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재함은 종래의 적재함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배출안내통로의 양측에 구비되는 경사판이 2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 곡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는 바닥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켰다가 적재함에 담겨진 곡물이 어느 정도 배출되었을 때 바닥판과 연장판을 펼쳐 경사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적재함에 담겨지는 곡물의 양을 늘릴 수 있게 됨은 물론 트랙터의 주행 중에 무게 중심이 상부에 위치하던 종래의 적재함과는 달리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므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적재함이 전도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곡물을 배출시킬 때를 제외하고는 바닥판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연장판을 본체의 측벽에 수직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적재함의 상시 사용이 가능하여 트레일러에서 적재함을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적재함의 방치에 따른 수명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바닥판은 수평을 유지하고 연장판은 본체의 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도이고 도 3은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바닥판 및 연장판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31)의 바닥 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출안내통로(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안내통로에는 트랙터(33)의 PTO축(도시는 생략함)에서 출력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조인트(3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에는 이송스크류(35)가 연결되어 있어 트랙터(33)의 동력에 의해 이송스크류(3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양측에 축(3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바닥판(3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37)의 다른 일단에는 경첩(38)으로 연결되어 바닥판과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본체의 측벽(31a)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는 연장판(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37)의 폭(a)은 본체(31)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유지시켰을 때 본체(31)의 측벽(31a)과 맞닿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37)의 일단을 지지하는 축(36)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안내통로(3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나타내었으나, 바닥판(37)을 경사지도록 하였을 때 바닥판의 일단이 배출안내통로(32)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연장판(39)의 일단은 본체(31)의 측벽(31a)에 구비된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장판(39)의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40)와, 상기 로울러가 위치하는 본체(31)의 측벽(31a)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1)으로 구성하여 연장판(39)이 안정된 상태로 수직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본체(31)의 측벽(31a)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됨에 따라 측벽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바깥쪽 양측에 유압실린더(4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42a)는 바닥판(37)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유압실린더(42)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본체(31)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치 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에서는 본체(31)의 양 측벽에 각각 2군데씩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 본체(31)의 상부에 낙곡 방지를 위한 덮개(4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31)의 후방에는 분할 형성된 도어(44)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어가 상호 맞닿는 부위에 설치된 클램퍼(45)에 의해 도어(44)의 잠긴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43)에는 곡물투입구(4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45)는 적재함의 후방 도어를 록킹하는 것으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46)은 적재함이 설치되는 트레일러이고, (47)은 트레일러를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축이며, (48)은 배출안내통로부터 연장되어 적재함의 외부로 노출된 곡물배출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31)의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44)가 클램퍼(45)에 의해 닫혀짐과 동시에 덮개(43)가 덮여 있고 측벽(31a)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유압실린더(42)의 로드(42a)는 최대한 당겨져 있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판(37)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장판(39)은 측벽(31a)에 형성된 가이드홈(41)에 수직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콤바인 등으로부터 곡물이 본체(31)의 내부에 채우면 바닥판(37)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연장판(39)은 가이드홈(4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곡물의 적재량을 최대로 하여 트랙터(33)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게 되는데, 노면상태가 불량한 농로를 트랙터가 주행하더라도 바닥판(37)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적재함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적재함이 설치된 트레일러(46)가 전도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반 완료된 곡물을 적재함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PTO 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이 조인트(34)를 통해 전달되어 이송스크류(35)를 회전시키면 본체(31)에 담겨진 곡물이 배출안내통로(32)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곡물배출구(4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바닥판(37)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본체(31)의 내부에는 곡물이 가득 채워져 있어 곡물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계속되는 곡물의 배출로 인해 본체(31) 내의 곡물 량이 줄어들면 배출안내통로(32) 측으로 곡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바닥판(37) 그리고 가이드홈(41)의 내부에 수직상태로 수용되어 있던 연장판(39)을 펼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된다.
이에 따라, 측벽(31a)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각각의 유압실린더(42)를 작동시켜 당겨져 있던 로드(42a)를 밀어내면 본체(31)의 바닥에 수평상태로 있던 바닥판(37)이 축(36)을 중심으로 상호 본체(31)의 내부에서 펼쳐져 대략 "V"자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바닥판(37)의 다른 일단에 경첩(38)으로 연결되어 있던 연장판(39)은 가이드홈(41)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여 바닥판(37)과 함께 도 3과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본체(31)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곡물이 배출안내통로(32)측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이송스크류(35)의 회전으로 본체(31)에 담겨져 있던 잔량의 곡물을 외부로 전부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본체(31)로부터 곡물을 전부 배출시키고 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유압실린더(42)를 재 작동하여 인출되었던 로드(42a)를 당김에 따라 바닥판(37)은 도 2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연장판(39)은 측벽(31a)에 형성된 가이드홈(41)의 내부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므로 적재함의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곡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적재함은 곡물을 이송시키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바닥판(37)을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44) 및 클램퍼(45)를 이용하여 통상의 적재함과 같이 사용 가능하므로 적재함을 트레일러(46)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 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적재함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2는 바닥판은 수평을 유지하고 연장판은 본체의 측벽에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도
도 3은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바닥판 및 연장판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이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본체 31a : 측벽
32 : 배출안내통로 35 : 이송스크류
37 : 바닥판 39 : 연장판
41 : 가이드홈 42 : 유압실린더
43 : 덮개 44 : 도어
45 : 클램퍼 46 : 트레일러

Claims (5)

  1. 본체(31)의 바닥 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출안내통로(32)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안내통로에는 이송스크류(35)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본체(31)에 담겨진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곡물운반용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양측에 축(3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바닥판(37)과, 상기 바닥판의 다른 일단에 경첩(38)으로 연결되어 바닥판과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본체의 측벽(31a)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는 연장판(39)과, 상기 본체의 측벽에 구비되어 연장판(39)의 일단이 수직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배출안내통로(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위치하는 로드(42a)는 바닥판(37)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게 설치되어 바닥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유압실린더(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7)의 일단을 지지하는 축(36)이 배출안내통로(3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연장판(37)의 끝단에 적어도 1개 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울러(40)와, 상기 로울러가 위치하는 본체(31)의 측벽(31a)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상부에 곡물투입구(43a)를 갖는 덮개(43)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후방에 분할 형성된 도어(44)를 힌지 결합하고 상기 도어가 상호 맞닿는 부위에는 클램퍼(4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KR1020070125510A 2007-12-05 2007-12-05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KR20090058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10A KR20090058764A (ko) 2007-12-05 2007-12-05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510A KR20090058764A (ko) 2007-12-05 2007-12-05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64A true KR20090058764A (ko) 2009-06-10

Family

ID=4098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510A KR20090058764A (ko) 2007-12-05 2007-12-05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06Y1 (ko) * 2014-05-19 2015-07-01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용 탱크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06Y1 (ko) * 2014-05-19 2015-07-01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용 탱크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094A (en) Grain cart equipped with independently driven drag auger
US8585343B2 (en) Grain cart having a single auger discharge conveyor
US9061623B2 (en) Sealable transport trailer container with hinging baffles
CA2500251C (en) Grain wagon with improved grain container
US7540700B2 (en) Grain cart with intermodal container loader
US4082198A (en) Bale handling and shredding apparatus
US9067524B2 (en) Container having a downwardly pivotable ramp wall, and method
US3208616A (en) Portable storage bin
US20050248208A1 (en) Side dump trailer for particulate material
CN207293062U (zh) 一种集装箱
US7207631B1 (en) Side discharge bulk material trailer
AU2013201230A1 (en) Grain Cart Having An Inclined Folding Unloading Auger Conveyor With An Askewed Flow Control Spout
US6358143B1 (en) Pivoting grain tank on an agricultural combine
US6367234B1 (en) Concave shaped grain tank on an agricultural combine
CA1157066A (en) Power dump wagon
US20110305549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KR20090058764A (ko) 곡물운반용 적재함의 경사판 가변장치
US7093707B2 (en) Grain harvester multi-angular inclined delivery conveyor and drive
US4493601A (en) High capacity, self-unloading forage hopper
US3251497A (en) Portable overhead bin with trailer
US4627782A (en) Grain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tainer
US7025556B1 (en) Agricultural transfer table
EP2394506A1 (en) Self-unloading vehicle with hydraulic system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200316118Y1 (ko) 트레일러형 적재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